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매과는 소형에서 중형 크기의 맹금류로, 강한 부리와 날카로운 발톱, 뛰어난 시력을 가지고 있다. 전 세계에 분포하며, 육식성으로 조류, 소형 포유류, 파충류, 곤충 등을 먹는다. 매과는 크게 쇠황조롱이류, 매류, 카라카라류, 숲매류로 분류되며, 분류 체계는 학자들 간에 이견이 있다. 인간과의 관계에서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 등장하고, 매사냥에 이용되기도 했지만, 서식지 파괴, 남획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는 종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매과 - 과달루페카라카라
과달루페카라카라는 20세기 초 멕시코 과달루페 섬에 서식하다 멸종된 새이며, 염소 목동들의 사냥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멸종되었고, 현재는 표본만 남아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매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과 | 매과 |
학명 | Falconidae |
명명자 | Leach, 1819 |
모식속 | Falco |
모식속 명명자 | Linnaeus, 1758 |
아과 | 와라이하야부사아과 폴리보루스아과 매아과 |
화석 범위 | 올리고세 – 홀로세 (30.2 – 0 백만년 전) |
생물 분류 | |
상목 | 신악상목 (Neognathae) |
상목 계급 없음 | 네오아베스 (Neoaves) |
목 | 매목 (Falconiformes) |
과 | 매과 |
타입속 | Falco |
타입속 명명자 | Linnaeus, 1758 |
아과 | 와라이하야부사아과 (Herpetotherinae) 매아과 (Falconinae) |
추가 정보 | |
국제거래협약 | 와싱턴 협약 부속서 II |
2. 특징
매과는 소형에서 중형의 맹금류로, 검은넓적다리매는 35g 정도이며 흰꼬리매는 1735g에 달한다. 이들은 강하게 구부러진 부리, 날카롭게 굽은 발톱, 그리고 뛰어난 시력을 가지고 있다. 깃털은 일반적으로 갈색, 흰색, 밤색, 검은색, 회색을 띠며, 종종 가로무늬 또는 패턴이 있다. 수컷과 암컷의 깃털은 거의 비슷하지만, 몇몇 종에서는 깃털의 선명도에 약간의 성적이형이 나타난다.
2. 1. 형태
매와 카라카라는 소형에서 중형의 맹금류로, 무게가 35g 정도에 불과한 검은넓적다리매부터 1735g에 달하는 흰꼬리매까지 크기가 다양하다. 이들은 강하게 구부러진 부리, 날카롭게 굽은 발톱, 그리고 뛰어난 시력을 가지고 있다. 깃털은 일반적으로 갈색, 흰색, 밤색, 검은색, 회색으로 구성되며, 종종 가로무늬 또는 패턴이 있다. 수컷과 암컷의 깃털에는 차이가 거의 없지만, 몇몇 종에서는 깃털의 선명도에 약간의 성적이형이 나타난다.가장 큰 종은 흰수리[17]로 수컷의 경우 몸길이가 52cm, 암컷은 59cm[18]이다. 날개를 펼친 길이는 110cm~130cm[18]이다.
2. 2. 분포
매과는 중앙아프리카의 밀림, 일부 외딴 해양 섬, 북극과 남극의 고위도 지역을 제외한 전 세계에 걸쳐 널리 분포한다.[2] 황조롱이처럼 매우 넓은 지역에 분포하는 종도 있는데, 특히 황조롱이는 그린란드에서 피지까지 서식하며, 어떤 새보다도 가장 넓은 자연 번식 분포를 보인다.[2] 모리셔스쇠황조롱이처럼 섬에만 국한된 고유종과 같이 분포 지역이 제한적인 종도 있다.[2] 툰드라에서부터 열대우림과 사막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서식지 유형에 서식하지만, 일반적으로 열린 지역의 새들이 많으며, 심지어 숲에 사는 종들조차도 숲이 파편화된 곳이나 숲 가장자리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2] 대부분 ''Falco'' 속에 속하는 일부 종은 완전한 철새이며, 유라시아에서 여름을 나고 아프리카에서 겨울을 나는 종도 있고, 부분적으로 이동하는 종도 있다.[2] 아무르황조롱이는 동아시아에서 남아프리카로 이동하는 등 가장 긴 이동 경로 중 하나를 가지고 있다.[2]2. 3. 생태
매과는 중앙 아프리카의 밀림, 일부 외딴 섬, 북극과 남극을 제외한 전 세계에 걸쳐 널리 분포한다.[2] 황조롱이처럼 매우 넓은 지역에 분포하는 종도 있는데, 특히 황조롱이는 그린란드에서 피지까지 서식하며, 어떤 새보다도 가장 넓은 자연 번식 분포를 보인다.[2] 모리셔스쇠황조롱이처럼 섬에만 국한된 고유종처럼 분포 지역이 제한적인 종도 있다.[2] 툰드라에서부터 열대우림과 사막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서식지 유형에 서식하지만, 일반적으로 열린 지역의 새들이 많으며, 숲에 사는 종들조차도 숲이 파편화된 곳이나 숲 가장자리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2]
대부분 ''Falco'' 속에 속하는 일부 종은 완전한 철새이며, 유라시아에서 여름을 나고 아프리카에서 겨울을 나는 종도 있고, 부분적으로 이동하는 종도 있다.[2] 아무르황조롱이는 동아시아에서 남아프리카로 이동하는 등 가장 긴 이동 경로 중 하나를 가지고 있다.[2] 매와 카라카라는 육식성 조류로, 조류, 박쥐를 포함한 소형 포유류, 파충류, 곤충, 그리고 썩은 고기를 먹는다.[4] 일반적으로 매과 조류는 빠르게 날아다니는 포식자로 여겨지지만, 이는 ''Falco''속과 일부 작은 매류에만 해당되며, 다른 종들, 특히 카라카라는 먹이 활동이 더 정적인 편이다.[4] 신열대구의 숲매류는 숲에서 다양한 먹이를 사냥하는 잡식성 사냥꾼이다.[4] 특히 진짜 매류를 포함한 여러 종들은 먹이를 저장해 두기도 한다.[4] 이들은 주로 단독 사냥을 하며 짝을 이루어 영역을 지키지만, 이동 시기에는 큰 무리를 이루기도 한다.[4] 웃는 매처럼 뱀을 전문적으로 사냥하는 종이나, 붉은목카라카라처럼 주로 꿀벌과 말벌의 애벌레를 먹는 종도 있으며, 다른 종들은 더 잡식성이다.[4]

매와 카라카라는 일반적으로 단독으로 번식하지만, 약 10%의 종은 집단으로 번식한다. 예를 들어 붉은발황조롱이가 있다.[5] 이들은 일부일처제를 따르지만, 일부 카라카라는 어린 새들이 어른 새(주로 부모)가 다음 새끼들을 기르는 것을 돕는 이종 부모 양육 전략을 사용하기도 한다.[5] 카라카라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둥지를 짓지 않고, 다른 새들의 둥지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쇠황조롱이는 비짜르과 새들의 둥지나 절벽의 벼랑에 둥지를 튼다.[17] 약 2~4개의 알을 낳으며, 주로 암컷이 알을 품는다.[17] 알을 품는 기간은 종에 따라 다르며, 몸집과 관련이 있으며, 작은 종은 28일, 큰 종은 최대 35일이 걸린다. 새끼들은 28~49일 후에 이소하며, 이 기간 또한 크기에 따라 다르다.
3. 분류
매과는 1819년 영국의 동물학자 윌리엄 엘퍼드 리치가 영국 박물관 소장품 안내서에 처음 소개하였다.[6][7] 매과는 쇠황조롱이류, 진짜 매류, 카라카라류, 숲매류의 네 가지 주요 분류군으로 구성된다.
매과의 분류는 학자들 사이에 논란이 있는데, 특히 아과(Subfamily) 분류와 웃는매(''Herpetotheres'')와 얼룩날개쇠황조롱이(''Spiziapteryx'')의 분류 위치에 대해 의견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폴리보르아과(Polyborinae)와 매아과(Falconinae)의 두 아과로 나누는 방법이 사용된다. 폴리보르아과에는 카라카라류, 숲매류, 웃는매가 포함되며, 이들은 모두 아메리카 대륙 원산이다.[8] 그러나 미국 조류학회 분류위원회(NACC 및 SACC)는 폴리보르아과를 인정하지 않고, 북아메리카 조류 목록에서는 웃는매를 매아과로, 폴리보르아과 대신 카라카라아과와 미크라스투르아과를 사용한다.[9] 남아메리카 조류 목록에서는 모든 카라카라류를 매아과로, 웃는매와 숲매를 헤르페토테르아과(Herpetotherinae) 아과로 분류한다.[10]
전통적으로 매아과에는 매류, 쇠황조롱이류, 난쟁이매류가 포함되지만,[11] 학자에 따라 카라카라류 및/또는 웃는매가 포함되기도 한다.[10][12]
매과는 단형인 매목에 속하며,[19][20][21] 매목은 참새목+앵무새목과 자매군일 가능성이 높다.[22][23]
과거에는 주행성맹금류인 매과, 수리류(수리과 등), 콘도르과가 같은 매목(Falconiformes)으로 분류되었으나, 형태 및 분자적 증거를 통해 매목(Falconiformes, 매과만 해당)과 수리목(Accipitriformes, 수리류와 콘도르과)으로 분리되었다. 매목은 수리목과 달리 갈고리 발톱이 작고 크기가 비교적 고르며, 이는 생태가 다양한 참새목과 유사한 비율을 보인다.[23]
매과 내 카라카라류 4속(현재 5속)은 형태적 유사성을 바탕으로 단계통군인 카라카라아과(Polyborinae)로, 매속(Falco), 소형매속(Polihierax), 쇠매속(Microhierax)은 매아과(Falconinae)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숲매속(Micrastur), 웃는매(Herpetotheres), 흰배매(Spiziapteryx)의 분류는 여러 의견이 있었다.
현재 계통 분류에 따르면 매과는 웃는매아과(웃는매와 숲매속)와 매아과로 나뉘며, 매아과는 다시 카라카라족(Caracarini, 카라카라류)과 매족(Falconini)으로 나뉜다.[24][25][26][23] 흰배매는 매족에 포함되지만, 약간의 불확실성이 있다.
숲매속과 웃는매는 과거 수리과에 더 가깝다는 주장도 있었으나,[25] 이후 매아과나 카라카라아과에 포함되거나, 별도의 숲매아과(Micrasturinae)[27] 또는 웃는매아과로 분류되거나, 두 속을 하나의 아과로 묶는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흰배매는 소형매속에 가깝다고 여겨졌으나, 카라카라류에 더 가깝다는 주장에 따라 카라카라아과에 포함되기도 했다.
3. 1. 하위 분류
매과는 크게 쇠황조롱이류, 매류, 카라카라류, 숲매류의 세 가지 주요 분류군으로 나뉜다. 이들을 아과(Subfamily)로 어떻게 분류할지는 학자들 사이에 의견이 분분하며, 웃는매와 얼룩날개쇠황조롱이의 분류 위치 또한 학자에 따라 다르다.일반적으로 폴리보르아과(Polyborinae)와 매아과(Falconinae)의 두 아과로 분류한다. 폴리보르아과에는 카라카라류, 숲매류, 웃는매가 포함되며, 이들은 모두 아메리카 대륙에 서식한다.[8] 그러나 미국 조류학회 분류위원회(NACC 및 SACC)가 작성한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조류 목록에는 폴리보르아과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북아메리카 조류 목록은 웃는매를 매아과로 간주하고, 폴리보르아과 대신 카라카라아과와 미크라스투르아과를 사용한다.[9]
아과 | 이미지 | 속 | 종 |
---|---|---|---|
카라카라아과 | |||
Spiziapteryx | |||
![]() | Caracara | ||
![]() | Ibycter | ||
![]() | Milvago | ||
카라카라아과 | ![]() | Daptrius | |
![]() | Phalcoboenus | ||
매아과 | ![]() | Microhierax | |
![]() | Polihierax | ||
![]() | Neohierax | ||
매아과 | ![]() | Falco |
3. 1. 1. 웃는매아과 (Herpetotherinae)
Herpetotherinae영어 아과는 남아메리카 조류 목록에서 분류하는 매과의 아과로, 웃는매와 숲매를 포함한다.[10] 이 분류군의 모든 종은 아메리카 대륙 원산이다.[8]3. 1. 2. 매아과 (Falconinae)
매아과(Falconinae)는 1819년 영국의 동물학자 윌리엄 엘퍼드 리치가 영국 박물관 소장품 안내서에 처음 소개하였다.[6][7] 전통적인 분류에서 매아과는 매류, 쇠황조롱이류, 난쟁이매류를 포함한다.[11] 권위자에 따라 매아과에는 카라카라류 및/또는 웃는매가 포함될 수도 있다.[10][12]매과의 구성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데, 미국 조류학회 분류위원회가 작성한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조류 목록에는 폴리보르아과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북아메리카 조류 목록은 웃는매를 진짜 매(매아과)로 간주하고 폴리보르아과 대신 카라카라아과와 미크라스투르아과를 사용한다.[9] 반면, 남아메리카 조류 목록은 모든 카라카라류를 진짜 매로 분류하고 웃는매와 숲매를 헤르페토테르아과 아과에 넣는다.[10]
현존하는 속과 종은 국제조류학회 기준이다.[19] 현존하는 속은 11개, 종은 65종이 있다.
3. 2. 계통
2015년 제롬 퓌크스(Jérôme Fuchs)와 그의 연구진이 수행한 매과에 대한 종합적인 분자계통유전학 연구를 기반으로 한 분지도는 다음과 같다. 종의 수는 프랭크 길, 패멀라 라스무센과 데이비드 돈스커가 국제조류학회(IOC)를 대표하여 관리하는 조류 목록에서 가져왔다.[13][14] 퓌크스와 그의 연구진은 낮은 유전적 분화 때문에 ''Daptrius'' 속에 ''Phalcoboenus'' 속과 ''Milvago'' 속을 포함시키는 것을 권장했다. 이러한 변경은 클레멘츠 목록에서는 채택되었지만 IOC에서는 채택되지 않았다.[14][13][15]매과는 단형인 매목에 분류되며[19][20][21], 매목은 아마도 참새목+앵무새목과 자매군일 것이다.[22][23]
전통적으로, 주행성맹금류인 매과·수리류(수리과 등)·콘도르과는 같은 매목 (Falconiformes)으로 분류되어 왔다. 하지만 형태 및 분자 모두에서 의문이 제기되어, 매목 (Falconiformes)(매과만)과 수리목 (Accipitriformes)(수리류와 콘도르과)으로 분리되었다. 매목은 수리목과 달리 갈고리 발톱이 작고 비교적 크기가 고르며, 이 비율은 생태가 크게 다른 참새목과 거의 같다.[23]
전통적으로, 매과 중 카라카라류 4속(현재 분류에서는 5속)은 형태적 공통점으로부터 단계통군인 카라카라아과 (Polyborinae)로 분류되어 왔다. 매속 (Falco)·소형매속 (Polihierax)·쇠매속 (Microhierax)는 매아과 (Falconinae)로 분류되었다. 하지만, 나머지 숲매속 (Micrastur)·웃는매 (Herpetotheres)·흰배매 (Spiziapteryx)의 분류에는 여러 의견이 있었다.
현재의 계통으로부터, 매과는 웃는매아과(웃는매와 숲매속)와 매아과로 나뉘며, 매아과는 카라카라족 (Caracarini)(카라카라류)과 매족 (Falconini)으로 나뉜다.[24][25][26][23] 흰배매는 약간의 불확실성이 있지만 매족에 포함된다.
숲매속·웃는매는, 옛날에는 수리과에 더 가깝다는 설도 있었다.[25] 그 후, 매아과나 카라카라아과에 포함시키거나, 단형인 숲매아과 (Micrasturinae)[27] 또는 웃는매아과에, 혹은 2속을 1아과로 분리하는 설 등이 나타났다. 흰배매는 소형매속에 가깝다고 생각되어 왔지만, 카라카라류에 가깝다고 하여 카라카라아과에 포함시키는 설도 있었다.
4. 인간과의 관계
매과 동물은 인간과 복잡한 관계를 맺어왔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매가 신격화되기도 하였고, 매사냥에 이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사냥감과 가축을 포식한다는 이유로 박해를 받기도 하였으며, 이로 인해 일부 종은 멸종되거나 개체 수가 급감하였다.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 남획, 농약에 의한 먹이 감소 및 중독 등도 매의 개체 수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17][28][29][30][31][32]
4. 1. 문화
매와 카라카라는 인간과 복잡한 관계를 맺어왔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하늘과 태양의 신이자 파라오의 조상인 호루스의 모습으로 신격화되었다. 카라카라는 또한 아즈텍 신화의 일부를 이루었다. 매는 (과거에는 종종 왕족의) 스포츠인 매사냥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사냥감과 가축을 포식한다는 이유로 박해를 받았으며, 그 박해로 인해 과달루페 카라카라를 포함해 최소한 한 종이 멸종되었다. 여러 섬 지역 종들이 급격히 감소했는데, 그중 가장 심각한 것은 모리셔스 황조롱이로, 한때 개체 수가 4마리에 불과했다. 사커매를 포함하여 약 5종의 매가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 의해 멸종 위기 취약종으로 분류된다.4. 2. 보존
매와 카라카라는 인간과 복잡한 관계를 맺어왔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하늘과 태양의 신이자 파라오의 조상인 호루스의 모습으로 신격화되었다. 카라카라는 아즈텍 신화의 일부이기도 하다. 매는 과거 왕족의 스포츠인 매사냥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사냥감과 가축을 포식한다는 이유로 박해를 받았으며, 그 박해로 인해 과달루페 카라카라를 포함해 최소한 한 종이 멸종되었다. 여러 섬 지역 종들이 급격히 감소했는데, 그중 가장 심각한 것은 모리셔스 황조롱이로, 한때 개체 수가 4마리에 불과했다. 사커매를 포함하여 약 5종의 매가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 의해 멸종 위기 취약종으로 분류된다.참조
[1]
논문
A new time tree reveals Earth history's imprint on the evolution of modern birds
2015
[2]
논문
Raptor migration at Hoang Lien Nature Reserve, northern Vietnam
https://web.archive.[...]
[3]
논문
Bats as prey of diurnal birds: a global perspective
[4]
논문
Food Caching by Female American Kestrels in Winter
[5]
논문
Paternity assurance in two species of colonially breeding falcon: the kestrel ''Falco tinnunculus'' and the red-footed falcon ''Falco vespertinus''
[6]
서적
Synopsis of the Contents of the British Museum
British Museum
[7]
서적
History and Nomenclature of Avian Family-Group Names
http://digitallibrar[...]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8]
웹사이트
Subfamily Polyborinae (caracaras and forest falcons)
http://animaldiversi[...]
University of Michigan
2009-08-15
[9]
웹사이트
Check-list of North American Birds
https://web.archive.[...]
American Ornithologists' Union
2009-08-15
[10]
웹사이트
A classification of the bird species of South America
https://web.archive.[...]
American Ornithologists' Union
2009-08-15
[11]
웹사이트
Subfamily Falconinae (falcons)
http://animaldiversi[...]
University of Michigan
2009-08-17
[12]
웹사이트
Check-list of North American Birds
https://web.archive.[...]
American Ornithologists' Union
2009-08-17
[13]
논문
Rapid diversification of falcons (Aves: Falconidae) due to expansion of open habitats in the Late Miocene
2015
[14]
웹사이트
Seriemas, falcon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3-01
[15]
웹사이트
The eBird/Clements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v2022
http://www.birds.cor[...]
[16]
논문
Estratigrafía y vertebrados (Aves y Mammalia) de la Formación Cerro Bandera, Mioceno Temprano de la Provincia del Neuquén, Argentina
http://www.scielo.cl[...]
[17]
서적
動物大百科7 鳥I
平凡社
[18]
서적
フィールドガイド 日本の野鳥 増補改訂版
日本野鳥の会
[19]
웹사이트
IOC World Bird Names (version 2.5)
http://www.worldbird[...]
[20]
웹사이트
A classification of the bird species of South America
http://www.museum.ls[...]
[21]
웹사이트
Proposals 2009-C
http://www.aou.org/c[...]
[22]
논문
A Phylogenomic Study of Birds Reveals Their Evolutionary History
[23]
논문
Predatory Functional Morphology in Raptors: Interdigital Variation in Talon Size Is Related to Prey Restraint and Immobilisation Technique
http://www.ncbi.nlm.[...]
[24]
논문
Phylogeny of the falconidae inferred from molecular and morphological data
http://elibrary.unm.[...]
[25]
논문
Phylogeny of the Falconidae (Aves): a comparison of the efficacy of morphological, mitochondrial, and nuclear data
[26]
웹사이트
Classification within Falconidae
[27]
웹사이트
Check-list of North American Birds
http://www.aou.org/c[...]
アメリカ鳥学会
2009-08-07
[28]
서적
動物世界遺産 レッド・データ・アニマルズ6 アフリカ
講談社
[29]
서적
動物世界遺産 レッド・データ・アニマルズ1 ユーラシア、北アメリカ
講談社
[30]
서적
動物世界遺産 レッド・データ・アニマルズ7 オーストラリア、ニューギニア
講談社
[31]
서적
動物世界遺産 レッド・データ・アニマルズ3 中央・南アメリカ
講談社
[32]
서적
動物世界遺産 レッド・データ・アニマルズ8 太平洋、インド洋
講談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