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뚜기상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뚜기상과는 메뚜기목에 속하는 상과의 하나로, 12개의 과로 분류된다. 이 중 메뚜기과, 데리코리테스과, 라티세리데과, 렌툴리데과, 리티디데과, 오메세키데과, 알락메뚜기과, 팜파고데과, 피르가크리데과, 로말레데과, 트리스티리데과 등이 포함된다. 메뚜기상과에 속하는 메뚜기과, 오메세키스과, 로말레아과 종에서 염색체 안정성이 보고되었으며, 메뚜기과와 로말레아과 종은 23♂/24♀의 염색체 팔 수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오메세키아아과에서는 독특한 핵형이 나타나며, 이를 설명하기 위해 '메사 가설'이 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뚜기아목 - 그래스호퍼 (곤충군)
그래스호퍼는 메뚜기목 꼬마날개아목에 속하는 곤충의 통칭으로, 앞가슴 옆면 돌기 유무로 구분되며, 초식성이고 뒷다리 발달로 점프력이 뛰어나 농업 해충이나 식용, 예술 소재로 활용된다.
메뚜기상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학명 | Acridoidea |
명명자 | MacLeay, 1821 |
이명 | Acridina MacLeay, 1821 Acridiodea MacLeay, 1821 Akridiodea Pamphagoidea Burmeister, 1840 |
분류 | |
하위 분류군 | 분류 참조 |
2. 하위 분류
메뚜기상과는 12개 과로 분류한다.[8] 자세한 내용은 "과 목록"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2. 1. 과 목록
메뚜기상과는 12개 과로 분류한다.[8]과 | 학명 | 창립자 및 연도 |
---|---|---|
메뚜기과 | Acrididae | MacLeay, 1821 |
Charilaidae | Dirsh, 1953 | |
Dericorythidae | Jacobson & Bianchi, 1902–1905 | |
Lathiceridae | Dirsh, 1954 | |
Lentulidae | Dirsh, 1956 | |
Lithidiidae | Dirsh, 1961 | |
Ommexechidae | Bolívar, 1884 | |
주름메뚜기과 (영어 위키백과에서는 알락메뚜기과로 표기) | Pamphagidae | Burmeister, 1840 |
Pamphagodidae | Bolívar, 1884 | |
Pyrgacrididae | Kevan, 1974 | |
Romaleidae | Brunner von Wattenwyl, 1893 | |
Tristiridae | Rehn, 1906 |
메뚜기상과의 일부 과에서는 염색체 안정성이 보고되었다.[2][3]
3. 염색체
3. 1. 염색체 수와 구조
메뚜기과, 오메세키스과, 로말레아과에서는 23♂/24♀의 염색체 이배수를 가진 종의 빈도가 높아 염색체 안정성이 보고되었다.[2][3] 메뚜기과와 로말레아과 종에서는 염색체 팔의 수인 기본 수 (FN)가 23♂/24♀인 말단동원체 염색체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표준적인 말단동원체 핵형에서 벗어난 염색체 재배열도 자주 발견된다.
3. 2. 핵형 변이
오메세키아아과에서는 대부분의 종이 차중부동원체 형태의 큰 상염색체쌍 (L1)의 존재로 인해 독특한 핵형 (2n = 23♂/24♀, FN = 25♂/26♀)을 보인다.[4][5][6] 이러한 핵형 변이를 설명하기 위해 오메세키아아과의 조상에서 일어난 조상 중심 반전의 '메사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있다.
참조
[1]
간행물
Horae Entomologicae
1821
[2]
서적
Animal cytogenetics 3
Berlin: Gebrüder Borntraeger
[3]
논문
Cariología de los acridoideos neotropicales: estado actual de su conocimiento y nuevas contribuciones
[4]
논문
Acerca de la cariología de Ommexechidae (Orthoptera-Acridoidea)
[5]
논문
Cytological studies in family Ommexechidae (Orthoptera-Acridoidea)
[6]
논문
New insights into the six decades of Mesa's hypothesis of chromosomal evolution in Ommexechinae grasshoppers (Orthoptera: Acridoidea)
https://academic.oup[...]
[7]
간행물
Horae Entomologicae
1821
[8]
웹사이트
Taxa display: superfamily Acridoidea
http://osf2x.orthop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