리베카 솔닛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베카 솔닛은 1961년 코네티컷주에서 태어난 미국의 작가, 역사가, 저널리스트이다. 17권 이상의 책을 저술했으며, 환경, 인권, 여성의 권리 등 사회 운동에 참여해 왔다. 주요 저서로는 《걷기의 인문학》, 《어둠 속의 희망》, 《길 잃기의 안내서》,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 등이 있으며, '맨스플레인'이라는 용어를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다. 솔닛은 다양한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비평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논픽션 작가 - 폴 라이언
폴 라이언은 위스콘신주 제1선거구 공화당 하원의원과 제54대 하원 의장을 지낸 미국의 정치인으로, 재정 정책 및 보수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2012년 공화당 부통령 후보로 낙선 후 하원 의장 재임 중 세금 개혁 법안을 통과시키고 2018년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 미국의 논픽션 작가 - 레이철 카슨
레이철 카슨은 해양 생물학자이자 작가, 환경 운동가로, 저서 《침묵의 봄》을 통해 살충제의 유해성을 알리고 환경 운동에 기여했으며, DDT 사용 금지 운동과 미국 환경 보호국 설립에 영향을 미쳤다. - 코네티컷주 출신 - 셰인 맥마흔
미국의 사업가이자 프로레슬러인 셰인 맥마흔은 빈스 맥마흔과 린다 맥마흔의 아들이며, WWE에서 선수 및 경영진으로 활동하며 유러피언 챔피언십, 하드코어 챔피언십, 스맥다운 태그팀 챔피언십을 획득했고 WWE 월드컵에서 우승했으며, WWE 외에 유 온 디맨드 CEO, 인터내셔널 스포츠 매니지먼트 이사 등을 역임했다. - 코네티컷주 출신 - 존 브라운
존 브라운은 미국의 노예제 폐지 운동가로서, 1859년 하퍼스 페리에서 노예 해방을 위한 무장 봉기를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처형되었으며, 캔자스 준주에서 포타와토미 학살을 주도하기도 했다. - 샌프란시스코 주립 대학교 동문 - 조지 듀크
조지 듀크는 재즈, 펑크, 소울 음악가이자 키보드 연주자, 작곡가, 프로듀서로서, 프랭크 자파, 캐논볼 애덜리와 협연하고 클라크/듀크 프로젝트를 결성하여 활동했으며, 디안 리브스, 제프리 오스본 등의 앨범을 제작하고 넬슨 만델라 70세 생일 기념 콘서트 음악 감독을 맡았으며 그래미 어워드에서 2회 수상했다. - 샌프란시스코 주립 대학교 동문 - 앤 라이스
앤 라이스는 고딕적 상상력과 퇴폐적인 분위기로 특징지어지는 작품들을 통해 1억 3천 6백만 부 이상의 책을 판매한 미국의 작가로, 대표작인 『뱀파이어 연대기』 시리즈를 포함한 다양한 장르의 소설을 집필했으며, 2021년 8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리베카 솔닛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레베카 솔닛 |
원어 이름 | Rebecca Solnit |
출생일 | 1961년 6월 24일 |
출생지 | 코네티컷주 브리지포트 |
국적 | 미국 |
직업 | 저술가 회고록 작가 수필가 |
활동 기간 | 1988년-현재 |
웹사이트 | rebeccasolnit.net |
학력 | |
학사 | 샌프란시스코 주립 대학교 |
석사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작품 | |
주요 작품 | 《그림자의 강》 《머나먼 이웃》 《지옥에서 피어난 낙원》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 |
경력 | |
주제 | 문화사 페미니즘 환경주의 회고록 |
2. 생애
리베카 솔닛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노바토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으며, 폭력이 일상적인 가정에서 성장하여 어린 시절 학대를 받았다고 밝혔다.[34] 중학교 시절을 힘들게 보낸 탓에 검정고시에 합격하여 고등학교를 건너뛰었다.[35] 1988년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39]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솔닛은 1961년[2] 코네티컷주 브리지포트에서 유대인 아버지와 아일랜드계 가톨릭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3] 1966년 가족과 함께 캘리포니아주 노바토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성장했다. 그녀는 어린 시절에 대해 "나는 학대받는 어린 아이였다. 여성적이고 여성적이며 나의 성별이 미움받는 정말 폭력적인 집에서 자랐다"고 말했다.[4] 고등학교를 중퇴하고 공립학교 시스템의 대안 중학교에 등록하여 10학년까지 다녔으며, GED(General Educational Development, 고졸 검정고시) 시험에 합격했다. 이후 전문대학에 등록했고, 17세에 파리에서 유학했다. 캘리포니아로 돌아와 샌프란시스코 주립 대학교에서 대학 교육을 마쳤으며,[5][6] 1984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저널리즘 석사 학위를 받았다.[7] 1988년부터 독립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8]3. 경력
솔닛은 1980년대부터 환경 및 인권 운동에 참여했다. 1990년대 초, 서부 쇼쇼니 방어 프로젝트와 부시 시대의 반전 운동가들과 함께 활동했다.[9] 같은 시기 "웨스턴 쇼쇼니족영어 보호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 2001년 이후에는 반전 운동에 참여했다.[40]
기후 변화에 대한 관심과 350.org 및 시에라 클럽의 활동을 펼쳤으며, 특히 여성 폭력을 포함한 여성의 권리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10]
3. 1. 작가 활동
솔닛은 17권 이상의 책을 저술했으며, 그녀의 글은 가디언, 하퍼스 매거진, TomDispatch, LitHub 등 다양한 매체에 게재되었다.[11][12] 1988년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기 시작했다.[39]솔닛의 대표작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제목 | 원제 | 비고 |
---|---|---|---|
2000 | 걷기의 인문학 | Wanderlust: A History of Walking | 민음사(2003), 반비(2017) |
2004 | 어둠 속의 희망 | Hope in the Dark | 창비(2006, 2017) |
2005 | 길 잃기의 안내서 | A Field Guide to Getting Lost | 반비(2018) |
2009 | 이 폐허를 응시하라 | A Paradise Built in Hell: The Extraordinary Communities that Arise in Disaster | 펜타그램(2012) |
2013 | 멀고도 가까운 | The Faraway Nearby | 반비(2016) |
2014 |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 | Men Explain Things To Me | 창비(2015) |
2014 | The Encyclopedia of Trouble and Spaciousness | ||
2017 | 여자들은 자꾸 같은 질문을 받는다 | The Mother of All Questions | 창비(2017) |
2018 | 이것은 이름들의 전쟁이다 | Call Them by Their True Names | 창비(2018) |
2009년 저서 《이 폐허를 응시하라》는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걸프 해안을 강타한 날 하퍼스 매거진에 게재된 에세이에서 시작되었다. 이는 1989년 로마 프리에타 지진에서 영감을 받았는데, 솔닛은 이를 "일상 생활이 멈추고 사람들이 주변을 둘러보며 웅크렸던 놀라운 사건... 순간"이라고 묘사했다.[9] 솔닛은 BOMB 매거진과의 인터뷰에서 "재난에서 일어나는 일은 무정부주의자가 시민 사회의 승리와 제도적 권위의 실패에 대해 믿고 싶어하는 모든 것을 보여줍니다."라고 요약했다.[9]
2014년 출판된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는 '맨스플레인' 현상을 다룬 에세이를 포함하여 페미니즘에 관한 단편 에세이 모음집이다. 이 책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으며,[13] 솔닛은 '맨스플레인'이라는 단어를 만드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14][15]
2019년에는 신데렐라의 새로운 버전인 ''Cinderella Liberator|신데렐라 리버레이터''를 출판했다.[18] 이 페미니즘적 개정판에서 솔닛은 신데렐라와 왕자("프린스 네버마인드"로 변경) 모두에게 스스로 생각하고, 자유 의지를 행사하며, 사업을 시작하고, 의존적인 연인이 되기보다는 친구가 되는 새로운 미래를 부여한다.[19]
솔닛의 저작은 인쇄물 뿐만 아니라 하퍼스 매거진이나 톰 엥겔하트영어가 운영하는 웹사이트 "Tomdispatch.com"을 포함한 온라인 상에서도 다수 확인할 수 있다.[41]。
『재난 유토피아』(2009년)는 1989년 로마 프리에타 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경험이 계기가 되어, 1906년 샌프란시스코 지진, 1917년 핼리팩스 폭발, 1985년 멕시코 지진, 9.11 테러, 2005년 허리케인 카트리나 등을 취재·연구하여 쓰여진 것으로, 이러한 재난 때마다 사람들이 의외로 침착하게 행동하며 서로 돕는 즉석의 "유토피아"가 형성된다는 공통점을 발견했다.[42]。
자신의 작품에 영향을 준 인물로 에두아르도 갈레아노, 파블로 네루다,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버지니아 울프, 아리엘 도르프만, 엘레나 포니아토우스카의 이름을 언급했다.[40]
솔닛은 "맨스플레인"(Mansplaining)이라는 유명한 혼성어를 발명하는 계기를 만들었다고 여겨진다. 로스앤젤레스 타임스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2008년 4월에 공개된 그녀의 에세이 "Men Explain Things to Me영어[46]"(『남자들이 나에게 설명하려 한다』)에서는, 파티장에서 말을 걸어온 남성이 그녀가 저자임을 알지 못한 채, 그녀의 최신작 내용에 대해 득의양양하게 그녀에게 해설하려 했다는 경험담이 소개되어 있다. 이 에세이의 내용은 아는 척하며 우월한 태도로 남성에게 설명을 들었던 경험이 있는 많은 여성들의 공감을 불러일으켰고, 그 후 온라인상에서는 이러한 남성을 지칭하는 "맨스플레인"이라는 단어가 생겨나 급속도로 퍼져나갔다.[47]
3. 2. 사회 운동
솔닛은 1980년대부터 환경 및 인권 운동에 참여해 왔다. 1990년대 초에는 자신의 저서 《야만의 꿈》(Savage Dreams)에 묘사된 서부 쇼쇼니 방어 프로젝트와 부시 시대의 반전 운동가들과 함께 활동했다.[9] 같은 시기 "웨스턴 쇼쇼니족영어 보호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 2001년 이후에는 반전 운동에 참여했다.[40]그녀는 기후 변화에 대한 관심과 350.org 및 시에라 클럽의 활동, 그리고 특히 여성 폭력을 포함한 여성의 권리에 대해 논의해 왔다.[10] 솔닛의 저작은 인쇄물 뿐만 아니라 하퍼스 매거진이나 톰 엥겔하트영어가 운영하는 웹사이트 "Tomdispatch.com"을 포함한 온라인 상에서도 다수 확인할 수 있다.[41]
《재난 유토피아》(2009년)는 1989년 로마 프리에타 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경험이 계기가 되어, 1906년 샌프란시스코 지진, 1917년 핼리팩스 폭발, 1985년 멕시코 지진, 9.11 테러, 2005년 허리케인 카트리나 등을 취재·연구하여 쓰여진 것으로, 이러한 재난 때마다 사람들이 의외로 침착하게 행동하며 서로 돕는 즉석의 "유토피아"가 형성된다는 공통점을 발견했다.[42]
자신의 작품에 영향을 준 인물로 에두아르도 갈레아노, 파블로 네루다,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버지니아 울프, 아리엘 도르프만, 엘레나 포니아토우스카의 이름을 언급했다.[40]
4. 주요 저서
연도 | 제목 | 원제 | 비고 |
---|---|---|---|
2000 | 걷기의 인문학 | Wanderlust: A History of Walking | 민음사(2003), 반비(2017) |
2004 | 어둠 속의 희망 | Hope in the Dark | 창비(2006, 2017) |
2005 | 길 잃기의 안내서 | A Field Guide to Getting Lost | 반비(2018) |
2009 | 이 폐허를 응시하라 | A Paradise Built in Hell: The Extraordinary Communities that Arise in Disaster | 펜타그램(2012) |
2013 | 멀고도 가까운 | The Faraway Nearby | 반비(2016) |
2014 |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 | Men Explain Things To Me | 창비(2015) |
2014 | The Encyclopedia of Trouble and Spaciousness | ||
2017 | 여자들은 자꾸 같은 질문을 받는다 | The Mother of All Questions | 창비(2017) |
2018 | 이것은 이름들의 전쟁이다 | Call Them by Their True Names | 창비(2018) |
- ''Secret Exhibition: Six California Artists of the Cold War Era'' (1991년)
- ''A Book of Migrations: Some Passages in Ireland'' (1997년)
- ''Savage Dreams: A Journey Into the Landscape Wars of the American West'' (1999년)
- ''Hollow City: The Siege of San Francisco and the Crisis of American Urbanism'' (2001년)
- ''As Eve Said to the Serpent: On Landscape, Gender, and Art'' (2001년)
- ''River of Shadows: Eadweard Muybridge and the Technological Wild West'' (2003년)
- ''Yosemite in Time: Ice Ages, Tree Clocks, Ghost Rivers'' (2005년) - 마크 클레트, 바이런 울프와 공저
- ''After the Ruins, 1906 and 2006: Rephotographing the San Francisco Earthquake and Fire'' (2006년) - 마크 클레트, 미첼 랑렌, 필립 L. 프라드킨과 공저
- ''Storming the Gates of Paradise: Landscapes for Politics'' (2007년)
- ''The Battle of the Story of the Battle of Seattle'' (2009년) - 데이비드 솔닛과 공저
- ''A California Bestiary'' (2010년) - 모나 캐론과 공저
- ''Infinite City: A San Francisco Atlas'' (2010년)
- ''Unfathomable City: A New Orleans Atlas'' (2013년) - 레베카 스네데커와 공저
- 재해 유토피아 : 왜 그 때 특별한 공동체가 일어나는가일본어 (타카츠키 소노코일본어 역, 아키쇼보(2010년, 증보판 2020년))를 비롯하여, 설교하려는 남자들일본어 (한 코지일본어 역, 소우샤(2018년)), 그것을, 진실된 이름으로 부른다면 : 위기의 시대와 말의 힘일본어 (와타나베 유카리일본어 역, 이와나미 쇼텐(2020년)) 등 여러 저서가 일본어로 번역되어 출간되었다.
4. 1. 재난 유토피아 (A Paradise Built in Hell: The Extraordinary Communities that Arise in Disaster, 2009)
『재난 유토피아』(2009년)는 1989년 로마 프리에타 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경험이 계기가 되어, 1906년 샌프란시스코 지진, 1917년 핼리팩스 폭발, 1985년 멕시코 지진, 9.11 테러, 2005년 허리케인 카트리나 등을 취재·연구하여 쓰여진 것이다. 이러한 재난 때마다 사람들이 의외로 침착하게 행동하며 서로 돕는 즉석의 "유토피아"가 형성된다는 공통점을 발견했다.[42]4. 2.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 (Men Explain Things To Me, 2014)
Haymarket Books에서 2014년에 출판한 페미니즘에 관한 단편 에세이 모음집으로, 맨스플레인 현상에 대한 에세이를 포함하고 있다.[13] 솔닛은 "맨스플레인"이라는 단어를 만드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14][15] 이 단어는 남성이 일반적으로 여성에게 위압적이거나 잘난 체하는 방식으로 무언가를 "설명"하는 경우를 지칭하지만, 솔닛은 자신의 원래 에세이에서 이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다.[16]솔닛은 "맨스플레인"(Mansplaining)이라는 유명한 혼성어를 발명하는 계기를 만들었다고 여겨진다. 2008년 4월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웹사이트에 공개된 에세이 "''Men Explain Things to Me[46]''"(『남자들이 나에게 설명하려 한다』)에서는, 파티장에서 말을 걸어온 남성이 그녀가 저자임을 알지 못한 채, 그녀의 최신작 내용에 대해 득의양양하게 설명하려 했다는 경험담이 소개되어 있다. 이 에세이는 아는 척하며 우월한 태도로 남성에게 설명을 들었던 경험이 있는 많은 여성들의 공감을 불러일으켰고, 그 후 온라인상에서 이러한 남성을 지칭하는 "맨스플레인"이라는 단어가 생겨나 급속도로 퍼져나갔다.[47]
이 책에는 시각 예술가이자 공연 예술가인 아나 테레사 페르난데스의 삽화가 포함되었다.[17] ''남자들이 나에게 설명하는 것들(Men Explain Things to Me)''은 스페인어, 프랑스어, 독일어, 폴란드어, 포르투갈어, 핀란드어, 스웨덴어, 이탈리아어, 슬로바키아어, 네덜란드어, 터키어를 포함한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13]
5. 평가 및 영향
드와이트 가너는 솔닛을 "미국에서 충분히 자주 배출하지 못하는 강인하고, 길을 벗어난 공공 지식인"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가너는 솔닛의 글이 때로는 조안 디디온의 간결함과 날카로운 재치가 부족한 횡설수설하고 자기만족적인 글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가 최고의 글을 쓸 때는 일관된 관점에 도달하는 인지 행위를 매력적인 도덕적 드라마로 바꾸는 드문 재능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24]
2013년 소설 ''머나먼 곳''은 전미 도서 비평가 협회상 최종 후보에 올랐다.[23] 2015–16년에는 북미 지도 정보 학회에서 코리스 베네피데오 상을 상상력 넘치는 지도 제작으로 수상했다.[28] 솔닛은 아이오와시티 유네스코 문학 도시가 수여하는 폴 잉글 상의 11번째 수상자이다.[31]
5. 1. 수상 경력
솔닛은 문학 분야에서 두 번의 NEA 펠로우십,[21][43] 구겐하임 펠로우십,[21][43] 크리에이티브 캐피탈 상, 라난 문학 펠로우십을 받았다.[21] 2010년 ''우트네 리더''는 솔닛을 "세상을 바꾸는 25인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선정했다.[22]''그림자 강''으로 2004년 전미 도서 비평가 협회 비평 부문 상,[25][44] 기술사학회의 샐리 해커 상,[26] 하버드의 마크 린튼 역사상을 수상했다.[27][45] 2018년 ''그들의 진정한 이름으로 불러라: 미국 위기''로 커커스 논픽션 상을 수상했다.[29] 2019년 논픽션 부문 윈덤-캠벨 문학상을 수상했다.[30]
5. 2. 영향
솔닛은 문학 분야에서 NEA 펠로우십(두 번), 구겐하임 펠로우십, 크리에이티브 캐피탈 상, 라난 문학 펠로우십을 받았으며, 2004년에는 ''와이어드'' 레이브 상을 수상했다.[21] 2010년, ''우트네 리더''는 솔닛을 "세상을 바꾸는 25인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선정했다.[22]''뉴욕 타임스''의 서평가 드와이트 가너는 솔닛을 "미국에서 충분히 자주 배출하지 못하는 강인하고, 길을 벗어난 공공 지식인"이라고 평가했다.[24]
''그림자 강''으로 솔닛은 2004년 전미 도서 비평가 협회 비평 부문 상[25]과 기술사학회의 샐리 해커 상[26], 하버드의 마크 린튼 역사상을 수상했다.[27] 2015–16년에는 북미 지도 정보 학회에서 코리스 베네피데오 상을 받았다.[28] ''그들의 진정한 이름으로 불러라: 미국 위기''는 2018년 커커스 논픽션 상을 수상했다.[29] 2019년에는 윈덤-캠벨 문학상 논픽션 부문을 수상했으며,[30] 아이오와시티 유네스코 문학 도시가 수여하는 폴 잉글 상의 11번째 수상자이다.[31]
솔닛은 에두아르도 갈레아노, 파블로 네루다, 아리엘 도르프만, 엘레나 포니아토프스카,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버지니아 울프,[32] 헨리 데이비드 소로[33]를 자신의 작품에 영향을 미친 작가로 꼽았다.[9]
솔닛은 "맨스플레인"(Mansplaining)이라는 용어를 탄생시키는 데 기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08년 4월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웹사이트에 게재된 에세이 "''Men Explain Things to Me[46]''"(『남자들이 나에게 설명하려 한다』)에서, 그녀는 파티에서 만난 한 남성이 그녀가 저자임을 알지 못한 채 그녀의 최신작에 대해 설명하려 했던 경험을 이야기했다. 이 에세이는 비슷한 경험을 한 많은 여성들의 공감을 얻었고, 이후 온라인상에서 이러한 남성을 가리키는 "맨스플레인"이라는 단어가 빠르게 확산되었다.[47]
6. 한국 사회에 대한 시사점
솔닛의 저작은 한국 사회에도 여러 시사점을 제공한다. 특히 '맨스플레인' 현상은 한국 사회에서도 자주 발생하며, 여성의 목소리를 억압하는 기제로 작용한다. 솔닛은 2008년 4월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웹사이트에 기고한 에세이 ''"Men Explain Things to Me[46]"''(『남자들이 나에게 설명하려 한다』)에서 파티에서 만난 남성이 자신이 저자임을 알지 못한 채, 그녀의 최신작에 대해 설명하려 했던 경험을 이야기했다. 이 에세이는 많은 여성들의 공감을 얻었고, 이후 온라인상에서 이러한 남성을 가리키는 '맨스플레인'이라는 단어가 빠르게 확산되었다.[47] 솔닛의 저작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성 평등한 사회를 위한 논의를 촉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참조
[1]
간행물
Room to Roam
https://www.cjr.org/[...]
2007-08-16
[2]
뉴스
Rebecca Solnit: How Women Are Changing the World
https://www.thenatio[...]
2017-03-10
[3]
뉴스
Rebecca Solnit: a life in writing
https://www.theguard[...]
2013-06-29
[4]
뉴스
Why Can't I Be You: Rebecca Solnit
https://www.rookiema[...]
2014-09-04
[5]
뉴스
Move Over, Joan Didion / Make room for Rebecca Solnit, California's newest cultural historian
https://www.sfgate.c[...]
2004-06-13
[6]
웹사이트
Award-winning authors, activists and scientists among SF State Alumni Hall of Fame inductees
https://news.sfsu.ed[...]
2018-10-05
[7]
웹사이트
Meet Our Alumni: College of Letters & Science
http://ls.berkeley.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8]
웹사이트
Rebecca Solnit
https://tupress.org/[...]
Trinity University Press
[9]
간행물
Rebecca Solnit
https://bombmagazine[...]
2009-10-01
[10]
episode
San Francisco, the island within an island
https://searchworks.[...]
2013-08-09
[11]
웹사이트
TomDispatch author page
https://tomdispatch.[...]
2014-12-23
[12]
웹사이트
LitHub author page
https://lithub.com/a[...]
Electric Literature
[13]
웹사이트
Selected Foreign Editions of ''Men Explain Things to Me''
https://www.goodread[...]
[14]
뉴스
Mansplaining, explained: 'Just ask an expert. Who is not a lady'
https://www.theguard[...]
2017-03-21
[15]
간행물
The Essay That Launched the Term "Mansplaining"
https://newrepublic.[...]
2014-06-04
[16]
뉴스
Do we need a different word for 'mansplaining'?
https://www.mprnews.[...]
2016-12-19
[17]
웹사이트
Men Explain Things To Me
https://www.haymarke[...]
[18]
서적
Cinderella Liberator
2019
[19]
웹사이트
The Cinderella story has always evolved with the times. Rebecca Solnit's update is overdue.
https://www.nbcnews.[...]
2019-05-07
[20]
웹사이트
Q & A with Rebecca Solnit
https://www.publishe[...]
2019-04-23
[21]
간행물
The Wired Rave Award
https://archive.wire[...]
2004-04
[22]
간행물
25 Visionaries Who Are Changing Your World
https://www.utne.com[...]
2010-10-13
[23]
웹사이트
National Book Critics Circle Awards − 2013
https://www.bookcrit[...]
[24]
뉴스
Delighted by the Joy of Bad Things
https://www.nytimes.[...]
2009-08-20
[25]
웹사이트
National Book Critics Circle Awards − 2003
https://www.bookcrit[...]
[26]
웹사이트
The Sally Hacker Prize − Recipients
https://www.historyo[...]
Society for the History of Technology
2004
[27]
웹사이트
J. Anthony Lukas Prize Project
https://nieman.harva[...]
2004
[28]
웹사이트
2015 Winner − Rebecca Solnit
https://nacis.org/aw[...]
NACIS
[29]
웹사이트
2018 Winners − Kirkus Prize
https://www.kirkusre[...]
[30]
웹사이트
Rebecca Solnit − 2019
https://windhamcampb[...]
Windham–Campbell Literature Prizes
[31]
웹사이트
Paul Engle Day and Prize
https://www.iowacity[...]
[32]
웹사이트
Every City Should Have an Atlas: An Interview with Rebecca Solnit
https://www.terrain.[...]
2012-03-22
[33]
뉴스
How Rebecca Solnit Became the Voice of the Resistance
https://www.nytimes.[...]
2017-08-08
[34]
웹사이트
Why Can’t I Be You: Rebecca Solnit
http://www.rookiemag[...]
Rookiemag.com
2015-04-26
[35]
웹사이트
Why Can’t I Be You: Rebecca Solnit
http://www.rookiemag[...]
Rookiemag.com
2015-04-26
[36]
웹사이트
Rebecca Solnit's reimagined literature
http://www.bohemian.[...]
Bohemian.com
2012-04-11
[37]
웹사이트
Move Over, Joan Didion / Make room for Rebecca Solnit, California's newest cultural historian
http://www.sfgate.co[...]
SFGate.com
2004-06-13
[38]
웹사이트
Meet Our Alumni
http://ls.berkeley.e[...]
Berkeley.edu
2015-04-26
[39]
웹사이트
Rebecca Solnit
http://tupress.org/a[...]
TUPress.org
null
[40]
웹사이트
Rebecca Solnit
http://bombmagazine.[...]
Bombmagazine.org
[41]
웹사이트
Rebecca Solnit
http://www.tomdispat[...]
TomDispatch.com
null
[42]
웹사이트
A Paradise Built in Hell: The Extraordinary Communities That Arise in Disaster
http://www.powells.c[...]
Powells.com
2009-09-23
[43]
웹사이트
Rebecca Solnit
http://occupylove.or[...]
OccupyLove.org
[44]
웹사이트
All Past National Book Critics Circle Award Winners and Finalists
http://bookcritics.o[...]
BookCritics.org
[45]
웹사이트
J. Anthony Lukas Prize Project
http://nieman.harvar[...]
Harvard.edu
[46]
웹사이트
Men who explain things
http://articles.lati[...]
LATimes.com
2008-04-13
[47]
웹사이트
A Cultural History of Mansplaining
http://www.theatlant[...]
TheAtlantic.com
2012-11-01
[48]
서적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
창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