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 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크 놀은 미국의 기독교 역사학자이자 작가이다. 밴더빌트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휘튼 대학교와 노트르담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그는 미국 복음주의 운동 내의 반지성주의적 경향을 비판한 《복음주의 정신의 스캔들》을 저술했으며, 2006년 국립 인문학 메달을 수여받았다. 그는 복음주의와 가톨릭 신자들 간의 협력 필요성을 표명하는 문서에 서명했으며, 다수의 저서를 통해 복음주의 신념과 태도에 대한 이해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교사학자 - 조르주 뒤메질
프랑스의 비교종교학자이자 인도유럽학자인 조르주 뒤메질은 인도유럽 신화와 사회 구조 연구, 특히 사회를 사제, 전사, 생산자로 구분하는 삼기능 가설로 알려져 있으며, 학계에서 높은 명성을 얻었으나 정치적 성향에 대한 논쟁도 있다. - 종교사학자 - 아브라함 카이퍼
아브라함 카이퍼는 신칼뱅주의를 주창하고 영역 주권 사상을 발전시킨 네덜란드의 신학자이자 정치인, 언론인으로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를 설립하고 네덜란드 총리를 역임했으며, 기독교적 가치관에 기초한 사회 보수주의를 주창하며 네덜란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개신교 신학자 -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비폭력 저항으로 미국 시민권 운동을 이끈 미국의 목사이자 사회 운동가, 인권 운동가로,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워싱턴 대행진 등을 주도하며 인종차별 철폐를 위해 투쟁했고, 그의 업적과 비폭력 저항 사상은 미국 사회와 전 세계 인권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 미국의 개신교 신학자 - 피터 L. 버거
피터 L. 버거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사회학자로서, 사회학을 인문학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사회적 현실 구성 과정을 설명했으며, 종교 사회학 분야에서 현대 사회의 종교적 역할을 탐구했다. - 노터데임 대학교 교수 - 스탠리 하우어워스
스탠리 하우어워스는 서사 신학과 탈자유주의 신학에 기반하여 신학적, 철학적 관점을 제시하며 교회 공동체의 중요성, 기독교 평화주의 옹호, 신학과 윤리의 통합을 주장하는 미국의 신학자이자 윤리학자이다. - 노터데임 대학교 교수 - 에이미 코니 배럿
에이미 코니 배럿은 미국의 법조인으로, 2020년부터 미국 연방 대법원 대법관으로 재직하고 있으며, 문언주의와 원론주의를 지향하는 보수적인 성향의 독실한 가톨릭 신자이다.
마크 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Mark Allan Noll |
출생일 | 1946년 7월 18일 |
출생지 | 아이오와 시티, 아이오와 미국 |
국적 | 미국 |
학력 | |
모교 | 휘튼 칼리지 아이오와 대학교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교 밴더빌트 대학교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Church Membership and the American Revolution |
박사 학위 논문 년도 | 1975년 |
경력 | |
직장 | 휘튼 칼리지 노트르담 대학교 리젠트 칼리지 |
주목할 만한 학생 | 존 G. 스택하우스 주니어 |
연구 | |
학문 분야 | 역사 |
수상 | |
수상 | 국가 인문학 훈장 (2006년) |
기타 수상 | 2005년 미국 타임지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복음주의자 25명 선정 |
기타 |
2. 생애
1946년 7월 18일 출생하였다.[4] 학부 과정은 휘튼 대학교에서 영어학을 전공했으며, 이후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영어 석사 학위를,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교에서 교회사 및 신학 석사 학위를, 그리고 밴더빌트 대학교에서 기독교 역사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놀은 조지 마스든, 네이선 오. 해치, 데이비드 베빙턴 등 다른 역사가들과 함께 과거와 현재의 복음주의 신념과 태도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크게 기여했다.[8] 특히 그는 많은 학자들과 일반인들에게 "미국은 기독교 국가인가?"라는 질문에 내재된 복잡성을 더욱 깊이 깨닫게 했다.[8] 휘튼 대학교 재직 시절에는 네이선 해치와 함께 미국 복음주의 연구소(ISAE)를 공동 설립하고 1982년부터 2014년까지 이끌며 미국 복음주의 연구의 지평을 넓혔다.[5]
마크 놀은 다작의 저술가로, 그의 많은 저서들은 학계에서 상당한 평가를 받았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노트르담 대학교에서 교수로 임용되기 전, 놀은 휘튼 대학교에서 27년간 역사 및 신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맥매니스 기독교 사상 교수직을 역임했다. 휘튼 대학교 재직 시절, 동료 교수인 네이선 해치와 함께 미국 복음주의 연구소(ISAE)를 공동 설립하여 1982년부터 2014년까지 이끌었다.[5]
놀은 활발한 저술 활동을 펼쳤으며, 그의 저서 다수는 학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미국 복음주의 운동 내부의 반지성주의적 경향을 비판적으로 분석한 "《복음주의 정신의 스캔들》(The Scandal of the Evangelical Mind)"은 종교계와 일반 언론 모두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6] 이러한 학문적 기여를 인정받아 2006년에는 조지 W. 부시 대통령으로부터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국립 인문학 메달을 수여받았다.[7]
1994년에는 미국 내 복음주의자와 가톨릭 지도자 간의 협력 증진 필요성을 제기한 '복음주의자와 가톨릭 신자들 함께'(Evangelicals and Catholics Together) 선언문에 서명하기도 했다.
놀은 조지 마스든, 네이선 해치, 데이비드 베빙턴 등 저명한 역사가들과 함께 복음주의의 역사와 신념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의 연구는 "미국은 기독교 국가인가?"라는 질문에 담긴 복잡한 측면들을 많은 이들이 깊이 성찰하도록 이끌었다.[8]
2006년부터 2016년까지는 노트르담 대학교 역사학과에서 가르쳤다. 그는 은퇴한 조지 마스든 교수의 뒤를 이어 노트르담 대학교의 프랜시스 A. 맥애너니 역사학 석좌교수직을 맡았다.[9] 놀은 노트르담으로 이직하면서 휘튼 시절보다 더 적은 과목에 집중하며 연구에 몰두할 수 있게 되었다고 밝혔다.[10]
3. 학문적 기여 및 평가
놀은 다작의 저술가이며 그의 많은 저서들은 학계에서 상당한 찬사를 받았다. 특히 미국 복음주의 운동 내의 반지성주의적 경향을 비판적으로 분석한 저서 "《복음주의 정신의 스캔들》(The Scandal of the Evangelical Mind)"은 종교 및 세속 언론 모두에서 널리 다루어지며 큰 반향을 일으켰다.[6] 이러한 학문적 공로를 인정받아 2006년에는 조지 W. 부시 대통령으로부터 오벌 오피스에서 국립 인문학 메달을 수여받았다.[7]
또한, 1994년에는 미국 내 복음주의와 가톨릭 지도자 간의 더 큰 협력 필요성을 강조하는 선언문인 복음주의자와 가톨릭 신자들 함께(Evangelicals and Catholics Together)에 서명하며 종교 간 대화와 이해 증진에도 기여했다.
4. 주요 저서
5. 신학적 관점 및 비판
마크 놀은 미국 기독교 역사와 신학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를 수행한 학자이다. 그는 특히 복음주의 진영 내부에 존재하는 반지성주의 경향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신앙과 지성의 통합을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의 대표적인 저작인 《복음주의 지성의 스캔들》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잘 드러낸다. 또한 놀은 미국 역사 속에서 종교와 정치의 관계를 깊이 탐구하며, 미국을 단순히 기독교 국가로 정의하는 관점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그는 미국 사회의 종교적 다원성을 인정하고, 기독교인들이 다른 신념을 가진 사람들과 협력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5. 1. 복음주의와 반지성주의 비판
마크 놀은 그의 대표적인 저서 중 하나인 《복음주의 지성의 스캔들》(''The Scandal of the Evangelical Mind'')을 통해 기독교인 사회, 특히 복음주의 진영 내부에 존재하는 반지성주의 경향을 비판적으로 분석했다.[11] 그는 성서가 예수 그리스도를 세상과 그 안에 있는 모든 것을 지탱하는 존재로 설명하고 있음을 강조하며, 이를 믿는다고 고백하는 복음주의자라면 세상과 그 안에 있는 모든 것을 지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놀은 이러한 지적 탐구가 신앙과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신앙 안에서 추구해야 할 본질적인 요소임을 분명히 했다.그는 책의 서문에서 다음과 같이 자신의 입장을 명확히 밝혔다.
성서는 예수 그리스도를 세상과 그 안에 있는 모든 것을 지탱하시는 분으로 묘사한다. 이 성서를 믿는다고 고백하는 복음주의자들은 세상과 그 안에 있는 모든 것을 지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에 전심을 다해야 하며, 이런 작업을 부끄러워하거나 혼란스러워하지 않아야 한다.…예수 그리스도를 바라보는 신앙 안에는 지성적인 진지함, 성실함, 엄밀함에 대한 본원적인 소망이 존재한다.
이러한 주장을 통해 놀은 복음주의자들이 지성적인 활동을 회피하거나 경시하는 태도를 버리고, 신앙과 지성의 조화로운 통합을 추구해야 할 필요성을 역설했다.
5. 2. 종교와 정치의 관계
마크 놀은 미국의 종교와 정치의 관계에 대해 깊이 연구했다. 그는 나단 해치, 조지 마즈든과 함께 쓴 ''The Search for Christian America''(1989)에서 미국이 기독교와 비기독교의 혼합으로 형성된 나라이므로, 기독교 국가로 단정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놀은 미국이 영국과 달리 헌법에 성경 구절을 명시하거나 국기에 기독교 상징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는 미국이 기독교 국가라는 전제를 부정할 뿐 아니라 타 종교에 대한 관용의 근거가 된다고 설명했다. 이 책에서는 제임스 매디슨, 존 위더스푼과 같은 인물에 대한 설명도 다루면서, 기독교인들이 비기독교인들과의 공통점을 찾아 협력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또한, ''One Nation Under God? Christian Faith & Political Action in America''(1988)에서는 1800년 대선 당시 토머스 제퍼슨의 당선에 대한 기독교계의 반응을 통해 초기 미국 역사 속 종교와 정치의 긴장 관계를 조명했다. 당시 일부 장로교인들과 회중교인들은 제퍼슨의 당선을 우려했으며, 제퍼슨 당선 후 프린스턴 대학교 건물 화재 사건이 발생하자 당시 학장이었던 스탠호프는 이를 미국 기독교의 위기로 해석하며 설교하기도 했다.
참조
[1]
논문
Church Membership and the American Revolution: An Aspect of Religion and Society in New England from the Revival to the War for Independence
Vanderbilt University
[2]
웹사이트
Mark Noll Faculty Regent College
http://www.regent-co[...]
2017-01-04
[3]
뉴스
Religion: The 25 most influential evangelicals in America
https://web.archive.[...]
Time Magazine
2007-10-16
[4]
웹사이트
Noll, Mark A. 1946-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5]
뉴스
The Institute for the Study of American Evangelicals closes
http://www.wheatonre[...]
The Wheaton Record
2014-11
[6]
간행물
The opening of the evangelical mind
https://www.theatlan[...]
Atlantic Monthly
2000-10
[7]
웹사이트
President Bush Announces 2006 National Medal of Arts and National Humanities Medal Recipients
https://georgewbush-[...]
Office of the Press Secretary
2007-11-22
[8]
서적
The Search for Christian America
Helmers & Howard Publishing
[9]
뉴스
Mark Noll leaving Wheaton for Notre Dame
http://www.christian[...]
Christianity Today
2007-10-16
[10]
웹사이트
University of Notre Dame, Faculty Profile for Mark A. Noll
https://web.archive.[...]
2006-12-20
[11]
서적
America's God : from Jonathan Edwards to Abraham Lincoln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