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매니토바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매니토바 호는 캐나다 매니토바주에 위치한 호수로, 어시니보인 족과 크리 족에게 알려졌으며, 1730년대 중반 유럽인들에게 처음으로 알려졌다. 크리어와 오지브웨어에서 유래된 이름은 "위대한 영의 해협"을 의미하며, 매니토바 공화국과 매니토바 주의 이름의 기원이 되었다. 이 호수는 델타 습지와 같은 지리적 특징을 가지며, 200km에 달하는 불규칙한 형태를 띠고 있다. 매니토바 호는 1899년부터 1901년까지 수위 조절을 위한 배출 수로 개선 공사가 진행되었으며, 1933년과 1961년에 댐이 건설되어 수위 조절을 해왔다. 이 호수는 상업 어업의 중요한 장소이며, 월아이, 쏘거, 노란 퍼치 등이 주요 어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매니토바주의 호수 - 우즈호
    우즈호는 캐나다와 미국에 걸쳐 있는 호수로, 다양한 섬과 반도로 이루어진 지리적 특징과 역사적 사건들을 겪었으며, 현재는 관광 명소로 개발되어 레저 활동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고, 수위 관리를 위해 양국 간 협약과 통제 위원회가 운영되고 있다.
  • 매니토바주의 호수 - 레인디어호
    레인디어호는 캐나다 매니토바주와 서스캐처원주에 걸쳐 있는 굴곡진 해안선과 섬이 많은 호수이며, 낚시가 중요한 산업이고, 딥 베이에는 운석 충돌 구조가 있으며, NORAD 산타 추적의 산타 캠 위치로 사용되기도 했다.
매니토바호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일반 정보
이름매니토바 호
프랑스어 이름Lac Manitoba
위치캐나다 매니토바주
좌표50°59′N 98°48′W
호수 유형빙하호
수문 정보
유입워터헨 강, 화이트머드 강
유출페어포드 강
유역 면적54,630 km²
길이200 km
45 km
면적4,624 km²
염도3.5‰ (염호)
최대 깊이7 m
부피14.1 km³
체류 시간북쪽 유역: 2년, 남쪽 유역: 28년
해발 고도812 ft
기타 정보
연안 도시페어포드, 스티프록, 생로랑, 샌디 베이
매니토바 호 지도
매니토바 호 위치

2. 역사

오랫동안 어시니보인 족과 크리 족 원주민들이 거주했던 이 호수는 1730년대 중반 프랑스 탐험가 피에르 고티에 드 바렌, 라 베렌드리에 의해 유럽 사회에 알려졌다. 이후 호수는 포트 라 레인에서 서스캐처원 강 유역으로 향하는 탐험 경로이자 허드슨 만으로 이어지는 모피 무역로의 일부로 이용되었다.

호수의 이름은 크리 어 'manitou-wapow' 또는 오지브웨 어 'manidoobaa'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며, 두 단어 모두 '매니토(위대한 영)의 해협'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는 호수 중앙의 좁은 수로(The Narrows)를 가리키는 말로, 이곳에서 신성한 소리가 들린다고 여겨졌다. 프랑스 탐험가들은 이 호수를 Lac des Prairies|라크 데 프레리프랑스어(초원의 호수)라고 부르기도 했다.

짧은 기간 존속했던 매니토바 공화국과 이후 설립된 매니토바 주의 이름은 모두 이 호수에서 비롯되었다.

2. 1. 원주민의 터전과 유럽인의 도래

이 호수 주변에는 어시니보인 족과 크리 족 원주민들이 오랫동안 거주해왔다. 유럽인들에게 이 호수가 알려진 것은 1730년대 중반으로, 프랑스 탐험가 피에르 고티에 드 바렌, 라 베렌드리에 의해서였다. 그와 그의 아들들은 포트 라 레인에서 출발하여 매니토바호를 거쳐 서스캐처원 강과 그 주변 지역까지 탐험 영역을 넓혔다. 이 과정에서 서스캐처원 강과 시더 호 인근에 요새가 건설되기도 했다. 또한 매니토바호는 허드슨 만으로 이어지는 모피 무역 경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호수의 이름 '매니토바'는 크리 어 'manitou-wapow' 또는 오지브웨 어 'manidoobaa'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 두 표현 모두 '매니토(Manitou, 위대한 영)의 해협'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이는 호수 중앙의 좁은 수로(현재는 'The Narrows'라고 불림)를 지칭하는 말이었다. 이곳은 영적인 존재의 소리가 들린다고 여겨졌던 신성한 장소였으나, 구체적으로 어떤 소리가 어디서 들렸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프랑스의 아메리카 식민지화 시기 프랑스 탐험가들은 이 호수를 Lac des Prairies|라크 데 프레리프랑스어(초원의 호수)라고 부르기도 했다.

짧은 기간 존재했던 매니토바 공화국과 이후 설립된 매니토바 주는 모두 이 호수에서 그 이름을 가져왔다.

2. 2. 모피 무역과 탐험의 거점

유럽인들이 도착하기 전, 이 호수 주변에는 어시니보인 족과 크리 족이 거주하고 있었다. 1730년대 중반, 프랑스 탐험가 피에르 고티에 드 바렌, 라 베렌드리가 유럽인들에게 이 호수를 처음 알렸다. 라 베렌드리와 그의 아들들은 포트 라 레인을 거점으로 삼아 매니토바호를 지나 서스캐처원 강과 그 주변 지역을 탐험했다. 탐험 과정에서 서스캐처원 강과 시더 호 인근에 요새가 건설되었다. 매니토바호는 당시 활발했던 모피 무역에서 허드슨 만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경로의 일부이기도 했다.

호수의 이름 '매니토바'는 크리 어 'manitou-wapow' 또는 오지브웨 어 'manidoobaa'에서 유래했는데, 두 단어 모두 '매니토의 해협'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는 호수 중앙의 좁은 수로(현재 'The Narrows'라 불리는 지역)를 가리키는 말로, 이곳에서 정령(매니토)의 소리가 들린다고 여겨졌다. 어떤 소리였는지, 정확히 어디였는지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는 탐험가들 사이에서 '초원의 호수'라는 뜻의 Lac des Prairies|라크 데 프레리fra로 불리기도 했다.

잠시 존재했던 매니토바 공화국과 현재의 매니토바 주는 모두 이 호수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2. 3. 매니토바 주의 탄생

매니토바호의 이름은 크리 어의 manitou-wapow|마니토우-와포우cr 또는 오지브웨 어의 manidoobaa|마니두바oj에서 유래했으며, 두 단어 모두 "매니토의 해협", 즉 위대한 영(Great Spirit)의 해협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이는 현재 호수 중앙의 좁은 수역인 '더 내로우스'(The Narrows)를 지칭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전설에 따르면 이곳에서 영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정확히 어떤 소리가 어디서 들렸는지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프랑스의 아메리카 식민지화 시기 프랑스 탐험가들은 이 호수를 Lac des Prairies|라크 데 프레리프랑스어(초원의 호수)라고 불렀다.

이 호수 주변은 본래 어시니보인 족과 크리 족의 거주지였으며, 1730년대 중반 피에르 고티에 드 바렌, 라 베렌드리에 의해 유럽 사회에 알려졌다. 그와 그의 아들들은 포트 라 레인을 거점으로 삼아 이 호수를 지나 서스캐처원 강 유역까지 탐험 활동을 벌였고, 서스캐처원 강과 시더 호 인근에 요새를 건설하기도 했다. 또한 매니토바호는 허드슨 만으로 향하는 모피 무역 경로의 중요한 일부였다.

훗날 잠시 존재했던 매니토바 공화국과 현재의 매니토바 주는 모두 이 호수의 이름에서 명칭을 따왔다.

2. 4. 매니포고 전설

수년 동안, 스코틀랜드의 네스 호의 괴물과 브리티시컬럼비아오고포고와 비슷한 괴물이 호수에 살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이 괴물은 매니포고라는 이름이 붙었다. 뱀처럼 생긴 이 바다 괴물을 보았다는 목격담은 대략 1908년부터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3. 지리

NASA의 매니토바호 이미지


매니토바호는 약 200km 길이의 불규칙한 형태를 가진 호수로, 위니펙 호수, 위니페고시스 호수와 함께 선사 시대 애거시 호의 잔해 중 하나이다. 세 호수 중 가장 작은 규모이며, 작고 불규칙한 북부 분지와 더 큰 남부 분지로 나뉜다. 이 호수는 넬슨강허드슨만 유역에 속한다.

호수의 남쪽 끝, 매니토바주 포티지라프레리 북쪽 약 24km 지점에는 델타 습지가 자리 잡고 있으며, 이곳은 이동하는 철새들에게 중요한 중간 기착지 역할을 한다.

호수 주변에는 페어포드, 스팁 록, 세인트 로랑, 샌디 베이 등의 지역 사회가 위치한다.

3. 1. 호수의 형태와 특징

매니토바 호수 내로우스


약 200km 길이의 불규칙한 형태를 가진 이 호수는 위니펙 호수(가장 큰 호수)와 위니페고시스 호수와 함께 세 개의 큰 호수 중 가장 작다. 이 호수들은 선사 시대의 애거시 호 바닥 위에 자리 잡고 있다. 호수는 두 개의 뚜렷하게 다른 분지로 나뉘는데, 작고 불규칙한 형태의 북부 분지와 훨씬 더 큰 남부 분지가 있다. 이 호수는 넬슨강허드슨만 유역에 속한다.

호수의 남쪽 끝에는 매니토바주 포티지라프레리에서 북쪽으로 약 24km 떨어진 곳에 델타 습지가 있다. 이곳은 이동하는 철새들에게 중요한 중간 기착지 역할을 한다.

호수 주변의 주요 지역 사회로는 페어포드, 스팁 록, 세인트 로랑, 샌디 베이 등이 있다.

3. 2. 델타 습지와 철새

호수의 남쪽 끝, 매니토바주 포티지라프레리에서 북쪽으로 24km 떨어진 곳에 델타 습지가 위치한다. 이 습지는 철새들이 이동하는 경로에서 중요한 중간 기착지 역할을 한다.

3. 3. 주변 지역 사회

호수의 남쪽 끝에는 매니토바주 포티지라프레리에서 북쪽으로 약 24km 떨어진 곳에 델타 습지가 위치해 있다. 이 습지는 철새들이 이동하는 경로에서 중요한 중간 기착지 역할을 한다.

호수 주변의 주요 지역 사회는 다음과 같다.

  • 페어포드
  • 스팁 록
  • 세인트 로랑
  • 샌디 베이

3. 4. 수자원



매니토바호의 물은 다양한 경로로 유입되고 유출된다. 주요 유입원은 북서쪽 위니페고시 호수에서 흘러오는 워터헨 강과 호수 표면에 직접 내리는 강수량으로, 이 둘이 전체 유입량의 약 82%를 차지한다. 물은 북동쪽의 페어포드 강을 통해 위니펙 호수로 흘러나가지만, 유출량의 거의 절반(약 50%)은 증발을 통해 이루어진다.[5] 이러한 높은 증발 비율은 매니토바호가 저염호의 특성을 가지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6]

3. 4. 1. 유입

매니토바호의 주요 물 공급원은 북서쪽 위니페고시 호수에서 흘러나오는 워터헨 강이다. 이 강을 통해 연평균 약 2.34km3의 물이 유입되며, 이는 전체 유입량의 약 42%를 차지한다.[5] 화이트머드 강과 주변 지역의 지표면 유출을 통해서는 연평균 약 0.317km3이 유입된다. 또한, 호수 표면에 직접 내리는 강수량도 중요한 유입원으로, 연평균 약 2.22km3 (전체 유입의 40%)에 달한다.[5] 추가적으로, 1970년부터 2003년까지는 포티지 우회로(Portage Diversion)를 통해 어시니보인 강으로부터 연평균 약 0.304km3의 물이 유입되기도 했다.[5]

한편, 매니토바호의 물은 북동쪽의 페어포드 강을 통해 세인트마틴 호수와 도핀 강을 거쳐 최종적으로 위니펙 호수로 흘러나간다. 연평균 강 유출량은 약 2.5km3이다. 또한 증발로 인한 손실도 상당하여 연평균 약 2.49km3에 이른다. 전체 유출량의 거의 절반이 증발에 의한 것이며, 이는 매니토바호가 저염의 특성을 가지는 이유를 설명해준다.[5][6]

3. 4. 2. 유출

매니토바호의 물은 주로 북동쪽의 페어포드 강을 통해 세인트마틴 호수와 도핀 강을 거쳐 최종적으로 위니펙 호수로 흘러나간다. 강을 통한 연평균 유출량은 약 2.5km3이다.[5] 평균 증발량은 연간 약 2.49km3으로, 강 유출량과 비슷한 수준이며 전체 유출량의 거의 절반(50%)을 차지한다.[5] 이는 호수로 유입되는 물의 상당 부분이 증발을 통해 빠져나간다는 것을 의미하며, 주요 물 유입원이 워터헨 강(유입량의 42%)과 호수 표면 강수량(40%)인 점을 고려할 때[5] 매니토바호의 저염 특성을 설명하는 요인이 된다.[5][6]

3. 4. 3. 염도

매니토바호는 주로 워터헨 강(유입량의 42%)과 호수 표면에 직접 내리는 강수량(40%)을 통해 물을 공급받는다.[5] 물은 북동쪽 페어포드 강을 통해 세인트마틴 호수와 도핀 강을 거쳐 위니펙 호수로 흘러나가지만, 유출량의 거의 절반(약 50%)은 증발을 통해 이루어진다.[5] 이처럼 높은 증발 비율은 매니토바호가 저염호의 특성을 가지게 하는 주요 요인이다.[6]

4. 수위 조절과 홍수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루고 있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별도의 내용을 작성하지 않습니다.

4. 1. 수위 조절 댐 건설

호수 주변의 심각한 홍수로 인해 1899년부터 1901년까지 개선된 배출 수로가 굴착되었다. 1920년대 후반과 1930년대 초반의 건조한 시기를 겪은 후, 1933년 주 정부는 수로 바로 하류의 페어포드 강(Fairford River)에 콘크리트 제어 을 건설했다. 1961년에 새로운 댐이 건설되었다. 이 새로운 구조물은 해수면 위 약 247.04m에서 약 247.65m 사이로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운영된다.

댐 건설 전후의 수위 변화는 다음과 같다.

기간최고 수위평균 수위최저 수위평균 연간 범위
1960년 이전약 248.79m약 247.55m약 246.86m약 0.43m
1960–1999약 247.95m약 247.47m약 247.00m약 0.39m


4. 2. 2011년 대홍수

2010–2011년 겨울 동안 평년보다 많은 눈이 내렸고, 봄철 매니토바 호수 유역의 강수량도 증가했다. 이로 인해 매니토바 호수의 예상 수위는 규제 상한선인 해발 약 247.65m를 넘어서고, 홍수 수위인 해발 약 248.11m에 근접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어시니보인 강과 그 지류의 수위가 높아지면서 포티지 우회로를 통해 최대 960m3/s의 물이 추가로 유입되었다.

2011년 5월 31일에는 호수 수위가 이미 해발 약 248.45m로 매우 높은 상태였는데, 북쪽과 북서쪽에서 시속 70km/h(돌풍 최대 시속 90km/h)의 강한 바람이 불었다. 이 강풍으로 인해 트윈 레이크스 비치, 세인트 로렌스, 세인트 앰브로이즈, 델타 비치, 린치 포인트, 빅 포인트를 포함한 호수 남쪽 해안 지역과 넓은 농지가 큰 피해를 입었다. 이후 호수는 7월 21일에 해발 약 249.08m로 최고 수위를 기록했다.[7]

4. 3. 역사적 홍수 기록

강물이 비교적 빠르게 불어나고 줄어드는 것과 달리, 매니토바호와 같은 큰 호수는 수위가 오르내리는 데 몇 달 또는 몇 년이 걸린다. 아래 표는 매니토바 인프라 및 교통부(MIT)가 정의한 홍수 수위인 해발 약 248.11m 이상이었던 기록적인 홍수 발생 연도이다. 그러나 해발 약 247.80m 수준부터 호수 주변 농경지에 국지적인 홍수가 발생할 수 있다.[8]

연도최고 호수 수위 (ASL)
2011-12약 249.08m (2011)[9]
1881-82> 약 249.02m (1882)[10]
1954-57약 248.90m (1955)[11]
1913> 약 248.72m[12]
2014약 248.32m[13]
1924약 248.17m[14]
1925약 248.17m[15]


  • 1881-82년에는 호수 수위가 공식적으로 기록되지 않았다. 그러나 매니토바호 주변 지형을 고려할 때, 1881년과 1882년에 발생했던 것처럼 호수가 아시니보인강으로 다시 배수되려면 해발 약 249.02m 수준이 필요하다. 또한, 주요 수로 개선이 이루어지기 훨씬 전인 1881년에 페어포드강에서 14835cuft/s의 유량이 기록되었다. 이 기간 페어포드강 유량 등급 곡선을 기준으로 하면, 이 유량은 해발 약 249.17m만큼 높은 호수 수위와 관련이 있다. 더 나아가, 워렌 업햄은 1890년 연구 "매니토바의 빙하 호수 아가시의 탐사 보고서"에서 매니토바호가 최저 수위보다 약 약 2.44m 상승했으며, 기록상 최저 수위는 약 약 246.89m, 최고 수위는 약 249.33m ASL로 나타났다고 언급했다.[16]
  • 호수 수위는 1914년이 되어서야 기록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1913년에 페어포드강에서 11500cuft/s의 유량이 기록되었으며, 당시 유량 등급 곡선을 기준으로 하면 이는 해발 약 248.72m보다 높은 호수 수위에 해당한다.[17]
  • 2011년 5월 31일, 강한 바람이 부는 동안 트윈 레이크 비치에서 매니토바호의 수위가 해발 약 250.05m로 측정되었다.[18] 강풍과 파도로 인해 높아진 수위는 매니토바호 남쪽 유역을 따라 심각한 피해를 일으켰다. 표에 기록된 2011년 최고 홍수 수위는 바람의 영향을 제외한 최고 호수 수위이다.

5. 어업



매니토바호는 매니토바주의 연간 3000만캐나다 달러 규모의 상업 어업에서 세 개의 주요 호수 중 하나이다.[19]

매니토바호에서 잡히는 주요 상업 어종은 19세기 말에는 화이트피쉬였으나, 오늘날에는 월아이, 쏘거, 노란 퍼치로 바뀌었다. 잉어와 같은 비주류 어종의 어획량은 크게 증가했다. 털리비 어획량은 여전히 높지만 상업 어종으로 간주되지는 않는다.

호수에서 상업적으로 이루어지는 겨울 어업의 총 어획량은 1940년대 후반 연간 약 약 680만kg에서 2002년에는 약 204만kg 미만으로 감소했다.

6. 사진 자료



생 앙브루아즈 주립 공원 해변


워촌 주립 공원 해변

참조

[1] 간행물 Lake Manitoba GAPZY
[2] 논문 The salt lakes of western Canada: A paleolimnological overview http://home.cc.umani[...] 1988
[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ww.gov.mb.c[...] 2017-09-02
[4] 간행물 Lac Manitoba GBGDT
[5] 문서 Volumes provided by Alf Warkentin Manitoba Water Stewardship
[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home.cc.umani[...] 2011-07-15
[7] 문서 Water Survey Canada
[8] 웹사이트 Provincial Flood Control Infrastructure Review of Operating Guidelines: A Report to the Minister of Manitoba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https://www.gov.mb.c[...] Province of Manitoba 2015-08
[9] 웹사이트 Lake Manitoba and Lake St. Martin Outlet Channels Conceptual Design Preliminary Options https://www.gov.mb.c[...] Province of Manitoba 2014
[10] 웹사이트 2011 Flood: Technical Review of Lake Manitoba, Lake St. Martin and Assiniboine River Water Levels https://www.gov.mb.c[...] Province of Manitoba 2013-10
[11] 웹사이트 2011 Flood: Technical Review of Lake Manitoba, Lake St. Martin and Assiniboine River Water Levels https://www.gov.mb.c[...] Province of Manitoba 2013-10
[12] 웹사이트 Provincial Flood Control Infrastructure Review of Operating Guidelines: A Report to the Minister of Manitoba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https://www.gov.mb.c[...] Province of Manitoba 2015-08
[13] 웹사이트 Provincial Flood Control Infrastructure Review of Operating Guidelines: A Report to the Minister of Manitoba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https://www.gov.mb.c[...] Province of Manitoba 2015-08
[14] 웹사이트 Lake Manitoba and Lake St. Martin Outlet Channels Conceptual Design Preliminary Options https://www.gov.mb.c[...] Province of Manitoba 2014
[15] 웹사이트 Lake Manitoba and Lake St. Martin Outlet Channels Conceptual Design Preliminary Options https://www.gov.mb.c[...] Province of Manitoba 2014
[16] 웹사이트 2011 Flood: Technical Review of Lake Manitoba, Lake St. Martin and Assiniboine River Water Levels https://www.gov.mb.c[...] Province of Manitoba 2013-10
[17] 웹사이트 Provincial Flood Control Infrastructure Review of Operating Guidelines: A Report to the Minister of Manitoba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https://www.gov.mb.c[...] Province of Manitoba 2015-08
[18] 뉴스 Flood Bulletin #68 - June 3, 2011 http://news.gov.mb.c[...] 2011-06-03
[19] 웹사이트 Province of Manitoba | Manitoba Water Stewardship | Fisheries Branch https://www.gov.mb.c[...]
[20] 웹사이트 Delta Marsh https://rsis.ramsar.[...] 2023-04-01
[21] 서적 世界不思議地図 朝日新聞出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