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박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가박스는 2000년 오리온과 로우 극장의 합작으로 설립된 대한민국의 멀티플렉스 영화관이다. 2007년 맥쿼리 그룹에 인수되었으며, 2011년 씨너스와 합병하여 메가박스 브랜드로 통합되었다. 메가박스는 전국에 지점을 운영하며, 일반 상영관 외에도 COMFORT, DOLBY CINEMA, THE BOUTIQUE 등 다양한 특별 상영관을 운영한다. 영화 배급 사업에도 참여하여 메가박스중앙(주)플러스엠을 통해 영화를 배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리온의 이전 자회사 - 바이더웨이
바이더웨이는 1991년 서울 신촌에서 시작하여 동양그룹, 오리온그룹을 거쳐 코리아 리테일 홀딩스에 매각된 후 롯데 세븐일레븐에 인수되어 세븐일레븐으로 통합된 대한민국의 편의점 체인이다. - 오리온의 이전 자회사 - 온미디어
온미디어는 1994년 오리온카툰네트워크로 설립되어 OCN, 투니버스 등 여러 채널을 운영하다가 CJ오쇼핑에 인수된 후 CJ E&M에 흡수 합병되어 현재는 CJ ENM의 방송사업부문으로 운영된다. - 대한민국의 영화관 체인 - 롯데시네마
롯데시네마는 1999년 롯데쇼핑 시네마사업본부에서 시작하여 전국적인 체인망을 구축하고 영화 투자 및 배급 사업을 시작했으며, 현재는 롯데컬처웍스 주식회사에서 대한민국 및 해외에서 영화관을 운영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영화관 체인 - CGV
CGV는 1995년 CJ제일제당의 극장 사업팀으로 시작하여 1998년 강변에 1호점을 개관한 후 국내외로 확장하며 4DX, IMAX, ScreenX 등 특별관을 운영하고 영화관을 복합 문화 공간으로 활용하는 대한민국의 멀티플렉스 영화관이다. - 나라별 영화 제작사에 관한 - 넷플릭스
1997년 설립된 넷플릭스는 DVD 대여 서비스에서 시작하여 월정액 구독 모델로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 시장을 혁신하고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과 해외 시장 진출을 통해 성장하며 스트리밍 시장을 선도하는 다국적 엔터테인먼트 기업이다. - 나라별 영화 제작사에 관한 - CJ ENM
CJ ENM은 2000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미디어, 커머스, 영화, 음악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며 여러 채널 운영과 영화 제작 및 배급, 온라인 커머스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투표 조작 및 광고 논란 등의 문제도 겪었다.
메가박스 - [회사]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회사 이름 | 메가박스중앙 주식회사 |
로마자 표기 | Megabox JoongAng Co., Ltd. |
설립일 | 1999년 11월 16일 |
이전 회사 | 메가박스 (1999년 ~ 2011년) 씨너스 (2004년 ~ 2011년) |
본사 위치 |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로 240 (성산동) |
서비스 지역 | 대한민국 |
사업 분야 | 영화관 운영업 |
웹사이트 | 메가박스 |
![]() | |
경영진 | |
대표이사 | 김진선 |
재무 정보 (2019년 기준) | |
자본금 | 4,042,555,000원 |
매출액 | 332,792,801,848원 |
영업이익 | 38,993,586,878원 |
순이익 | 22,206,507,835원 |
자산 총액 | 746,813,979,154원 |
주주 구성 | |
주주 | 주식회사 콘텐트리중앙: 73.54% 중앙홀딩스 유한회사 : 3.55% KB메자닌사모증권투자신탁2호(주식혼합) : 11.50% 신한BNPP MAIN 사모 증권투자신탁 제2호 : 7.96% 메이플트라사모투자 합자회사 : 3.45% |
계열사 및 자회사 | |
계열사 | 중앙그룹 |
자회사 | 주식회사 중앙멀티플렉스개발 소공녀문화산업전문 유한회사 나랏말싸미문화산업전문 유한회사 롱리브더킹문화산업전문 유한회사 다비문화산업전문 유한회사 |
기타 정보 | |
종업원 수 (2019년 기준) | 2,544명 |
영화관 수 | 105개 |
2. 역사
2000년 5월 13일 오리온과 미국의 로우 극장(Loews Theaters)이 합작하여 메가박스 씨네플렉스(Megabox Cineplex)를 설립하고, 코엑스몰에 첫 멀티플렉스 영화관을 개관하였다. 이후 대우그룹의 영화관 사업을 인수하여 메가박스로 명칭을 변경했다. 2002년에는 부산국제영화제를 계기로 부산에 지점을 열었다.[2]
2007년, 호주에 기반을 둔 맥쿼리 그룹(Macquarie Group)에 인수되었다.[2] 2010년에는 영화관 체인 기업인 씨너스(Cinus)를 인수하여 계열사로 편입했다.[7] 씨너스는 2004년 12월 강남센트럴6, 분당시네플라자 등 소규모 영화관들을 합병하여 만들어졌으며,[4] 2008년 9월에는 중앙일보 계열사인 아이스플러스(Daily Sports)에 인수되었다.[5][6]
2011년 5월 20일, 메가박스와 씨너스는 합병하여 일시적으로 메가박스씨너스라는 이름을 사용했다.[7] 이후 2011년 11월 1일 메가박스 브랜드로 완전히 통합되었고, 홈페이지도 통합되었다. 합병 이후에도 제이콘텐트리가 제1대 주주 자리를 유지했다.
2018년, 메가박스중앙(주)로 법인명을 변경하고, 100호점(상암월드컵경기장점)을 개관했다.[2] 2019년, 본사를 서울 강남구 도산대로에서 성동구 왕십리로로 이전하고, 본사 건물에 메가박스 성수점을 개관했다. 메가박스는 멀티플렉스 영화관이며, 아트나인에서 예술 영화를 전문적으로 상영하고 스타필드 코엑스몰에 위치한 메가박스 코엑스에서도 예술 영화를 관람할 수 있다.
2. 1. 메가박스 설립과 성장 (2000년 ~ 2007년)
2000년 5월 13일 오리온과 미국의 로우 극장(Loews Theaters)이 합작하여 메가박스 씨네플렉스(Megabox Cineplex)를 설립하고, 코엑스몰에 첫 멀티플렉스 영화관을 개관하였다. 이후 대우그룹의 영화관 사업을 인수하여 메가박스로 명칭을 변경했다. 2002년에는 부산국제영화제를 계기로 부산에 지점을 열었다.[2]2. 2. 맥쿼리 인수와 씨너스 합병 (2007년 ~ 2011년)
2007년, 호주에 기반을 둔 맥쿼리 그룹(Macquarie Group)에 인수되었다.[2] 2010년에는 영화관 체인 기업인 씨너스(Cinus)를 인수하여 계열사로 편입했다.[7] 씨너스는 2004년 12월 강남센트럴6, 분당시네플라자 등 소규모 영화관들을 합병하여 만들어졌으며,[4] 2008년 9월에는 중앙일보 계열사인 아이스플러스(Daily Sports)에 인수되었다.[5][6]2011년 5월 20일, 메가박스와 씨너스는 합병하여 일시적으로 메가박스씨너스라는 이름을 사용했다.[7] 이후 2011년 11월 1일 메가박스 브랜드로 완전히 통합되었고, 홈페이지도 통합되었다. 합병 이후에도 제이콘텐트리가 제1대 주주 자리를 유지했다.
2. 3. 메가박스중앙(주) 출범과 현재 (2011년 ~ 현재)
2018년, 메가박스중앙(주)로 법인명을 변경하고, 100호점(상암월드컵경기장점)을 개관했다.[2] 2019년, 본사를 서울 강남구 도산대로에서 성동구 왕십리로로 이전하고, 본사 건물에 메가박스 성수점을 개관했다. 메가박스는 멀티플렉스 영화관이며, 아트나인에서 예술 영화를 전문적으로 상영하고 스타필드 코엑스몰에 위치한 메가박스 코엑스에서도 예술 영화를 관람할 수 있다.3. 특별 상영관
메가박스는 일반 상영관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특별 상영관을 운영하여 관객들에게 다채로운 영화 관람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 '''COMFORT''' '''(검단, 경주, 광명AK플라자, 광주상무, 광주하남, 금정AK플라자, 남양주, 남양주현대아울렛 스페이스원, 대구이시아, 대전, 대전신세계 아트앤사이언스, 덕천, 동대문, 동탄, 마산, 목동, 백석, 부산대, 사상, 상봉, 상암월드컵경기장, 세종청사, 송도, 수원남문, 수원호매실, 시흥배곧, 신촌, 양산, 양산라피에스타, 양주, 용인기흥, 용인테크노밸리, 울산, 원주센트럴, 인천논현, 진주(중안), 창원내서, 천안, 청라지젤, 청주사창, 춘천석사, 코엑스, 킨텍스, 파주금촌, 포항, 해운대(장산))''': 기존 상영관보다 편안하고 쾌적한 관람에 초점을 둔 특별관으로 두 손을 자유롭게 하는 프론트 테이블, 팔걸이에 대한 논쟁을 종식시키는 양팔걸이 좌석, 쾌적한 영화관람을 위해 나만의 테이블, 감각적인 디자인에 안락함을 더한 와이드 시트 총 4가지 타입이 있다.
- '''DOLBY ATMOS''' '''(고양스타필드, 대전현대아울렛, 목동, 상암월드컵경기장, 성수, 송도, 영통, 포항, 하남스타필드)''': M2관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6개 레이저 광원을 통해 5만6000루멘 밝기와 4096x2160의 4K UHD 해상도를 구현하는 벨기에 바코사 프리미엄 6P레이저 프로젝터 영사 시스템과 위의 레이저 광원 특성을 가장 잘 받아들이는 스펙트로의 Prima Silver 프리미엄 스크린, 그리고 미국 마이어 사운드 EXP(Meyer Sound EXP)와 돌비 애트모스(Dolby ATMOS®)가 조합된 관이다.
- '''DOLBY CINEMA''' '''(남양주현대아울렛 스페이스원, 대구신세계(동대구), 대전신세계 아트앤사이언스, 안성스타필드, 코엑스)''': Dolby Vision, Dolby Atmos
- '''THE BOUTIQUE''' '''(대전신세계 아트앤사이언스, 더 부티크 목동현대백화점, 분당, 성수, 센트럴, 일산벨라시타, 코엑스, 킨텍스, 하남스타필드)''': 최고의 시설과 부티크 호텔 개성을 더하여 안락함을 제공하는 프리미엄 특별관이다.
- '''BALCONY''' '''(분당)''': 오페라극장의 발코니석과 같이 다른 좌석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여 따로 볼 수 있는 특별관이다..
- '''MEGABOX KIDS''' '''(마산, 하남스타필드, 해운대(장산))''': 어린이 전용영화관으로 밝은환경에서 영화관람이 가능한 고선명스크린을 설치한 특별관이다.
- 돌비 애트모스 (고양 스타필드, 대전 현대 아울렛, 목동, 상암 월드컵경기장, 성수, 수원 스타필드, 충주 연수, 포항, 하남 스타필드): M2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바르코의 프리미엄 6P 레이저 프로젝터 투사 시스템을 추가하여 6개의 레이저 광원을 통해 56,000루멘 밝기와 4096x2160 풀 4K UHD 해상도를 제공하며, 프리마 실버 프리미엄 스크린과 마이어 사운드 EXP(미국), 돌비 애트모스(미국)를 갖추고 있습니다.
- 프리미엄관 (대전, 신대, 천안, 코엑스): 두 개의 팔걸이, 마이어/JBL 고출력 스피커, 개인 테이블을 갖춘 좌석.
- 테이블 M (광주, 김포, 대구, 덕천, 목동, 백석, 속초, 전주, 킨텍스, 파주 금촌, 해운대): 개인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테이블과 양쪽 팔걸이가 설치된 상영관.
- 부티크 M (분당, 센트럴, 코엑스): 부티크 호텔 분위기.
- 발코니 M (분당): 발코니 좌석.
- 더 퍼스트 클럽 (킨텍스): 침대형 좌석과 VIP 라운지.
- 드라이브 M (용인): 바비큐를 즐길 수 있는 야외 자동차 극장.
- 오픈 M (백석, 원마운트): 옥상에 설치된 도시 캠핑 시설.
- 메가 키즈 박스 (영통): 밝은 환경에서 영화를 관람할 수 있도록 고화질 스크린을 갖춘 어린이 극장.
3. 1. COMFORT
기존 상영관보다 편안하고 쾌적한 관람에 초점을 둔 특별관으로 두 손을 자유롭게 하는 프론트 테이블, 양팔걸이 좌석, 나만의 테이블, 감각적인 디자인에 안락함을 더한 와이드 시트 총 4가지 타입이 있다. COMFORT는 검단, 경주, 광명AK플라자, 광주상무, 광주하남, 금정AK플라자, 남양주, 남양주현대아울렛 스페이스원, 대구이시아, 대전, 대전신세계 아트앤사이언스, 덕천, 동대문, 동탄, 마산, 목동, 백석, 부산대, 사상, 상봉, 상암월드컵경기장, 세종청사, 송도, 수원남문, 수원호매실, 시흥배곧, 신촌, 양산, 양산라피에스타, 양주, 용인기흥, 용인테크노밸리, 울산, 원주센트럴, 인천논현, 진주(중안), 창원내서, 천안, 청라지젤, 청주사창, 춘천석사, 코엑스, 킨텍스, 파주금촌, 포항, 해운대(장산)에 설치되어있다.3. 2. DOLBY CINEMA
Dolby Vision 및 Dolby Atmos 기술을 적용하여 뛰어난 화질과 몰입감 넘치는 사운드를 제공하는 프리미엄 상영관이다. 바르코사의 프리미엄 6P 레이저 프로젝터와 Prima Silver 프리미엄 스크린, 마이어 사운드 EXP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3. 3. THE BOUTIQUE
THE BOUTIQUE는 부티크 호텔 컨셉을 적용한 프리미엄 상영관으로, 고급스러운 인테리어와 안락한 좌석,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전신세계 아트앤사이언스, 더 부티크 목동현대백화점, 분당, 성수, 센트럴, 일산벨라시타, 코엑스, 킨텍스, 하남스타필드에 위치하고 있다. 최고의 시설과 함께 부티크 호텔의 개성을 더하여 편안함을 제공하는 특별관이다.3. 4. 기타 특별관
메가박스는 다양한 특별관을 운영하고 있다.- BALCONY (분당): 오페라 극장의 발코니석과 같은 형태의 특별관이다.
- MEGABOX KIDS (마산, 하남스타필드, 해운대(장산)): 어린이 전용 영화관으로, 밝은 환경과 고선명 스크린을 제공한다.
- THE FIRST CLUB (킨텍스): 침대형 좌석과 VIP 라운지를 갖춘 프리미엄 상영관이다.
이 외에도, COMFORT, DOLBY ATMOS, DOLBY CINEMA, THE BOUTIQUE 등의 특별관이 있다. 프리미엄관, 테이블 M, 부티크 M, 발코니 M, 드라이브 M, 오픈 M, 메가 키즈 박스등의 다양한 특별관들이 추가로 존재한다.
4. 지점 현황
메가박스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서울특별시에는 '''강남''', 강동, 군자, '''더 부티크 목동현대백화점''', '''동대문''', 마곡, '''목동''', '''상봉''', '''상암월드컵경기장''', '''성수''', '''센트럴''', 송파파크하비오, '''신촌''', '''이수''', 창동, '''코엑스''', '''홍대''', '''화곡''', ARTNINE 등 19개 지점이 있다.
경기도에는 '''고양스타필드''', '''광명AK플라자''', '''광명소하''', '''금정AK플라자''', '''김포한강신도시''', 남양주, '''남양주현대아울렛 스페이스원''', '''동탄''', 미사강변, '''백석벨라시타''', 별내, '''부천스타필드시티''', '''분당''', 수원, '''수원AK플라자(수원역)''', '''수원남문''', '''수원스타필드''', 수원인계, 수원호매실, 시흥배곧, 안산중앙, '''안성스타필드''', 양주, '''용인기흥''', 용인테크노밸리, '''의정부민락''', '''킨텍스''', 파주금촌, 파주운정, '''파주출판도시''', '''하남스타필드''', 평택비전 등 31개 지점이 있다.
인천광역시에는 검단, '''송도''', 영종, 인천논현, 청라지젤 등 5개 지점이 있다.
대전/충청/세종 지역에는 공주, 논산, '''대전''', '''대전신세계 아트앤사이언스''', '''대전유성''', '''대전중앙로''', '''대전현대아울렛''', 세종(조치원), '''세종나성''', 세종청사, 오창, 제천, 진천, 천안, 청주사창, 충주, 홍성내포 등 17개 지점이 있다.
부산/대구/경상 지역에는 경북도청, 경산하양, '''구미강동''', 김천, 남포항, 대구세븐밸리, '''대구신세계(동대구)''', '''대구이시아''', 덕천, 마산, '''문경''', 부산극장, 부산대, 북대구(칠곡), '''사상''', 서면대한, 삼천포, 양산, '''양산증산(라피에스타)''', 울산, 정관, 진주(중안), 창원, '''창원내서''', '''포항''', 해운대(장산) 등 27개 지점이 있다.
광주/전라 지역에는 광주상무, 광주하남, 목포하당(포르모), 순천, 여수웅천, 전대(광주), 전주객사(재오픈), 전주송천, 전주혁신, 첨단 등 10개 지점이 있다.
강원특별자치도에는 남춘천, 속초, 원주, 원주센트럴, '''춘천석사''' 등 5개 지점이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에는 제주서귀포, 제주삼화, 제주아라 등 3개 지점이 있다.
4. 1. 서울 및 수도권
메가박스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서울에는 '''강남''', 강동, 군자, '''더 부티크 목동현대백화점''', '''동대문''', 마곡, '''목동''', '''상봉''', '''상암월드컵경기장''', '''성수''', '''센트럴''', 송파파크하비오, '''신촌''', '''이수''', 창동, '''코엑스''', '''홍대''', '''화곡''', ARTNINE 등 19개 지점이 있다.
경기도에는 '''고양스타필드''', '''광명AK플라자''', '''광명소하''', '''금정AK플라자''', '''김포한강신도시''', 남양주, '''남양주현대아울렛 스페이스원''', '''동탄''', 미사강변, '''백석벨라시타''', 별내, '''부천스타필드시티''', '''분당''', 수원, '''수원AK플라자(수원역)''', '''수원남문''', '''수원스타필드''', 수원인계, 수원호매실, 시흥배곧, 안산중앙, '''안성스타필드''', 양주, '''용인기흥''', 용인테크노밸리, '''의정부민락''', '''킨텍스''', 파주금촌, 파주운정, '''파주출판도시''', '''하남스타필드''', 평택비전 등 31개 지점이 있다.
인천에는 검단, '''송도''', 영종, 인천논현, 청라지젤 등 5개 지점이 있다.
4. 2. 지방
대전/충청/세종 지역에는 공주, 논산, 대전, 대전신세계 아트앤사이언스, 대전유성, 대전중앙로, 대전현대아울렛, 세종(조치원), 세종나성, 세종청사, 오창, 제천, 진천, 천안, 청주사창, 충주, 홍성내포 등 17개 지점이 있다.부산/대구/경상 지역에는 경북도청, 경산하양, 구미강동, 김천, 남포항, 대구세븐밸리, 대구신세계(동대구), 대구이시아, 덕천, 마산, 문경, 부산극장, 부산대, 북대구(칠곡), 사상, 서면대한, 삼천포, 양산, 양산증산(라피에스타), 울산, 정관, 진주(중안), 창원, 창원내서, 포항, 해운대(장산) 등 27개 지점이 있다.
광주/전라 지역에는 광주상무, 광주하남, 목포하당(포르모), 순천, 여수웅천, 전대(광주), 전주객사(재오픈), 전주송천, 전주혁신, 첨단 등 10개 지점이 있다.
강원특별자치도에는 남춘천, 속초, 원주, 원주센트럴, 춘천석사 등 5개 지점이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에는 제주서귀포, 제주삼화, 제주아라 등 3개 지점이 있다.
5. 사회적 책임 및 협력 관계
5. 1. 사회공헌 활동
5. 2. 협력 관계
메가박스는 씨네큐브 광화문과 전산망을 공유하는 협력 관계에 있다.[12] 아트나인(ARTNINE)은 예술 영화 전문 상영관으로 메가박스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야우리시네마(충청남도 천안시)는 메가박스 전산망을 사용하지만, 멤버십 등은 자체적으로 운영한다. 이화여자대학교 내에 위치한 아트하우스 모모도 한때 협력 관계였으나, 2014년 11월 인터파크 전산망으로 전환하면서 현재는 메가박스 포인트를 공유하지 않는다.6. 영화 사업
메가박스는 영화 배급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으며, 메가박스중앙(주)플러스엠을 통해 다양한 영화를 배급하고 있다. 주요 배급 작품으로는 《쉬즈 더 맨》, 《다만 널 사랑하고 있어》, 《변산》 등이 있다.
국가 | 제목 | 개봉일 | 종류 | 담당 | 레이블 |
---|---|---|---|---|---|
《쉬즈 더 맨》 | 2007.5.3 | 실사 | 수입 제공 | 메가박스 Movie On Style | |
《다만 널 사랑하고 있어》 | 2007.8.15 | 실사 | 수입 제공 | 메가박스 Movie On Style | |
《푸치니 초급과정》 | 2007.9.6 | 실사 | 제공 | Movie On Style | |
《스테이지 뷰티》 | 2007.10.3 | 실사 | 수입 제공 | 메가박스 Movie On Style | |
《잘 나가는 그녀에게 왜 애인이 없을까?》 | 2008.3.6 | 실사 | 수입, 배급 제공 | 메가박스 Movie On Style | |
《페넬로피》 | 2008.5.15 | 실사 | 제공 | Movie On Style | |
《갓파쿠와 여름방학을》 | 2008.6.26 | 애니메이션 | 제공 배급 | Movie On Style 메가박스 | |
《20세기 소년》 | 2008.9.11 | 실사 | 수입 | 메가박스 | |
《롤라》 | 2009.1.15 | 실사 | 배급 | 메가박스 | |
《20세기 소년 - 제2장: 마지막 희망》 | 2009.12.17 | 실사 | 수입 | 메가박스 | |
《변산》 | 2018.7.4 | 실사 | 배급 | 메가박스 |
7. 논란 및 사건/사고
7. 1. 가격 인상 논란
메가박스는 2016년 일반 영화표 가격을 9,000원으로 책정했으며, 이후 매년 1,000원씩 가격을 인상했다.[8]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영화 산업이 위기를 맞으면서 2020년에 추가적인 가격 인상이 단행되었다.[8]2021년 7월 5일부터 영화 티켓 가격을 다시 인상하여 주중 13,000원, 주말 14,000원으로 변경하였다.[10][11] 이는 국내 멀티플렉스 영화관 중 최고 수준의 관람료이다.
국내 3개 멀티플렉스 영화관은 코로나19 예방 접종을 장려하기 위해 접종자에게만 영화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동반 1인까지 특별 할인가(5,000~6,000원)에 영화를 관람할 수 있다.[9]
7. 2. 코로나19 백신 접종자 할인 논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영화 산업이 위기를 맞으면서,[8] 메가박스를 비롯한 국내 3개 멀티플렉스 영화관은 코로나19 예방 접종을 장려하기 위해 접종자에게만 영화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동반 1인까지 특별 할인가(5,000~6,000원)에 영화를 관람할 수 있다.[9] 이는 정부의 방역 정책에 협조하는 차원이었지만, 백신 접종을 개인의 선택 영역으로 보는 관점에서는 비판의 소지가 있었다.참조
[1]
논문
Transnational Korean Cinema
2020-01-01
[2]
웹사이트
Megabox
https://terms.naver.[...]
[3]
서적
Screening the World: Global Development of the Multiplex Cinema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9-07-26
[4]
뉴스
"대형극장 꼼짝마"
http://news.naver.co[...]
2018-05-11
[5]
뉴스
ISPLUS, 제이콘텐트리로 사명 변경…로고 공개
http://news.naver.co[...]
2018-05-11
[6]
뉴스
ISPLUS, 멀티플렉스 체인 '씨너스' 인수
http://news.naver.co[...]
2018-05-11
[7]
뉴스
메가박스-씨너스 합병 마무리
http://news.naver.co[...]
2018-05-11
[8]
웹사이트
CGV 이어 메가박스도 가격 인상… 영화 관람료 1만3000원 시대
https://moneys.mt.co[...]
2021-03-26
[9]
웹사이트
CGV, Lotte, Megabox, and theater fee discount if vaccinated
https://star.mt.co.k[...]
2021-06-06
[10]
웹사이트
Megabox also raises movie tickets by 1,000 won
http://www.fnnews.co[...]
2021-06-12
[11]
웹사이트
South Korea Police Allege Box Office Manipulation On 320+ Local Films; Exhibition, Distribution Officials Referred To Prosecutor – Reports
https://deadline.com[...]
Deadline
[12]
웹사이트
씨네큐브 설명
2000-01-01 # 개관 연도만 기입
[13]
뉴스
메가박스+씨너스, 합병 '덕' 얼마나 볼까
https://news.naver.c[...]
머니투데이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영화 ‘6000원 할인권’ 188만장 8일부터 추가 배포···결제 시 선착순 적용 방식
'영화 할인권' 188만 장 9월 8일 추가 배포
한 달간 방탄소년단 공연 실황 4편 상영…메가박스, 'BTS 무비 위크스' 진행
'얼굴' 극장 3사 티켓 프로모션 확정…오늘(28일) 오픈
'짧은영화' 론칭 메가박스, 봉준호 감독 '지리멸렬' 27일 개봉
봉준호 감독 초기 단편 '지리멸렬', 27일 극장 개봉…지도층 민낯 풍자
메가박스, 메타팩토리와 MOU 체결…AI 기반 신사업 추진
떡잎부터!…봉준호 감독 ‘영화학도 시절 연출작’ 극장서 본다
“아파트·호텔·쿠팡에 로봇 인프라까지”...서울 동부 ‘미니신도시’ 가봤더니
메가박스, 20일 청주터미널점 개관…전관 특별관·이벤트 완비
결국 문제는 비싼 표값? 영화 할인권이 던진 질문
'눈앞'에서 보는 엔하이픈 'VR 콘서트', 메가박스 코엑스 단독 개봉
콘텐트리중앙, 2분기 영업이익 17억원 기록하며 흑자전환 성공
'함께하는 변화' 나선 중앙그룹…계열사와 '상생 ESG' 실천
대기 인원 10만 명…'영화 6천원 할인권' 지급되자 극장 3사 서버 마비
'영화 반값' 할인권 배포…접속자 폭주
[D리포트] '영화 반값' 할인권 배포…접속자 폭주
영화관 입장권 6000원 할인권 배포 시작하자 극장 앱 마비
'영화 6천 원 할인권' 신청자 폭주…홈페이지·앱 마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