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쓰다이라 사다시게 (1644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쓰다이라 사다시게는 이요마쓰야마번의 마쓰다이라 사다요리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1657년 마쓰다이라 사다요시의 양자가 되어 구와나번주가 되었으며, 호에이 7년(1710년) 노무라 소동으로 인해 에치고 다카다번으로 이봉되었다. 쇼토쿠 2년(1712년) 아들 마쓰다이라 사다미치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했으며, 교호 2년(1717년) 7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와나번주 - 혼다 다다카쓰
혼다 다다카쓰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긴 도쿠가와 사천왕 중 한 명이며, 뛰어난 무용과 용맹함으로 불패의 무장으로 이름을 떨치며 이에야스의 천하 통일에 크게 기여했다. - 구와나번주 - 마쓰다이라 사다나가 (1791년)
마쓰다이라 사다나가는 1791년 마쓰다이라 사다노부의 아들로 태어나 시라카와 번과 구와나 번의 번주를 역임했으며, 재정난 속에서 가신 감봉 등을 실시했으나, 1838년 사망했다. - 다카다번주 - 호리 히데하루
호리 히데하루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아버지의 사망으로 가독을 상속받아 분로쿠의 역에 참전하고 후시미 성 공사에 기여했으며, 에치고 가스가야마 영주로 봉해진 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공을 세웠다. - 다카다번주 - 사카이 다다카쓰 (1594년)
사카이 다다카쓰는 에도 시대 초기의 다이묘로, 도쿠가와 히데타다에게 '다다' 자를 받아 이름 지어졌으며, 구나이타이호 서임 후 다카다 번, 마쓰시로 번을 거쳐 쇼나이 번의 초대 번주를 지냈고, 쇼나이번 통치 시기 가혹한 징세와 후계 문제로 백성들의 불만을 샀다. - 1717년 사망 - 김춘택
김춘택은 조선 숙종 때의 문신으로 인경왕후의 친정 조카이며, 인현왕후 복위 추진, 장희재 처를 이용한 남인 제거 등에 기여했으나 간통 및 영조 관련 소문으로 비판받아 유배되었고 고종 때 복권되었다. - 1717년 사망 - 정극상
정극상은 정씨왕국의 연평군왕으로, 풍석범의 섭정 하에 통치하다가 청나라의 침공으로 항복하여 베이징에서 사망했다.
마쓰다이라 사다시게 (1644년) | |
---|---|
기본 정보 | |
이름 | 마쓰다이라 사다시게 |
이명 | 만키치 (어린 시절 이름), 사다시게 |
계명 | 엔쿄인덴 쇼요 조신 치호 다이코지 |
관위 | 종5위하 엣추노카미 |
막부 | 에도 막부 |
주군 | 도쿠가와 이에쓰나 → 쓰나요시 → 이에노부 |
씨족 | 히사마쓰 마쓰다이라 가문 사다카쓰 계통 |
생년월일 | 간에이 21년 11월 16일 (1644년12월 15일) |
사망일 | 교호 2년 10월 27일 (1717년11월 29일) |
가계 | |
부모 | 마쓰다이라 사다요리, 교고쿠 다카히로 딸・요센인 |
양부 | 마쓰다이라 사다요시 |
형제자매 | 신슈인, 사카이 다다나오 정실, 사다모리, 쇼주인, 사다나가, 센주인, 사다시게 |
배우자 | 마에다 도시쓰네 7녀・마쓰히메 |
측실 | 고마이 씨, 사사오 씨, 이노우에 씨 |
자녀 | 사다토미, 사다미치, 사다노리, 미즈노 다다사다, 사다히로, 야규 도시히라, 사다토시, 후쿠히메, 마쓰다이라 다다마사 부인, 마쓰다이라 무네야 정실 등 |
양자 | 이요 |
경력 | |
봉직 | 도쿠가와 이에쓰나, 도쿠가와 쓰나요시, 도쿠가와 이에노부 |
번 | 이세 구와나번 번주 → 에치고 다카다번 번주 |
전임 및 후임 | |
구와나 번주 | 전임자: 마쓰다이라 사다요시 후임자: 마쓰다이라 다다마사 임기: 1657년 ~ 1710년 |
다카다 번주 | 전임자: 도다 다다자네 후임자: 마쓰다이라 사다미치 대수: 1 임기: 1710년 ~ 1712년 |
2. 생애
이요국마쓰야마번주 마쓰다이라 사다요리의 셋째 아들로 태어나, 이세 구와나번의 선대 번주 마쓰다이라 사다요시의 양자가 되었다. 1657년(메이레키 3년) 구와나 번주가 되었다. 1710년(호에이 7년) 5월, 군다이 노무라 조에몬을 경리상의 부실로 참수하고, 조에몬의 친족 44명과 관계자 370명을 사형, 추방, 파면 등의 처분을 내린 노무라 소동이 발생했다. 그 지나친 처벌이 막부의 불만을 사, 같은 해 윤8월 15일에 에치고 다카다번 11만 3000석으로 이봉되었다. 1712년(쇼토쿠 2년) 9월 7일, 다섯째 아들 사다미치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했으며, 1717년(교호 2년) 10월 27일에 74세로 사망했다.
2. 1. 출생과 가계
이요국마쓰야마번주 마쓰다이라 사다요리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이세 구와나번의 선대 번주 마쓰다이라 사다요시의 양자가 되었다.2. 2. 구와나 번주 시절
1657년(메이레키 3년), 마쓰다이라 사다요시의 양자가 되어 이세 구와나 번의 번주가 되었다. 1710년(호에이 7년) 5월, 군다이 노무라 조에몬을 경리상의 부실로 참수하고, 조에몬의 친족 44명과 관계자 370명을 사형, 추방, 파면 등의 처분을 내린 노무라 소동이 발생했다. 그 지나친 처벌이 막부의 불만을 사, 같은 해 윤8월 15일에 에치고 다카다 번 11만 3000석으로 이봉되었다.2. 3. 다카다 번주 시절과 은거
호에이 7년(1710년) 5월, 군다이 노무라 조에몬을 경리상의 부실로 참수하고, 조에몬의 친족 44명과 관계자 370명을 사형, 추방, 파면 등의 처분을 내린 사건(노무라 소동)이 발생했다. 그 지나친 처벌이 막부의 불만을 사, 같은 해 윤8월 15일에 에치고 다카다번 11만 3000석으로 이봉되었다. 쇼토쿠 2년(1712년) 9월 7일, 다섯째 아들 사다미치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했으며, 교호 2년(1717년) 10월 27일에 74세로 사망했다.3. 가계
구분 | 내용 |
---|---|
부모 | 마쓰다이라 사다요리(친아버지), 교고쿠 다카히로의 딸 양선원(친어머니), 마쓰다이라 사다요시(양아버지) |
정실, 계실 | 마에다 토시츠네의 일곱째 딸 마쓰히메(정실), 코마이 씨(계실) |
측실 | 사사오 씨, 이노우에 씨 |
자녀 | |
양녀 | 게이코인 이요(고토 모리나가 계실 후 혼다 스케요시 정실) |
3. 1. 부모
- 마쓰다이라 사다요리 (친아버지)
- 양선원 - 교고쿠 다카히로의 딸 (친어머니)
- 마쓰다이라 사다요시 (양아버지)
3. 2. 처
- 정실: 마에다 토시츠네의 일곱째 딸 마쓰히메
- 계실: 코마이 씨
- 측실: 사사오 씨
- 측실: 이노우에 씨
3. 3. 측실
- 사사오 씨
- 이노우에 씨
3. 4. 자녀
이름 | 비고 |
---|---|
마쓰다이라 사다토미 | 넷째 아들 |
마쓰다이라 사다미치 | 다섯째 아들, 생모는 코마이 씨 (계실) |
마쓰다이라 사다노리 | 여섯째 아들, 생모는 사사오 씨 (측실) |
미즈노 타다사다 | 아홉째 아들, 생모는 이노우에 씨 (측실) |
야규 토시히라 | 열한째 아들 |
마쓰다이라 사다토시 | 열두째 아들 |
마쓰다이라 사다히로 | |
후쿠히메 | 시마즈 요시타카 정실 |
마쓰다이라 타다마사의 부인 | |
마쓰다이라 무네야 정실, 후 교고쿠 타카히데 계실 | |
양녀 | |
이요 | 게이코인, 고토 모리나가 계실 후 혼다 스케요시 정실 |
3. 5. 양녀
이름 | 설명 |
---|---|
이요 | 게이코인, 고토 모리나가 계실 후 혼다 스케요시 정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