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막심 뒤 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막심 뒤 캉은 프랑스의 작가, 사진가, 예술 평론가이다. 그는 구스타브 플로베르와 함께 유럽과 동방을 여행했고, 파리 평론지의 창립 멤버로 활동하며 보바리 부인의 연재를 도왔다. 또한, 가리발디의 양시칠리아 왕국 정복에 참여하고, 프랑스 학술원 회원이 되었으며, 샤를 보들레르의 시 '여행'의 헌정 대상이 되기도 했다. 뒤 캉은 다양한 문학 작품과 여행기를 저술했으며, 파리의 일상생활을 다룬 저작으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귀스타브 플로베르 - 루이즈 콜레
    루이즈 콜레는 프랑스의 시인이자 작가로, 엑상프로방스에서 태어나 파리에서 활동하며 아카데미 프랑세즈 상을 수상했고, 빅토르 위고, 귀스타브 플로베르 등과 교류하며 작품 활동을 하다가 파리에서 사망했다.
  • 귀스타브 플로베르 - 루이 야생트 부이예
    루이 야생트 부이예는 소설, 희곡, 시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창작한 작가이다.
  • 프랑스의 여행 작가 - 프랑수아르네 드 샤토브리앙
    프랑수아르네 드 샤토브리앙은 프랑스 낭만주의 운동을 이끈 작가이자 정치가로, 소설을 집필하고 외무부 장관을 역임하며 자유, 평등, 박애의 가치를 옹호하다가 1848년 혁명 중에 사망했다.
  • 프랑스의 여행 작가 - 장마리 귀스타브 르 클레지오
    2008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프랑스 소설가이자 에세이스트인 장 마리 귀스타브 르 클레지오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과 경험을 바탕으로 실험적인 문체에서 평이한 문체로 변화하며 사막,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 이주, 생태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 독특한 문학 세계를 구축했지만, 사회적 논란을 겪기도 했다.
  • 1822년 출생 - 세자르 프랑크
    세자르 프랑크는 벨기에 출신의 작곡가, 오르가니스트, 피아니스트, 음악 교사로, 파리 음악원에서 교육을 받고 생클로틸드 성당의 오르가니스트로 활동하며 D단조 교향곡 등을 작곡하여 프랑스 음악에 영향을 미쳤다.
  • 1822년 출생 - 루돌프 클라우지우스
    루돌프 클라우지우스는 열역학 제2법칙을 명확히 하고 엔트로피 개념을 도입한 독일의 물리학자이자 수학자로, 열역학 기초 확립, 기체 운동론 기여,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참전 등의 업적을 남겼다.
막심 뒤 캉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막심 뒤 캉 (1850년에서 1870년 사이)
막심 뒤 캉 (1850년에서 1870년 사이)
본명막심 뒤 캉
출생일1822년 2월 8일
출생지파리, 프랑스
사망일1894년 2월 9일
사망지바덴바덴, 독일 제국
안장지몽마르트르 묘지
국적프랑스
직업작가 및 사진가
사조사실주의 및 철늦은 낭만주의
작품
주요 작품Paris, ses organes, ses fonctions, sa vie (6 vol.) * Les Convulsions de Paris (4 vol.) * Souvenirs littéraires (2 vol.)

2. 생애

막심 뒤 캉은 파리 출신의 성공한 외과의사 아들로 태어나 유복한 유년 시절을 보냈다. 대학교를 졸업한 후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재산 덕분에 여행에 대한 갈망을 해소할 수 있었다. 1844년부터 1845년까지, 그리고 1849년부터 1851년까지 구스타브 플로베르와 함께 유럽과 동방을 여행했다. 귀국 후 뒤 캉은 자신의 여행 경험을, 플로베르는 뒤 캉과의 여행 경험을 글로 남겼다.[1][2][3]

1851년, 파리 평론지(1858년 폐간)의 창립 멤버로 참여했으며, 이 잡지에는 친구 플로베르의 보바리 부인이 1856년 연재되었다. 두 세계 평론지에 기고하기도 했다. 1853년에는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 1860년에는 주세페 가리발디가 이끈 천인대에 자원하여 양시칠리아 왕국 정복에 참여했고, 《두 시칠리아 원정기》(1861)를 출간했다.

1870년, 상원의원으로 지명되었으나 제2 제국의 몰락으로 선거는 좌절되었다. 1880년, 프랑스 학술원 회원으로 선출되었는데, 이는 《파리 코뮌》의 역사 (《파리의 경련》, 1878–1880) 덕분이었다.

1849년부터 1859년까지 이집트 여행 전 구스타브 르 그레이에게 사진 기술을 배운 초기 아마추어 사진작가이기도 했다.[4] 그의 여행기는 사진이 삽입된 최초의 책 중 하나였다.

당대 유명한 여행가였던 뒤 캉은 샤를 보들레르의 《악의 꽃》 마지막 시 '여행'(1859)의 헌정 대상이었다. 뒤 캉의 1855년 시집 《현대의 노래》에는 '여행자'라는 시가 수록되어 있는데, 보들레르의 '여행'은 원래 '여행자들'이라는 제목으로 뒤 캉의 시와 관련이 있었다.[5]

1894년 사망 후 파리의 몽마르뜨 묘지에 안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여행

파리에서 태어난 뒤 캉은 성공한 외과의사의 아들이었다. 대학교를 졸업한 후 그는 아버지의 재산 덕분에 여행에 대한 강한 욕구를 충족시켰다. 뒤 캉은 1844년부터 1845년까지, 그리고 1849년부터 1851년까지 구스타브 플로베르와 함께 유럽과 동방을 여행했다. 귀국 후 뒤 캉은 자신의 여행 경험에 대해 글을 썼으며, 플로베르 역시 막심과의 경험에 대해 글을 썼다.[1][2][3]

2. 2. 언론 활동과 레지옹 도뇌르 훈장

1851년 뒤 캉은 파리 평론지(1858년에 폐간)의 창립 멤버가 되었으며, 이 잡지에서는 그의 친구 구스타브 플로베르의 보바리 부인이 1856년에 연재 형식으로 처음 출판되었다. 두 세계 평론지의 빈번한 기고가이기도 했다. 1853년 그는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1][2][3]

2. 3. 가리발디 원정 참여

1860년 뒤 캉은 주세페 가리발디와 함께 천인대의 양시칠리아 왕국 정복에 자원하여 참전했고, 자신의 경험을 담아 《두 시칠리아 원정기》(Expédition des deux Siciles, 1861)를 썼다.[1]

2. 4. 정치 활동과 프랑스 학술원

1851년 뒤 캉은 파리 평론지(1858년에 폐간)의 창립 멤버가 되었으며, 이 잡지에는 그의 친구 구스타브 플로베르의 보바리 부인이 1856년에 연재 형식으로 처음 출판되었다. 또한 두 세계 평론지의 빈번한 기고가이기도 했다.[1][2][3] 1853년 그는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 1860년 가리발디와 함께 양시칠리아 왕국 정복에 자원하여 참전했고, 자신의 경험을 담아 ''두 시칠리아 원정기''(Expédition des deux Siciles, 1861)를 썼다. 1870년 상원의원으로 지명되었지만, 제2 프랑스 제국의 몰락으로 인해 선거가 좌절되었다. 1880년 프랑스 학술원 회원이 되었는데, 이는 주로 그의 저서 ''파리 코뮌''의 역사(''파리의 경련'' - Les Convulsions de Paris, 1878–1880)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

2. 5. 사진 활동

뒤 캉은 1849년부터 1859년까지 이집트 여행을 떠나기 직전에 구스타브 르 그레이에게 사진 기술을 배웠다.[4] 그는 초기 아마추어 사진가였다. 그의 여행기는 사진으로 삽화가 곁들여진 최초의 책들 중 하나였다.

2. 6. 사망

막심 뒤 캉은 1894년에 사망했으며 파리 몽마르뜨 묘지에 묻혔다.[5]

3. 작품 활동

''두 시칠리 원정'', 1861


막심 뒤 캉은 문학, 미술 비평, 여행기, 파리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현대 가곡''(1855), ''신념''(1858), ''동방의 추억과 풍경''(1848), ''이집트, 누비아, 팔레스타인, 시리아''(1852), ''1857년, 1859년, 1861년의 살롱'', ''금팔찌를 한 남자''(1862), ''사랑의 이야기''(1889), ''테오필 고티에''(1890) 등이 있다.

또한, 뒤 캉은 파리의 일상생활을 다룬 6권짜리 책 ''파리, 그 기관, 그 기능, 19세기 후반의 삶''(1869–1875)을 저술했고, 사회 문제에 관한 여러 작품을 출판했다. ''내 시대의 작가들''은 1910년까지 국립 도서관에 봉인되었으며, ''문학적 추억''(1882–1883)에는 귀스타브 플로베르 등 동시대 작가들에 대한 정보가 담겨있다. 1878년에는 파리 코뮌 관련 글을 모아 ''파리의 경련''을 출판했다.

3. 1. 문학 작품


  • ''현대 가곡'' (1855)
  • ''신념'' (1858)
  • 여행에 관한 작품:
  • ''동방의 추억과 풍경'' (1848)
  • ''이집트, 누비아, 팔레스타인, 시리아'' (1852)
  • 미술 비평 작품:
  • ''1857년, 1859년, 1861년의 살롱''
  • 소설:
  • ''금팔찌를 한 남자'' (1862)
  • ''사랑의 이야기'' (1889)
  • 문학 연구:
  • ''테오필 고티에'' (1890)


뒤 캉은 파리의 일상생활에 관한 귀중한 6권짜리 책인 ''파리, 그 기관, 그 기능, 19세기 후반의 삶'' (1869–1875)을 저술했다. 그는 사회 문제에 관한 여러 작품을 출판했는데, 그 중 하나인 ''내 시대의 작가들''은 1910년까지 국립 도서관에 봉인되어 보관되었다. 그의 ''문학적 추억'' (2권, 1882–1883)에는 동시대 작가들, 특히 뒤 캉의 초기이자 절친한 친구였던 귀스타브 플로베르에 대한 많은 정보가 담겨 있다. 1878년, 그는 파리 코뮌에 대한 기사를 ''두 세계 평론''(Revue des deux mondes)에 기고한 것을 바탕으로 ''파리의 경련''이라는 책을 출판했다.

3. 2. 여행기


  • 1848년: 동방의 추억과 풍경
  • 1852년: 이집트, 누비아, 팔레스타인, 시리아


3. 3. 미술 비평


  • ''1857년, 1859년, 1861년의 살롱''[1]


분류:프랑스의 미술 평론가

3. 4. 파리 연구

뒤 캉은 파리의 일상생활에 관한 6권짜리 책 ''파리, 그 기관, 그 기능, 19세기 후반의 삶''(1869–1875)을 저술했다. 그는 사회 문제에 관한 여러 작품을 출판했는데, 그중 하나인 ''내 시대의 작가들''은 1910년까지 국립 도서관에 봉인되어 보관되었다. 그의 ''문학적 추억''(2권, 1882–1883)에는 동시대 작가들, 특히 뒤 캉의 초기이자 절친한 친구였던 귀스타브 플로베르에 대한 많은 정보가 담겨 있다. 1878년, 그는 파리 코뮌에 대한 기사를 ''두 세계 평론''(Revue des deux mondes)에 기고한 것을 바탕으로 ''파리의 경련''이라는 책을 출판했다.

3. 5. 문학적 추억

뒤 캉의 ''문학적 추억''(2권, 1882-1883)에는 동시대 작가들, 특히 뒤 캉의 초기이자 절친한 친구였던 귀스타브 플로베르에 대한 많은 정보가 담겨 있다.

3. 6. 파리의 경련

1878년, 뒤 캉은 파리 코뮌에 대한 기사를 ''두 세계 평론''(Revue des deux mondes)에 기고한 것을 바탕으로 ''파리의 경련''이라는 책을 출판했다.[1]

4. 평가 및 영향

막심 뒤 캉에 대한 평가는 그의 작품과 활동이 당대에 미친 영향, 그리고 후대에 어떤 평가를 받았는지를 포괄한다.

4. 1. 보들레르와의 관계

샤를 보들레르의 ''악의 꽃''에 수록된 마지막 시인 1859년에 쓰여진 '여행'(Le Voyage)은 당대 가장 유명한 여행가였던 뒤 캉에게 헌정되었다. 뒤 캉의 1855년 시집 ''현대의 노래''(''Les Chants Modernes'')에는 '여행자'(Le Voyageur)라는 시가 수록되어 있는데, 보들레르의 '여행'의 원래 제목은 '여행자들'(Les Voyageurs)로, 뒤 캉의 시와 분명한 관련이 있다.[5]

참조

[1] 서적 Rage and Fire: A Life of Louise Colet—Pioneer, Feminist, Literary Star, Flaubert's Muse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0-08-07
[2] 서적 The Letters of Gustave Flaubert: 1830–1857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2010-08-07
[3] 서적 Pox: genius, madness, and the mysteries of syphilis https://archive.org/[...] Basic Books 2010-08-07
[4] 웹사이트 Heilbrunn Timeline of Art History http://www.metmuseum[...]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1-03-31
[5] 간행물 Towards Poetics of Exile University of Canterbury, New Zealand
[6] 서적 Théophile Gautier https://catalog.hath[...] Hachette
[7] 학술지 Review of ''Théophile Gautier'' by Maxime Du Camp, translated by J. E. Gordon, preface by Andrew Lang https://babel.hathit[...] 1893-10-28
[8] 서적 Paris, ses organes, ses fonctions, sa vie dans la seconde moitié du XIXe siècle https://catalog.hath[...] Hachette
[9] 서적 Souvenirs littéraires https://catalog.hath[...] Hachette
[10] 웹사이트 Du Camp's 'Convulsions of Paris' https://books.google[...] The Nation 1878-03-08
[11] 문서
[1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