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달루용은 필리핀 메트로 마닐라에 속하는 도시로, 14세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다.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는 산 필리페 네리로 불렸으며, 필리핀 혁명 당시 카티푸난의 거점 역할을 했다. 1931년 현재 이름으로 개명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경제 발전을 이루었다. 1975년 메트로 마닐라에 편입되었고, 1994년 도시로 승격되었다. 현재 27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업 및 금융 중심지로서 쇼핑몰, 상업 지구, 고층 건물 등이 밀집해 있다. 교통은 에드사, MRT-3, 파식강 페리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만달루용 시청, 시의회, 교육기관 등이 위치해 있다. 또한, 여러 국제 관계 및 자매 도시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필리핀의 도시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필리핀의 도시 - 다바오 다바오는 필리핀 민다나오섬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다바오 강 유역의 원주민 거주지에서 시작하여 스페인과 미국 통치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부 민다나오의 중심 도시로 성장했으며, 풍부한 자연과 다양한 문화, 활발한 경제 활동을 특징으로 한다.
1구역 안토니오 수바 주니어 안젤로 엘톤 얍 다닐로 데 구즈만 카리사 마리즈 마날로 로돌포 포사다스 에스타니슬라오 알림 2구역 벤자민 아발로스 3세 알렉산더 스타. 마리아 레지날드 안티오호 레슬리 크루즈 마이클 에릭 쿠에힐로 공석 ABC 회장 다윈 페르난데스 SK 연맹 회장 에론 세드릭 망갈리아그
유권자 수
명 ()
고도
m
최대 고도
592 m
최소 고도
-2 m
면적
21.26 km2
인구 (2020년)
명
인구 밀도
자동 계산
인구 통계
만달레뇨
시간대
PST
UTC 오프셋
+8
웹사이트
만달루용 시청 웹사이트
경제 지표
빈곤율
% ()
서비스 제공자
전기
}}
기후
기타 정보
주요 종교
로마 가톨릭
축제일
5월 26일
가톨릭 교구
로마 가톨릭 마닐라 대교구
수호 성인
성 필립 네리, 원죄 없이 잉태되신 마리아
2. 역사
만달루용의 역사는 나마얀 왕국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당시 넓은 영토의 일부였다.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는 마닐라의 산타 아나 데 사파 지역에 속해 있다가 1841년 '산 필리페 네리'(San Felipe Neries)라는 이름으로 행정적으로 분리되었다. 이곳은 필리핀 혁명(1896-1898) 당시 독립운동 비밀결사 조직인 카티푸난의 중요한 활동 거점 역할을 수행했다.
미국 점령기인 1901년에는 새로 설립된 리살주에 편입되었고, 잠시 산 후안 델 몬테와 통합되기도 했으나 다시 분리되었다. 1931년에는 현재의 이름인 '만달루용'으로 공식 개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 제국의 점령 하에 있었으나, 1945년 2월 9일 미군과 필리핀 연방군에 의해 해방되었다.
필리핀 독립 이후 만달루용은 급격한 경제 성장을 이루었지만, 1972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정권은 만달루용에서 발생했다고 발표된 후안 폰세 엔릴레 국방장관 암살 미수 사건을 계엄령 선포의 주요 명분 중 하나로 삼았다. 이 사건은 조작되었다는 의혹이 강하게 제기되며[19][20][21], 마르코스 정권 하에서는 광범위한 인권 탄압이 자행되었다.[22][23][24] 1975년 만달루용은 리살 주에서 분리되어 새로 출범한 메트로 마닐라에 편입되었다.[28][68] 1994년 2월 9일, 공화국 법률 제7675호에 따라 고도로 도시화된 시(Highly Urbanized City)로 승격되었으며[29], 같은 해 4월 국민투표를 통해 확정되어 메트로 마닐라의 주요 도시이자 경제 중심지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발전을 바탕으로 만달루용은 "필리핀의 호랑이 도시(The Tiger City of the Philippines)"라는 별칭을 얻었다.[30][67]
2. 1. 초기 역사 (14세기 ~ 스페인 식민지 이전)
만달루용 주민들은 예로부터 남성이 빨래를 하고 여성이 다림질을 하는 등 근면함으로 알려져 왔다. 이러한 전통은 마자파히트 왕국의 솔레단 왕과 나마얀 왕국의 사사반 여왕의 후손이라는 전승과 연결되는데, 전승에 따르면 그들의 아들 발라가타스 왕자가 1300년경 이 지역을 다스렸다고 한다.[7]
1470년경 라칸 타칸 왕이 통치하던 시기에는 나마얀 왕국의 영토가 크게 확장되었다.[7][8] 당시 왕국은 현재의 만달루용을 비롯하여 마닐라의 퀴아포, 산미구엘, 산타 메사, 파코, 판다칸, 말라테, 산타 아나 지역과 산후안, 마카티, 파사이, 파테로스, 타구이그, 파라냐케, 파시그 일부, 케손시 일부까지 포함하는 넓은 지역을 지배했다.[7][8]
2. 2. 스페인 식민지 시대 (19세기)
만달루용은 원래 마닐라의 산타 아나 데 사파(Santa Ana de Sapa) 바랑가이(barrio)였으며, 이는 파코 지구가 속한 톤도 주(Province of Tondo, 후에 마닐라 주(Province of Manila)로 알려짐)의 일부였다. 스페인 식민 당국은 로마의 수호성인인 성 필립 네리(St. Philip Neri)를 기리는 의미에서 이곳을 '''산 필리페 네리'''(San Felipe Neri)로 명명했다. 1841년에 산 필리페 네리는 산타 아나 데 사파에서 행정적으로 분리되었다.
1863년 9월 15일, 산 필리페 네리는 자체 교구를 설립했다. "예수의 지극히 감미로운 이름"(Dulcísimo Nombre de Jesúses) 회의 관리 하에 교회, 수도원, 학교 등이 건설되었다. 산 필리페 네리 교구는 1896년부터 1898년까지 이어진 필리핀 혁명 기간 동안 독립을 추구하는 비밀결사 조직인 카티푸난(Katipunan)의 활동을 지원하고 조직원을 모집하는 중요한 거점 역할을 수행했다.
1896년 8월 28일, 카티푸난의 지도자 안드레스 보니파시오(Andrés Bonifacio)는 만달루용(당시 산 필리페 네리)의 한 주택에서 봉기를 결의했으며, 다음 날인 29일 마닐라를 공격했다. 8월 30일, 산 필리페 네리에서 혁명을 성공시킨 카티푸난 세력은 무기 확보를 위해 산후안의 스페인군 화약고를 공격했는데, 이는 산후안 전투(Battle of San Juan del Monte)로 알려진 중요한 사건이다. 또한, 1896년 9월 15일에는 혁명 정부의 소식을 전하는 신문 La Republikaes가 이곳에서 발행되기도 했다.
페드로 파트리시오(Pedro Patricio)의 저서 ''만달루용: 1837–1975''에 따르면, 1903년 최초로 기록된 인구조사 결과 만달루용은 포블라시온(Poblacion), 바랑카(Barangka), 하그당 바토(Hagdang Bato), 나마얀(Namayan), 훌로(Hulo) 등 다섯 개의 주요 바랑가이(barrio)로 구성되어 있었다.[9] 이후 이 다섯 개의 바랑가이에서 22개의 작은 하위 바랑가이(sub-barrio)가 발전했다.
2. 3. 필리핀 혁명 (1896-1898)
만달루용은 1896년 필리핀 혁명 당시 카티푸난(Katipunan) 또는 "마카부하이(Makabuhay)" 그룹의 중요한 거점(baluarte)이었으며, 17개의 지부를 거느리고 있었다.[10] 산 페리페 네리(San Felipe Neri) 교구는 카티푸난에 사람들을 모집하는 중계 역할을 하기도 했다.
1896년 8월 28일, 카티푸난의 안드레스 보니파시오(Andrés Bonifacio)는 만달루용 하그단 바토(Hagdan Bato) 바랑가이의 한 주택에서 다음 날인 8월 29일 토요일을 마닐라 공격 날짜로 정하는 선포문을 발표했다. 8월 29일, 보니파시오는 에밀리오 하신토(Emilio Jacinto)와 다른 카티푸난 회원들과 함께 시티오 발라크박(Sitio Balakbak, 현재 비야 산 미구엘(Villa San Miguel))에 있는 로무알도 비센시오(Romualdo Vicencio)의 집에서 스페인 당국에 대한 임박한 혁명을 준비하며 카티푸난의 최후 선언문을 낭독했다. 이후 펠릭스 산체스(Felix Sanchez)의 집이 있는 하그단 바토로 이동했다. 이 사건은 "8월 29일(29 De Agosto)"과 "피나그티푸난(Pinagtipunan)"이라는 이름으로 기억되며, 역사적인 하그단 바토 이타스(Hagdan Bato Itaas) 바랑가이 근처의 두 거리 이름으로 남아 있다.
1896년 8월 30일, 산 펠리페 네리(San Felipe Neri)에서 혁명을 성공시킨 카티푸난 단원들은 산 후안 델 몬테(San Juan del Monte)로 이동하여 스페인군에 대항할 더 많은 무기를 확보하기 위해 엘 폴보린(El Polvorin, 화약고)을 공격했다. 이 사건은 산 후안 델 몬테 전투(Battle of San Juan del Monte)로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1896년 9월 15일에는 만달루용에서 혁명 신문 ''라 레푸블리카(La Republika)''가 창간되었다.
2. 4. 미국 식민지 시대 (20세기 초)
1901년 6월 11일, 산 페리페 네리(San Felipe Neri)는 새로 설립된 리살주에 편입되었다. 미국 점령기 동안, 이곳은 포블라시온(Poblacion), 바랑카(Barangka), 학당 바토(Hagdang Bato), 나마얀(Namayan), 훌로(Hulo)의 5개 바랑가이를 거느린 1등급 자치구로 승격되었다. 1903년 11월 6일 제942호 법률에 따라 산 후안 델 몬테 자치구와 통합되어 자치구청 소재지가 되었다.[11] 1904년 몇 달 동안 산 페리페 네리는 리살주의 수도 역할을 하기도 했다.[12] 이후 산 후안 델 몬테는 1907년 3월 27일 산 페리페 네리에서 분리되어 독립적인 자치구 지위를 회복했다.[13]
산 페리페 네리는 1931년 11월 6일 제3836호 법률에 따라 현재의 이름인 만달루용(Mandaluyong)으로 개명되었다.[14] 미국 시대에는 여성 교정 시설, 웰페어빌(Welfareville) 구역, 소년 마을(Boys' Town), 그리고 국립정신건강센터를 포함한 여러 정부 시설들이 이곳에 건설되었다.
2. 5. 일본 점령기 (1942-1945)
1942년부터 1945년까지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만달루용은 마닐라, 케손시티, 그리고 리살 주의 인근 마을들과 함께 그레이터 마닐라의 일부였다.[15][16] 이 시기 만달루용은 일본 제국의 점령 하에 있었으며, 전쟁으로 인해 많은 주민들이 목숨을 잃었다. 희생자 중에는 가톨릭 사제들과 민간인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도시 곳곳의 시설 역시 파괴되었다. 그러나 1945년 2월 9일, 미군과 필리핀 연방군이 도착하여 만달루용을 해방시키면서 더 이상의 파괴는 막을 수 있었다. 이 날은 연합군에 의해 일본 제국으로부터 해방된 것을 기념하는 만달루용의 중요한 날이 되었다.
2. 6. 필리핀 독립 이후 (20세기 후반 ~ 현재)
만달루용의 위대한 아들들을 위한 기념물, 담바나 응 알라-알라 알라이 사 mga 다킬랑 아낙 응 만달루용 (Dambana ng Ala-ala Alay sa mga Dakilang Anak ng Mandaluyong)
해방 기념비, 파가사, 만달루용
제2차 세계 대전 중 만달루용은 많은 주민의 희생과 시설 파괴를 겪었다. 그러나 1945년 2월 9일 미국 군대에 의해 재점령되면서 더 이상의 파괴는 멈추었다. 이 날은 만달루용 시민들에게 해방 기념일로 기억되고 있다.
전쟁 후, 만달루용은 빠른 속도로 발전을 시작했으며 경제는 급격히 성장했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 걸쳐 많은 기반 시설, 기업, 상업 시설이 들어서면서 만달루용은 당시 리살 주에서 가장 발전된 지방 자치 단체 중 하나로 인정받게 되었다.[10]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정권 이전, 필리핀 재계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은 만달루용에 기반을 둔 사업가 도밍고 M. 구에바라(Domingo M. Guevara) 1세였다. 그는 라디오와 텔레비전 등 저렴한 필리핀산 가전제품 브랜드인 Radiowealth를 설립하며 성공을 거두었다.[25] 이는 만달루용 리베르타드(현재 D.M. 구에바라 거리)에 본사를 둔 구에바라 엔터프라이즈(Guevara Enterprises)로 성장하여 필리핀의 전자, 통신, 농업, 산업 개발, 운송, 제조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기업이 되었다.[26] 필리핀 국민 예술가 닉 호아킨은 구에바라의 사업, 특히 필리핀 최초의 자동차 모델인 "Sakbayan" 생산 등을 통해 마르코스 정권 이전 필리핀 경제가 신흥 공업국 지위에 가까워졌다고 평가하기도 했다.[27]
그러나 1972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계엄령을 선포하는 과정에서 만달루용은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계엄령 선포 직전, 만달루용의 고급 주택가인 와크 와크(Wack Wack)에서 당시 국방장관이었던 후안 폰세 엔릴레에 대한 이른바 암살 미수 사건이 발생했다고 발표되었기 때문이다.[17] 이 사건은 마르코스가 계엄령을 정당화하는 명분 중 하나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고급 주택가에서 발생한 이 사건에 대해 독립적인 목격자는 나타나지 않았고, 사건 직후의 목격자도 거의 없었다.[18] 이로 인해 이 암살 시도 자체가 마르코스 정권에 의해 조작되었으며, 사건을 연출하기 쉬운 장소가 의도적으로 선택되었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19][20][21] 또한, 사업가 구에바라는 계엄령 선포 당시 마르코스 대통령에게 자신의 사업체 지배권을 넘기라는 요구를 거부했고,[26] 이에 대한 보복으로 마르코스 정권은 구에바라의 사업 활동에 여러 제약을 가하며 탄압했다.[26][27] 계엄령이 선포된 이후 14년 동안 마르코스 정권 하에서는 광범위한 인권 유린이 자행되었으며,[22][23] 특히 정치적 반대자, 학생 운동가, 언론인, 종교인, 농민 등 독재에 맞선 이들이 주요 탄압 대상이 되었다.[24]
1975년 11월 7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이 서명한 대통령령 824호에 따라 만달루용은 리살 주에서 분리되어 새로 설립된 메트로 마닐라에 공식적으로 편입되었다.[28][68]
1987년 필리핀 헌법에 따라 만달루용은 당시 산후안 시와 함께 단일 선거구를 이루어 국회에서 한 명의 의원에 의해 대표되었다. 이후 해당 지역구 대표였던 론달도 사모라(Ronaldo Zamora) 의원은 만달루용을 독립된 시로 승격시키는 법안을 발의했다. 이 법안은 공화국 법률 제7675호, "만달루용 시를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로 전환하는 법률"로 제정되었다.[29]피델 V. 라모스 대통령은 1994년 2월 9일(일본군으로부터 해방된 지 49주년이 되는 날) 이 법률에 서명했으며, 같은 해 4월 10일 실시된 국민투표를 통해 비준되어 만달루용은 메트로 마닐라의 다섯 번째 도시가 되었다. 이로써 만달루용은 국회에서 자체 대표를 갖는 독립된 선거구가 되었다.
현재 만달루용은 보니 애비뉴(Boni Avenue)와 G. 아글리페이 거리(G. Aglipay Street)를 중심으로 두 개의 행정 구역으로 나뉘며, 총 27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다. 2002년에는 괄목할 만한 경제 성장을 이루어 "필리핀의 호랑이 도시(The Tiger City of the Philippines)"라는 별칭을 얻었다.[30]
3. 지리
만달루용은 심장 모양을 하고 있으며 면적은 약 21.26km2[31][32][33]이다. 마닐라에서 남동쪽으로 7km, 파시그에서 서쪽으로 8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메트로 마닐라의 지리적 중심부에 해당한다.
서쪽으로는 마닐라, 북쪽으로는 산 후안, 북동쪽으로는 케손 시티, 동쪽으로는 파시그, 남쪽으로는 파시그 강을 경계로 마카티와 접한다. 육지 면적은 21.26km2 (8.21 평방 마일)로, 마카티나 마리키나와 비슷하게 필리핀에서 여섯 번째로 작은 도시이다.
만달루용은 마닐라의 정동쪽에 위치하며, 파시그와 걸쳐 있는 상업 및 비즈니스 중심지인 오르티가스 센터의 일부로 잘 알려져 있다. 시내에는 아시아개발은행(ADB), 방코 데 오로(BDO), 산미겔 코퍼레이션 본사, 샹그릴라 플라자, SM 메가몰 등 주요 기관과 상업 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
3. 1. 행정 구역 (바랑가이)
장
면적 (ha)
인구 (2007)[34]
인구 (2010)[35]
인구 (2015)[36]
인구 (2020)[37]
1
어디션 힐스 (Addition Hills)
칼리토 셀날 (Carlito Cernal)
162ha
81,221
86,731
99,058
108,896
1
바공 실랑 (Bagong Silang)
크리스토퍼 도밍게스 (Kristofer Dominguez)
14.26ha
3,747
4,652
5,572
4,939
2
바랑카 드라이브 (Barangka Drive)
다윈 페르난데스 (Darwin Fernandez)
24.54ha
12,134
12,227
13,310
15,474
2
바랑카 이바바 (Barangka Ibaba)
에드윈 산타 마리아 (Edwin Santa Maria)
16.92ha
9,372
9,241
9,540
9,040
2
바랑카 일라야 (Barangka Ilaya)
호셀리토 팡일리난 (Joselito Pangilinan)
47.45ha
4,185
5,049
17,896
22,334
2
바랑카 이타스 (Barangka Itaas)
론달도 카마초 (Ronaldo Camacho)
17.21ha
11,212
11,061
11,252
11,242
2
부양 바토 (Buayang Bato)
레이날도 노벨라 (Reynaldo Nobela)
7.26ha
999
1,340
1,782
2,913
1
부롤 (Burol)
댄 칼 드 구즈만 (Dan Carl De Guzman)
2.78ha
2,322
2,606
2,740
2,650
1
당 바칼 (Daang Bakal)
리처드 바시그 (Richard Bassig)
17.34ha
2,980
3,931
3,660
4,529
1
하그단 바토 이타스 (Hagdan Bato Itaas)
멀린 에스피리투 (Merlyn Espiritu)
18.36ha
9,431
10,102
10,314
10,267
1
하그단 바토 리비스 (Hagdan Bato Libis)
다닐로 토레스 (Danilo Torres)
15.48ha
6,241
6,716
6,962
6,715
1
하라핀 안 부카스 (Harapin Ang Bukas)
페데리코 오그백 (Federico Ogbac)
4.89ha
4,069
4,073
4,496
4,244
1
하이웨이 힐스 (Highway Hills)
마리아 코라존 아발로스 (Maria Corazon Abalos)
105.12ha
18,682
22,684
28,703
43,267
2
훌로 (Hulo)
조셉 호세 (Joseph Jose)
29.3ha
20,850
21,107
27,515
31,335
2
마비니-J.리살 (Mabini–J.Rizal)
안토니오 카스타네다 (Antonio Castañeda)
11.88ha
4,826
6,773
7,628
7,882
2
말라미그 (Malamig)
신시아 칼루야 (Cynthia Caluya)
29.52ha
6,898
7,007
12,667
12,054
1
마우웨이 (Mauway)
프로일로 아킬레스 에반젤리스타 (Froilo Achilles Evangelista)
19.25ha
21,700
25,129
29,103
25,800
2
나마얀 (Namayan)
빅터 프란시스코 (Victor Francisco)
30.6ha
4,846
5,706
6,123
7,670
1
뉴 자니가 (New Zañiga)
엘리자베스 크루즈 (Elizabeth Cruz)
21.96ha
5,413
6,354
7,534
8,444
2
올드 자니가 (Old Zañiga)
알렉스 락슨 (Alex Lacson)
42.48ha
6,674
7,712
7,013
6,636
1
파가사 (Pag-Asa)
콘라도 안가 주니어 (Conrado Angga Jr.)
12.6ha
3,112
3,688
4,053
4,195
2
플레인뷰 (Plainview)
네리사 가르시아 (Nerissa Garcia)
115.92ha
24,706
24,396
26,575
29,378
1
플레전트 힐스 (Pleasant Hills)
마크 레니엘 에반젤리스타 (Marc Renniel Evangelista)
20.33ha
6,495
5,648
5,910
6,003
1
포블라시온 (Poblacion)
엘머 호세 말라바난 (Elmer Jose Malabanan)
24.12ha
14,778
15,191
14,733
16,333
2
산 호세 (San Jose)
조안 바탄 (Joan Batan)
3.8ha
7,629
7,041
7,262
8,483
2
베르가라 (Vergara)
에르네스토 멘디오라 (Ernesto Mendiola)
15.12ha
4,928
4,645
5,910
4,357
1
왝-왝 그린힐스 (Wack-Wack Greenhills)
마가리타 클리마코 (Margarita Climaco)
294.48ha
6,126
7,889
8,965
10,678
3. 2. 기후
만달루용의 기후는 열대 기후로 분류되며, 겨울에는 여름보다 강우량이 훨씬 적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이 기후는 사바나 기후(Aw)로 간주된다. 연평균 기온은 27.2°C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2093mm이다.[72][39][69]
강수량은 2월에 평균 7.3mm로 가장 적으며, 8월에 평균 476.3mm로 가장 많다.[72][39][69] 평균 기온이 29.2°C인 5월이 연중 가장 더운 달이며, 1월이 평균 25.5°C로 가장 기온이 낮은 달이다.[72][39][69] 가장 건조한 달과 가장 습한 달 사이의 강수량 차이는 469mm이며, 연평균 기온 차이는 3.7°C이다.[72][39][69]
만달루용의 기후 데이터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간
평균 최고 기온 (°C)
29.7°C
30.5°C
32.1°C
33.7°C
33.8°C
32.3°C
31.1°C
30.6°C
30.7°C
30.9°C
30.4°C
29.7°C
31.3°C
일평균 기온 (°C)
25.5°C
25.9°C
27.2°C
28.7°C
29.2°C
28.4°C
27.6°C
27.3°C
27.2°C
27.2°C
26.7°C
25.9°C
27.2°C
평균 최저 기온 (°C)
21.3°C
21.4°C
22.4°C
23.8°C
24.7°C
24.5°C
24.1°C
24°C
23.8°C
23.5°C
23°C
22.1°C
23.2°C
강수량 (mm)
13.5mm
7.3mm
21.4mm
18.7mm
138.6mm
283.8mm
364.1mm
476.3mm
334.1mm
200.5mm
111.4mm
56mm
2025.7mm
평균 강우일수 (≥ 0.1 mm)
4
2
3
3
10
16
22
22
20
18
14
9
143
평균 상대 습도 (%)
72
73
66
64
68
76
80
83
81
78
76
75
74
월평균 일조 시간
176.7
197.8
225.8
258.0
222.7
162.0
132.8
132.8
132.0
157.6
153.0
151.9
2103.1
평균 일조율 (%)
51
61
61
70
57
42
34
34
36
44
45
44
48
출처 1: Climate-Data.org (기온)[72][39][69]
출처 2: Climatemps.com (일조시간)[73][40][70]
4. 인구
wikitext
만달루용 인구 조사
연도
인구
1903
1918
1939
1948
1960
1970
1975
1980
1990
1995
2000
2007
2010
2015
2020
출처: 필리핀 통계청
5. 경제
EDSA와 쇼대로 교차로
만달루용은 여러 쇼핑센터, 오락시설, 상업시설, 고층 사무실, 주거용 콘도미니엄 및 호텔의 본거지이다. 이 도시는 메트로 마닐라에서 중요한 비즈니스 및 금융 지역 중 하나로 꼽힌다.[41]
마닐라 동쪽에 위치하며, 파시그와 걸쳐 있는 상업·비즈니스 중심지인 오르티가스 센터의 일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 지역은 도시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다양한 기업과 상업 시설이 밀집해 있다.
5. 1. 산업
만달루용 남부 지역의 다양한 건물들
다른 메트로 마닐라 도시들처럼 만달루용 역시 자체적인 상업 지구와 중심 업무 지구를 보유하고 있다.
주요 상업 지역은 주로 은행, 사무실, 서비스 시설로 구성되며, 대중교통 노선을 따라 발달하여 지역 주민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을 지나는 사람들에게도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시의 주요 상업 지구는 보니 애비뉴, 쇼 불러바드, 리베르타드-시에라 마드레 지역, 칼렌통, 산 프란시스코, 마르티네스 일부, Sgt. 부마타이에서 바랑카 드라이브까지, 피나투보에서 EDSA까지 이어지는 구간 등을 포함한다. 만달루용의 중심 업무 지구(CBD)는 EDSA-쇼-파이오니어 거리 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린필드 지구 개발 구역도 여기에 포함된다.[42]
TV5 미디어 센터
산업 활동은 주로 쇼 불러바드-파이오니어 거리 지역과 파식강을 따라 이루어진다. 과거에는 식품, 의약품, 실험실 장비 제조가 활발했으나, 점차 마닐라 대도시권 외부의 신규 산업 단지로 이전하면서 감소하는 추세이다. 특히 나마얀(Namayan)과 마비니-J. 리살(Mabini–J. Rizal) 바랑가이의 파식강 인근 지역은 과거 산업 지대였던 곳이 현재 주택 단지나 타운하우스 부지로 변화하고 있다. EDSA-쇼-파이오니어 거리 지역에서는 경제적으로 더 수익성이 높고 국제 경쟁력을 갖춘 상업 활동으로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2013년 12월부터 만달루용은 필리핀의 주요 미디어 기업들의 중심지가 되었다. 필리핀 최대 텔레비전 네트워크 중 하나인 TV5와 주요 유료 TV 사업자인 시그널 TV(둘 다 PLDT 산하 미디어퀘스트 홀딩스 소유이며 TV5 미디어 센터에 위치)가 이곳에 자리 잡았다. 또한 솔라 엔터테인먼트 코퍼레이션의 주요 방송 시설(부동산 재벌이자 전 상원의원 마니 비야르 소유의 비스타 랜드 본사가 있는 월드와이드 코퍼레이트 센터 소재, 과거 나인 미디어 코퍼레이션의 뉴스 채널 CNN 필리핀이 있었던 곳)과 베라 그룹(Vera Group) 관련 여러 라디오 방송국(멜로우 94.7, 매직 89.9, 99.5 플레이 FM, 올 라디오 103.5, DWBL, 현재는 폐국한 DWSS, 모두 파라고나 플라자 소재)도 위치해 있다.[43]
만달루용은 파시그와 걸쳐 있는 상업 및 비즈니스 중심지인 오르티가스 센터의 일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 지역에는 아시아 개발 은행, 방코 데 오로, 산미겔 코퍼레이션 본사, 샹그릴라 플라자, SM 메가몰 등 주요 기관과 사업장이 있다.
5. 2. 쇼핑 센터
다른 메트로 마닐라 도시들처럼 만달루용 역시 자체적인 상업 지구와 중심 업무 지구를 가지고 있다.
주요 상업 지역은 주로 은행, 사무실, 서비스 시설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중교통 노선을 따라 형성되어 지역 주민뿐 아니라 인근 지역을 지나는 사람들에게도 편의를 제공한다. 도시의 주요 상업 지구는 보니 애비뉴(Boni Avenue), 쇼 불러바드(Shaw Boulevard), 리베르타드-시에라 마드레 지역, 칼렌통, 산 프란시스코, 마르티네스 일부, Sgt. 부마타이에서 바랑카 드라이브까지, 피나투보에서 EDSA까지 이어지는 구간 등을 포함한다. 만달루용의 중심 업무 지구는 EDSA-쇼-파이오니어 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린필드 지구(Greenfield District) 개발 지역도 여기에 포함된다.[42]
마켓플레이스 쇼핑몰
만달루용에는 여러 초대형 쇼핑몰이 자리 잡고 있다. 이 쇼핑몰들은 각각 100개 이상의 국내외 매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소 한 곳 이상의 백화점과 슈퍼마켓 또는 하이퍼마켓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이들은 메트로 마닐라에서 가장 큰 쇼핑몰에 속하며, 매장 외에도 영화관, 놀이기구, 스케이트장, 볼링장 등 다양한 레크리에이션 시설을 갖추고 있다. 각 쇼핑몰은 수천 대의 차량을 수용할 수 있는 주차 공간을 제공하며, 대부분 철도역이나 기존 상업 지구 근처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좋다. 이러한 쇼핑몰들은 메트로 마닐라와 그레이터 마닐라 지역 주민은 물론, 국내외 관광객들에게도 인기 있는 장소이다.
도시의 대표적인 쇼핑몰로는 샹그릴라 플라자, SM 메가몰, 더 포디엄, 세인트 프랜시스 스퀘어, 스타몰 EDSA-Shaw, SM 체리 쇼, 마켓플레이스 쇼핑몰(만달루용 공설 시장 부지), 쇼 센터 몰, 그린필드 지구 내 4개의 스트립 몰, 그리고 주거용 콘도미니엄 내 소규모 쇼핑몰 등이 있다.
또한 만달루용은 1998년에 문을 연 슈퍼마켓 체인 퓨어골드 쇼 지점의 첫 번째 매장이 위치한 곳이기도 하다.[44]
파시그와 걸쳐 있는 상업 및 비즈니스 중심지인 오르티가스 센터의 일부가 만달루용에 속해 있다. 이곳에는 아시아개발은행, 방코 데 오로, 산미겔 코퍼레이션 본사뿐만 아니라 샹그릴라 플라자, SM 메가몰과 같은 대형 쇼핑몰도 자리 잡고 있다.
6. 교통
만달루용의 주요 간선도로 중 하나인 쇼대로
만달루용은 메트로 마닐라 내 다른 도시들과 EDSA, 오르티가스 애비뉴, 쇼대로와 같은 주요 도로망을 통해 편리하게 연결된다.[49]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까지는 약 36분이 소요된다. 도로 교통 외에도 MRT-3 철도 노선과 파식강을 이용한 수운 교통 등 다양한 교통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6. 1. 도로
만달루용은 메트로 마닐라의 인근 도시들과 EDSA, 오르티가스 애비뉴, 쇼대로와 같은 주요 도로를 통해 편리하게 연결되어 있다.[49] 도시의 공공 도로망은 총 80.93km에 달하는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도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1헥타르(ha)당 도로 밀도가 7.19km에 달하여 도로 밀도가 높다.[49]
보니 애비뉴와 파이오니어 스트리트를 잇는 보니-파이오니어 지하차도
만달루용은 메트로 마닐라의 핵심 간선도로인 EDSA와 직접 연결된다. 오르티가스 애비뉴와 쇼대로는 도시 간의 주요 연결 통로 역할을 하며, 보니 애비뉴와 F. 마르티네스 도로는 시내 이동을 위한 대체 경로로 이용된다.[49] 다른 주요 도로로는 EDSA 아래를 통과하는 길이 280m의 보니-파이오니어 지하차도(Boni-Pioneer Underpass)가 있는데, 이는 서쪽의 보니 애비뉴와 동쪽의 파이오니어 스트리트(Pioneer Street)를 연결한다. 오르티가스 센터 지역에는 줄리아 바르가스 애비뉴(Julia Vargas Avenue)가 있다.
지프니는 만달루용 시내 통근자들에게 가장 보편적인 대중교통 수단이다. 지프니 외에도 삼륜차와 자전거 택시 역시 도시 내, 특히 골목길을 중심으로 중요한 교통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만달루용은 파식강, 산 후안 강, 마이투나스 수로(Maitunas Creek)를 통해서도 접근이 가능하다.
마이투나스/애디션 힐즈(Addition Hills) 및 바고 실랑(Bagong Silang)
J.B. 바르가스 다리
아르곤 거리 ~ J.B. 바르가스 거리
애디션 힐즈(Addition Hills) 및 바고 실랑(Bagong Silang)
6. 2. 대중교통
마닐라 메트로 레일 트랜짓 시스템 3호선이 에드사(EDSA)를 따라 운행하여 철도를 통한 접근이 가능하다. 시내에는 오르티가스 역, 쇼 불바르 역, 보니 역 등 MRT-3의 세 역이 위치해 있다. 과거에는 필리핀 국철이 폐선된 산타 메사-안티폴로 지선을 통해 만달루용을 운행했으나, 1982년 산 후안 강을 가로지르는 다리가 붕괴되면서 운행이 중단되었다.
만달루용은 마닐라 수도권의 주요 간선도로인 에드사(EDSA)에 접해 있다. 또한, 올티가스 애비뉴와 쇼 불바드와 같은 간선도로가 도시들을 연결하고 있으며, 보니 애비뉴와 마르티네스 도로(C-3 도로)가 시내의 대체 도로로 기능하고 있다. 보니 애비뉴 서쪽 끝과 파이오니어 도로를 잇는 280m 길이의 지하도인 "보니-파이오니어 언더패스"와 줄리아 발가스 애비뉴도 만달루용 시의 주요 도로이다.
지프니는 시내 통근·통학자들에게 가장 일반적인 대중교통 수단 중 하나이다. 지프니 외에도 삼륜차와 자전거 또한 만달루용의 중요한 대중교통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6. 3. 수운
마닐라의 남쪽 경계를 따라 흐르는 파식강은 주로 강변 산업체의 화물 운송과 파식 및 마닐라 도시를 오가는 통근자들의 더 빠르고 직접적인 경로를 제공하는 대체 교통수단 및 경로 역할을 한다.[49][71] 파식강 페리 서비스는 이 도시에 한 개의 정거장을 운영하고 있다.
산후안 델 몬테가 산펠리페네리(San Felipe Neri)의 일부였을 때 마지막 시장[47]
7
아폴리나르 코로나도
1907–1909
*
하누아리오 코로나도
1909–1912
8
마르셀로 렐마
1912–1916
9
마리아노 카스타네다
1916–1922
10
클레멘테 페르난도
1922–1925
11
그레고리오 페드로
1925–1928
*
클레멘테 페르난도
1928–1934
산펠리페네리(San Felipe Neri)에서 만달루용으로 개칭된 이후 최초의 시장
12
이삭 로페즈
1935–1939
13
폰시아노 엔리케즈
1940
14
페드로 크루즈
1941–1944; 1946
그레이터 마닐라 시(City of Greater Manila)(1941–1944) 산하 만달루용 지역 책임자[48]
15
프리모 구즈만
1945
16
보니파시오 하비에르
1946–1955
*
페드로 크루즈
1956–1959
*
보니파시오 하비에르
1960–1962
17
아마도 T. 레이예스
1963
18
멜초르 T. 아르칸헬
1963
권한대행 시장
19
마카리오 트리니다드
1963
권한대행 시장
20
필레몬 하비에르
1964–1971
21
레나토 로페즈
1972–1980
22
에르네스토 도밍고
1980–1986
*
벤자민 아발로스 Sr.
1986–1987
권한대행(임시) 시장
*
로만 데 로스 산토스
1987–1988
권한대행(임시) 시장
23
벤자민 아발로스 Sr.
1988–1998
초대 시장
24
벤자민 아발로스 Jr.
1998–2004
25
네프탈리 곤잘레스 II
2004–2007
*
벤자민 아발로스 Jr.
2007–2016
26
카멜리타 아발로스
2016–2022
초대 여성 시장
*
벤자민 아발로스 Sr.
2022–현재
8. 교육
라살 그린힐스의 성 베닐드 체육관
만달루용에는 잘 알려진 여러 교육 기관이 있다. 대표적인 대학교로는 아렐라노 대학교 플라리델 캠퍼스, 돈 보스코 기술대학, 호세 리살 대학교, 리살 기술대학교 등이 있다.
특히 돈 보스코 기술대학은 많은 만달루용 시 공무원을 배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53] 현직 시장인 벤자민 아발로스 주니어(고등학교 79회 졸업)[54], 전 부시장 레나토 산타 마리아(고등학교 65회 졸업)[55], 시의원 에드워드 바르톨로메(고등학교 96회 졸업)[56], 노엘 베르나르도(고등학교 79회 졸업)[57], 조나단 아발로스(고등학교 85회 졸업)[58] 등이 이 학교 동문이다. 또한 유명 래퍼 프란시스 마갈로나(고등학교 81회 졸업)[59]와 배우 리키 다바오(고등학교 78회 졸업)[60]도 이곳 출신이다. 호세 리살 대학교의 유명 동문으로는 전 필리핀 대통령 라몬 마가사이사이, 배우 로데릭 폴레이트, 교육자 아르망 파벨라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의학 및 간호학 전문 대학인 구아달루페 성모 대학, 컴퓨터 기술 교육을 전문으로 하는 STI와 AMA(두 곳 모두 쇼 불러바드에 위치), 해양 과학 전문 학교인 NAMEI 폴리테크닉 연구소, 국제 침례교 대학 등이 만달루용에 위치한다.
1911년에 설립된 만달루용 루르드 학교는 프란체스코회 마리아 수도회 소속의 남학생 전용 학교로, 오르티가스 센터 지역에 있다. 오르티가스 애비뉴에는 1959년 설립된 라살 그린힐스가 있으며, 이는 드 라살 형제회가 운영하는 사립 남녀공학 학교이다. 1960년에 설립된 성 페드로 포베다 대학은 유치원부터 대학교 과정까지 제공하는 여학생 교육 기관이다. 이 대학의 공식 주소는 케손 시티이지만 캠퍼스 부지의 일부는 만달루용에 속한다.
공립학교 중에서는 1977년에 설립된 만달루용 고등학교가 가장 오래되었고, 1996년에는 E. 판탈레온 거리에 공립 과학 고등학교인 만달루용 시 과학 고등학교가 세워졌다. 만달루용에는 초등학교와 중등학교를 포함하여 총 18개의 공립학교가 있으며, 모두 교육부 만달루용 학교 구역 사무소(SDO)의 감독을 받는다. 만달루용 출신의 전 상원의원 넵탈리 곤잘레스의 이름을 딴 네프탈리 A. 곤잘레스 고등학교는 만달루용에서 가장 규모가 크며, 이 도시에서 유일하게 과학, 기술, 공학, 수학(STEM) 고등학교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1]
문서
DILG detail
[2]
웹사이트
Metro Manila Government Data
https://www.preventi[...]
2020-01-01
[3]
간행물
Anahaw
https://web.archive.[...]
Ecosystems Research and Development Bureau of the Philippine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s
2010-01-01
[4]
서적
Pasig City: Portrait of a New Metropolis
https://books.google[...]
Japuzinni Publication Division
2008-09-10
[5]
뉴스
Murals of folklore lovers 'Manda', 'Luyong' brighten Shaw Blvd flyover
https://web.archive.[...] [6]
잡지
A Short History Behind the Name of Every Metro Manila City
https://www.esquirem[...]
Summit Media
2019-10-21
[7]
서적
Manila, My Manila
https://books.google[...]
Bookmark
1999-01-01
[8]
웹사이트
City of Mandaluyong : Brief History: Political History
https://web.archive.[...]
Mandaluyong.gov.ph
[9]
웹사이트
Philippine eLib
http://www.elib.gov.[...]
Elib.gov.ph
2008-06-16
[10]
웹사이트
City of Mandaluyong : Brief History : Political History
https://web.archive.[...]
Mandaluyong.gov.ph
[11]
법률
An Act Amending Acy Numbered Nine Hundred and Forty-Two, Entitled "An Act Reducing the Thirty-Two Municipalities of the Province of Rizal to Fifteen," by Reducing the Thirty-Two Municipalities of the Said Province to Sixteen
https://lawyerly.ph/[...]
Lawyerly
1903-11-06
[12]
웹사이트
The President's Day: June 28, 2002
https://www.official[...]
2002-06-28
[13]
법률
An Act Increasing The Number Of Municipalities In The Province Of Rizal From Seventeen To Nineteen, By Separating From San Felipe Neri The Former Municipality Of San Juan Del Monte And From Parañaque The Former Municipality Of Las Piñas, Giving To Each The Territory Which It Comprised Prior To The Passage Of Act Numbered Nine Hundred And Forty-two, And Providing For The Distribution Of Funds In The Municipal Treasuries Of Said Municipalities
https://lawyerly.ph/[...]
Lawyerly
1907-03-27
[14]
법률
Act Changing the Name of Municipality of San Felipe Neri, in the Province of Rizal, to Mandaluyong
https://issuances-li[...]
1931-11-06
[15]
법률
Creating the City of Greater Manila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1942-01-01
[16]
법률
Reducing the Territory of the City of Greater Manila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1945-07-26
[17]
뉴스
The Night of the Declaration
https://martiallawmu[...] [18]
서적
Phoenix : the saga of the Lopez family
https://www.worldcat[...]
Eugenio Lopez Foundation
2000-01-01
[19]
서적
The Conjugal Dictatorship of Ferdinand and Imelda Marcos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20]
뉴스
True or false: Was 1972 Enrile ambush faked?
https://newsinfo.inq[...]
2012-10-08
[21]
서적
The quartet of the tiger moon : scenes from the people-power apocalypse
https://www.worldcat[...]
Book Stop
1986-01-01
[22]
웹사이트
Alfred McCoy, Dark Legacy: Human rights under the Marcos regime
http://www.hartford-[...]
Ateneo de Manila University
1999-09-20
[23]
서적
State and society in the Philippines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5-01-01
[24]
뉴스
Gone too soon: 7 youth leaders killed under Martial Law
https://www.rappler.[...] [25]
웹사이트
Remembering DMG: Self-Made Entrepreneur
http://ph.news.yahoo[...] [26]
서적
The D.M. Guevara story
https://www.worldcat[...]
D.M. Guevara Foundation
1993-01-01
[27]
웹사이트
Domingo Guevara: The road to industrialization
https://www.philstar[...] [28]
법률
Creating The Metropolitan Manila And The Metropolitan Manila Commission And For Other Purposes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1975-11-07
[29]
법률
Charter of the City of Mandaluyong
https://web.archive.[...]
House of Representatives
1995-02-09
[30]
웹사이트
Mandaluyong is new 'tiger city'
https://www.philstar[...]
2002-05-08
[31]
웹사이트
City of Mandaluyong : Introduction : Land Area
http://www.mandaluyo[...]
City of Mandaluyong
[32]
웹사이트
An Update on the Earthquake Hazards and Risk Assessment of Greater Metropolitan Manila Area
https://web.archive.[...]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2013-11-14
[33]
웹사이트
Enhancing Risk Analysis Capacities for Flood, Tropical Cyclone Severe Wind and Earthquake for the Greater Metro Manila Area Component 5 – Earthquake Risk Analysis
http://ndrrmc.gov.ph[...]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and Geoscience Australia
[34]
웹사이트
City of Mandaluyong : Introduction : Table 1.01 Land Area Distribution
http://www.mandaluyo[...]
City of Mandaluyong
[35]
웹사이트
Final Results – 2007 Census of Population
https://web.archive.[...]
Census.gov.ph
[36]
웹사이트
Total Population by Province, City, Municipality and Barangay: as of May 1, 2010
https://www.census.g[...]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12-11-30
[37]
뉴스
Total Population by Province, City, Municipality and Barangay as of 2 May 2015
https://psa.gov.ph/c[...] [38]
뉴스
Total Population by Province, City, Municipality and Barangay as of 1 May 2020
https://rssoncr.psa.[...] [39]
웹사이트
CLIMATE: MANDALUYONG, CLIMATE TABLE
http://en.climate-da[...]
2015-09-22
[40]
웹사이트
Manila, Luzon Climate & Temperature
http://www.manila.cl[...]
2015-09-22
[41]
웹사이트
Mandaluyong City Profile
http://www.mandaluyo[...]
City Government of Mandaluyong
2014-02-09
[42]
웹사이트
Commercial Activities
http://www.mandaluyo[...]
City Government of Mandaluyong
2014-02-09
[43]
웹사이트
Industrial Activities
http://www.mandaluyo[...]
City Government of Mandaluyong
2014-02-09
[44]
뉴스
Stories of Filipino Success: Lucio and Susan Co
https://primer.com.p[...]
2024-05-05
[45]
웹사이트
Mandaluyong City Elections
http://ph.rappler.co[...]
2016-09-27
[46]
뉴스
Abalos, Gomez, 30 others move to Marcos' Partido Federal party
https://news.abs-cbn[...]
2023-11-11
[47]
서적
Glimpses Into the History of San Juan, Metro Manila
https://books.google[...]
Life Today Publications
1994
[48]
간행물
The City Gazette
https://repository.m[...]
Office of the Mayor of the City Manila
1944-02-01
[49]
웹사이트
Physic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https://mch.timefree[...]
City Government of Mandaluyong
2020-07-08
[50]
뉴스
New bridge connecting Makati, Mandaluyong opened
http://www.gmanetwor[...]
2015-06-27
[51]
웹사이트
Road and Bridge Inventory
https://dpwh.maps.ar[...]
2023-07-26
[52]
뉴스
Free school, therapy for poor kids with special needs wins UN award
http://globalnation.[...]
2015-05-17
[53]
웹사이트
City of Mandaluyong : News Updates
http://www.mandaluyo[...]
Mandaluyong.gov.ph
2011-01-03
[54]
웹사이트
Don Bosco High School
http://bosco.arttick[...]
Bosco.arttickles.com
2011-10-17
[55]
웹사이트
Don Bosco Technical College
http://www.bicc.org.[...]
2010-12-20
[56]
웹사이트
Mandaluyong City Council : Edward Gabriel Bartolome
http://www.mandaluyo[...]
Mandaluyong.gov.ph
1979-11-04
[57]
웹사이트
Mandaluyong City Council
http://www.mandaluyo[...]
Mandaluyong.gov.ph
2011-10-17
[58]
웹사이트
www.donboscoforum.com
http://www.donboscof[...]
donboscoforum.com
2011-10-17
[59]
웹사이트
Francis Magalona Succumbs to Cancer | A Filipina Mom Blogger
http://aboutmyrecove[...]
Aboutmyrecovery.com
2011-10-17
[60]
웹사이트
Don Bosco Mandaluyong Batch 72 Photo Gallery by Jojo Vicencio – DU1VHY at
http://www.pbase.com[...]
Pbase.com
2011-10-17
[61]
뉴스
Humble resting place for Antonio Cabangon Chua
https://business.inq[...]
2016-03-13
[62]
뉴스
Coleen Garcia, Billy Crawford fly to Spain after engagement
http://news.abs-cbn.[...]
2016-12-24
[63]
서적
Elmer Borlongan: In City and Country (1992-2012)
Ayala Museum
[64]
웹사이트
How Mikey Bustos and BF RJ Garcia met
https://www.gmanetwo[...]
2019-06-24
[65]
웹사이트
Cities
http://www.dilg.gov.[...]
Department of the Interior and Local Government
2012-11-30
[66]
웹사이트
Total Population by Province, City, Municipality and Barangay: as of May 1, 2010
http://www.census.go[...]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12-11-30
[67]
웹사이트
http://mandaluyong.g[...] [68]
웹사이트
http://www.gov.ph/19[...] [69]
웹사이트
CLIMATE: MANDALUYONG, CLIMATE TABLE
http://en.climate-da[...]
2015-09-22
[70]
웹사이트
Manila, Luzon Climate & Temperature
http://www.manila.cl[...]
2015-09-22
[71]
웹사이트
Transportation
http://www.mandaluyo[...]
City Government of Mandaluyong
2014-02-10
[72]
웹인용
CLIMATE: MANDALUYONG, CLIMATE TABLE
http://en.climate-da[...]
2015-09-22
[73]
웹인용
Manila, Luzon Climate & Temperature
http://www.manila.cl[...]
2015-09-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