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아 2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리아 2세는 1819년 브라질에서 태어나 포르투갈 왕국의 국왕 페드루 4세의 딸로, 브라질에서 태어난 유일한 유럽 군주였다. 1826년 주앙 6세의 사망으로 왕위 계승 위기를 겪었으며, 숙부 미겔 1세의 왕위 찬탈로 망명 생활을 했다. 이후 아버지 페드루 1세가 동생 미겔 1세와의 내전에서 승리한 후, 1834년 포르투갈 의회는 15세의 마리아 2세에게 국왕 권력을 위임했다. 그녀는 재위 기간 동안 교육 수준 향상에 힘썼으나, 정치적 혼란을 겪기도 했다. 잦은 임신과 출산으로 건강이 악화되어 1853년 34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착한 어머니'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녀는 두 번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으며, 장남 페드루 5세와 차남 루이스 1세가 포르투갈 국왕이 되었다.
1819년 4월 4일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의 상 크리스토바오 궁전에서 포르투갈의 왕자 페드루(훗날 브라질 황제 페드루 1세이자 포르투갈 왕 페드루 4세)와 오스트리아 황제의 딸 마리아 레오폴디나 사이에서 태어났다.[1] 마리아 2세는 브라질에서 태어난 유일한 유럽 군주였지만, 당시 브라질은 포르투갈 영토의 일부였다.
2. 생애
1826년 아버지 페드루 1세가 주앙 6세의 뒤를 이어 포르투갈 왕위를 물려받았지만, 이미 브라질 황제였던 페드루 1세는 당시 일곱 살에 불과했던 딸 마리아에게 왕위를 넘겨주었다. 그러나 마리아와 결혼을 약속했던 숙부 미겔이 1828년 왕위를 찬탈하면서 마리아는 외국으로 망명해야 했다.
1832년 자유주의를 지지하던 아버지 페드루 1세는 직접 군대를 이끌고 포르투갈로 돌아와 동생 미겔과 미겔리스타 전쟁을 벌였다. 1833년 7월, 팔멜라 공이 이끄는 페드루 군이 리스본에 입성했고, 두 달 뒤 마리아도 귀국했다. 1834년 미겔의 패배로 내전은 끝났고, 같은 해 페드루도 사망했다. 그해 9월, 포르투갈 의회는 15세의 마리아 2세에게 국왕으로서의 권한을 인정했다.[5]
마리아 2세는 1835년 외젠 드 보아르네의 아들 아우구스트 드 보아르네와 결혼했지만, 아우구스트는 두 달 만에 병으로 사망했다. 1836년에는 작센코부르크고타 공국의 페르난두 공자와 재혼했고, 포르투갈의 전통에 따라 그 또한 국왕으로 인정되었다.
잦은 임신과 출산으로 건강이 나빠진 마리아 2세는 의사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출산을 강행하다가 1853년 11번째 아이를 낳던 중 3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마리아 2세는 슬하에 7남 4녀를 두었으며, 그 중에는 포르투갈의 왕위를 계승한 페드루 5세와 루이스 1세가 있다.
마리아 2세는 자녀를 많이 낳고 교육에 힘쓴 공로로 "좋은 어머니"(a Boa Mãept)와 "교육자"(a Educadorapt)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2. 1. 어린 시절과 왕위 계승
1821년 8월 22일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주앙 6세의 손녀이자 포르투갈 국왕 페드루 4세(브라질 황제 페드루 1세)와 황후 마리아 레오폴디나의 장녀로 태어났다. 1826년 주앙 6세가 사망하자 포르투갈 왕위는 아들인 페드루 1세가 물려받았지만, 이미 브라질의 황제였던 페드루 1세는 당시 일곱 살에 불과했던 딸 마리아에게 왕위를 양보했다.
그러나 마리아와 결혼을 약속한 숙부 미겔이 이를 배반하고 1828년 왕위를 찬탈하였고, 마리아는 외국으로 망명했다. 미겔은 오스트리아에서 당시 수상이었던 메테르니히에게 감화되어 절대주의를 추구하며 보수 반동 정치를 실시했다. 그와는 달리 자유주의를 지지하던 페드루 1세는 1831년 브라질 황제 자리를 5세의 장남 페드루 2세에게 양위하고, 1832년 직접 군대를 이끌고 포르투갈로 향해 동생과 미겔리스타 전쟁(포르투갈 내전)을 벌였다. 팔멜라 공이 이끄는 페드루 군은 1833년 7월 리스본에 입성했고 두 달 뒤 마리아도 귀국했다. 1834년 미겔의 패배로 내전은 끝났고, 같은 해 페드루도 사망했다. 같은 해 9월, 포르투갈 의회는 15세의 마리아 2세에게 국왕 권력을 공식적으로 위임했다.
2. 2. 망명과 귀환
1821년 8월 22일 리우데자네이루에서 태어난 마리아 2세는 주앙 6세 사후, 브라질 황제였던 아버지 페드루 1세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았다. 그러나 숙부 미겔 1세가 1828년 왕위를 찬탈하면서 외국으로 망명해야 했다.[2]
마리아 2세의 첫 번째 통치는 삼촌이자 약혼자이자 섭정이었던 미겔이 주도한 쿠데타로 중단되었다. 미겔은 클레멘스 메테르니히의 영향을 받아 절대주의를 추구하였으며, 1828년 7월 11일 포르투갈 국왕으로 선포되었다. 이로 인해 자유주의 전쟁이 발발했고, 1834년에 마리아 2세가 즉위하고 미겔이 독일로 망명하면서 종결되었다.
마리아 2세는 지브롤터를 거쳐 런던으로 향했으나, 웰링턴 공작이 이끄는 영국 정부는 미겔 1세를 지지하는 입장이었기에 안전한 망명처를 찾기 어려웠다.[3] 영국은 포르투갈 망명자들이 테르세이라 섬의 수비대를 강화하러 가는 것을 막기도 했다.
미겔의 쿠데타에 대한 저항도 있었다. 1828년 5월 포르토와 라고스에서 반란이 일어났지만 진압되었고, 코임브라 학생 자원봉사자들과 다른 자유주의 군대는 영국으로 망명했다. 살다냐 후작은 테르세이라 섬 상륙을 시도했으나 영국 함대에 의해 저지되었지만, 빌라 플로르 백작은 1829년 6월 상륙에 성공했다. 1829년 8월 프라야 전투에서 미겔 군대는 패배했고, 이 소식은 영국 망명자들에게 큰 희망을 주었다.
그러나 마리아 2세의 영국 내 상황은 당시 집권 내각의 비우호적인 태도로 인해 굴욕적이었다. 결국 마리아 2세는 1829년 8월, 새 계모인 레히텐베르크의 아멜리와 함께 리우데자네이루로 돌아갔다.
1832년 자유주의를 지지하던 페드루 1세는 직접 군대를 이끌고 포르투갈로 돌아와 동생 미겔과 미겔리스타 전쟁을 벌였다. 팔멜라 공이 이끄는 페드루 군은 1833년 7월 리스본에 입성했고, 두 달 뒤 마리아도 귀국했다. 1834년 9월, 의회는 마리아 2세에게 국왕으로서의 권리를 인정했다.
2. 3. 내전과 통치
1834년 미겔 1세를 몰아내고 마리아 2세가 왕위에 복위되었지만, 같은 해 마리아 2세의 아버지 페드루 1세는 사망했다. 그해 9월, 포르투갈 의회는 15세의 어린 마리아 2세에게 국왕으로서의 권한을 인정했다.[5] 마리아 2세는 교육 수준 향상에 힘써 '교육자'라는 별칭을 얻기도 했다.
마리아 2세의 통치 기간 동안 포르투갈은 정치적 혼란과 잦은 내전을 겪었다. 1846년에는 대규모 반란이 발생했지만, 스페인과 영국의 군사 개입으로 진압되었다. 1851년에는 살다냐 장군이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면서 정세가 비교적 안정되었다.
2. 4. 결혼과 죽음
마리아 2세는 1835년 1월 26일, 15세의 나이로 외젠 드 보아르네의 아들이자 조제핀 황후의 손자인 뢰흐텐베르크 공작 아우구스트와 결혼했다.[6] 그러나 아우구스트는 두 달 후인 1835년 3월 28일에 사망했다.[6]
1836년 4월 9일, 마리아 2세는 작센코부르크고타 공국의 페르난두 공자와 재혼했고, 포르투갈의 전통에 따라 그 또한 국왕으로 인정되었다. 포르투갈 법에 따라, 첫째 아이이자 왕위 계승자인 포르투갈의 페드루 5세가 태어나자 페르난두는 페르난두 2세로 선포되었다.
1842년, 그레고리오 16세는 마리아 2세에게 황금 장미를 선물했다.
마리아 2세는 18세에 첫 임신을 한 이후로 잦은 임신과 출산으로 건강이 나빠졌다. 특히 25세에 다섯 번째 임신을 한 이후 비만이 심해져 출산에 어려움을 겪었다.[6] 의사들은 앞으로의 임신에 심각한 위험이 따를 것이라고 경고했지만, 마리아 2세는 "만약 내가 죽는다면, 내 임무를 수행하다 죽는 것"이라고 말하며 출산을 강행했다.[6]
1853년 11월 15일, 마리아 2세는 11번째 아이를 출산하다가 3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사오 비센테 드 포라 수도원에서 거행된 장례식에는 수많은 인파가 몰려 그녀의 죽음을 애도했다.
마리아 2세는 슬하에 7남 4녀를 두었으며, 그 중에는 포르투갈의 왕위를 계승한 페드루 5세와 루이스 1세가 있다.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오귀스트 드 보아르네 (1810년 12월 9일 – 1835년 3월 28일; 1835년 1월 26일 결혼) | |||
작센코부르크고타의 페르디난트 (1816년 10월 29일 – 1885년 12월 15일; 1836년 4월 9일 결혼) | |||
페드루 5세 | 1837년 9월 16일 | 1861년 11월 11일 | 어머니를 계승하여 포르투갈의 국왕이 됨. |
루이스 1세 | 1838년 10월 31일 | 1889년 10월 19일 | 형 페드루를 계승하여 포르투갈의 국왕이 됨. |
인판타 마리아 | 1840년 10월 4일 | 사산된 딸. | |
인판테 주앙 | 1842년 3월 16일 | 1861년 12월 27일 | 베자 공작 |
인판타 마리아 아나 | 1843년 8월 21일 | 1884년 2월 5일 | 작센의 게오르크 왕과 결혼. |
인판타 안토니아 | 1845년 2월 17일 | 1913년 12월 27일 | 호엔촐레른의 레오폴트와 결혼. |
인판테 페르난두 | 1846년 7월 23일 | 1861년 11월 6일 | 15세의 나이로 사망. |
인판테 아우구스투 | 1847년 11월 4일 | 1889년 9월 26일 | 코임브라 공작 |
인판테 레오폴두 | 1849년 5월 7일 | 사산된 아들. | |
인판타 마리아 | 1851년 2월 3일 | 사산된 딸. | |
인판테 우제니우 | 1853년 11월 15일 | 사산된 아들. |
마리아 2세는 첫 남편 오귀스트가 요절하여 그와의 사이에는 자녀가 없었다. 두 번째 남편 페르난두 2세와의 사이에서는 7남 4녀를 두었으며, 그중 5남 2녀가 성년까지 살아남았다.
마리아 2세는 격동의 시대를 살았던 여성 군주로서, 여러 어려움 속에서도 자유주의적 가치를 옹호하고 교육 개혁에 힘쓴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과 같은 진보 정당에서는 마리아 2세의 자유주의적 성향과 교육 개혁 노력을 높이 평가한다.
[1]
서적
A vida de D. Pedro I
José Olympio
마리아 2세는 자녀를 많이 낳고 교육에 힘쓴 공로로 "좋은 어머니"(a Boa Mãept)와 "교육자"(a Educadorapt)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3. 자녀
이름 출생 사망 비고 페드루 5세 1837년 9월 16일 1861년 11월 11일 후임 포르투갈 국왕. 독감으로 사망 루이스 1세 1838년 10월 31일 1889년 10월 19일 후임 포르투갈 국왕. 슬하 2남. 마리아 1840년 10월 4일 1840년 10월 4일 요절. 주앙 드 베자 공작 1842년 3월 16일 1861년 12월 27일 콜레라로 사망. 미혼. 마리아 아나 1843년 8월 21일 1884년 2월 5일 작센의 게오르크와 결혼. 슬하 4남 4녀. 안토니아 디 브라간사 1845년 2월 17일 1913년 12월 27일 호엔촐레른 공 레오폴트와 결혼. 슬하 3남. 페르난두 드 포르투갈 왕자 1846년 7월 23일 1861년 11월 6일 독감으로 사망. 미혼. 아우구스투 드 코임브라 공작 1847년 11월 4일 1889년 9월 26일 코임브라 공작. 미혼 레오폴도 1849년 5월 7일 1849년 5월 7일 요절. 마리아 다 글로리아 1851년 2월 3일 1851년 2월 3일 요절. 에우제니오 1853년 11월 15일 1853년 11월 15일 요절. 어머니와 함께 사망.
장남 페드루 5세와 차남 루이스 1세는 모두 포르투갈 국왕이 되었다. 딸 마리아 아나는 작센 왕국의 게오르크 왕과 결혼했고, 안토니아는 루마니아 왕 페르디난트 1세의 어머니가 되었다.
4. 평가
그러나 잦은 내전과 정치적 혼란은 비판받을 수 있다. 국민의힘과 같은 보수 정당에서는 마리아 2세 시대의 정치적 불안정을 비판적으로 볼 수 있다.
참조
[2]
서적
A reunião dos «três estados» em 1828
https://novaresearch[...]
Assembleia da República
2023
[3]
웹사이트
Enciclopédia Açoriana
https://www.culturac[...]
Governo dos Açores
2024-06-30
[4]
웹사이트
António José de Sousa Manuel, 7.º conde e 1.º marquês de Vila Flor, e 1.º duque da Terceira
https://www.arqnet.p[...]
2024-07-12
[5]
웹사이트
LEI N. 91 - DE 30 DE OUTUBRO DE 1835
https://legis.senado[...]
[6]
웹사이트
Memórias do Conde do Lavradio, D. Francisco de Almeida Portugal
https://www.arqnet.p[...]
2024-07-13
[7]
서적
Resenha das Familias Titulares e Grandes des Portugal
Lisboa F.A. da Silva
[8]
학술지
Troca de Decorações entre os Reis de Portugal e os Imperadores da Rússia
https://www.academia[...]
2020-03-19
[9]
서적
Guía de forasteros en Madrid para el año de 1835
http://hemerotecadig[...]
En la Imprenta Nacional
[10]
서적
Citizen Emperor: Pedro II and the Making of Brazil, 1825–1891
Stanford University Press
[11]
백과사전
[12]
백과사전
[13]
백과사전
[14]
서적
Fisher's Drawing Room Scrap Book, 1833
https://digital.tcl.[...]
Fisher, Son & Co.
[15]
서적
Fisher's Drawing Room Scrap Book, 1833
https://digital.tcl.[...]
Fisher, Son & 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