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고 왕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고 왕조는 기원전 550년경부터 기원전 340년경까지 카르타고를 통치한 가문이다. 마고 1세가 권력을 잡으면서 시작되었으며, 그의 후계자들이 정치적 실력자 또는 참주와 같은 형태로 통치했다. 이들은 서부 지중해에서 카르타고의 세력을 확장하고 해상 무역을 발전시켰다. 주요 사건으로는 알랄리아 해전, 히메라 전투, 시칠리아 전쟁 등이 있으며, 로마와의 조약을 통해 세력 균형을 이루기도 했다. 기원전 308년 왕정 복고 시도가 실패하면서 카르타고는 공화국으로 전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르타고 - 고대 카르타고
    고대 카르타고는 기원전 814년경 페니키아에서 건설된 식민 도시 국가로 시작하여 지중해 무역을 통해 번성하며 서지중해의 패권을 장악, 푸니크 문화를 형성하고 로마와 갈등을 겪었으나 포에니 전쟁에서 패배하여 멸망한 도시이다.
  • 카르타고 - 렙티스 마그나
    렙티스 마그나는 기원전 7세기 후반 페니키아인이 건설한 고대 도시로, 카르타고 제국의 주요 도시였으며 로마의 지배를 거쳐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의 후원으로 번성했으나 3세기 위기 이후 쇠퇴하여 현재는 로마 유적지로 남아 리비아 내전으로 인해 위기에 처한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
  • 카르타고 사람 - 한니발
    한니발은 제2차 포에니 전쟁에서 로마를 상대로 뛰어난 군사적 재능을 발휘하여 이탈리아 반도를 15년간 지배했으나,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에게 패배하고 망명 생활을 하다 자살했다.
  • 카르타고 사람 - 하밀카르 바르카
    하밀카르 바르카는 고대 카르타고의 군사 지휘관으로, 제1차 포에니 전쟁 말기에 시칠리아에서 로마군과 대치하며 게릴라전을 펼쳤고, 이후 히스파니아에서 세력을 확장하다가 카르타헤나 건설 중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한니발이 로마와의 전쟁을 이어받았다.
마고 왕조
가문 정보
이름마고 왕조
로마자 표기Mago wangjo
유형카르타고 귀족 가문
활동 시기기원전 6세기 ~ 기원전 4세기
주요 인물마고 1세
하스드루발
하밀카르 1세
히밀코
마고 2세
기스코
하노
하밀카르
보밀카르

2. 지도자 목록

이름통치 기간
마고 1세기원전 550년경 - 기원전 530년경
하스드루발 1세기원전 530년경 - 기원전 510년경
하밀카르 1세기원전 510년경 - 기원전 480년
한노 2세기원전 480년 - 기원전 440년
히밀코 1세 (시칠리아)기원전 460년 - 기원전 410년
한니발 1세기원전 440년 - 기원전 406년
히밀코 2세기원전 406년 - 기원전 396년
마고 2세기원전 396년 - 기원전 375년
마고 3세기원전 375년 - 기원전 344년
한노 3세기원전 344년 - 기원전 340년


3. 마고 왕조의 통치

마고 왕조의 통치자들은 왕과 같은 존재라기보다는 참주나 정치적 실력자에 가까웠을 것으로 추정된다.[3] 디오도로스는 그들을 법에 따른 왕이라고 묘사했지만, 헤로도토스는 함밀카르 1세가 세습이 아닌 용맹으로 왕이 되었다고 언급했다.[4]

기원전 480년, 함밀카르 1세가 사망한 후 왕은 귀족 원로원에게 대부분의 권력을 잃었다. 기원전 308년, 보밀카르는 왕에게 완전한 권력을 되돌리려 쿠데타를 시도했지만 실패했고, 카르타고는 사실상 공화국이 되었다.[5][6]

3. 1. 군사적 확장

마고가 등장하면서 카르타고의 외교 정책은 크게 변화한 것으로 보인다. 이전까지 카르타고는 이비자 섬을 자치 식민화했지만, 이제는 주도권을 잡고 서부 지중해에서 페니키아 군사 강국으로 확고히 자리 잡았다.

마고의 뒤를 이어 그의 아들 하스드루발 1세가 통치자가 되었다. 다음 계승자는 하스드루발의 형제 하노의 아들인 하밀카르 1세였다. 카르타고는 항상 적수인 고대 그리스를 몰아내려 했고, 공동의 적을 물리치기 위해 페르시아 제국크세르크세스 1세와 동맹을 맺었을 수도 있다(계정은 불확실하다). 헤로도토스는 카르타고와 그리스 군대 사이의 결정적인 히메라 전투가 그리스인들이 그리스 본토에서 유명한 살라미스 해전에서 페르시아인들과 만난 바로 그날 시칠리아에서 일어났다고 믿었다고 전한다.[11] 그러나 그리스인들은 두 전투에서 모두 승리했고, 하밀카르는 히메라에서 죽음을 맞이했다.

하밀카르가 사망한 후, 왕조는 하밀카르의 아들인 하노 2세 '항해자'가 기원전 440년까지 이어갔으며, 이 기간 동안 카르타고의 아프리카 영토의 상당 부분이 정복되었고 아프리카 대서양 연안이 더 많이 탐험되고 정착되었다. 아프리카 내륙 무역에서도 큰 진전이 있었다. 한편 카르타고는 시칠리아에서 벌어지는 새로운 전쟁에 관여하지 않으려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평화와 새롭게 획득한 광대한 무역 제국은 또한 카르타고 군대를 재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기원전 410년에는 한니발 1세(기스코의 아들이자 하밀카르의 손자)가 카르타고의 왕이 되었다. 그는 즉시 시칠리아에서 새로운 원정을 시작했고, 기원전 409년에는 강력한 그리스 도시 국가인 시라쿠사의 동맹국인 셀리누스 도시가 완전히 파괴되는 결과를 낳았다. 한니발은 그가 행한 파괴와 그가 수천 명의 포로를 학살한 잔혹함으로 진정한 악명을 얻었다.

그리스 도시인 아그리젠토를 포위했을 때 전염병이 카르타고 진영에 퍼져 한니발을 죽였다. 한니발의 사촌 히밀코 2세(항해자 하노의 아들이자 하밀카르의 손자)가 이제 카르타고의 권력을 잡았다. 그는 기원전 396년에야 형식적으로 왕위에 올랐지만, 이는 카르타고 왕은 카르타고 자체에서만 즉위할 수 있었고, 따라서 시칠리아에서 귀국할 때까지 공식적으로 칭호를 받을 때까지 기다려야 함을 의미한다.

그는 기원전 396년까지 위대한 시라쿠사 폭군 시라쿠사의 디오니시우스 1세와 끊임없이 전쟁을 벌였지만, 결국 참담하게 패배하여 남아있는 용병들을 승리한 그리스인들에게 학살당하게 내버려둔 채 카르타고 난민들과 함께 시칠리아에서 도망쳤다. 히밀코는 나중에 자살했다.

이 가문의 또 다른 일원인 마고 2세가 처음에는 지도자의 칭호를 물려받았다. 그의 첫 번째 과제는 카르타고 통치를 완전히 전복할 뻔했던 리비아 반란을 진압하는 것이었다. 그 후 그는 다시 시칠리아로 향했고, 나중에는 심지어 남부 이탈리아로 진출하여 디오니시우스와 함께 활동했다. 마고 2세가 군사적 능력에서 부족했던 점은 외교적 기술로 보충했다. 그러나 결국 그는 시라쿠사 군대와 싸운 남부 이탈리아의 카발라 전투(기원전 378/375년)에서 패했다. 결국 카르타고와 시라쿠사는 평화 조약을 맺었다.

3. 2. 해상 무역과 탐험

마고 왕조 시기 카르타고는 해상 무역과 탐험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다. 이전까지 이비자 섬을 중심으로 소규모 식민 활동을 벌이던 카르타고는 마고의 등장과 함께 서부 지중해의 패권을 장악하는 군사 강국으로 변모했다.[11]

마고의 아들 하스드루발 1세와 그의 형제 하노의 아들 하밀카르 1세가 뒤를 이어 통치했다. 하밀카르 1세는 고대 그리스와의 경쟁에서 페르시아 제국크세르크세스 1세와 동맹을 맺기도 했다.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카르타고와 그리스 간의 히메라 전투는 그리스 본토에서 벌어진 살라미스 해전과 같은 날 벌어졌다고 한다. 그러나 두 전투 모두 그리스가 승리했고, 하밀카르는 히메라에서 전사했다.[11]

하밀카르 1세 사후, 그의 아들 하노 2세('항해자')는 기원전 440년까지 통치하며 아프리카 대서양 연안 탐험과 식민지 건설에 주력했다. 이 시기 카르타고는 아프리카 내륙 무역에서도 큰 발전을 이루었다.

기원전 410년, 한니발 1세(하밀카르 1세의 손자)는 시칠리아 원정을 통해 셀리누스를 파괴하는 등 군사적 성공을 거두었지만, 아그리젠토 포위 중 전염병으로 사망했다. 그의 사촌 히밀코 2세는 시라쿠사의 디오니시우스 1세와 전쟁을 벌였으나 패배하고 자살했다.

마고 2세는 리비아 반란을 진압하고 시칠리아와 남부 이탈리아에서 군사 활동을 펼쳤으나, 카발라 전투(기원전 378/375년)에서 패배한 후 시라쿠사와 평화 조약을 맺었다.

기원전 480년 하밀카르 1세의 죽음 이후, 왕의 권력은 귀족 원로원으로 넘어갔다. 기원전 308년 보밀카르 (기원전 4세기)의 쿠데타 실패 이후 카르타고는 사실상 공화정이 되었다.[5][6]

3. 3. 정치 체제의 변화

마고 왕조 시기에 카르타고의 정치 체제는 큰 변화를 겪었다. 마고와 그의 후계자들은 이라기보다는 참주나 정치적 실력자와 같은 존재였을 가능성이 크다.[3] 디오도로스는 그들을 법에 따른 왕이라고 묘사했지만, 이는 권력의 노골적인 찬탈보다는 법적 절차를 암시한다.[4] 헤로도토스는 함밀카르 1세가 "용맹으로 왕이 되었다"라고 말하며, 이는 세습이 아닌 선출을 의미한다.[4]

기원전 480년, 히메라 전투에서 함밀카르 1세가 사망한 후, 왕은 귀족 원로원에게 대부분의 권력을 잃었다. 기원전 308년, 한노 출신 보밀카르는 왕에게 완전한 권력을 되돌리기 위해 쿠데타를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이로 인해 카르타고는 명목상으로나 사실상 공화국이 되었다.[5][6]

4. 마고 왕조 시대의 주요 사건

기원전 550년, 마고 1세가 집권하면서 카르타고는 서부 지중해의 페니키아 군사 강국으로 자리 잡았다. 마고 왕조 시대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사건들이 발생했다.

연도사건
기원전 550년마고 1세 집권
기원전 540년카르타고-에트루리아 동맹, 알랄리아 해전 후 코르시카에서 그리스인 축출
기원전 530년마고 사망, 하스드루발 1세 집권
기원전 520년대 중반하스드루발, 형제 하밀카르 1세와 사르데냐 출정
기원전 510년하밀카르 1세 집권
기원전 509년카르타고-로마 조약 체결 (영향력 및 상업 활동 분할)
기원전 483년카르타고, 그리스 상대로 제1차 시칠리아 전쟁 시작
기원전 480년히메라 전투 패배, 하밀카르 사망, 제1차 시칠리아 전쟁 종결, 하노 2세 집권, 104인 재판소 설립, 왕권 약화
기원전 440년하노 통치 종료, 아프리카 영토 확장 및 대서양 연안 탐험, 히밀코 1세 집권
기원전 410년한니발 1세 집권, 시칠리아 침략
기원전 409년셀리누스 파괴
기원전 406년한니발 사망, 히밀코 2세 집권
기원전 396년히밀코, 시라쿠사의 디오니시우스 1세에게 패배 후 자살, 마고 2세 집권
기원전 392년리비아 반란 진압, 시칠리아에서 디오니시우스와 전쟁 종결
기원전 378년/기원전 375년카발라 전투에서 패배
기원전 348년로마와 두 번째 조약 체결
기원전 344년마고 3세 사망, 하노 3세 집권
기원전 340년하노 3세, 쿠데타 실패 후 처형



마고 1세 집권 이후, 카르타고는 알랄리아 해전 승리, 사르데냐 점령, 로마와 두 차례 조약 체결 등 활발한 대외 활동을 펼쳤다. 그러나 시칠리아 전쟁에서 그리스에 패배하고, 내부 권력 투쟁을 겪기도 했다.

4. 1. 알랄리아 해전 (기원전 540년경)

기원전 540년, 카르타고와 에트루리아 동맹군은 알랄리아 해전에서 포카이아 그리스인들을 상대로 승리하여 코르시카에서 몰아냈다.[2]

4. 2. 히메라 전투 (기원전 480년)

기원전 483년, 카르타고는 시칠리아를 장악하기 위해 그리스를 상대로 제1차 시칠리아 전쟁을 시작했다.[11] 기원전 480년 히메라 전투에서 카르타고는 참패를 당했고, 하밀카르 1세가 사망하면서 제1차 시칠리아 전쟁이 종결되었다.[11] 이후 하노 2세가 권력을 잡았고, 104인 재판소가 설립되어 왕의 권력이 약화되었다.[11]

4. 3. 시칠리아 전쟁 (기원전 410년 ~ 기원전 340년경)

기원전 550년, 마고 1세가 집권한 이후 카르타고는 서부 지중해에서 페니키아 군사 강국으로 확고히 자리 잡았다. 마고의 뒤를 이어 그의 아들 하스드루발 1세가 통치했고, 그 다음은 하스드루발의 형제 하노의 아들인 하밀카르 1세였다. 카르타고는 고대 그리스를 몰아내기 위해 페르시아 제국크세르크세스 1세와 동맹을 맺기도 했다.[11] 그러나 히메라 전투에서 그리스 군대에 패배하고 하밀카르는 사망했다.

하밀카르가 사망한 후, 왕조는 하노 2세 '항해자'가 기원전 440년까지 이어갔다. 이 기간 동안 카르타고는 아프리카 영토를 확장하고 대서양 연안을 탐험하며 내륙 무역을 발전시켰다. 기원전 410년, 한니발 1세가 왕이 되어 시칠리아 원정을 시작, 기원전 409년에는 셀리누스를 파괴하며 잔혹함으로 악명을 떨쳤다.

아그리젠토 포위 중 전염병으로 한니발이 사망하고, 그의 사촌 히밀코 2세가 권력을 잡았다. 히밀코 2세는 기원전 396년까지 시라쿠사의 디오니시우스 1세와 전쟁을 벌였으나 패배하고 자살했다. 이후 마고 2세가 지도자 칭호를 물려받아 리비아 반란을 진압하고 시칠리아와 남부 이탈리아에서 활동했다. 마고 2세는 카발라 전투에서 패배했지만, 카르타고와 시라쿠사는 평화 조약을 맺었다.

기원전 480년 하밀카르 1세가 사망한 후, 왕은 귀족 원로원에 대부분의 권력을 잃었다. 기원전 308년 보밀카르는 쿠데타를 시도했지만 실패했고, 카르타고는 사실상 공화국이 되었다.[5][6]

다음은 주요 사건들을 정리한 표이다.

연도사건
기원전 550년마고 1세 집권
기원전 540년카르타고-에트루리아 동맹, 알랄리아 해전 후 코르시카에서 그리스인 축출
기원전 530년마고 사망, 하스드루발 1세 집권
기원전 520년대 중반하스드루발, 형제 하밀카르 1세와 사르데냐 출정
기원전 510년하밀카르 1세 집권
기원전 509년카르타고-로마 조약 체결 (영향력 및 상업 활동 분할)
기원전 483년카르타고, 그리스 상대로 제1차 시칠리아 전쟁 시작
기원전 480년히메라 전투 패배, 하밀카르 사망, 제1차 시칠리아 전쟁 종결, 하노 2세 집권, 104인 재판소 설립, 왕권 약화, 카르타고 공화국화
기원전 440년하노 통치 종료, 아프리카 영토 확장 및 대서양 연안 탐험, 히밀코 1세 집권
기원전 410년한니발 1세 집권, 시칠리아 침략
기원전 409년셀리누스 파괴
기원전 406년한니발 사망, 히밀코 2세 집권
기원전 396년히밀코, 시라쿠사의 디오니시우스 1세에게 패배 후 자살, 마고 2세 집권
기원전 392년리비아 반란 진압, 시칠리아에서 디오니시우스와 전쟁 종결
기원전 378년/기원전 375년카발라 전투에서 패배
기원전 377년마고의 아들 히밀코, 크로니움 전투에서 디오니시우스 격파, 시라쿠사와 카르타고 평화
기원전 348년로마와 두 번째 조약 체결
기원전 344년마고 3세 사망, 하노 3세 집권
기원전 340년하노 3세, 쿠데타 실패 후 처형


4. 4. 로마와의 조약 (기원전 509년, 기원전 348년)

기원전 509년, 카르타고와 로마 사이에 첫 번째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은 양국의 영향력과 상업 활동 범위를 규정했다. 카르타고는 이 조약을 통해 시칠리아사르데냐 뿐만 아니라 아프리카의 엠포리아와 본 곶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했다.[1]

기원전 348년, 로마와 두 번째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시기 로마는 이탈리아에서 중요한 세력으로 성장하고 있었다.[1]

5. 연표

기원전 550년: 마고 1세가 권력을 잡다.

기원전 540년: 카르타고-에트루리아 동맹이 알랄리아 해전 이후 코르시카에서 그리스인을 몰아냈다.

기원전 530년: 마고가 사망하고 하스드루발 1세가 권력을 잡다.

기원전 520년대 중반: 하스드루발은 그의 형제 하밀카르 1세와 함께 사르데냐 원정을 시작하다.

기원전 510년: 하밀카르 1세가 권력을 잡다.

기원전 509년: 카르타고와 로마 사이에 영향력 및 상업 활동 분할을 나타내는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는 카르타고가 시칠리아사르데냐, 그리고 엠포리아와 아프리카의 본 곶 남쪽 지역을 장악했음을 보여주는 최초의 기록이다.

기원전 483년: 카르타고가 시칠리아를 장악하기 위해 그리스를 상대로 제1차 시칠리아 전쟁을 시작하다.

기원전 480년: 카르타고는 히메라 전투에서 참패하여 하밀카르가 사망하고, 제1차 시칠리아 전쟁이 종결되다. 하노 2세, 일명 항해자 하노가 권력을 잡다. 104인 재판소가 설립되어 왕의 권력이 약화되었다.

기원전 440년: 하노의 통치가 끝나다. 그의 통치 하에 아프리카의 상당 부분이 카르타고의 지배 영역에 편입되었고 아프리카 대서양 연안이 더 많이 탐험되고 정착되었다. 히밀코 1세가 권력을 잡다.

기원전 410년: 한니발 1세가 권력을 잡다. 같은 해, 그는 시칠리아를 침략하다.

기원전 409년: 시칠리아 침공은 강력한 그리스 도시인 시라쿠사의 동맹 도시인 셀리누스의 파괴로 끝났다.

기원전 406년: 한니발이 질병으로 사망한 후 히밀코 2세가 권력을 잡다.

기원전 396년: 히밀코는 시라쿠사의 디오니시우스 1세에게 시칠리아에서 참패하고 자살하다. 마고 2세가 권력을 잡다.

기원전 392년: 리비아 반란을 진압한 후, 마고는 시칠리아에서 디오니시우스와의 전쟁을 끝내다.

기원전 378년: 마고는 시라쿠사 군대에 의해 카발라 전투에서 패배하고 사망하다.[16]

기원전 348년: 이탈리아에서 상당한 강대국이 된 로마와 두 번째 조약이 체결되다.

기원전 344년: 마고 3세가 사망하다. 하노 3세가 권력을 잡다.

기원전 340년: 하노 3세는 전제 군주적 권력을 회복하기 위해 원로원 의회를 상대로 쿠데타를 시도했지만 실패하고 처형되다.

참조

[1] 서적 Dionysius I: War-lord of Sicily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2] 문서
[3] 서적 Excel HSC Ancient History https://books.google[...] Pascal Press
[4] 문서
[5] 웹사이트 Carthage, from roman-empire.net http://www.roman-emp[...] 2008-10-04
[6]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The fourth century B.C.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문서
[8] 웹사이트 William Smith,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http://www.ancientli[...]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웹인용 History of Tunisia Summary http://www.bookrags.[...] 2009-08-27
[13] 서적 Dionysius I: War-lord of Sicily http://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990
[14] 서적 Excel HSC Ancient History http://books.google.[...] Pascal Press 2006
[15] 웹인용 Carthage http://www.roman-emp[...] 2018-04-09
[16] 웹사이트 http://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