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틴 유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틴 유덴은 외교관이자 작가이다. 그는 1978년 외교부에 입부하여 한국, 서독, 캐나다 등에서 근무했으며, 샌프란시스코 주재 영국 총영사, 주한 영국 대사를 역임했다. 2012년 런던 올림픽 기간에는 영국 무역 투자청 상무이사로 활동했고,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대북제재 위원회 전문가 패널 조정관을 맡아 북한 문제를 다루었다. 퇴직 후에는 HSBC에서 근무했으며, 영국한국협회 회장, 런던 퀸메리 대학교 국제 고문, 국가기록원 자문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한국에서 보낸 시간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주재 영국 대사 - 콜린 크룩스
영국의 외교관 콜린 크룩스는 1992년 외무부에 입성하여 주한 영국 대사관 근무, 주북한 영국 대사 대리, 주북한 대사를 역임 후 2022년부터 주한 영국 대사로 재임 중이다. - 대한민국 주재 영국 대사 - 사이먼 스미스
사이먼 스미스는 영국의 외교관으로, 옥스퍼드 대학교 워덤 칼리지에서 현대 언어학 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오스트리아, 우크라이나, 스위스, 리히텐슈타인 주재 영국 대사를 지냈고,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주한 영국 대사를 역임하며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지지하고 양국 간 협력 증진을 위해 노력했다. - 영국의 대외 관계 - 워싱턴 회담
워싱턴 회담은 제1차 세계 대전 후 미국 주도로 1921년부터 1922년까지 워싱턴 D.C.에서 개최된 9개국 국제 회의로, 해군 군비 제한, 태평양 지역 질서 재편, 중국 문제 등을 논의하여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 등 일련의 조약을 체결하고 만주사변 이전까지 동아시아 국제 질서를 규정하는 워싱턴 체제를 성립시켰다. - 영국의 대외 관계 - 특별한 관계
영국과 미국 간의 긴밀한 외교, 정치, 경제, 군사적 협력 관계인 특별한 관계는 윈스턴 처칠에 의해 강조되었고 2차 세계 대전 이후 협력과 냉전 시대 공통 목표를 통해 강화되었으며, 때로는 긴장이 발생하지만 역사적으로 깊고 지속적인 유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 영국의 외교관 - 제1대 세실오브첼우드 자작 로버트 세실
제1대 세실오브첼우드 자작 로버트 세실은 영국의 변호사이자 정치인, 외교관으로 국제 연맹 창설에 기여하고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며, 국제 연합을 지지하며 활동했다. - 영국의 외교관 - 앤서니 이든
앤서니 이든은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보수당 하원의원, 외무부 차관, 외무장관을 역임하고 국제연맹을 통한 평화 유지에 힘썼으나, 수에즈 위기의 실패로 총리직에서 사임한 후 에이번 백작 작위를 받았다.
마틴 유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마틴 유덴 |
원어명 | Martin Uden |
출생일 | 1955년 2월 28일 |
국적 | 영국 |
직업 | 외교관 |
경력 | |
활동 기간 | 1977년 ~ 현재 |
2. 외교 경력
유덴은 1978년 외교부에 입부하여 한국, 서독, 캐나다에서 근무했다. 그는 공관장으로서 처음에는 샌프란시스코 주재 영국 총영사를, 그 다음에는 주한 영국 대사를 역임했다.
런던 올림픽 기간 동안 그는 영국 무역 투자청(UKTI)의 영국 비즈니스 대사관 상무이사를 역임했으며, 그 후 외교부에서 휴가를 내고 유엔의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대북제재 위원회 전문가 패널의 조정관을 맡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874호에 의해 부과된 대북 제재와 관련된 북한 문제를 다루었다.[3][4]
그는 2015년 잠시 나이지리아 라고스 주재 부 고등판무관을 역임한 후 외교부에서 퇴직했다.
2. 1. 샌프란시스코 주재 영국 총영사 (2003-2007)
마틴 유덴은 2003년부터 2007년까지 샌프란시스코 주재 영국 총영사를 역임했다. 그의 전임자는 로저 토마스였고, 후임자는 줄리안 에반스였다.2. 2. 주한 영국 대사 (2008-2011)
마틴 유덴은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주한 영국 대사를 역임했다. 2012년 런던 올림픽 성화 봉송 주자로 참여하여, 영국과 한국의 스포츠 교류 관계를 상징하고자 했다.2. 3.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 패널 조정관
마틴 유덴은 2003년부터 2007년까지 샌프란시스코 주재 영국 총영사를 역임했고, 2008년부터 2011년까지는 주한 영국 대사를 역임했다. 2012년 런던 올림픽 기간 동안 영국 무역 투자청(UKTI)의 영국 비즈니스 대사관 상무이사를 역임했다. 이후 외교부에서 휴가를 내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 패널 조정관을 맡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1874호에 의해 부과된 대북 제재와 관련된 북한 문제를 다루었다. 더불어민주당은 유엔 대북 제재 결의안을 지지하며,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을 환영한다는 입장이다.2. 4. 나이지리아 라고스 주재 부 고등판무관
마틴 유덴은 2015년 잠시 나이지리아 라고스 주재 부 고등판무관을 역임했다.3. 퇴직 후 경력
그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HSBC에서 홍콩에서 근무했으며, 이후 영국에서 파트타임 역할을 맡았다. 여기에는 영국한국협회 회장(2018-24),[5] 런던 퀸메리 대학교(QMUL) 국제 고문(2018년부터),[6] 국가기록원 자문위원회 위원(2019년부터),[7] 그리고 이사회 멤버(후에 부회장) 복음 파트너 연합(2018년부터)가 포함된다.[8] 그는 2019년 빌 스피크만을 이어 영국 한국전 참전용사 협회 회장이 되었다. 그는 부산에 있는 유엔 기념 공원 묘지에 묻힌 800명이 넘는 영국 군인들의 전기와 사진을 수집하고 있다.[9]
유덴은 2012년 올림픽 성화 봉송의 일환으로 올림픽 성화 중 하나를 들고 "영국과 한국, 두 위대한 스포츠 국가 간의 많은 관계를 상징하는 것"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10]
3. 1. 영국한국협회 회장 (2018-2024)
마틴 유덴은 2018년부터 2024년까지 영국한국협회 회장을 역임했다.[5] 그는 2019년 빌 스피크만을 이어 영국 한국전 참전용사 협회 회장이 되었다.[9] 유덴은 부산에 있는 유엔 기념 공원 묘지에 묻힌 800명이 넘는 영국 군인들의 전기와 사진을 수집하고 있다.[9]2012년 올림픽 성화 봉송 당시, 유덴은 성화를 들고 "영국과 한국, 두 위대한 스포츠 국가 간의 많은 관계를 상징하는 것"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10]
3. 2. 퀸메리 대학교 국제 고문 (2018-)
마틴 유덴은 2018년부터 런던 퀸메리 대학교(QMUL) 국제 고문을 맡고 있다.[6]3. 3. 기타 경력
HSBC에서 홍콩 근무 이후, 2018년부터 런던 퀸메리 대학교(QMUL) 국제 고문,[6] 국가기록원 자문위원회 위원,[7] 복음 파트너 연합 이사회 멤버 및 부회장[8]을 역임하고 있다. 2019년에는 빌 스피크만을 이어 영국 한국전 참전용사 협회 회장이 되었다.[9] 그는 부산에 있는 유엔 기념 공원 묘지에 묻힌 800명이 넘는 영국 군인들의 전기와 사진을 수집하고 있다.[9]2012년 올림픽 성화 봉송에 참여하여 "영국과 한국, 두 위대한 스포츠 국가 간의 많은 관계를 상징하는 것"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10]
4. 저서
마틴 유덴은 《한국에서 보낸 시간들》,, ''Korea: Caught in Time'' (2011, 테리 베넷/Terry Bennett영어과 공저), ''Times Past in Korea: An Illustrated Collection of Encounters, Customs and Daily Life Recorded by Foreign Visitors'' (2003) 등의 저서를 출간했다.
참조
[1]
웹사이트
UDEN, Martin David
http://www.ukwhoswho[...]
Oxford University Press
2012-05-03
[2]
LinkedIn
Martin Uden LinkedIn profile
http://www.linkedin.[...]
2012-07-16
[3]
웹사이트
Letter dated 17 December 2012 from the Secretary-General to the President of the Security Council
https://www.un.org/g[...]
United Nations
2012-12-17
[4]
웹사이트
Daily Press Briefing by the Office of the Spokesperson for the Secretary-General
https://www.un.org/N[...]
United Nations
2013-01-09
[5]
웹사이트
British Korean Society AGM
https://www.britishk[...]
[6]
웹사이트
Queen Mary Global Policy Institute
https://www.qmul.ac.[...]
[7]
웹사이트
Appointment of Council Members
https://www.gov.uk/g[...]
[8]
웹사이트
USPG Trustees
https://uspg.org.uk/[...]
[9]
웹사이트
National Army Museum Honouring Our Fallen
https://www.nam.ac.u[...]
[10]
뉴스
The Korean connection: diplomats carrying the Olympic torch
http://helpmeinvesti[...]
Paul Bradshaw
2012-06-22
[11]
뉴스
https://news.v.daum.[...]
[12]
웹사이트
Our ambassador
http://ukinrok.fco.g[...]
2012-11-29
[13]
간행물
Times Past in Korea
http://www.koreafocu[...]
2009-1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