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멀티싱크 모니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멀티싱크 모니터는 여러 주사율을 지원하여 다양한 그래픽 카드 및 컴퓨터 시스템과 호환되는 디스플레이 기술이다. 초창기에는 고정된 주사율을 사용했지만, IBM의 EGA 이후 다양한 해상도를 지원하기 위해 멀티싱크 기술이 개발되었다. 1985년 NEC 멀티싱크는 다양한 동기 주파수를 지원하며, 이후 VESA 표준이 설정되어 다양한 해상도와 재생률을 지원하게 되었다. 멀티싱크 모니터는 CRT와 LCD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며, LCD는 고정된 픽셀 수를 가지므로 입력 신호와 해상도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이미지 확대 또는 축소, 레터박싱 등의 방식으로 이미지를 표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디스플레이 장치 - 유기 발광 다이오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유기 화합물의 자체 발광 현상을 이용한 소자로, 1987년 코닥의 2층 구조 소자 개발 이후 효율과 수명이 향상되어 스마트폰, TV 등 다양한 분야에 상용화되었으며, 높은 명암비와 빠른 응답 속도 등의 장점과 함께 수명 및 번인 현상 등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진행 중이다.
  • 디스플레이 장치 - 영상 프로젝터
    영상 프로젝터는 전기 신호를 받아 영상을 투사하는 장치로, 다양한 기술 발전을 거쳐 밝기, 명암비, 해상도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며, 여러 제조업체들이 경쟁하고 있다.
  • 그래픽 하드웨어 - 그래픽 처리 장치
    그래픽 처리 장치(GPU)는 컴퓨터 그래픽 렌더링 및 표시를 가속화하는 전용 프로세서로,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시작하여 개인용 컴퓨터의 초기 그래픽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하드웨어 가속 3D 그래픽을 거쳐 인공지능 및 딥러닝 분야에서도 활용되며 다양한 형태로 컴퓨터, 게임 콘솔, 모바일 기기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 그래픽 하드웨어 - 매트록스 G200
    매트록스 G200은 1990년대 후반 매트록스가 출시한 고급 2D 그래픽 가속기 시리즈로, 듀얼버스 아키텍처, 32비트 색상 지원, 트리리니어 밉맵 필터링 등의 혁신적인 기술을 통해 2D 그래픽 분야에서 강점을 유지하고 저전력 설계를 통해 시스템 안정성과 소음 감소에 기여했다.
멀티싱크 모니터
개요
다양한 주사율을 지원하는 멀티싱크 모니터
다양한 주사율을 지원하는 멀티싱크 모니터
종류아날로그 비디오 모니터
다른 이름가변 주파수 모니터, 다중 스캔 모니터, 다중 모드 모니터
기술 정보
작동 원리들어오는 동기화 신호 주파수를 측정하여 작동 범위 내의 모든 주파수에 동기화
지원 신호수평 스캔 주파수 및 수직 스캔 주파수의 넓은 범위 지원
호환성다양한 비디오 표준과 해상도 지원 (CGA, EGA, VGA)
장점다양한 장치와의 호환성, 유연성
단점고정 주파수 모니터에 비해 높은 비용, 복잡한 회로
역사
최초의 멀티싱크 모니터NEC에서 1985년에 출시
모델명: MultiSync
개발 배경다양한 비디오 카드와 표준의 등장
단일 모니터로 다양한 시스템 지원 필요성 증가
응용 분야
컴퓨터 시스템IBM PC 및 호환 기종
아미가
아콘
게임 콘솔다양한 해상도와 주사율을 지원하는 게임 콘솔
산업 및 과학 장비특수 비디오 신호를 사용하는 장비
참고 사항
주의 사항모든 모니터가 모든 주파수를 지원하는 것은 아님
지원되는 주파수 범위 확인 필요
관련 용어고정 주파수 모니터
수평 주파수
수직 주파수
VESA
추가 정보
추가 설명멀티싱크 모니터는 가변 주파수 모니터, 다중 스캔 모니터, 다중 모드 모니터 등으로도 불림
Modeline 계산기를 사용하여 특정 해상도와 주사율에 대한 적절한 설정 계산 가능

2. 역사

초창기 가정용 컴퓨터NTSC, PAL 또는 SECAM과 같은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표준을 사용하여 일반 텔레비전이나 컴포지트 모니터로 비디오를 출력했다.[4] 이러한 디스플레이 표준은 고정된 주사율을 가지고 있었으며, 비디오 신호에 내장된 수직 및 수평 동기 펄스를 사용하여 동기화를 보장했다.

초창기 전용 컴퓨터 모니터 역시 종종 고정된 주사율에 의존했다. 1981년 IBM의 오리지널 IBM PC는 고정된 주사율을 사용하는 맞춤형 IBM 모니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두 가지 비디오 카드(MDA 및 CGA)를 선택하여 판매되었다. CGA 타이밍은 NTSC 텔레비전과 동일했으며, MDA 카드는 더 나은 텍스트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 더 높은 해상도를 위한 맞춤형 타이밍을 사용했다. 초기 매킨토시 모니터도 고정된 주사율을 사용했다.

1984년, IBM의 EGA는 두 번째 해상도를 추가하여 원래 CGA 속도와 새로운 비디오 모드를 위한 두 번째 속도를 지원하는 모니터의 사용을 필요로 했다.[4] 이 모니터와 이 두 동기 속도 사이를 수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다른 모니터는 이중 주사 디스플레이로 알려졌다.[5]

NEC 멀티싱크는 1985년 IBM PC와 함께 출시되어 CGA, EGA, 타사에서 판매하는 다양한 확장 형태의 표준, 그리고 아직 출시되지 않은 표준을 포함한 광범위한 동기 주파수를 지원했다.[6]

IBM의 1987년 VGA 표준은 차례로 세 가지 고정 주사율로 확장되었다. 이 시점에서 여러 그래픽 카드를 가진 PC 및 Mac 소유자는 각 카드에 대해 고유한 모니터가 필요했고,[7] 80년대 후반까지 아래의 모든 컴퓨터 비디오 표준은 소수의 특정 주파수를 지원하는 모니터를 필요로 했다.

# PAL, NTSC, CGA: ~15.7 kHz 수평 주사, 50 또는 60 Hz 수직 주사

# EGA: 15.7 kHz (CGA 호환 모드) 또는 21.8 kHz 수평 주사, 60 Hz 수직 주사

# VGA: 31.5 kHz 수평 주사, 60 또는 70 Hz 수직 주사. CGA/EGA 타이밍 지원 안 함. CGA/EGA 해상도는 VGA 호환 타이밍으로 모니터에 전송됨.

# XGA: 35.5 kHz 수평 주사, 87 Hz (43.5 Hz 인터레이스) 수직 주사 (VGA 모드 포함)

# 매킨토시, 썬, NeXT 및 기타 마이크로컴퓨터용 다양한 디스플레이 형식

1987년 VGA 이후, IBM 시장은 다양한 주사율을 사용하는 슈퍼 VGA 카드를 개발하기 시작했으며, 결국 하나의 카드에서 다양한 해상도를 출력하기 위한 표준화된 방법을 설정한 VBE가 등장하여, 그래픽 카드가 임의의 해상도를 출력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일반화된 타이밍 공식으로 발전했다.

1990년대 후반까지, 마이크로컴퓨터용 그래픽 카드는 1024x768@60 Hz에서 최소 1600x1200@85 Hz까지 다양한 사양으로 제공되었다.[8] 이러한 더 높은 해상도와 주파수 외에도, IBM PC와 같은 시스템의 부팅 시 디스플레이는 PC 표준인 720x400@70 Hz와 같은 표준 저해상도에서 작동했다. 두 해상도 모두 표시할 수 있는 모니터는 최소 31~68 kHz 범위에서 수평으로 주사할 수 있어야 했다.

이에 대응하여 VESA는 하드웨어 제조업체를 위한 표준화된 디스플레이 해상도, 재생률 및 관련 타이밍 목록을 설정했다.[9] 이는 동기 펄스에서 임의의 디스플레이 모드의 타이밍을 파생하는 표준 방법을 제공하는 VESA의 일반화된 타이밍 공식으로 대체되었고,[10] 이는 다시 VESA의 조정된 비디오 타이밍 표준으로 대체되었다.

2. 1. 초기 컴퓨터 디스플레이

초창기 가정용 컴퓨터NTSC, PAL 또는 SECAM과 같은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표준을 사용하여 일반 텔레비전이나 컴포지트 모니터로 비디오를 출력했다.[4] 이러한 디스플레이 표준은 고정된 주사율을 가지고 있었으며, 비디오 신호에 내장된 수직 및 수평 동기 펄스를 사용하여 동기화를 보장했다.[4]

초창기 전용 컴퓨터 모니터 역시 종종 고정된 주사율에 의존했다. 1981년 IBM의 오리지널 IBM PC는 고정된 주사율을 사용하는 맞춤형 IBM 모니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두 가지 비디오 카드(MDA 및 CGA)를 선택하여 판매되었다.[4] CGA 타이밍은 NTSC 텔레비전과 동일했으며, MDA 카드는 더 나은 텍스트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 더 높은 해상도를 위한 맞춤형 타이밍을 사용했다.[4] 초기 매킨토시 모니터도 고정된 주사율을 사용했다.[4]

1984년, IBM의 EGA는 두 번째 해상도를 추가하여 원래 CGA 속도와 새로운 비디오 모드를 위한 두 번째 속도를 지원하는 모니터의 사용을 필요로 했다.[4] 이 모니터와 이 두 동기 속도 사이를 수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다른 모니터는 이중 주사 디스플레이로 알려졌다.[5]

NEC 멀티싱크는 1985년 IBM PC와 함께 출시되어 CGA, EGA, 타사에서 판매하는 다양한 확장 형태의 표준, 그리고 아직 출시되지 않은 표준을 포함한 광범위한 동기 주파수를 지원했다.[6]

IBM의 1987년 VGA 표준은 차례로 세 가지 고정 주사율로 확장되었다.[4] 이 시점에서 여러 그래픽 카드를 가진 PC 및 Mac 소유자는 각 카드에 대해 고유한 모니터가 필요했고,[7] 80년대 후반까지 아래의 모든 컴퓨터 비디오 표준은 소수의 특정 주파수를 지원하는 모니터를 필요로 했다.[4]

# PAL, NTSC, CGA: ~15.7 kHz 수평 주사, 50 또는 60 Hz 수직 주사

# EGA: 15.7 kHz (CGA 호환 모드) 또는 21.8 kHz 수평 주사, 60 Hz 수직 주사

# VGA: 31.5 kHz 수평 주사, 60 또는 70 Hz 수직 주사. CGA/EGA 타이밍 지원 안 함. CGA/EGA 해상도는 VGA 호환 타이밍으로 모니터에 전송됨.

# XGA: 35.5 kHz 수평 주사, 87 Hz (43.5 Hz 인터레이스) 수직 주사 (VGA 모드 포함)

# 매킨토시, 썬, NeXT 및 기타 마이크로컴퓨터용 다양한 디스플레이 형식

1987년 VGA 이후, IBM 시장은 다양한 주사율을 사용하는 슈퍼 VGA 카드를 개발하기 시작했으며, 결국 하나의 카드에서 다양한 해상도를 출력하기 위한 표준화된 방법을 설정한 VBE가 등장하여, 그래픽 카드가 임의의 해상도를 출력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일반화된 타이밍 공식으로 발전했다.[4]

1990년대 후반까지, 마이크로컴퓨터용 그래픽 카드는 1024x768@60 Hz에서 최소 1600x1200@85 Hz까지 다양한 사양으로 제공되었다.[8] 이러한 더 높은 해상도와 주파수 외에도, IBM PC와 같은 시스템의 부팅 시 디스플레이는 PC 표준인 720x400@70 Hz와 같은 표준 저해상도에서 작동했다.[4] 두 해상도 모두 표시할 수 있는 모니터는 최소 31~68 kHz 범위에서 수평으로 주사할 수 있어야 했다.[4]

이에 대응하여 VESA는 하드웨어 제조업체를 위한 표준화된 디스플레이 해상도, 재생률 및 관련 타이밍 목록을 설정했다.[9] 이는 동기 펄스에서 임의의 디스플레이 모드의 타이밍을 파생하는 표준 방법을 제공하는 VESA의 일반화된 타이밍 공식으로 대체되었고,[10] 이는 다시 VESA의 조정된 비디오 타이밍 표준으로 대체되었다.[4]

2. 2. 멀티싱크 기술의 등장

초창기 가정용 컴퓨터NTSC, PAL 또는 SECAM과 같은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표준을 사용하여 일반 텔레비전이나 컴포지트 모니터로 비디오를 출력했다.[4] 이러한 디스플레이 표준은 고정된 주사율을 가졌다.[4] 초기 전용 컴퓨터 모니터 역시 고정된 주사율에 의존했다. 1981년 IBM의 오리지널 IBM PC는 고정된 주사율을 사용하는 맞춤형 IBM 모니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MDA 및 CGA를 선택하여 판매되었다.[4]

1984년, IBM의 EGA는 두 번째 해상도를 추가하여 원래 CGA 속도와 새로운 비디오 모드를 위한 두 번째 속도를 지원하는 모니터의 사용을 필요로 했다.[4] 이 모니터와 이 두 동기 속도 사이를 수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다른 모니터는 이중 주사 디스플레이로 알려졌다.[5]

NEC 멀티싱크는 1985년 IBM PC와 함께 출시되어 CGA, EGA, 타사에서 판매하는 다양한 확장 형태의 표준, 그리고 아직 출시되지 않은 표준을 포함한 광범위한 동기 주파수를 지원했다.[6]

IBM의 1987년 VGA 표준은 세 가지 고정 주사율로 확장되었다. 이 시점에서 여러 그래픽 카드를 가진 PC 및 Mac 소유자는 각 카드에 대해 고유한 모니터가 필요했다.[7] 80년대 후반까지 아래의 모든 컴퓨터 비디오 표준은 소수의 특정 주파수를 지원하는 모니터를 필요로 했다.

# PAL, NTSC, CGA: ~15.7 kHz 수평 주사, 50 또는 60 Hz 수직 주사

# EGA: 15.7 kHz (CGA 호환 모드) 또는 21.8 kHz 수평 주사, 60 Hz 수직 주사

# VGA: 31.5 kHz 수평 주사, 60 또는 70 Hz 수직 주사. CGA/EGA 타이밍 지원 안 함. CGA/EGA 해상도는 VGA 호환 타이밍으로 모니터에 전송됨.

# XGA: 35.5 kHz 수평 주사, 87 Hz (43.5 Hz 인터레이스) 수직 주사 (VGA 모드 포함)

# 매킨토시, 썬, NeXT 및 기타 마이크로컴퓨터용 다양한 디스플레이 형식

1987년 VGA 이후, IBM 시장은 다양한 주사율을 사용하는 슈퍼 VGA 카드를 개발하기 시작했으며, 결국 하나의 카드에서 다양한 해상도를 출력하기 위한 표준화된 방법을 설정한 VBE가 등장하여, 그래픽 카드가 임의의 해상도를 출력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일반화된 타이밍 공식으로 발전했다.

1990년대 후반까지, 마이크로컴퓨터용 그래픽 카드는 1024x768@60 Hz에서 최소 1600x1200@85 Hz까지 다양한 사양으로 제공되었다.[8] 이에 대응하여 VESA는 하드웨어 제조업체를 위한 표준화된 디스플레이 해상도, 재생률 및 관련 타이밍 목록을 설정했다.[9] 이는 동기 펄스에서 임의의 디스플레이 모드의 타이밍을 파생하는 표준 방법을 제공하는 VESA의 일반화된 타이밍 공식으로 대체되었고,[10] 이는 다시 VESA의 조정된 비디오 타이밍 표준으로 대체되었다.

2. 3. VESA 표준의 발전

초창기 가정용 컴퓨터NTSC, PAL, SECAM과 같은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표준을 사용하여 일반 텔레비전이나 컴포지트 모니터로 비디오를 출력했다.[4] 이러한 디스플레이 표준은 고정된 주사율을 가졌으며, 1981년 IBM의 오리지널 IBM PC에 사용된 MDA 및 CGA와 초기 매킨토시 모니터도 고정 주사율을 사용했다. 1984년, IBM의 EGA는 두 가지 해상도를 지원하여 이중 주사 디스플레이를 필요로 했다.[4][5]

1985년 NEC 멀티싱크는 광범위한 동기 주파수를 지원했다.[6] IBM의 1987년 VGA 표준은 세 가지 고정 주사율로 확장되었고,[7] 80년대 후반까지 다양한 컴퓨터 비디오 표준은 소수의 특정 주파수를 지원하는 모니터를 요구했다.

# PAL, NTSC, CGA: ~15.7 kHz 수평 주사, 50 또는 60 Hz 수직 주사

# EGA: 15.7 kHz (CGA 호환 모드) 또는 21.8 kHz 수평 주사, 60 Hz 수직 주사

# VGA: 31.5 kHz 수평 주사, 60 또는 70 Hz 수직 주사.

# XGA: 35.5 kHz 수평 주사, 87 Hz (43.5 Hz 인터레이스) 수직 주사 (VGA 모드 포함)

# 매킨토시, 썬, NeXT 및 기타 마이크로컴퓨터용 다양한 디스플레이 형식

1987년 VGA 이후, IBM 시장은 다양한 주사율을 사용하는 슈퍼 VGA 카드를 개발했으며, 결국 VBE를 거쳐 일반화된 타이밍 공식으로 발전했다. 1990년대 후반, 마이크로컴퓨터용 그래픽 카드는 1024x768@60 Hz에서 최소 1600x1200@85 Hz까지 다양한 사양으로 제공되었다.[8]

VESA는 하드웨어 제조업체를 위한 표준화된 디스플레이 해상도, 재생률 및 관련 타이밍 목록을 설정했다.[9] 이는 동기 펄스에서 임의의 디스플레이 모드의 타이밍을 파생하는 표준 방법을 제공하는 VESA의 일반화된 타이밍 공식으로 대체되었고,[10] 이는 다시 VESA의 조정된 비디오 타이밍 표준으로 대체되었다.

3. 구현 방식

초창기 멀티싱크 모니터는 CGA, EGA, VGA와 같이 소수의 특정 주파수를 가지는 시스템이나 내장된 매킨토시 그래픽에 사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제한된 고정 주파수를 지원했다. IBM PC에서는 비디오 어댑터가 전송하는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의 극성을 통해 그래픽 카드에서 모니터로 이러한 신호를 전달했다.[4]

이후의 설계에서는 동기 신호의 극성이 아닌 동기 신호 타이밍에서 파생된 NEC 멀티싱크와 같이 15~31 kHz의 수평 주사율을 지원하는 연속적인 주사 주파수 범위를 지원했다.[6][11]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주파수가 범위 내에 있기만 하면 여러 플랫폼과 비디오 카드에서 사용할 수 있었다.

VESA 주파수 표준을 사용하여 생산된 최신 모니터는 일반적으로 특정 최소 및 최대 수평 및 수직 속도 사이의 임의의 주사율을 지원한다. 대부분의 최신 멀티스캔 컴퓨터 모니터는 31 kHz의 최소 수평 주사 주파수를 갖는다.[12]

멀티싱크 및 고정 싱크 모니터 모두에서 이미지 왜곡을 방지하고 부품 손상까지 방지하려면 타이밍이 중요하다.[13] 대부분의 최신 멀티스캔 모니터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제어되며[14] 지원되지 않는 주사율에 동기화를 시도하는 것을 거부하여 일반적으로 손상으로부터 보호한다.

멀티싱크 개념은 LCD(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비-CRT 모니터에도 적용되지만, 구현 방식은 다르다.

LCD 모니터는 고정 화소 디스플레이로, 화면에 표시되는 행과 열의 수가 패널의 구조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입력 신호의 해상도가 디스플레이의 픽셀 수와 일치하지 않으면, LCD 컨트롤러는 동일한 수의 이미지 요소를 채워야 한다.

이는 필요에 따라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LCD 이미지 요소와 원본 이미지의 픽셀 간에 1:1 관계가 없는 그림을 만들거나, 모니터 중앙에 이미지를 크기 조절 없이 표시하고 모든 측면에 검은색 픽셀로 공간을 채움으로써 수행된다.

독립형 LCD 모니터는 일반적으로 광범위한 수평 주사율을 지원하지만, 대부분의 LCD는 60Hz에서 75Hz 수직 주사율만 지원한다. 최근 몇 년 동안 게이밍용으로 설계된 LCD 모니터가 시장에 출시되어 120Hz 이상의 수직 주사율을 제공하고 있다.[15] 이러한 모니터는 일반적으로 특정 최대 재생률로 지칭된다.

3. 1. CRT 모니터

초창기 멀티싱크 모니터는 CGA, EGA, VGA와 같이 소수의 특정 주파수를 가지는 시스템이나 내장된 매킨토시 그래픽에 사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제한된 고정 주파수를 지원했다. IBM PC에서는 비디오 어댑터가 전송하는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의 극성을 통해 그래픽 카드에서 모니터로 이러한 신호를 전달했다.[4]

이후의 설계에서는 동기 신호의 극성이 아닌 동기 신호 타이밍에서 파생된 NEC 멀티싱크와 같이 15~31 kHz의 수평 주사율을 지원하는 연속적인 주사 주파수 범위를 지원했다.[6][11]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주파수가 범위 내에 있기만 하면 여러 플랫폼과 비디오 카드에서 사용할 수 있었다.

VESA 주파수 표준을 사용하여 생산된 최신 모니터는 일반적으로 특정 최소 및 최대 수평 및 수직 속도 사이의 임의의 주사율을 지원한다. 대부분의 최신 멀티스캔 컴퓨터 모니터는 31 kHz의 최소 수평 주사 주파수를 갖는다.[12]

멀티싱크 및 고정 싱크 모니터 모두에서 이미지 왜곡을 방지하고 부품 손상까지 방지하려면 타이밍이 중요하다.[13] 대부분의 최신 멀티스캔 모니터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제어되며[14] 지원되지 않는 주사율에 동기화를 시도하는 것을 거부하여 일반적으로 손상으로부터 보호한다.

3. 2. 비 CRT 모니터 (LCD 등)

멀티싱크 개념은 LCD(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비-CRT 모니터에도 적용되지만, 구현 방식은 다르다.

LCD 모니터는 고정 화소 디스플레이로, 화면에 표시되는 행과 열의 수가 패널의 구조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입력 신호의 해상도가 디스플레이의 픽셀 수와 일치하지 않으면, LCD 컨트롤러는 동일한 수의 이미지 요소를 채워야 한다.

이는 필요에 따라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LCD 이미지 요소와 원본 이미지의 픽셀 간에 1:1 관계가 없는 그림을 만들거나, 모니터 중앙에 이미지를 크기 조절 없이 표시하고 모든 측면에 검은색 픽셀로 공간을 채움으로써 수행된다.

독립형 LCD 모니터는 일반적으로 광범위한 수평 주사율을 지원하지만, 대부분의 LCD는 60Hz에서 75Hz 수직 주사율만 지원한다. 최근 몇 년 동안 게이밍용으로 설계된 LCD 모니터가 시장에 출시되어 120Hz 이상의 수직 주사율을 제공하고 있다.[15] 이러한 모니터는 일반적으로 특정 최대 재생률로 지칭된다.

4. 텔레비전

CRT 텔레비전은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국가의 비디오 표준(PAL, NTSC, SECAM)에 맞춰 설계되지만, 일부 세트, 특히 방송용 모니터는 여러 표준에서 작동할 수 있다.

5. 한국의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 (추가)

5. 1. 삼성전자

5. 2. LG디스플레이

참조

[1] 웹사이트 13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fixed frequency and multisynchronous monitors? http://stason.org/TU[...]
[2] 웹사이트 Standards FAQ https://vesa.org/ves[...] 2020-08-16
[3] 웹사이트 MultiSync 25th Anniversary{{Snd}} The Evolution of the MultiSync http://www.nec-displ[...]
[4] 서적 IBM Enhanced Color Display Manual http://minuszerodegr[...]
[5] 서적 InfoWorld https://books.google[...] InfoWorld Media Group, Inc. 1988-08-22
[6] 서적 InfoWorld https://books.google[...] InfoWorld Media Group, Inc. 1986-10-27
[7] 서적 InfoWorld https://books.google[...] InfoWorld Media Group, Inc. 1988-08-22
[8] 서적 InfoWorld https://books.google[...] InfoWorld Media Group, Inc. 1997-12-15
[9] 서적 PC Mag https://books.google[...] Ziff Davis, Inc. 1993-07-01
[10] 웹사이트 Standards FAQ https://vesa.org/ves[...] 2020-08-16
[11] 웹사이트 PC Mag 1987-03-31 : Free Download, Borrow, and Streaming https://archive.org/[...] 1987-03-31
[12] 웹사이트 Converters {{!}} RetroRGB https://www.retrorgb[...] 2020-08-16
[13] 웹사이트 Standards FAQ https://vesa.org/ves[...] 2020-08-16
[14] 웹사이트 Standards FAQ https://vesa.org/ves[...] 2020-08-16
[15] 웹사이트 List of 120Hz monitors{{Snd}} Includes 144Hz, 240Hz Blur Busters http://www.blurbuste[...]
[16] 웹인용 13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fixed frequency and multisynchronous monitors? http://stason.org/TU[...]
[17] 웹인용 MultiSync 25th Anniversary - The Evolution of the MultiSync http://www.nec-displ[...] 2017-12-22
[18] 웹인용 Modeline Calculator http://www.arachnoid[...]
[19] 웹인용 comp.sys.amiga.misc usenet post circa 1992 https://groups.googl[...]
[20] 웹인용 comp.sys.acorn.hardware usenet post circa 2010 https://groups.googl[...]
[21] 웹인용 List of 120Hz monitors - Includes 144Hz, 240Hz Blur Busters http://www.blurbus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