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쓰다이라 요리사다 (1664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쓰다이라 요리사다(1664년)는 에도 시대 중기의 다이묘이다. 간분 4년(1664년)에 태어나 겐로쿠 6년(1693년)에 가독을 상속받았으며, 겐로쿠 13년(1700년)에 무쓰 국 모리야마로 이봉되었다. 겐분 4년(1739년)에는 오와리번주 도쿠가와 무네하루에게 칩거를 전하는 사자를 맡았고, 간포 3년(1743년)에 은거한 후 엔쿄 원년(1744년)에 8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많은 자녀를 두었으며, 일부 아들은 다른 가문의 양자로 들어가 가문을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누카다번주 - 마쓰다이라 요리모토 (1629년)
마쓰다이라 요리모토는 도쿠가와 요리후사의 넷째 아들로, 형 도쿠가와 미쓰쿠니로부터 영지를 받아 다이묘가 되었으며, 와카를 좋아하여 가집을 저술하고 다도를 배운 인물이다. - 모리야마번주 - 마쓰다이라 요리유키 (1858년)
에도 시대 말기에서 메이지 시대 초기에 걸쳐 활약한 마쓰다이라 요리유키는 도쿠가와 나리아키의 아들로 태어나 마쓰다이라 요리마사의 양자가 되었고, 폐번치현 후 마쓰카와 현의 현 지사를 역임했으나 16세에 요절했다. - 모리야마번주 - 마쓰다이라 요리노리 (1832년)
마쓰다이라 요리노리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이자 메이지 시대의 자작으로, 모리야마 번주 마쓰다이라 요리토모의 양자가 되어 번주 자리를 계승했으며, 덴구당의 난 수습, 오우에쓰 열번 동맹 가담 시도 후 신정부군에 항복, 메이지 유신 이후 지번사가 되었으나 병으로 은거했다. - 모리야마 마쓰다이라가 - 모리야마번
모리야마번은 미토번에서 분가되어 히타치국 누카다에서 시작하여 무쓰국 모리야마로 영지를 옮겼으며, 막말에는 덴구토의 난에 연루되고 보신 전쟁에서 항복한 후 마쓰카와번으로 개칭되었다. - 모리야마 마쓰다이라가 - 누카다번
누카다번은 1661년부터 1700년까지 존속한 번으로, 도쿠가와 요리후사의 아들인 마쓰다이라 요리모토가 미토 번에서 분할받아 세워졌으며, 산킨고타이 의무는 없었으나 1700년에 모리야마번으로 이전하며 폐지되어 구 영지는 미토 번에 반환되었다.
마쓰다이라 요리사다 (1664년) | |
---|---|
기본 정보 | |
씨족 | 미토 도쿠가와 가문 지류 모리야마 마쓰다이라 가문 |
묘소 | 이바라키현히타치오타시의 즈이류산 |
이명 | 호: 의산 |
사망 | 엔쿄 원년 8월 3일 (1744년9월 9일) |
출생 | 간분 4년 1월 25일 (1664년2월 21일) |
시대 | 에도 시대 전기 - 중기 |
부모 | 아버지: 마쓰다이라 요리모토, 어머니: 오가사와라 다다자네 딸・가네 |
형제 | 인, 요리사다, 유키, 혼다 다다쿠니, 요리아이, 고사부로, 나가, 야야, 기쿠, 모토, 이야 |
배우자 | 정실: 미네히메 측실: 시게 |
자녀 | 요리나오, 요리히로, 사다카타, 쓰지히메, 요리타카, 요리나리, 가쓰노스케, 시치로, 소메히메, 요메히메 |
관직 | |
관위 | 종사위하시종, 대학두, 좌근위소장 |
막부 | 에도 막부 |
주군 | 도쿠가와 쓰나요시→이에노부→이에쓰구→요시무네 |
번 | 히타치누카다번 번주→무쓰모리야마번 번주 |
번주 정보 | |
누카다 번 | 후임자: 마쓰다이라 요리히로 대수: 2대 임기: 1693년 ~ 1700년 |
모리야마 번 | 후임자: 대수: 1대 임기: 1700년 ~ 1743년 |
2. 생애
마쓰다이라 요리사다는 에도 시대 전기의 다이묘이다. 간분 4년(1664년) 마쓰다이라 요리모토의 장남으로 태어나 겐로쿠 6년(1693년) 가독을 상속받았다. 이후 영지를 옮기고 오와리번주 도쿠가와 무네하루에게 칩거를 명하는 사자로 파견되는 등 활동하다 간포 3년(1743년) 은거하였고, 엔쿄 원년(1744년)에 사망하였다.
2. 1. 가독 상속과 이봉
간분 4년(1664년) 1월 25일, 마쓰다이라 요리모토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오구라 번주 오가사와라 타다자네의 딸 가네이다. 겐로쿠 6년(1693년), 아버지가 사망하자 그 뒤를 이어 가독을 상속받았다.겐로쿠 13년(1700년) 9월 25일, 누카타에서 무쓰 국 모리야마로 영지를 옮겼다(이봉).
2. 2. 말년
겐분 4년(1739년), 오와리번주 도쿠가와 무네하루에게 칩거를 전하는 사자를 맡았다. 간포 3년(1743년) 10월 28일, 가독을 삼남 요리히로에게 물려주고 은거했다. 이듬해 엔쿄 원년(1744년) 8월 3일에 향년 81세로 사망했다.3. 계보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을 피해 생략)
3. 1.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정실 | 봉희 | 하치스카 다카시게의 차녀 |
측실 | 사쿠라이 씨 | |
장녀 | 염희 | 오가사와라 나가히로의 정실 |
차녀 | 센히메 | |
측실 | 하시모토 씨 | |
장남 | 가쓰노스케 | |
측실 | 니시카와 씨 | |
삼녀 | 요메히메 | 호소카와 오키오의 정실 |
사녀 | 스메히메 | |
차남 | 마쓰다이라 요리나오 | |
측실 | 시게(마쓰모토 씨) | |
오녀 | 타메히메 | |
삼남 | 마쓰다이라 요리히로 | |
사남 | 시치로 | |
육녀 | 쓰지히메 | 하치스카 무네카즈의 약혼자였으나, 이후 호리 나오타카의 정실이 됨 |
오남 | 마쓰다이라 요리타카 | 마쓰다이라 요리타카의 양자 |
육남 | 마쓰다이라 사다카타 | 마쓰다이라 사다요시의 양자 |
칠남 | 마쓰다이라 요리즈미 | 마쓰다이라 요리유키의 양자 |
요리사다는 많은 아들을 두었으며, 겐분(元文)에서 간포(寛保) 시대 사이에 오남 마쓰다이라 요리타카가 다카마쓰 마쓰다이라 가문을, 칠남 마쓰다이라 요리즈미가 이시오카 마쓰다이라 가문을 계승했다. 이후 분카 연간(19세기 초) 이후 본가인 미토 번의 번주 도쿠가와 하루토시와 도쿠가와 나리아키의 아들들이 양자로 들어오기 전까지, 미토 도쿠가와 가문의 고렌시(御連枝) 4가 중 시시도 마쓰다이라 가문을 제외한 3가가 요리사다의 후손들로 채워졌다. 그 외에도 육남 마쓰다이라 사다카타는 신판 히사마쓰 마쓰다이라 가문을 이었다.
3. 2. 혈통
관계 | 이름 | 자녀 | 비고 |
---|---|---|---|
정실 | 봉희 | 하치스카 다카시게의 차녀 | |
측실 | 사쿠라이 씨 | 장녀: 염희 | 오가사와라 나가히로 정실 |
차녀: 센히메 | |||
측실 | 하시모토 씨 | 장남: 가쓰노스케 | |
측실 | 니시카와 씨 | 삼녀: 요메히메 | 호소카와 오키오 정실 |
사녀: 스메히메 | |||
차남: 요리나오 | |||
오녀: 타메히메 | |||
측실 | 시게(마쓰모토 씨) | 삼남: 요리히로 | |
사남: 시치로 | |||
육녀: 쓰지히메 | 하치스카 무네카즈의 약혼자, 이후 호리 나오타카 정실 | ||
오남: 요리타카 | 마쓰다이라 요리토요의 양자 | ||
육남: 사다카타 | 마쓰다이라 사다요시의 양자 | ||
칠남: 요리즈미 | 마쓰다이라 요리유키의 양자 |
요리사다는 많은 아들을 두었다. 겐분(元文)에서 간포(寛保) 시대 사이에 오남 요리타카가 다카마쓰 마쓰다이라 가문을, 칠남 요리즈미가 이시오카 마쓰다이라 가문을 이었다. 이후 분카(文化) 연간(19세기 초) 이후 본가인 미토 번주 도쿠가와 하루토시와 나리아키의 아들들이 양자로 들어갈 때까지, 미토 도쿠가와 가문의 연지(連枝) 4가문 중 시시도 마쓰다이라 가문을 제외한 3가문이 요리사다의 혈통으로 채워졌다. 그 외에도 육남 사다카타가 신판 히사마쓰 마쓰다이라 가문을 이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