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코는 해수면과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한 기수역으로, 류큐 왕국 시대부터 존재해왔다. 1960년대부터 맹그로브 식재를 통해 육지화가 진행되었으며, 철새의 중계지이자 다양한 조류와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곳이다. 1977년 조류보호구로 지정되었고, 1999년에는 람사르 협약에 등록되었다. 그러나 생활하수 유입과 맹그로브 숲 조성으로 인한 육지화, 수질 악화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미구스쿠시 - 해군사령부호
해군사령부호는 태평양 전쟁 말기 오키나와 전투 당시 일본 해군의 지휘소로 사용하기 위해 건설된 방공호이며, 오키나와 전투에서 일본 해군이 최후의 항전을 벌인 곳으로, 현재는 평화 학습 및 관광 명소로 활용되고 있다. - 나하시의 지리 - 국영 오키나와 기념공원
국영 오키나와 기념공원은 1975년 오키나와 국제 해양 박람회를 기념하여 조성되었으며, 오키나와현 모토부 지역의 해양박람회 지구와 나하시의 슈리성 지구로 나뉘어 해양 관련 시설과 오키나와의 역사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슈리성은 현재 복원 작업이 진행 중이다. - 나하시의 지리 - 슈리 (오키나와현)
슈리는 오키나와현 나하시에 위치한 과거 류큐 왕국의 수도로, 정치와 문화의 중심지였으며 슈리성을 중심으로 450년간 왕실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고 현재는 주요 관광 명소이자 교육기관이 위치한 독자적인 문화와 전통 공예를 보존하는 지역이다. - 오키나와현의 지형 - 만자모
만자모는 오키나와 온나촌의 해안 명승지로, 석회암 절벽과 초원 지대가 특징이며 일몰 감상과 해안 식물 관찰, 스쿠버 다이빙을 즐길 수 있는 오키나와 대표 관광지이다. - 오키나와현의 지형 - 미야코 해협
미야코 해협은 오키나와 제도와 미야코 제도 사이에 위치하며 동중국해와 태평양을 잇는 해상 통로이자 중국 해군의 주요 태평양 진출 통로로 지정학적 중요성이 부각되는 곳으로, 남부 류큐어와 북부 류큐어 사이의 문화적 경계를 형성한다.
만코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만호 |
로마자 표기 | Manko |
일본어 표기 | 漫湖 |
위치 | 오키나와현, 일본 |
면적 | 0.11 제곱킬로미터 |
관련 도시 | 나하시, 도미구스쿠시, 오키나와현 |
지리 정보 | |
좌표 | 북위 26도 11분 49.8초 동경 127도 41분 00.0초 |
유입 하천 | 고쿠바강, 니하강 |
지정 정보 | |
람사르 습지 | 람사르 습지 (등록번호: 996, 등록일: 1999년 5월 15일)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만코 물새 및 습지 센터 |
2. 역사
류큐 왕국 시대, 현재 갯벌이 된 이곳은 원래 물이 가득 찬 "대호"(大湖)라고 불렸다. 17세기 중반, 류큐를 방문한 중국 책봉사가 이 풍경에 감명받아 "만코"라고 이름 지었다.[4]
1960년대부터 맹그로브 숲이 조성되면서 갯벌로 변했고, 도요새, 물떼새 같은 철새들의 중간 기착지가 되었다. 1999년에는 람사르 협약에 따라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로 지정되었다. 만코 호에는 멸종 위기에 처한 여러 종들이 서식하고 있으며, 오키나와섬에서만 발견되는 조개류 ''마코마속 nobilis''가 그 예시이다. 이곳은 또한 도요와 물떼새의 중요한 서식지로 알려져 있다.
퇴적물 퇴적과 폐수 유입으로 인한 수질 악화는 이 습지가 직면한 문제 중 하나이다.
2. 1. 류큐 왕국 시대
옛 류큐 왕국 시대에는 이곳은 갯벌이 아니라 물이 가득 찬 수변으로서 "대호"(大湖)라고 불렸지만, 17세기 중반에 류큐를 방문한 중국 책봉사가 많은 물을 담은 풍경에 감명을 받아 "만코"라고 명명했다.[4]2. 2. 1960년대 이후
1960년대부터 맹그로브 숲이 조성되면서 갯벌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도요새, 물떼새와 같은 철새들의 중간 기착지가 되었으며, 1999년에는 람사르 협약에 따라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로 지정되었다. 1960년대부터의 매립의 영향으로 진흙이 펼쳐진 갯벌로 변해갔다.[4]만코 호에는 멸종 위기에 처한 여러 종들이 서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오키나와 섬에서만 발견되는 조개류 ''마코마속 nobilis''가 있다. 이 호수는 또한 도요와 물떼새의 중요한 서식지로 알려져 있다.
퇴적물 퇴적과 폐수 유입으로 인한 수질 악화는 이 습지가 직면한 문제 중 하나이다.
3. 자연
만코는 해수면과 거의 같은 높이에 있는 기수역이다. 1977년 11월 1일 국가지정 만코 조류보호구(집단 도래지)로 지정되었고(면적 174ha, 특별보호지역 58ha), 1999년 람사르 협약에 따라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로 지정되었다.[5]
국토교통성 국토지리원 [https://mapps.gsi.go.jp/ 지도·항공사진 열람 서비스]의 항공사진을 기반으로 작성.
퇴적물 퇴적과 폐수 유입으로 인한 수질 악화는 이 습지가 직면한 문제 중 하나이다.
3. 1. 생물 다양성
만코는 도요새, 물떼새와 같은 철새들의 중간 기착지이며, 101종의 조류가 서식하고 있다.[6] 겨울에는 세계적으로 희귀한 철새인 저어새도 관찰된다.[6][7]만코에는 멸종 위기에 처한 여러 종들이 서식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오키나와 섬에서만 발견되는 조개류 ''마코마속 nobilis''가 있다. 화귀백앵합|모모이로사기가이중국어 및 옥시지미 등 귀중한 패류와 치어, 갯지렁이 등의 저서생물도 서식하고 있다.[5][6]
3. 2. 맹그로브 숲
1960년대부터 맹그로브 숲이 조성되면서 갯벌로 변화하고 있다.[5] 1990년대에는 자원봉사 시민 단체에 의해 습지대에 대량의 맹그로브가 심어졌다. 그러나 맹그로브의 뿌리가 습지를 뒤덮어 육지화가 진행되면서 습지 면적이 크게 줄었다. 이 때문에 여러 기관에서 맹그로브 제거 작업을 실시하고 있지만, 제거만으로는 원래의 습지와 갯벌로 되돌아오지 않는다는 것이 시험 결과 밝혀졌다.[8]4. 문제점
5. 보존 노력
1960년대부터 메힐루기(맹그로브 식물) 식재 등으로 육지화가 진행되고 있다. 남서 호안에 만호 물새·습지 센터가 설치되어 습지 생물 관찰 및 보존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5]
참조
[1]
웹사이트
Manko
https://rsis.ramsar.[...]
2018-04-25
[2]
웹사이트
English Guide|Manko Waterbird & Wetland Center 英語版 案内 {{!}} 漫湖水鳥・湿地センター
https://www.manko-mi[...]
2019-07-25
[3]
웹사이트
Jisho search on Manko
https://jisho.org/se[...]
[4]
웹사이트
漫湖水鳥・湿地センター
http://www.city.tomi[...]
沖縄県豊見城市
2019-06-30
[5]
웹사이트
Manko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16-07-13
[6]
웹사이트
国指定漫湖鳥獣保護区 更新計画書
http://kyushu.env.go[...]
環境省
2007-11-01
[7]
서적
クロツラヘラサギ
沖縄県文化環境部自然保護課
2005
[8]
웹사이트
漫湖鳥獣保護区保全事業「マングローブの除去範囲について」
http://kyushu.env.go[...]
九州地方環境事務所
2016-09-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