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기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기(Maggie)는 2018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서울의 한 병원에서 발생한 사건을 중심으로 간호사 윤영과 남자친구 성원, 부원장 경진의 이야기를 다룬다. 영화는 싱크홀, 데이트 폭력, 재개발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다루며, 제23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시민평론가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국가인권위원회 영화 - 범죄소년
    《범죄소년》은 보호관찰 중인 소년과 그를 버린 엄마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로, 소년의 절도죄 수감, 엄마와의 만남, 여자친구의 임신 등을 통해 갈등이 발생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2012년 도쿄 국제 영화제 등에서 수상한 작품이다.
  • 대한민국 국가인권위원회 영화 - 여섯 개의 시선
    《여섯 개의 시선》은 여섯 명의 감독이 사회적 약자, 소수자, 인권 문제를 다룬 단편 영화들을 묶어 제작한 옴니버스 영화이다.
  • 병원을 배경으로 한 영화 - 데스퍼레이트
    1998년 개봉한 영화 데스퍼레이트는 바르베 슈뢰더 감독의 스릴러 영화로, 아들을 살리기 위해 탈옥한 지능범의 골수 이식을 돕게 된 아버지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마이클 키턴과 앤디 가르시아가 주연을 맡았다.
  • 병원을 배경으로 한 영화 - 프랙처드
    2019년 영화 프랙처드는 추수감사절에 딸의 부상으로 병원을 찾은 레이 먼로가 사라진 아내와 딸을 찾는 미스터리 스릴러로, 브래드 앤더슨이 감독하고 샘 워싱턴, 릴리 레이브 등이 출연했으며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되었다.
  • 서울특별시에서 촬영한 영화 - 순정만화 (영화)
    강풀의 웹툰을 원작으로 류장하 감독이 연출한 영화 《순정만화》는 유지태, 이연희, 채정안, 강인이 출연하여 두 커플의 만남과 사랑, 갈등과 성장을 그리며 나이 차이와 사회적 편견을 넘어선 사랑을 섬세하게 다룬 로맨스 영화이다.
  • 서울특별시에서 촬영한 영화 - 괴물 (2006년 영화)
    괴물 (2006년 영화)은 주한미군의 유해물질 방류로 한강에 나타난 괴생물체에 맞서 딸을 구하려는 가족의 사투를 그린 봉준호 감독의 영화로, 가족애와 사회 비판적 메시지를 담아 한국 영화 역대 최다 관객을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메기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메기 포스터
포스터
감독이옥섭
제작구교환
이옥섭
각본이옥섭
구교환
해설천우희
출연이주영
문소리
구교환
촬영이재우
편집이옥섭
구교환
스튜디오2X9HD
국가인권위원회
배급엣나인필름
CGV아트하우스
개봉부산 국제 영화제: 2018년 10월 7일
대한민국: 2019년 9월 26일
시간89분
언어한국어
관련 정보
씨네21위로와 질문을 던지는 존재가 있었으면
채널 CJ당신은, 진실이 있다고 믿으십니까?

2. 줄거리

서울의 마리아사랑병원에서 한 간호사가 엑스레이실에서 환자와 성관계를 하다가 엑스레이 사진을 찍히는 사건이 발생한다. 이 사진은 병원 전체에 퍼지고, 간호사 윤영은 자신과 남자친구 성원의 사진이라고 생각해 사직을 결심하지만, 부원장 이경진의 만류로 사표는 반려된다.

다음 날, 윤영과 경진을 제외한 아무도 출근하지 않는다. 경진은 엑스레이 사진 때문에 모두가 자신을 의심한다고 생각하고, 윤영은 사람들을 믿어보자고 제안한다. 두 사람은 아프다고 핑계를 댄 의사의 집을 찾아갔다가, 실제로 아파 쓰러진 의사를 발견하고 그를 구한다.

한편, 도심 곳곳에 싱크홀이 생기면서 성원에게 싱크홀 처리반 일자리가 생긴다. 새벽에 일하던 성원은 윤영과의 커플반지를 잃어버리고, 동료 강섭의 발가락에서 반지를 발견한다. 성원은 강섭에게 돈을 주고 반지를 되찾지만, 잃어버린 커플반지가 아니었다.

어느 날, 윤영에게 성원의 전 여자친구 지연이 찾아와 성원의 데이트 폭력 사실을 알린다. 이로 인해 윤영은 성원을 의심하게 되고, 재개발로 인해 새 집을 구해야 하는 상황에서 갈등은 커진다. 성원이 알려준 길을 따라가다 계단에서 구를 뻔한 윤영은 의심이 폭발하여 성원과 다투고, 성원은 집에서 쫓겨난다.

경진의 조언으로 윤영은 성원의 본가를 찾아가고, 성원에게 '여자 때린 적 있냐'고 묻는다. 성원이 '전 여친을 때렸다'고 답하는 순간, 그의 발밑에 싱크홀이 생겨 빠진다. 성원이 윤영의 이름을 부르고 윤영은 그 구덩이를 내려다본다.

3. 등장인물


  • 이주영: 여윤영 역[3]
  • 문소리: 이경진 역[3]
  • 구교환: 이성원 역
  • 천우희: 메기 역
  • 박경혜: 방사선사 역
  • 윤정재: 드러머 역
  • 박종환: 각그랜져 역
  • 권해효: 메기 아빠 역
  • 김꽃비: 책벌레 역
  • 오희준: 미이라 역
  • 임수형: 간병사 역
  • 동방우: 계남 역
  • 박강섭: 박강섭 역
  • 던밀스: 황동현 역
  • 박길수: 세탁소 주인 역
  • 김민서: 유년의 부원장 역
  • 안원진: 시소 아이 역
  • 김영관: 옥상 남자 역
  • 이성례: 열쇠공 역
  • 정향춘: 열쇠공 (목소리) 역
  • 강원: 김진성 의사 역
  • 이옥섭: 쓰레기 투척 운전자 / CF스텝 / 싱크홀 안내 콜센터 (목소리) 역
  • 심달기: 병원 환자/재개발 반대 시위 김병수 싱크홀 인부 역
  • 이천희: 싱크홀 인부 / 함박집 역
  • 임동민: 싱크홀 인부 / 함박집 역
  • 이주영: 성원의 전 여친 지연씨 역
  • 홍석종: 고딩 1 역
  • 이하은: 고딩 2 역
  • 이찬희: 고딩 3 역
  • 이희웅: 고릴라 / CF감독 역
  • 유지영: CF조연출 역
  • 장성준: 재개발 반대 시위 역


이옥섭 감독은 이경진 역에 문소리를 캐스팅한 이유로 "병원에서 부조리한 일을 하지만 사랑스러운 면도 갖길 원했다"고 밝혔다.[3] 이주영은 영화 《꿈의 제인》에서 이민지와의 대화 장면 연기를 보고 캐스팅했다.[3]

3. 1. 주연

이주영은 간호사 여윤영 역을 맡았다.[3] 문소리는 부원장 이경진 역을 맡았다. 이옥섭 감독은 이경진 캐릭터에 대해 '병원에서 부조리한 일을 하지만 사랑스러운 면도 갖길 원했다'고 말했다.[3] 구교환은 윤영의 남자친구 이성원 역을 맡았다. 천우희는 내레이션 메기 역을 맡았다.

3. 2. 조연

이주영은 여윤영 역을 맡았다.[3] 문소리는 이경진 역을 맡았는데, 이옥섭 감독은 이경진 캐릭터에 대해 '병원에서 부조리한 일을 하지만 사랑스러운 면도 갖길 원했다'고 밝혔다.[3] 구교환은 이성원 역을 연기했다. 메기 역에는 천우희가 캐스팅되었다. 이주영 배우는 영화 《꿈의 제인》에서 이민지 배우와의 대화 장면 연기를 보고 캐스팅되었다.[3]

그 외 배역은 다음과 같다.

  • 박경혜: 방사선사 역
  • 윤정재: 드러머 역
  • 박종환: 각그랜져 역
  • 권해효: 메기 아빠 역
  • 김꽃비: 책벌레 역
  • 오희준: 미이라 역
  • 임수형: 간병사 역
  • 동방우: 계남 역
  • 박강섭: 박강섭 역
  • 던밀스: 황동현 역
  • 박길수: 세탁소 주인 역
  • 김민서: 유년의 부원장 역
  • 안원진: 시소 아이 역
  • 김영관: 옥상 남자 역
  • 이성례: 열쇠공 역
  • 정향춘: 열쇠공 (목소리) 역
  • 강원: 김진성 의사 역
  • 이옥섭: 쓰레기 투척 운전자 / CF스텝 / 싱크홀 안내 콜센터 (목소리) 역
  • 심달기: 병원 환자/재개발 반대 시위 김병수 싱크홀 인부 역
  • 이천희: 싱크홀 인부 / 함박집 역
  • 임동민: 싱크홀 인부 / 함박집 역
  • 이주영: 성원의 전 여친 지연씨 역
  • 홍석종: 고딩 1 역
  • 이하은: 고딩 2 역
  • 이찬희: 고딩 3 역
  • 이희웅: 고릴라 / CF감독 역
  • 유지영: CF조연출 역
  • 장성준: 재개발 반대 시위 역

4. 영화 정보

4. 1. 제작진

4. 2. 촬영 비하인드 스토리

이옥섭 감독은 문소리를 이경진 역으로 캐스팅한 이유에 대해 "병원에서 부조리한 일을 하지만 사랑스러운 면모도 있기를 원했다"고 밝혔다.[3] 또한, 이주영은 영화 《꿈의 제인》에서 이민지와의 대화 장면 연기를 보고 캐스팅했다고 한다.[3]

5. 수상 내역

연도부문
2018제23회 부산국제영화제시민평론가상(이옥섭)
CGV아트하우스상(이옥섭)
KBS독립영화상(이옥섭)
올해의 배우상(이주영)
제44회 서울독립영화제관객상(장편)(이옥섭)


6. 평가 및 분석

6. 1. 영화 평론

6. 2. 사회적 의미

7. 흥행

8. 기타

8. 1. 영화와 관련된 기타 정보

8. 2. 속편 또는 스핀오프 제작 가능성

참조

[1] 뉴스 [부산국제영화제 한국영화들⑤] <메기> 이옥섭 감독 - 위로와 질문을 던지는 존재가 있었으면 http://www.cine21.co[...] 씨네21 2018-10-24
[2] 뉴스 [아트하우스 칼럼] “당신은, 진실이 있다고 믿으십니까?” <메기> https://blog.cj.net/[...] 채널 CJ 2019-09-23
[3] 잡지 <메기> 이옥섭 감독, 배우 이주영·구교환·문소리, " 내가 괜찮은 사람이어야, 마음 편하게 영화를 할 수 있다" http://www.cine21.co[...] 씨네21 2019-0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