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다가스카르삼지창박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다가스카르삼지창박쥐(Triaenops menamena)는 마다가스카르에 서식하는 박쥐의 일종이다. 1881년 처음 분류되었으며, 한때는 다른 종으로 여겨지기도 했으나, 연구를 통해 별개의 종으로 인정받았다. 중간 크기의 박쥐로, 털 색깔은 불그스레한 갈색부터 회색까지 다양하며, 코와 입 주위에 독특한 비엽 구조를 가지고 있다. 마다가스카르 서부의 건조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며, 동굴에서 대규모 집단을 이루어 생활한다. IUCN 적색 목록에서는 "관심 필요" 종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서식지 파괴의 위협을 받고 있으나, 넓은 분포와 여러 보호 구역에서 발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9년 기재된 포유류 - 비숍이끼쥐
    비숍이끼쥐는 뉴기니섬의 산악 이끼숲에 서식하는 몸길이 10~15cm의 야행성 잡식성 설치류로, 뛰어난 나무 타기 능력과 짝짓기 시 수컷의 구애 행동을 보이며 서식지 파괴로 위협받고 있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2009년 기재된 포유류 - 황금건초지사향고양이
    황금건초지사향고양이는 황금빛 갈색 모피와 짙은 갈색 줄무늬를 가진 아시아사향고양이속의 한 종으로, 스리랑카의 하푸탈레와 윌파투 국립공원 등지에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잎코박쥐과 - 마다가스카르잎코박쥐
    마다가스카르잎코박쥐는 정보가 부족하여 추가적인 연구와 보존 노력이 필요한 생물종이다.
  • 잎코박쥐과 - 매기테일러둥근잎박쥐
    매기테일러둥근잎박쥐는 2018년에 처음 기술된 둥근잎박쥐과 박쥐의 일종으로, 호주 퀸즐랜드 북부에서 발견되며, 짙은 갈색과 회색 털, 짧고 둥근 귀, 30개의 이빨을 가진 것이 특징이며, 곤충을 주식으로 하고 동굴 등에서 무리 생활을 하며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대상으로 분류된다.
마다가스카르삼지창박쥐 - [생물]에 관한 문서
분포
삼중잎코박쥐속은 아프리카, 중동, 남부 파키스탄에 파편화된 분포를 보인다.
"삼중잎코박쥐속의 분포 (녹색: Triaenops menamena)"
"Triaenops menamena 분포 지역"
기본 정보
학명Triaenops menamena
명명자Goodman & Ranivo, 2009
삼중잎코박쥐속
마다가스카르삼지창박쥐
보전 상태LC (IUCN 3.1)
보전 상태 참고(이전에는 Triaenops rufus로 분류)
이명없음
Triaenops menamena 두개골
Triaenops menamena 두개골

2. 분류

1881년, 알퐁스 밀른-에드워드는 레옹 험블로가 마다가스카르에서 수집했다고 추정되는 표본을 바탕으로 ''Triaenops'' 속에 속하는 두 가지 새로운 종을 기재했다. 하나는 붉은색을 띤 ''Triaenops rufus''였고, 다른 하나는 더 크고 회색인 ''T. humbloti''였다.[1] 1947년, 장 도르스트는 마다가스카르의 ''Triaenops'' 속을 검토하면서 이 두 종을 별개의 종으로 유지했다. 그러나 1982년 존 에드워즈 힐은 또 다른 검토에서 이 두 종이 동일한 종이라고 간주했다. 1994년 칼 쿠프만은 한 걸음 더 나아가 ''rufus'' 종 자체가 중동과 아프리카 본토에 서식하는 ''Triaenops persicus''의 일부일 수 있다고 주장했지만 (힐 역시 이 가능성을 언급했었다),[2]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 두 종을 별개로 취급했다.[3]

2006년, 줄리 라니보와 스티븐 굿먼은 마다가스카르의 ''Triaenops''를 다시 검토했다. 그들은 섬 전체의 건조 지역에서 채집된 ''T. rufus'' 표본들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4] 3년 후, 그들은 또 다른 논문을 발표하여 ''T. rufus''와 ''T. humbloti''의 원본 표본(모식 표본)이 마다가스카르에서 "''Triaenops rufus''"로 확인된 다른 표본들과는 다르며, 오히려 ''T. persicus''와 더 유사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5] 험블로가 마다가스카르로 가는 길에 소말리아와 예멘에 머물렀다는 점을 고려하여, 굿먼과 라니보는 험블로가 그곳에서 ''Triaenops'' 표본을 수집했고 이후 채집지가 잘못 기록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지었다.[6] 따라서 ''rufus''와 ''humbloti''라는 이름은 마다가스카르의 해당 종에 사용할 수 없게 되었고, 굿먼과 라니보는 이전에 ''T. rufus''로 알려졌던 종에 대해 ''Triaenops menamena''라는 새로운 학명을 제안했다. 종소명 ''menamena''는 말라가시어로 "붉은색"을 의미하며, 이는 동물의 털 색깔을 가리킨다.[7] "붉은 삼지창 박쥐"는 ''Triaenops rufus''의 일반명으로 사용되어 왔다.[33]

현재 ''Triaenops menamena''는 ''Triaenops'' 속에 속하는 4종의 현존하는 종 중 하나이다. 2009년 페트르 벤다와 피터 발로의 분류 개정 연구에서는 아프리카의 ''T. afer''와 예멘의 ''T. parvus''를 ''T. persicus''에서 분리했다. 또한, 이들은 마다가스카르의 다른 두 종을 포함한 세 종을 별도의 속인 ''Paratriaenops''로 옮겼다.[8] 마다가스카르 북서부에서는 멸종된 종인 ''Triaenops goodmani''가 발견되기도 했다.[14]

계통 발생 연구는 이들 종 간의 진화적 관계를 밝히는 데 도움을 주었다. 2007년과 2008년, 에이미 러셀과 동료들은 계통 발생 및 합조 이론 방법론을 사용하여 ''Triaenops'' 그룹의 진화 역사를 조사했다. 그들은 ''T. menamena'' (당시 ''T. rufus''로 불림)가 아프리카 본토의 ''Triaenops'' 종들과 가장 가깝다는 것을 발견했다(중동 지역 박쥐는 연구에 포함되지 않음). 이를 바탕으로 ''T. menamena''와 ''Paratriaenops'' 속의 종들(당시에는 여전히 ''Triaenops'' 속에 속했음)이 각각 독립적으로 아프리카에서 마다가스카르로 건너왔다고 결론지었다. ''T. menamena''가 마다가스카르 섬에 정착한 시기는 약 66만 년 전으로 추정되었다.[9] 벤다와 발로 역시 ''Triaenops'' 속의 계통 발생 관계를 연구했으며, 이들의 연구에는 중동의 ''T. persicus''와 ''T. parvus''가 포함되었다. 연구 결과 ''Triaenops'' 속 내 관계에 대한 명확한 해답을 얻지는 못했지만, 일부 증거는 ''T. menamena''가 아프리카 본토의 ''T. afer''보다는 중동의 종들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 따라서 ''T. menamena''는 중동 또는 아프리카 북동부 지역에서 마다가스카르로 건너왔을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또한, 이들은 ''T. menamena''와 다른 종들이 갈라진 시기를 약 4백만 년 전으로 훨씬 더 이전으로 추정했다.[10]

3. 특징

측정값[11][36]
암수 구분n[12][37]전체 길이 (mm)꼬리 (mm)뒷발 (mm)귀 길이 (mm)앞팔 (mm)몸무게 (g)
수컷28[13][38]90–10427–386–914–1750–568.2–15.5
암컷6786–9828–396–912–1746–536.6–11.5



마다가스카르삼지창박쥐는 중간 크기의 박쥐로, 털 색깔은 불그스레한 갈색부터 회색까지 다양하다.[18] 그랑디디에삼지창박쥐( ''Paratriaenops auritus'' )와 ''P. furculus''보다 크고 색이 더 진하다.[39] 현존하는 삼중잎코박쥐속( ''Triaenops'' )의 다른 종들과 비교하면, 붉은삼지창박쥐( ''T. persicus'' )와 아프리카삼지창박쥐( ''T. afer'' )보다는 작지만 작은삼지창박쥐( ''T. parvus'' )보다는 약간 크다.[20][40] 멸종된 굿맨삼지창박쥐( ''Triaenops goodmani'' ) 역시 마다가스카르삼지창박쥐보다 크기가 컸다.[14][41]

코와 입 주변의 복잡한 살 조직인 잎코(비엽, noseleaf)[17][42]삼중잎코박쥐속파라트리아이놉스속( ''Paratriaenops'' )의 특징인 삼지창 모양 구조를 가진다. 이는 잎코 뒷부분에 창 모양 돌출부(lancet) 세 개가 나란히 있는 형태이다. 마다가스카르삼지창박쥐의 경우, 양쪽 끝의 돌출부가 가운데 돌출부보다 짧고 휘어져 있는 반면, 파라트리아이놉스속은 세 돌출부의 길이가 더 비슷하다.[15][43] 잎코 앞부분에는 넓고 평평하며 수평적인 돌기가 있고, 중간 부분에는 뾰족한 돌기가 있다.[16]

귀는 작고 넓으며[17] 안쪽에는 작은 홈(노치, notch)이 파여 있다.[18] 털은 비단처럼 부드럽고 몸통 털의 길이는 약 5mm에서 6mm 정도이다. 날개막은 어두운 색이며 반투명하고, 꼬리 끝부분은 보통 요막(uropatagium, 꼬리 막)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16] 날개 길이는 270mm에서 305mm 사이이다.[19] 평균적으로 수컷이 암컷보다 약간 더 크다.[11]

두개골은 마다가스카르의 파라트리아이놉스속 박쥐들과 유사하지만, 전상악골이 더 길다. 코 앞부분(로스트룸)은 잘 발달되어 있으며, 코 부분에 눈에 띄는 부풀어 오른 부분이 있지만 파라트리아이놉스속보다는 덜 두드러진다. 이 부풀어 오른 부분 뒤의 움푹 들어간 곳은 비교적 얕다.[21] 다른 삼중잎코박쥐속 종들에 비해 코 앞부분은 상대적으로 좁고 짧으며, 이는 작은삼지창박쥐( ''T. parvus'' )와 유사하다. 아프리카삼지창박쥐( ''T. afer'' )와 붉은삼지창박쥐( ''T. persicus'' )는 코 앞부분이 더 넓다.[20] 코 앞부분의 앞쪽 가장자리는 양쪽 모서리 사이에서 뒤로 젖혀져 있으며, 가로 방향의 선이 코 앞부분 윗면을 가로지른다.[21] 눈 아래 두개골 구멍인 안와하공은 타원형이다. 관골궁(광대뼈)은 옆으로 넓게 퍼지지 않으며, 넓은 뼈판을 통해 상악골과 연결되고 위쪽에는 뚜렷한 능선이 있다. 마다가스카르삼지창박쥐의 이 능선은 사각형 모양이며 파라트리아이놉스속보다 크다.[23] 뇌상자는 다른 삼중잎코박쥐속 종들보다 낮다.[22] 뇌상자 윗부분의 시상능선은 잘 발달하지 않았다.[23] 아래턱뼈(하악골)에서 관절돌기(근돌기, coronoid process)는 뭉툭하고 둥글지만, 각돌기(angular process)는 작다.[24]

위턱의 앞니(절치)는 두 개의 융기(cusp)를 가지고 있으며, 위턱 송곳니(견치)는 세 개의 융기(큰 중앙 융기, 작은 뒤쪽 융기, 매우 작은 앞쪽 융기)를 가진다.[24] 앞쪽 위턱 작은어금니(소구치)는 치열 바깥쪽으로 밀려나 있어, 앞쪽의 송곳니와 뒤쪽의 작은어금니가 서로 맞닿는다.[18] 첫 번째 아래턱 앞니는 두 개의 융기를, 두 번째 아래턱 앞니는 세 개의 융기를 가진다.[24] 두 번째 아래턱 어금니에서는 앞쪽의 전원뿔(protoconid) 융기가 뒤쪽의 후원뿔(hypoconid) 융기보다 훨씬 크다. 이 두 융기는 굿맨삼지창박쥐( ''T. goodmani'' )에서는 크기가 거의 같다.[14]

이 종은 반향정위를 위해 내는 소리로 쉽게 식별할 수 있다.[25] 이 소리는 일정한 주파수(CF) 부분과 짧게 주파수가 변하는(FM) 부분으로 구성된다. 소리의 길이는 6.5~13.5 ms 사이이며 평균 10.1 ms이다. 소리와 소리 사이의 간격은 22.7~86.3 ms 사이로 평균 42.7 ms이다. 소리의 최대 주파수는 평균 94.2 kHz이고 최소 주파수는 평균 82.0 kHz이며, 가장 강한 에너지는 93.2 kHz 주파수에서 방출된다.[26]

4. 분포 및 생태

''마다가스카르삼지창박쥐''는 주로 마다가스카르 서부의 건조한 지역에 서식하지만, 섬의 극동부와 북동부의 습한 지역에서도 발견된 기록이 있다.[7] 서식 고도는 해발 1300m까지 확인되었다.[33] 주로 에서 생활하지만,[27] 숲 외부에서도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숲 환경에 완전히 의존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33]

이 박쥐는 서식지로 동굴에 의존하며,[28] 매우 큰 규모의 무리를 이루어 생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동굴 군집에는 40,000마리 이상의 개체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같은 동굴에는 약 10,000마리의 ''꼬마삼지창박쥐''(Paratriaenops furcula)도 함께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29] 마다가스카르삼지창박쥐의 유효 개체군 크기는 약 121,000마리로 추산된다.[30]

주요 먹이는 나비목(나비와 나방) 곤충이며, 그 외에 딱정벌레목(딱정벌레), 노린재목(노린재) 및 다른 몇몇 곤충목의 곤충들도 섭취한다.[31] 마다가스카르삼지창박쥐와 같은 지역에 서식하는 ''꼬마삼지창박쥐''는 상대적으로 덜 포획되는데, 두 종 모두 나비목 곤충을 먹는다는 점에서 이들의 생태적 지위가 어떻게 구분되는지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32]

5. 보존 상태

IUCN 적색 목록은 이 종을 "관심 필요" 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는 넓은 분포 지역과 서식지 내 인간 활동으로 인한 변화에 대한 내성을 근거로 한다. 일부 지역에서는 서식지인 숲이 파괴되고 있지만, 다수의 보호 구역에서도 서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33] 주로 덩치가 큰 박쥐인 코머슨잎코박쥐(Hipposideros commersoni)가 마다가스카르 남서부에서 식용으로 사냥될 때, 마다가스카르삼지창박쥐도 부수적으로 포획된다.[34]

참조

[1] 문헌
[2] 문헌
[3] 문헌
[4] 문헌
[5] 문헌
[6] 문헌
[7] 문헌
[8] 문헌
[9] 문헌
[10] 문헌
[11] 문헌
[12] 문서
[13] 문서
[14] 문헌
[15] 문헌
[16] 문헌
[17] 문헌
[18] 문헌
[19] 문헌
[20] 문헌
[21] 문헌
[22] 문헌
[23] 문헌
[24] 문헌
[25] 문헌
[26] 문헌
[27] 문헌
[28] 문헌
[29] 문헌
[30] 문헌
[31] 문헌
[32] 문헌
[33] 문헌
[34] 문헌
[35] 문헌
[36] 논문 2006
[37] 문서 측정한 표본의 수
[38] 문서 전체 길이는 27점.
[39] 논문 1995
[40] 논문 2010
[41] 논문 2007
[42] 논문 1995
[43] 논문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