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사이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사이어는 케냐와 탄자니아에서 사용되는 마사이족 언어로, 30개의 음소를 가지는 성조 언어이다. 마사이어는 다양한 자음과 9개의 모음 음소를 가지며, 모음 조화 현상이 나타난다. 문법적으로는 VSO 어순을 따르지만, 성조를 통해 격을 표시하며, 명사에는 성별에 따른 구분이 존재한다. 마사이어는 로마자를 기반으로 표기되며, 고유한 문자와 이중 자모를 사용한다. 마사이어는 동아프리카에서 스와힐리어와 영어의 확장에 저항해왔으나,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로 인해 화자 수가 감소하고 있다. 마사이어는 구전 문학 전통이 풍부하며, 속담과 수수께끼 등이 전해진다. 삼부루어와 계통이 가까우며, 키코뇨키, 푸르코, 와싱키슈 등의 방언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일어족 - 딩카어
    딩카어는 남수단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20개의 자음과 13개의 단모음을 가지며 성조 언어이고, 모음의 길이와 발성, 형태론적 변화가 특징이며, 5개의 방언군으로 나뉘어 여러 라틴 문자로 표기된다.
  • 케냐의 언어 - 스와힐리어
    스와힐리어는 동아프리카 해안 지역의 반투어 기반 사바키어파 언어로, 아랍어, 페르시아어, 포르투갈어 등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라틴 알파벳으로 표기되고 탄자니아와 케냐의 공용어이자 동아프리카의 링구아프랑카이다.
  • 케냐의 언어 - 오로모어
    오로모어는 동아프리카에서 사용되는 아프로아시아어족 쿠시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에티오피아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를 보유하고 아프리카 전체에서 네 번째로 많은 사용자를 가지며, 다양한 방언과 복잡한 음운 체계 및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1991년 라틴 문자 기반 쿠베 정서법이 채택되어 오로미아 주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 탄자니아의 언어 - 스와힐리어
    스와힐리어는 동아프리카 해안 지역의 반투어 기반 사바키어파 언어로, 아랍어, 페르시아어, 포르투갈어 등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라틴 알파벳으로 표기되고 탄자니아와 케냐의 공용어이자 동아프리카의 링구아프랑카이다.
  • 탄자니아의 언어 - 구자라트어
    구자라트어는 인도 구자라트 주를 중심으로 약 6천만 명이 사용하는 인도아리아어로, 12세기부터 문학 언어로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풍부한 어휘를 가진, 인도 헌법 지정 언어이자 구자라트 주의 공용어이다.
마사이어
언어 정보
이름마사이어
고유어 이름ɔl Maa
사용 국가케냐
탄자니아
사용 지역케냐 중남부, 탄자니아 북부
사용자마사이족
사용 인구150만 명 (2009년 ~ 2016년)
언어학적 분류
어족나일사하라어족(?)
어파동수단어족(?)
어군나일어족
어파동나일어파
하위 어군테소·로투호·마어군
하위 어군로투호·마어군
하위 어군마어군
언어 코드
ISO 639-2mas
ISO 639-3mas
Glottologmasa1300
Glottolog 설명Masai
방언
주요 방언푸르코
기타 방언크와비 (바라구유)
카푸티에이
케에코뇨키에
마타파토
라이토키토크
일로오도킬라니
다마트
로이타이
시리아
모이타니크 (우아신키슈)
코레
아루샤
키손코
살레이
Lmasagara(아리아알)

2. 음운론

마사이어는 30개의 음소를 가진 성조 언어이다. 남부 케냐탄자니아에서 사용되는 마사이족 언어인 ɔl Maamas는 30개의 대립적인 음소를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는 일련의 내파음이 포함된다. 마사이어에서 성조는 매우 생산적인 역할을 하며, 광범위한 문법적 및 의미적 기능을 전달한다.

2. 1. 자음

/ 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비음(ny)(ŋ ~ ng)파열음무성음(' ~ ʔ)내파음(b)(d)(j)(g)마찰음(sh)R음탄음(r)전동음(rr)설측음접근음연음(y)경음(wu)(yi)



몇몇 방언에서 유성 파열음은 내파음의 성질이 그다지 강하지 않다. 아루샤 방언에서 는 일반적으로 무성 마찰음 []로 소리나지만, 어떤 단어에서는 유성 전동음 []로 소리나기도 한다. 마사이어 고유어에서 []와 []는 상보적 분포를 보여 전자는 자음 뒤에만 나타나고 후자는 그 밖의 환경에 나타난다.

남부 케냐탄자니아에서 사용되는 마사이족 언어인 ɔl Maamas는 30개의 대립적인 음소를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는 일련의 내파음이 포함된다.

2. 2. 모음

다른 마어군 언어와 마찬가지로 마사이어는 설근 전진 모음 조화 체계를 지녔다. 마사이어에는 아홉 개의 모음 음소가 있으며 그 가운데 는 모음 조화에 있어 중립적이다.[43]

전설중설후설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마사이어 단어에서는 특정 모음 조합만이 같은 단어 내에서 공존하며 (즉, 모음 조화), 모음은 이 시스템에서 "중립적"이다.[2] 마사이어에서 혀가 전진된 모음은 다른 혀 전진 모음 (즉, /i e o u/) 및 /a/와만 공존하는 반면, 혀가 후퇴된 모음 (즉, /ɪ ɛ ʊ ɔ/)은 서로 및 /a/와만 공존한다. 음조는 조화 시스템에서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는다.

혀 뿌리 위치음소음운론[2]철자영어
혀 뿌리 전진/ i e o u // éɓúl /ébúl“그는 그것을 찌를 것이다”
/ ōlmōsōrî /ol-mosorrî“달걀”
/ ēnkītōʄó /en-kitojó“토끼”
혀 뿌리 후퇴/ ɪ ɛ ʊ ɔ // ɛ́ɓʊ́l /ɛ́bʉ́l“그는 번성할 것이다”
/ ɛ̄nkʊ́tʊ́k /ɛn-kʉ́tʉ́k“입”
/ kɪ̄ʊ́tɪ̄ʃɔ̄ /kɨʉ́tɨshɔ“검지”
중립/ a // ātūmōkî /atumokî“좋은 기회를 가지다”
/ ātʊ̄mʊ́k /atʉmʉ́k“양조하다”



모음조화가 존재한다. 전설 모음([+ATR])의 자질을 갖는 긴장 모음 , , (), , 와 [-ATR] 자질을 갖는 비긴장 모음 , , , , 의 조합이 대립한다.[17]

2. 3. 성조

마사이어는 성조 언어이다. 기본적으로 고조(H)와 저조(L)의 성조가 있으며, 같은 모음에 고조와 저조가 연속해서 오는 경우 하강조(F)가 된다. 고조, 중조, 저조, 하강조가 존재한다.[18] 성조는 명사의 주격대격(절대격)을 구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문법

마사이어의 어순은 기본적으로 VSO형이지만,[27][16] 주어(S)와 목적어(O)의 위치를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28] 주어와 목적어를 구분하는 것은 어순이 아니라 성조를 통한 격 표시이다. 어순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주제성으로, 대부분의 단순절에서 어순은 [동사 - 높은 주제성 - 낮은 주제성]의 순서이다. 따라서 목적어가 담화에서 주제성이 높고(예: 1인칭 대명사) 주어가 주제성이 낮다면 VOS형 어순도 가능하다.

마사이어에는 진정한 의미의 전치사가 두 개밖에 없지만, 전치사와 “관계명사”를 사용해 다양한 위치 개념을 나타낼 수 있다. 명사구의 맨 앞에는 지시사 접두사 또는 성-수 접두사가 붙고 그 뒤에 핵어 명사가 나온다. 소유자 등 다른 수식어는 핵어 명사 뒤에 나온다.

마사이어에서는 여러 문법 기능이 성조 패턴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명사의 이나 동사의 등이 그렇다. 다음은 성조에 따라 문장의 의미가 달라지는 예시이다.

표면형ɛ́yɛ́táɛmʊtíɛyɛ́taɛmʊ́ti
형태소ɛ̀-ɛ́t-áɛn-mʊtí(LH)ɛ̀-ɛ́t-aɛn-mʊ́ti(HL)
해석:3P-remove.one.by.one-PF.SGDEF.FEM.SG-pot(ACC)3P-remove.one.by.one-IMPF.MIDDEF.FEM.SG-pot(NOM)
번역:“그녀는 냄비를 비웠다.”“냄비가 비워졌다.”[44][45]


3. 1. 명사

마사이어의 명사는 남성, 여성, 장소의 세 가지 중 하나를 지닌다.[44][45] 명사는 자음 앞에 붙는 접두사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남성 명사는 'ol-/ɔl-', 여성 명사는 'e[n]/ɛ[n]-' 접두사를 가진다. 하지만, 일부 어근은 두 접두사 모두와 함께 나타날 수 있다. (예: '''ɔl'''-aláshɛ̀'' "형제", '''''ɛn'''-kái'' "신", '''ol'''-ŋatúny'' "사자" vs. '''''e'''-ŋatúny "사자스러움").[5]

명사 앞에는 성별 접두사가 붙는데, 방문자의 성별을 아는 경우 "누가 왔니?"라고 질문할 때 성별을 구분하여 질문한다. 방문자의 성별을 모르는 경우에는 "그것은 누구가 왔니?"라고 질문한다.[5]

명사에는 남성과 여성의 구별이 있으며, 이는 접두사로 표시된다. 남성 명사에는 ɔl-, ol-, ɔ-, o- 가, 여성 명사에는 ɛn-, en-, ɛ-, e-, ɛm-, em-, ɛnk-, enk- 와 같은 접두사가 각각 어근에 붙는다. 기본적으로 단수형에 접미사를 붙여 복수형을 만들지만, 단어에 따라 복수형에 접미사를 붙여 단수형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24] 또한, 접미사의 형태는 단어에 따라 다양하며 일정하지 않다.[24] 그리고 일부 어휘는 단수형과 복수형에서 형태가 크게 다르다(예: olchani : ilkeek 〈나무〉; enkiteng' : inkishu 〈암소〉).

대격주격은 같은 형태이지만, 성조의 차이에 따라 변별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표면형형태소해석번역
ɛ́yɛ́táɛmʊtíɛ̀-ɛ́t-áɛn-mʊtí(LH)3P-remove.one.by.one-PF.SGDEF.FEM.SG-pot(ACC)“그녀는 냄비에서 (고기를) 꺼냈다.”
ɛyɛ́taɛmʊ́tiɛ̀-ɛ́t-aɛn-mʊ́ti(HL)3P-remove.one.by.one-IMPF.MIDDEF.FEM.SG-pot(NOM)“냄비는 고기가 없어진 상태이다.”[3][4]


3. 2. 동사

마사이어의 어순은 대체로 VSO형이지만, 주어와 목적어를 구분하는 주된 수단은 어순이 아니라 성조를 통한 격 표시이다. 어순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주제성으로, 대부분의 단순절에서 어순은 [동사 - 높은 주제성 - 낮은 주제성]의 순서이다. 따라서 목적어가 담화에서 주제성이 높고(예: 1인칭 대명사) 주어가 주제성이 낮다면 VOS형 어순도 가능하다.

마사이어에서는 여러 문법 기능이 성조 패턴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동사의 등이 그렇다. 다음 예문은 성조에 따라 문장의 의미가 달라지는 것을 보여준다.

표면형ɛ́yɛ́táɛmʊtí
형태소ɛ̀-ɛ́t-áɛn-mʊtí(LH)
해석:3P-remove.one.by.one-PF.SGDEF.FEM.SG-pot(ACC)
번역:“그녀는 냄비를 비웠다.”



표면형ɛyɛ́taɛmʊ́ti
형태소ɛ̀-ɛ́t-aɛn-mʊ́ti(HL)
해석:3P-remove.one.by.one-IMPF.MIDDEF.FEM.SG-pot(NOM)
번역:“냄비가 비워졌다.”[44][45]



동사의 활용은 인칭과 상을 나타내는 접사가 붙는 유형이다. 타동사에는 주어목적어의 호응에 따른 복잡한 변화가 나타난다.[25][26]

-lam 〈피하다〉
colspan="2" rowspan="2" |목적어
1인칭 단수2인칭 단수3인칭
주어1인칭 단수-áá-lámá-lám
2인칭 단수style="text-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
3인칭 단수áa-lâmstyle="text-align:center;" |style="text-align:center;" |


4. 표기법

마사이어는 ⟨ɛ ɨ ŋ ɔ ʉ⟩와 같이 IPA에서 가져온 문자를 포함한 로마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가로줄이 있는 문자는 근폐모음을 나타낸다. 철자법은 몇 개의 이중 자모 (예: /r/의 ⟨rr⟩, /ʃ/의 ⟨sh⟩)를 사용하며, 모음의 분음 부호는 성조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이 시스템에서 수평 성조는 표현되지 않으므로 /ā ē ū/ 등은 ⟨a e u⟩ 등으로 표현된다.

마사이어 철자법의 성조 표현
/i//ɪ//e//ɛ//a//ɔ//o//ʊ//u/
상승íɨ́éɛ́áɔ́óʉ́ú
수평iɨeɛaɔoʉu
하강ìɨ̀èɛ̀àɔ̀òʉ̀ù
하강îɨ̂êɛ̂âɔ̂ôʉ̂û



마사이어에는 통일된 정서법은 존재하지 않지만[19][20][21], 여러 표기법이 시도되고 있다. 이들 모두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요소는 라틴 문자를 기초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Frans Mol에 따르면, 마사이어가 처음 활자로 표기된 것은 1854년 선교사 Johann Ludwig Krapf|요한 루드비히 크라프영어가 저술한 ''Vocabulary of the Engutuk Eloikob''에 의해서이다[22]. 그 후 Hollis (1905)와 Tucker & Mpaayei (1955)에도 유사한 형식이 계승되었으며, 오리건 대학교의 Doris L. Payne 등에 의한 성조를 반영한 표기[23]도 나타났다.

Payne & Ole-Kotikash (2008)음가비고
aa는 의 이음[18]
bb
chcsh의 이음
dd
eeAdvanced and retracted tongue root|전진 설근영어
ɛAdvanced and retracted tongue root|후퇴 설근영어
gg
불명h
ii전진 설근
ɨ후퇴 설근
jj
kk모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유성음화되어 가 되는 경향이 있다[23]
ll
mm
nn경구개음이나 치경구개음 앞에서는 , 연구개음 앞에서는 이 된다[23]
nyny
ng'ŋng'의 철자는 스와힐리어에서의 표기법[23]。Allan (1990:179)도 참조.
oo전진 설근
ɔ후퇴 설근
pp모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유성음화되어 가 될 수 있다[23]
rr
rrrr
ss
shshch/c로 변형될 수 있다
tt
uu전진 설근
ʉ후퇴 설근
ww
wuwu
yy
yiyi
'


5. 어휘

단어의미비고
ɨl-Máásâɨ̂mas마사이족마사이족의 자칭, "마어(語)를 말하는 사람"이라는 뜻.[29] 복수형. 단수·대격 형태는 ɔl-Máásanímas.
ɔ-lɛ́ɛmas남자[30]
ɔl-payíánmas올바얀전사에서 은퇴한 기혼 남성[31]; 남편
en-kitókmas여자[32]
ɛnk-ayíónimas소년할례를 하기 전
en-títōmas소녀
ɨl-mʉ́rranmas전사, 모란[33] 복수형. 단수·대격 형태는 ɔl-mʉ́rránimas (올무라니[33])
ɔl-cɔrɛ́mas(남성의) 친구
ɛn-corúɛ́tmas(여성의) 친구
nabômas1
arémas2
unímas3
(에와소 나이로비)찬물e-wúásomas 〈강〉와 Naɨrɔ́bɨmas 〈찬〉의 합성어. 케냐의 수도 나이로비의 지명 유래.
ol-dóínyómas[34] (참조: 올도이뇨 렝가이)
ol-reyíɛ́tmas / e-wúásomas
ɛnk-árɛ́mas[35]
ɔ-sɨ́nyáímas모래
in-kulupúókmas
ol-canímas나무[36] 복수·대격 형태는 ɨl-keékmas
o-sóítmas바위
ɛn-kɔ́pmas대지; 지구[37]
(오루아니 케리)치타
ɔl-ŋátúnymas사자
ɔl-ŋɔjɨ́nɛ̀mas하이에나[38]
olkáncáóímas / ɔltɔ́mɛ́mas / ɔ-lɛ́nkāɨ̄nāmas코끼리[39]
ɔ-ɛ́kɛnymas비비
ol-óítíkómas얼룩말
ɔl-mɛʉ́tmas기린
ɔl-árrɔmas물소
ol-dîâmas
o-síkiriamas당나귀
ɛn-kɨ́tɛ́ŋmas암소[40] 복수·대격 형태는 in-kíshúmas
en-kínémas염소[41]
en-kérrmas[41]



다음은 대화에서 사용되는 표현이다.

6. 사용 현황 및 보존 노력

마사이족은 동아프리카에서 유럽 언어와 스와힐리어의 확장에 저항해왔다. 마사이족 화자들은 그들의 언어를 사용하여 빈번하게 교역을 한다. 그러나 동아프리카의 다른 민족 집단과의 긴밀한 접촉과 공용어로서 영어의 부상은 마사이족 화자의 감소로 이어졌다. 탄자니아의 전 대통령인 니에레레는 탄자니아의 다양한 민족 집단을 통합하기 위해 스와힐리어를, 세계적인 경쟁을 위해 영어를 공식 언어로 채택하도록 권장했다.[14] 마사이어를 지칭하는 Maa라는 언어가 영어와 스와힐리어 교육 시스템, 경제 계획 등의 대규모 유입에도 불구하고 살아남았지만, 동아프리카에서 마사이족이 직면한 사회경제적 환경은 그들과 그들의 언어를 소수 민족으로 계속 남게 한다.[6]

마사이족의 생활 방식은 그들의 언어에 깊이 내재되어 있다. 특히 마사이족이 유목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의존하는 경제 시스템은 소수 지위에도 불구하고 마사이어의 생존에 의존한다. 언어 소멸의 위협으로 마사이족은 계속 위협받을 것이고, 그들의 문화적 정체성은 위협받을 것이다.[15] 현재 언어가 직면한 소수 지위는 이미 전통적인 마사이족 관습을 위협하고 있다. 점점 더 적은 수의 마사이족 집단이 해당 지역에서 유목 생활을 계속하며, 대신 그들의 언어와 문화의 다른 측면을 유지하기 위해 긴밀한 지역 사회에 정착하는 것을 선택하고 있다.[14]

7. 구전 문학

알프레드 클로드 홀리스는 1905년에 《마사이족: 그들의 언어와 민속》을 출판했는데, 여기에는 마사이어 문법과 함께 마사이어와 영어 번역본이 실려 있다.[7] 이 책에는 이야기,[8] 신화,[9] 속담,[10] 수수께끼,[11] 그리고 노래[12](가사는 있지만 음악은 없음)가 포함되어 있으며, 마사이어로 설명된 관습과 신념도 들어 있다.[13]

다음은 몇 가지 속담이다.



다음은 몇 가지 수수께끼다.

8. 분류

마사이어는 다음과 같은 하위 방언들로 나뉜다.



또한, 삼부루어가 마사이어와 계통이 가까운 언어로 알려져 있다.

참조

[1]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2] 웹사이트 The Maasai (Maa) Language http://darkwing.uore[...] 2017-08-02
[3] 서적 Describing morphosyntax: A guide for field linguist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English - Maa https://darkwing.uor[...] 2020-03-26
[5] 서적 Maasai gender in typological perspective http://journals.ling[...] University of Oregon and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6] 서적 The Maasai Language: an Introduction Bloomington
[7] 서적 The Masai: Their Language and Folklore. https://archive.org/[...]
[8] 문서 Hollis 1905 https://archive.org/[...]
[9] 문서 Hollis 1905 https://archive.org/[...]
[10] 문서 Hollis 1905 https://archive.org/[...]
[11] 문서 Hollis 1905 https://archive.org/[...]
[12] 문서 Hollis 1905 https://archive.org/[...]
[13] 문서 Hollis 1905 https://archive.org/[...]
[14] 간행물 Sustainability and Livelihood Diversification among the Maasai of Northern Tanzania 2003-06-01
[15] 간행물 Meeting the Maasai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op. cit.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웹사이트 4. Maasai Words (Morphology) http://darkwing.uore[...] 2016-10-19
[27] 문서
[28] 문서
[29] 서적 ぼくはマサイ ライオンの大地で育つ さえら書房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서적 杜 2015
[37] 서적 杜 2015
[38] 서적 杜 2015
[39] 서적 杜 2015
[40] 서적 杜 2015
[41] 서적 杜 2015
[42] 간행물 Maasai https://www.ethnolog[...] 에스놀로그 2018
[43] 웹인용 The Maasai (Maa) Language http://darkwing.uore[...] 2017-08-02
[44] 서적 Describing morphosyntax: A guide for field linguist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45] 웹인용 English - Maa https://darkwing.uor[...] 2020-03-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