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쿠스 코르넬리우스 니그리누스 쿠리아티우스 마테르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쿠스 코르넬리우스 니그리누스 쿠리아티우스 마테르누스는 기사 계급 출신으로, 로마 제국 시대의 군인이자 정치가였다. 그는 히스파니아 릴리아 출신으로, 브리타니아 주둔 게미나 제14군단의 트리부누스 밀리툼으로 복무했다. 베스파시아누스 황제 치하에서 원로원에 선출되었으며, 갈리아 아퀴타니아 총독, 모이시아 총독을 역임했다. 도미티아누스의 다키아 전쟁에 참여하여 군사적 공로를 인정받아 훈장을 수여받았다. 95년부터 97년까지 시리아 속주 총독을 지냈으며, 네르바 황제의 후계자 자리를 두고 트라야누스와 경쟁했으나 패배 후 히스파니아로 돌아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제국의 원로원 의원 - 타키투스
타키투스는 로마 제정 초기 역사를 다룬 저서를 남긴 역사가이자 정치가로, 황제와 원로원 간의 권력 관계, 지배층의 부패, 언론 자유의 중요성 등을 다루며 후대 역사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로마 제국의 원로원 의원 - 마르쿠스 에그나티우스 루푸스
마르쿠스 에그나티우스 루푸스는 로마 공화정 말기의 인물이며, 자세한 내용은 알려져 있지 않다. - 코르넬리우스 씨족 - 타키투스
타키투스는 로마 제정 초기 역사를 다룬 저서를 남긴 역사가이자 정치가로, 황제와 원로원 간의 권력 관계, 지배층의 부패, 언론 자유의 중요성 등을 다루며 후대 역사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코르넬리우스 씨족 -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는 몰락한 귀족 가문 출신으로 유구르타 전쟁과 동맹시 전쟁에서 공훈을 세워 기원전 88년 집정관에 선출되었고, 미트라다테스 6세와의 전쟁 지휘권을 두고 마리우스와 대립하며 로마를 장악, 숙청을 단행하고 독재관으로 공화정 개혁을 시도하여 로마 공화정 쇠퇴와 제정 이행에 큰 영향을 미친 로마 공화정 말기의 정치가이자 장군이다.
마르쿠스 코르넬리우스 니그리누스 쿠리아티우스 마테르누스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마르쿠스 코르넬리우스 니그리누스 쿠리아티우스 마테르누스 |
로마자 표기 | Marcus Cornelius Nigrinus Curiatius Maternus |
출생 | 1세기 |
사망 | 1세기 |
경력 | |
군사 경력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총독 다키아 전쟁 참여 |
정치 경력 | 원로원 의원 보좌 집정관 |
2. 생애
마르쿠스 코르넬리우스 니그리누스 쿠리아티우스 마테르누스는 기사 계급 출신으로, 히스파니아의 릴리아가 고향이었다.[19]
네 명의 황제 해에 베스파시아누스에게 충성을 바쳐 원로원에 들어갔다. 80년부터 83년까지 갈리아 아퀴타니아 총독, 85년부터 모이시아가 분할될 때까지 모이시아 총독, 이후 89년까지 모이시아 인페리오르 총독을 역임했다. 도미티아누스의 다키아 전쟁에 참여하여 군사적 공훈을 세웠고, 95년부터 시리아 속주를 관리하며 네르바 황제 시기까지 직책을 유지했다.[10]
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 출신으로, 베스파시아누스 황제 치세 하에서 원로원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83년에 보충 집정관으로 선출되었다. 그 후 모이시아 속주 총독으로서 다뉴브강에서의 전투 활약으로 2번의 개선식을 거행하는 영예를 얻었다.
2. 1. 초기 경력
마르쿠스 코르넬리우스 니그리누스 쿠리아티우스 마테르누스는 기사 계급 출신으로, 히스파니아의 릴리아에서 태어났다. 릴리아에서는 그를 기념하는 비문이 발견되었다.[19] 그는 기사 계급 신분으로 브리타니아에 주둔하던 게미나 제14군단의 트리부누스 밀리툼으로 복무했다.[20] 네 명의 황제 해에 베스파시아누스에게 충성을 바쳐, 전직 법무관 자격으로 로마 원로원에 선출되었다.[21]2. 2. 속주 총독 경력
그는 서기 80년부터 최소 83년 후반까지 갈리아 아퀴타니아 총독으로 복무했으며,[22] 이후 85년부터 모이시아가 모이시아 인페리오르와 모이시아 수페리오르로 나뉘어질 때까지 모이시아의 총독을 지냈다. 그 뒤 89년까지 모이시아 인페리오르 총독이었다.[23] 그는 도미티아누스의 다키아 전쟁에 참여하여 성벽관 두 개와 캠프관 두 개를 포함한 다수의 군사 훈장인 '도나 밀리타리아'를 수여받았다.[20]몇 년 후, 마테르누스는 95년에 시리아 속주 관리를 맡았고, 네르바 시기에도 직책을 유지하였다.[24]
2. 3. 네르바 황제 사후
소플리니우스가 친구인 콰드라투스에게 보낸 서신에서, 네르바 황제의 짧은 집권기 동안 제국 동방 영토에서 대규모 병력을 맡은 한 사내에 대한 많은 소문이 있었고 일부는 우려를 야기했다는 일화를 이야기했다.[25] 이 인물은 시리아 속주의 총독이었고, 시기 때문에, 네르바의 후계자 자리를 두고 트라야누스와 경쟁 상대였다고 보통 가정된다.[26]이 신원 미상의 사람은 가이우스 옥타비우스 티디우스 토시아누스 야볼레누스 프리스쿠스로 생각되었다. 그렇지만 Berriman 외 다른 이들은 "군인보다는 법률가이자 트라야누스의 자문단원으로 알려진 야볼레누스 프리스쿠스는 황제 자리에 도전할 생각은 거의 없었고 하물며 그는 향후에 트라야누스의 지지를 유지했을 것"으로 생각한다.[27] 좀 더 최근에는 얼푈지 게저와 헬무트 할프만 등은 플리니우스가 콰드라투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암시했을 가능성이 있는 인물로 마테르누스를 제시했다.[28]
110년에 보좌 집정관이던 아울루스 라르키우스 프리스쿠스의 경력 속 이례적인 부분은 마테르누스의 정체를 입증한다. 아시아 속주의 재무관으로 지냈고 그 뒤에 시리아 속주에 배치된 스키티카 제4군단의 트리부누스 밀리투스였던 당시에 프리스쿠스는 시리아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시리아는 중요한 속주였고, 이 지역의 업무는 일반적으로 과거에 집정관을 지낸 고위급 원로원 의원에게 맡겨졌다. 이와 같은 임명은 이전 총독에게 무언가가 일어난 긴급 상황에서만 이뤄질 수 있었다. 트라야누스가 권좌에 앉았다면 어느 트라야누스의 경쟁자가 되었든 최소한 제국 내 지위에서 제거를 당했을 것이며, 심했을 경우 처형당했을 수도 있다. 그의 운명이 어떻게 되었든, 서기 97년 이후로 마테르누스에 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28]
95년부터 97년까지 시리아 속주의 총독을 역임했지만, 당시 로마 황제였던 네르바의 유력한 후계 황제 후보로서,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속주 총독인 트라야누스와 그 자리를 다투었다. 그러나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인 카스페리우스 아일리우스 등의 트라야누스파와 다투었지만, 니그리누스는 패배했다. 트라야누스 즉위 후, 시리아 속주 총독에서 물러나 고향인 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로 귀국했다.
3. 마테르누스와 네르바
소플리니우스가 친구 콰드라투스에게 보낸 서신에는 네르바 황제 통치 기간에 제국 동부에서 대규모 군대를 지휘하던 익명의 인물에 대한 소문과 우려가 언급되어 있다.[25][11] 이 인물은 일반적으로 시리아 총독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시기상 네르바의 후계자 자리를 두고 트라야누스와 경쟁했던 인물로 여겨진다.[26][12]
이 인물이 가이우스 옥타비우스 티디우스 토시아누스 야볼레누스 프리스쿠스라는 설도 있지만, 야볼레누스 프리스쿠스는 법률가이자 트라야누스의 자문단원이었기 때문에 황제 자리에 도전할 가능성이 적다는 반론도 있다.[27][13] 얼푈지 게저와 헬무트 할프만 등은 마테르누스를 플리니우스가 언급한 인물로 제시했다.[28][14] 110년 보좌 집정관이었던 아울루스 라르키우스 프리스쿠스의 경력에서 이례적인 부분, 즉 시리아 총독 임명은 마테르누스의 정체를 입증하는 증거로 제시되기도 한다.[28]
참조
[1]
논문
"The Fasti for A. D. 70-96"
https://www.jstor.or[...]
1981
[2]
서적
Adoptive and polyonymous nomenclature in the Roman Empire
Societas Scientiarum Fennica
1992
[3]
논문
"The Paternity of Polyonymous Consuls"
https://www.jstor.or[...]
1985
[4]
논문
"Curiatius Maternus"
https://www.jstor.or[...]
1981
[5]
간행물
CIL 2 3783
[6]
간행물
CIL 2 3788
[7]
논문
"Vespasian's Adlection of Men in Senatum"
https://www.jstor.or[...]
1977
[8]
논문
"Jahres- und Provinzialfasten der senatorischen Statthalter von 69/70 bis 138/139"
1982
[9]
논문
"Jahres- und Provinzialfasten"
[10]
논문
"Jahres- und Provinzialfasten"
[11]
서적
Epistulae
http://www.attalus.o[...]
[12]
논문
"A Very Roman Coup: The Hidden War of Imperial Succession, AD 96-8"
https://www.jstor.or[...]
2001
[13]
논문
"Very Roman Coup"
[14]
논문
"M. Cornelius Nigrinus Curiatius Maternus, General Domitians und Rivale"
1973
[15]
논문
"The Fasti for A. D. 70-96"
https://www.jstor.or[...]
1981
[16]
서적
Adoptive and polyonymous nomenclature in the Roman Empire
Societas Scientiarum Fenica
1992
[17]
논문
"The Paternity of Polyonymous Consuls"
https://www.jstor.or[...]
1985
[18]
논문
"Curiatius Maternus"
https://www.jstor.or[...]
1981
[19]
간행물
CIL 2 3783
[20]
간행물
CIL 2 3788
[21]
논문
"Vespasian's Adlection of Men in Senatum"
https://www.jstor.or[...]
1977
[22]
논문
"Jahres- und Provinzialfasten der senatorischen Statthalter von 69/70 bis 138/139"
1982
[23]
논문
"Jahres- und Provinzialfasten"
[24]
논문
"Jahres- und Provinzialfasten"
[25]
서적
Epistulae
http://www.attalus.o[...]
[26]
논문
"A Very Roman Coup: The Hidden War of Imperial Succession, AD 96-8"
https://www.jstor.or[...]
2001
[27]
논문
"Very Roman Coup"
[28]
논문
"M. Cornelius Nigrinus Curiatius Maternus, General Domitians und Rivale"
197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