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아 에마누엘 폰 마이센 변경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리아 에마누엘 폰 마이센 변경백은 작센 왕가의 수장이자, 나치에 저항하여 투옥되었던 인물이다. 그는 1968년 부친의 사망으로 작센 왕가의 수장이 되었으며, 후계자 문제로 인해 작센 왕위 계승 논란의 중심에 있었다. 그는 슬하에 자녀가 없어 여동생의 장남인 알렉산더를 후계자로 지명했지만, 동생 알베르트의 반대와 다른 가문들의 이견으로 인해 논란이 발생했다. 그는 2012년 8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엔촐레른 왕가장 대사령관 - 파울 폰 힌덴부르크
파울 폰 힌덴부르크는 제1차 세계 대전의 영웅이자 바이마르 공화국 대통령이었으나, 히틀러를 총리로 임명하여 나치즘 집권에 기여했다는 비판을 받는 인물로, 군사적 성공과 정치적 책임 사이에서 재평가되고 있다. - 호엔촐레른 왕가장 대사령관 - 빌헬름 2세
빌헬름 2세는 군국주의적 성향으로 독일 제국의 마지막 황제이자 프로이센 왕국의 국왕로서, 개인 통치를 통해 독일을 강국으로 부상시키려 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과 독일의 패전으로 망명 후 사망했다. - 1926년 출생 - 김종필
5·16 군사정변 주역이자 초대 중앙정보부장, 두 차례 국무총리를 지낸 김종필은 한일 국교 정상화 기여와 '김-오히라 메모' 논란, 9선 국회의원, DJP 연합을 통한 총리 재임 등 한국 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위주의 시대의 어두운 면과 지역주의 정치의 상징으로도 평가받는 정치인이다. - 1926년 출생 - 미셸 푸코
미셸 푸코는 프랑스의 철학자, 역사가, 사회학자로서 권력, 지식, 담론 등을 탐구하며 서양 사상과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살아있는 사람 - 릴 테르셀리우스
릴 테르셀리우스는 위키백과 문서에서 관련 문서와 추가 자료를 제시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 요소이다. - 살아있는 사람 - 마그달레나 툴
폴란드의 가수 마그달레나 툴은 2007년 데뷔 앨범 발매 후 2011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폴란드 대표로 참가했으며, 이후에도 앨범 발매와 유로비전 관련 활동, 방송 출연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하고 있다.
마리아 에마누엘 폰 마이센 변경백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칭호 | 마이센 변경백 작센 공 |
이름 | 마리아 에마누엘 폰 작센 |
원어 이름 | |
신상 정보 | |
출생지 | 바이에른주 레겐스부르크 프뤼페닝 수도원 |
사망지 | 보주 라 투르-드-페 |
종교 | 기독교가톨릭교회 |
가족 관계 | |
아버지 | 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 폰 작센 |
어머니 | 엘리자베트 헬레네 폰 투른 운트 탁시스 |
자녀 | 없음 |
왕가 | |
가문 | 베틴 가문 (알베르틴 가문) |
작위 | |
계승 순위 | 작센 왕가 수장 |
재위 시작 | 1968년 8월 9일 |
재위 종료 | 2012년 7월 23일 |
기간 | 재위 기간 |
전임자 | 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 |
후임자 | 알베르트 (논쟁 중) 알렉산더 (논쟁 중) |
기타 정보 | |
매장일 | 2012년 7월 30일 |
매장지 | 티롤주 임스트군 카를레슈텐 왕실 예배당 |
2. 생애
마리아 에마누엘은 레겐스부르크의 프뤼페닝 수도원에서 바이에른 태생으로, 작센의 상속 변경백 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과 투른 und 탁시스 공주 엘리자베트 헬레네의 장남이었다. 1968년 부친이 사망하면서 작센 왕가의 수장이 되었다.[1]
18세 때 나치에 반대하여 투옥되어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감형되었다.[1] 이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가면서 고향 작센이 공산주의 동독의 일부가 되자 소련군을 피해 탈출해야 했다.[1] 전쟁 후에는 스위스로 이주하여 금융 서비스 분야에서 일했고, 재능 있는 화가로서 여러 작품을 전시하기도 했다.[1]
37세에 안할트의 아나스타시아 공주(1940년 출생)와 결혼했다. 1962년 6월 22일 스위스 라투르드페에서 시민 결혼을, 1963년 1월 31일 브베에서 종교 결혼을 올렸으나, 자녀는 없었다.[1]
작센 왕가의 계승법은 준 살리카식을 채택하여 여계를 통한 상속도 가능했다. 마리아 에마누엘은 작센코부르크고타 가의 요하네스를 후계자로 지명하려 했으나, 1987년 요하네스가 등산 사고로 사망하면서 무산되었다.
1997년, 마리아 에마누엘은 알렉산더를 후계자로 지명하고 작센게사페 가를 창설하게 했다. 그러나 동생 알베르트는 뤼디거를 후계자로 지지하며 알렉산더의 계승에 반대했다.
2012년 7월 23일, 86세로 사망했다.[1]
2. 1. 출생과 초기 생애
레겐스부르크 프뤼페닝 수도원에서 바이에른 태생으로, 작센의 상속 변경백 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과 투른 und 탁시스 공주 엘리자베트 헬레네의 장남이었다.18세에 나치에 반대하여 투옥되어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감형되었다. 이후 소련군을 피해 고향 작센을 떠나야 했는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작센이 공산주의 동독의 일부가 되었기 때문이다. 전쟁 후 스위스로 이주하여 금융 서비스 분야에서 일했으며, 재능 있는 화가로서 여러 작품을 전시하기도 했다.
마리 바실치코프의 ''베를린 일기 1940–45''에는 16세의 마리아 에마누엘이 결혼 상대를 찾도록 도와달라고 요청한 일화가 기록되어 있는데, 그는 조기에 가정을 꾸리는 것이 왕실 의무라고 느꼈다. 그러나 실제로는 37세가 되어서야 안할트의 아나스타시아 공주(1940년 출생)와 1962년 6월 22일 라 투르 드 페이즈에서 시민 결혼, 1963년 1월 31일 스위스 베베에서 종교 결혼을 했다. 이들 사이에 자녀는 없었다.
2. 2. 제2차 세계 대전과 나치 투옥
18세 때 에마누엘은 나치에 반대하여 투옥되어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감형되었다.[1] 이후 그는 소련군을 피해 작센에서 탈출해야 했는데,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가면서 작센이 공산주의 동독의 일부가 되었기 때문이다.[1] 전쟁 후, 그는 스위스로 이주하여 금융 서비스 분야에서 일하기 시작했다.[1] 에마누엘은 재능 있는 화가이기도 하여 여러 작품을 전시했다.[1]2. 3. 전후 활동
18세의 마리아 에마누엘은 나치에 반대하여 투옥되어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감형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가면서 그의 고향인 작센이 공산주의 동독의 일부가 되었기 때문에, 그는 다가오는 소련군으로부터 탈출해야 했다.[1] 전쟁 후 그는 스위스로 이주하여 금융 서비스 분야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또한 재능 있는 화가였던 에마누엘은 여러 작품을 전시했다.[1]마리 바실치코프는 자신의 저서 ''베를린 일기 1940–45''에서 16세의 상속 변경백 마리아 에마누엘이 결혼 상대를 찾는 데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그녀를 방문한 이야기를 들려주는데, 그는 조기에 가정을 꾸리는 것이 자신의 왕실 의무라고 느꼈기 때문이다.[1] 에마누엘은 실제로는 37번째 생일까지 결혼하지 않았다. 그의 아내는 안할트의 아나스타시아 공주(1940년 출생)였으며, 1962년 6월 22일 라 투르 드 페이즈에서 (시민 결혼)했고, 1963년 1월 31일 스위스 베베에서 (종교 결혼)했다.[1] 그들은 자녀가 없었다.[1]
1968년 8월 9일, 마리아 에마누엘은 부친의 사망으로 작센 왕가의 수장이 되었다.[1]
2. 4. 결혼
에마누엘은 37세가 되어서야 안할트의 아나스타시아 공주(1940년 출생)와 결혼했다. 1962년 6월 22일 스위스 라투르드페에서 시민 결혼을 했고, 1963년 1월 31일 스위스 브베에서 종교 결혼을 했다.[1] 이 부부는 자녀가 없었다.[1]마리 바실치코프는 자신의 저서 ''베를린 일기 1940–45''에서 16세의 상속 변경백 마리아 에마누엘이 결혼 상대를 찾는 데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그녀를 방문한 이야기를 전하는데, 그는 조기에 가정을 꾸리는 것이 자신의 왕실 의무라고 느꼈기 때문이라고 한다.[1]
3. 작센 왕가 수장
마리아 에마누엘은 슬하에 자식이 없었기 때문에, 레바논계 조카인 알렉산더를 후계자로 지명하였다.[5][6] 1997년, 베틴 왕가의 남성 왕위 계승자들은 변경백의 결정에 동의했다.[7] 그러나 이후, 그의 형제 알베르트는 이 결정에 반대했다.
베틴 왕가의 왕위 계승은 반(半) 살리카법을 적용하여 여성을 통한 상속도 가능하다. 만약 게사페의 주장이 무효가 된다면, 상속은 변경백의 아버지 쪽 고모들의 후손에게로 넘어갈 것이었다. 맏이인 마르가레테의 상속자는 그녀의 손자인 호엔촐레른의 카를 프리드리히 공자가 될 것이었다.
그러나 변경백의 형제 알베르트는 사촌 뤼디거를 지지했다. 뤼디거는 세 아들을 두었다.
알베르틴 작센 외에도 1918년까지 여러 에르네스틴 공국을 통치했던 베틴 왕가의 여러 가문이 존재한다. 2015년, 베틴 왕가의 세 개의 상위 에르네스틴 가문 수장들은 알렉산더 아피프가 베틴 왕가의 구성원도 아니고, 마리아 에마누엘의 후계자가 될 수 없다고 선언했다.[8]
마리아 에마누엘은 1963년에 Anastasia영어와 결혼했지만 자녀를 얻지 못했고, 동생 알베르트에게도 자녀가 없었기 때문에 작센 왕가 가주위 상속 문제가 제기되었다.
작센 왕가의 계승법은 준 살리카식을 채택하고 있어 여계를 통한 상속도 가능했다. 마리아 에마누엘은 작센코부르크고타 가의 Johannes영어를 후계자로 지명하려 했지만, 1987년에 요하네스가 사망하면서 이 구상은 좌절되었다.
1997년, 마리아 에마누엘은 Alexander영어를 후계자로 지명하고, 알렉산더와 그 가족에게 Saxe-Gessaphe영어 가문을 창설하게 했다. 그러나 마리아 에마누엘의 동생 알베르트는 Thimo프랑스어의 장남 Rüdiger영어를 후계자로 지지하며, 알렉산더의 계승에 반대했다.
2012년 7월 23일, 마리아 에마누엘은 86세로 사망하였다.
4. 후계자 문제
마리아 에마누엘은 작센 왕자 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과 그의 아내 엘리자베트 헬레네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안할트 공녀 아나스타지아와 결혼했지만 자녀를 얻지 못했고, 동생 알베르트에게도 자녀가 없었기 때문에 작센 왕가 가문의 상속 문제가 제기되었다.
작센 왕가의 계승법은 준(準) 살리카법을 채택하고 있어 여계를 통한 상속도 가능했다. 마리아 에마누엘은 여동생 마틸데의 외아들 요하네스를 후계자로 지명하려 했지만, 1987년에 요하네스가 등산 사고로 사망하면서 무산되었다.
이후 마리아 에마누엘은 또 다른 여동생 안나의 장남 알렉산더를 후계자로 지명하고, 작센게사페 가를 창설하게 했다. 그러나 동생 알베르트는 에른스트 하인리히 왕자의 차남 티모의 장남 뤼디거를 후계자로 지지하며 알렉산더의 계승에 반대했다.
4. 1. 알렉산더 폰 작센게사페 지명
마리아 에마누엘은 적자가 없었기 때문에, 장녀 안나 공주의 아들이자 레바논 기독교 가문 출신인 작센-게사페의 알렉산더 공자를 후계자로 지명했다.[5][6] 1999년 6월 1일, 마리아 에마누엘은 알렉산더를 양자로 입적시켰고, 1997년에는 베틴 왕가의 남성 왕위 계승자들이 이 결정에 동의했다.[7] 그러나 이후 그의 형제 알베르트는 이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베틴 왕가의 왕위 계승은 반(半) 살리카법을 적용하여 여성을 통한 상속도 가능하다. 따라서 게사페의 주장이 무효가 된다면, 상속은 변경백의 아버지 쪽 고모들인 마르가레테 카롤라, 마리아 알릭스, 안나의 후손에게로 넘어갈 것이며, 이들 모두 자녀가 있었다. 맏이인 마르가레테의 상속자는 그녀의 손자 호엔촐레른의 카를 프리드리히 공자가 될 것이다.
하지만 변경백의 형제 알베르트는 그의 사촌 뤼디거가 왕위를 계승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뤼디거는 첫 번째 부인과의 사이에서 세 아들을 두었다.
2015년, 베틴 왕가의 세 개의 상위 에르네스틴 가문 수장들은 알렉산더 아피프가 귀족도, 베틴 왕가 구성원도 아니며, 마리아 에마누엘의 후계자가 될 수 없다고 선언했다.[8]
4. 2. 계승 분쟁
마리아 에마누엘은 적자가 없었기 때문에, 장녀 안나 공주와 레바논 기독교 가문 출신 로베르 아피프 사이의 아들인 작센-게사페의 알렉산더 공자를 자신의 최종 상속자로 인정했다.[5][6] 1999년 6월 1일, 마리아 에마누엘은 알렉산더를 양자로 입적시켰고, 알렉산더는 1987년에 바이에른의 기젤라 공주와 결혼했다. 1997년, 알베르틴 가문의 베틴 왕가의 생존한 남성 왕위 계승자들은 변경백의 결정에 동의했다.[7] 그러나 이후, 그의 형제 알베르트는 그 결정을 더 이상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베틴 왕가의 왕위 계승은 반(半) 살리카법을 적용하여 여성을 통한 상속을 허용한다. 마리아 에마누엘의 사망 이후, 알베르트가 마지막 남성 왕위 계승자였다면, 상속은 그의 누이들의 자녀들에게로 이어졌을 것이다. 그러나 마틸데의 결혼만이 평등 조건을 충족했고, 그녀의 외아들은 1987년에 사망했다. 게사페의 주장이 무효가 된다면, 상속은 변경백의 아버지 쪽 고모들의 후손에게로 넘어갈 것이고, 그중 맏이인 마르가레테의 손자 호엔촐레른의 카를 프리드리히 공자가 상속자가 될 것이다.
그러나 변경백의 형제 알베르트는 그의 사촌 뤼디거가 왕위를 계승하도록 평등 조건을 무시하는 것을 지지했다. 뤼디거는 첫 번째 부인과의 사이에서 세 아들을 두었다.
알베르틴 작센은 왕가 분파로만 구성되어 있지만, 1918년까지 여러 에르네스틴 공국을 통치했던 베틴 왕가의 여러 현존하는 가문이 존재한다. 2015년 6월 23일 공동 성명에서, 베틴 왕가의 세 개의 상위 에르네스틴 가문의 수장들은 알렉산더 아피프가 귀족도 베틴 왕가 구성원도 아니며, 마리아 에마누엘의 후계자로서 알베르틴 가문의 수장이 될 수도 없고, 스스로 마이센 변경백이라고 칭할 자격도 없다고 선언했다.[8]
마리아 에마누엘은 작센 왕자 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과 그의 아내 엘리자베트 헬레네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안할트 공자 오이겐의 딸 아나스타지아와 결혼했지만 자녀를 얻지 못했고, 후계자가 될 동생 알베르트에게도 자녀가 없었기 때문에 작센 왕가 가주위 상속 문제가 제기되었다.
작센 왕가의 계승법은 준 살리카식을 채택하고 있어 여계를 통한 상속도 가능했다. 마리아 에마누엘은 막내 여동생 마틸데의 외아들 요하네스를 차차대 후계자로 지명하려 했지만, 1987년에 요하네스가 등산 사고로 요절하면서 이 구상은 좌절되었다.
1997년, 마리아 에마누엘은 또 다른 여동생 안나의 장남으로, 부계에서는 레바논의 지방 영주의 혈통을 이은 알렉산더를 차차대 후계자로 지명하고, 알렉산더와 그 가족에게 작센 왕가의 여계 분가 작센게사페 가를 창설하게 했다. 그러나 마리아 에마누엘의 동생 알베르트는 숙부 에른스트 하인리히 왕자의 차남 티모가 평민과의 귀천상혼으로 얻은 장남 뤼디거를 후계자로 지지하며, 여계의 조카 알렉산더의 계승에 반대했다.
4. 3. 에르네스틴 계 가문의 입장
마리아 에마누엘은 슬하에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장녀 안나 공주와 레바논 기독교 가문 출신 로베르 아피프 사이의 아들인 작센-게사페의 알렉산더 공자를 후계자로 지명했다.[5][6] 1999년 6월 1일, 마리아 에마누엘은 알렉산더를 양자로 입적시켰고, 1997년에는 알베르틴 가문의 베틴 왕가 생존 남성 왕위 계승자들도 이 결정에 동의했다.[7] 그러나 이후, 그의 형제 알베르트는 이 결정을 번복했다.베틴 왕가의 왕위 계승은 반(半) 살리카법을 따르므로, 여성을 통한 상속도 가능하다. 마리아 에마누엘 사후, 알베르트가 마지막 남성 왕위 계승자였다면, 왕위는 그의 누이들의 자녀에게로 이어졌을 것이다. 하지만 마틸데의 결혼만이 평등 조건을 충족했고, 그녀의 외아들은 1987년에 사망했다. 만약 게사페의 주장이 무효가 된다면, 상속은 마르가레테 카롤라, 마리아 알릭스, 안나의 후손에게로 넘어갈 것이며, 그중 맏이인 마르가레테의 손자 호엔촐레른의 카를 프리드리히 공자가 상속자가 될 것이다.
그러나 알베르트는 사촌 티모 공자의 아들 작센의 뤼디거 공자가 왕위를 계승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뤼디거는 슬하에 세 아들 다니엘, 아르네, 닐스를 두었다.
알베르틴 작센 외에도, 베틴 왕가에는 여러 에르네스틴 공국을 통치했던 가문들이 존재한다. 2015년 6월 23일,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의 미하엘 공자,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안드레아스 공자, 작센-마이닝겐의 콘라트 공자는 공동 성명을 통해 알렉산더 아피프가 베틴 왕가의 구성원도 아니고, 마이센 변경백이 될 자격도 없다고 선언했다.[8]
5. 사망
6. 작센 왕위 계승 논란
마리아 에마누엘은 슬하에 자녀가 없었기 때문에, 장녀 안나 공주와 레바논의 기독교 가문 출신 로베르 아피프의 아들인 알렉산더를 상속자로 인정했다.[5][6] 1997년, 베틴 왕가의 남성 왕위 계승자들은 변경백의 결정에 동의했으나,[7] 이후 그의 형제 알베르트는 이 결정을 번복했다.
베틴 왕가의 왕위 계승은 반(半) 살리카법을 적용하여 여성을 통한 상속도 가능하다. 마리아 에마누엘 사후 알베르트가 마지막 남성 왕위 계승자라면, 상속권은 그의 누이들의 자녀에게로 이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마틸데의 결혼만이 평등 조건을 충족했고, 그녀의 외아들은 1987년에 사망했다. 게사페의 주장이 무효가 되면, 상속은 변경백의 아버지 쪽 고모들 중 맏이인 마르가레테의 손자 카를 프리드리히에게 돌아갈 것이었다.
그러나 알베르트는 사촌 뤼디거를 지지했다. 뤼디거는 첫 번째 부인과의 사이에서 세 아들을 두었다.
알베르틴 작센 외에도 베틴 왕가에는 여러 가문이 존재한다. 2015년, 에르네스틴 가문의 수장들은 알렉산더 아피프가 귀족도, 베틴 왕가 구성원도 아니며, 마이센 변경백을 칭할 자격도 없다고 선언했다.[8]
마리아 에마누엘은 작센 왕자 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안할트 공녀 Anastasia, Margravine of Meissen|아나스타지아영어와 결혼했지만 자녀를 얻지 못했고, 동생 Albert, Margrave of Meissen (1934–2012)|알베르트영어에게도 자녀가 없어 왕가 계승 문제가 제기되었다.
작센 왕가는 준 살리카식을 채택하여 여계를 통한 상속도 가능했다. 마리아 에마누엘은 작센코부르크고타 가의 Prince Johannes of Saxe-Coburg and Gotha|요하네스영어를 후계자로 지명하려 했으나, 1987년 요하네스가 사망하면서 이 구상은 좌절되었다.
1997년, 마리아 에마누엘은 Alexander, Margrave of Meissen|알렉산더영어를 후계자로 지명하고, 알렉산더와 그 가족에게 Saxe-Gessaphe|작센게사페가영어를 창설하게 했다. 그러나 알베르트는 Thimo de Saxe|티모프랑스어의 장남 Rüdiger, Margrave of Meissen|뤼디거영어를 후계자로 지지하며 알렉산더의 계승에 반대했다.
7. 가계도
Maria Emanuel Markgraf von Meißen|마리아 에마누엘 폰 마이센 변경백de의 가계도는 다음과 같다.
16 | 8 | 4 | 2 | 1 | |
---|---|---|---|---|---|
작센의 요한 | 작센의 게오르크 | 작센의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투스 3세 | 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 | 마리아 에마누엘 | |
17 | 9 | 5 | 3 | ||
작센의 아말리에 아우구스테 | 포르투갈의 인판타 마리아 안나 | 오스트리아 여대공 루이제 | 투른 운트 탁시스 공녀 엘리자베트 헬레네 | ||
18 | 10 | 6 | |||
페르난두 2세 | 토스카나 대공 페르디난도 4세 | 알베르트 1세 | |||
19 | 11 | 7 | |||
포르투갈의 마리아 2세 | 부르봉파르마의 알리체 | 오스트리아 여대공 마르가레테 클레멘티네 | |||
20 | 12 | ||||
토스카나의 레오폴도 2세 | 투른 운트 탁시스의 막시밀리안 안톤 세습 공 | ||||
21 | 13 | ||||
양시칠리아의 마리아 안토니아 | 바이에른의 헬레네 공작 부인 | ||||
22 | 14 | ||||
파르마의 카를로 3세 | 오스트리아의 요제프 카를 대공 | ||||
23 | 15 | ||||
루이즈 마리 테레즈 다르투아 | 작센-코부르크-고타의 클로틸데 공주 |
참조
[1]
웹사이트
Sächsische Zeitung [online] - Sachsen: Enkel des letzten sächsischen Königs ist tot
http://www.sz-online[...]
Sz-online.de
2002-06-19
[2]
간행물
Have Poles pretender for their throne? (polish)
http://www.antoniego[...]
Verbum Nobile
2008
[3]
서적
Burke's Royal Families of the World, vol.1: Europe & Latin America
[4]
서적
The Berlin Diaries 1940–1945
[5]
서적
Le Petit Gotha
Nouvelle Imprimerie Laballery, Paris
2002
[6]
서적
L'Allemagne Dynastique Tome VI Bade-Mecklembourg
Giraud
[7]
서적
The Descendants of Louis XIII
Clearfield Co.
[8]
웹사이트
Joint Statement by the heads of the House of Wettin of 23 June 2015
http://www.adel-in-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