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시에 마라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시에 마라톤은 한 밤 동안 모든 메시에 천체를 관측하는 천문 활동이다. 관측자의 위치, 밤의 길이, 계절에 따라 관측 가능한 천체의 수가 달라지며, 북위 25도 부근에서 3월 중순부터 4월 초 사이에 최적의 조건이 갖춰진다. 메시에 마라톤은 해질녘 서쪽 하늘의 천체부터 시작하여 동쪽 하늘의 천체로 이동하며, 주로 지역 천문 단체나 동아리에서 개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마추어 천문학 - 심원천체
    심원천체는 태양계와 개별 별을 제외한 성단, 성운, 은하 등 모든 천체를 포괄하는 용어로, 아마추어 천문학에서 널리 사용되며 관측 활동의 대상이 된다.
  • 아마추어 천문학 - 전국밤하늘계속관찰
    전국밤하늘계속관찰은 밤하늘 관측 방법과 장소 정보를 제공하며, 육안, 쌍안경, 사진 촬영을 활용하여 여름철과 겨울철 관측 방법을 안내하고, 밤하늘 밝기를 수치화하여 별 관측에 적합한 장소를 선정한다.
  • 메시에 천체 - 샤를 메시에
    샤를 메시에는 프랑스의 천문학자로, 혜성 발견과 메시에 천체 목록을 만들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달의 크레이터와 소행성에 이름이 붙여졌다.
  • 메시에 천체 - 게 성운
    게 성운은 1054년 초신성 SN 1054의 잔해로, 중심부의 게 성운 펄서가 에너지 방출을 통해 성운의 팽창과 싱크로트론 복사를 일으키는 황소자리의 산광성운이다.
메시에 마라톤

2. 메시에 마라톤의 유래

메시에 마라톤은 1970년대에 미국의 천문학자 톰 호펠더, 도널드 마크홀츠, 톰 레일랜드가 개별적으로 고안했다.

일반적으로 메시에 마라톤을 시도하는 관측자는 해질녘에 관측을 시작하여 110개의 모든 천체를 보기 위해 밤새도록 해가 뜰 때까지 관측한다. 관측자는 해질녘 서쪽 하늘 낮은 곳에 있는 천체부터 시작하여 시야에서 사라지기 전에 보려고 하며, 그 다음 하늘을 가로질러 동쪽으로 이동한다. 해가 뜰 무렵, 성공적인 관측자는 동쪽 지평선 낮은 곳에 있는 마지막 몇 개의 천체를 관측하며, 해가 떠서 하늘이 너무 밝아지기 전에 보려고 노력한다. 날씨 조건과 관측자의 체력에 따라 그날 밤은 지구력과 의지력의 시험이 될 수 있다. 특히 하늘의 밀집된 지역(예: 처녀자리 은하단과 우리 은하의 은하 중심)은 관측자에게 어려움을 줄 수 있으며, 메시에 마라톤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지역에 맞춰 시간을 배분한다.

메시에 마라톤은 일반적으로 천체 관측의 특별한 행사로서 각 지역의 천문 단체가 주최한다. 이러한 행사는 보통 일 년에 한 번 이상 기획된다. 이러한 기획 중에는 참가 및 완주에 대해 증명서나 상을 발행하는 경우가 있다.

일본에서의 메시에 마라톤은 1987년에 아마추어 천문가 A・K・옥센돌(A・K・Oksendol)이 제안하여, "월간 천문"이라는 잡지 주최로 1987년 3월에 이바라키현 쓰쿠바 산에서 개최된 것이 시작으로 여겨진다.

3. 메시에 마라톤이 가능한 때와 장소

메시에 마라톤은 관측자의 위치, 낮과 밤의 길이, 계절 등에 따라 관측 가능한 메시에 천체의 수가 달라지기 때문에, 관측 장소와 시기를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메시에 목록은 북반구에서 작성되었기 때문에 남반구에서는 일부 메시에 천체를 관측할 수 없다. 특히 M81, M82, M52, M103과 같이 적위가 60도 이상인 천체는 남반구에서 관측하기 어렵다. 9월의 추분 무렵에는 대부분의 천체를 관측할 수 있는 짧은 기간이 존재한다.[1]

3. 1. 최적의 장소

메시에 천체는 원래 북반구 관측자가 수집했기 때문에, 남반구에서는 모든 메시에 천체를 볼 수는 없다. 특히, 남반구에서는 적위 +60도 이상에 위치한 M81, M82, M52, M103 때문에 메시에 마라톤을 하기가 상당히 어렵다.[1] 메시에 마라톤은 북반구 어느 곳에서나 가능하지만, 위도가 낮은 지역, 특히 북위 25도 근방이 가장 적절하다.[1] 낮은 위도의 북반구(특히 북위 25도 근방)에서는 3월 중순부터 4월 초 사이 몇 주 동안은 하룻밤에 모든 메시에 천체를 관측하는 것도 가능하다.[1] 이 기간에 달이 뜨지 않거나, 초승달이 뜨는 때가 메시에 마라톤의 최적기이다.[1]

3. 2. 최적의 시기

관측자의 위도, 밤낮의 길이, 계절(태양과 메시에 천체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특정 날짜에 볼 수 있는 메시에 천체의 개수가 달라지므로, 관측 장소와 날짜 선정이 중요하다. 메시에 천체는 원래 북반구 관측자가 수집했기 때문에 남반구에서는 모든 메시에 천체를 볼 수 없다. 특히 남반구에서는 적위 +60도 이상에 위치한 M81, M82, M52, M103 때문에 메시에 마라톤을 하기 어렵다. 메시에 마라톤은 북반구 어디에서나 가능하지만, 저위도 지역, 특히 북위 25도 부근이 가장 적절하다. 북위 25도 부근에서는 3월 중순부터 4월 초 사이 몇 주 동안 하룻밤에 모든 메시에 천체를 관측할 수 있다. 이 기간 중 달이 뜨지 않거나 초승달이 뜨는 때가 메시에 마라톤의 최적기이다.

3. 3. 다른 시기

관측자의 위도, 밤과 낮의 길이, 그리고 계절(태양과 메시에 천체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특정 날짜에 볼 수 있는 메시에 천체의 수가 달라지기 때문에, 관측 장소와 날짜 선정이 중요하다. 메시에 천체가 원래 북반구의 관측자에 의해 수집되었기 때문에, 남반구에서는 메시에 천체를 전부 다 볼 수는 없다. 특히, 남반구에서는 적위 +60도 이상에 위치한 M81, M82, M52, M103 때문에 메시에 마라톤을 하기가 상당히 어렵다. 비록 메시에 마라톤은 북반구 어느 곳에서나 가능하지만, 위도가 낮은 지역, 특히 북위 25도 근방의 지역이 가장 적절하다. 낮은 위도의 북반구에서는 (특히 북위 25도 근방에서는) 3월 중순부터 4월 초 사이의 몇 주 동안은 하루 밤에 모든 메시에 천체를 관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기간 중에 달이 뜨지 않거나, 초승달이 뜨는 때가 메시에 마라톤의 최적기이다.

다른 시기에도 덜 완전한 메시에 마라톤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실제로 관측할 수 있는 메시에 천체의 수는 계절과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특히, 추분 무렵에는 대부분의 천체를 관측할 수 있는 짧은 기간이 있다.[1]

4. 마라톤 과정

메시에 마라톤은 1970년대에 미국의 천문학자 톰 호펠더, 도널드 마크홀츠, 톰 레일랜드가 개별적으로 고안했다.[1]

메시에 마라톤은 보통 천체 관측 행사로, 각 지역 천문 단체가 주최하며, 일 년에 한 번 이상 열린다. 참가 및 완주자에게는 증명서나 상을 주기도 한다.[1]

일본에서는 1987년 아마추어 천문가 A・K・옥센돌이 제안하고, "월간 천문" 잡지 주최로 1987년 3월 이바라키현 쓰쿠바 산에서 처음 개최되었다.[1]

4. 1. 관측 순서

메시에 마라톤 참가자는 보통 일몰 직후부터 관측을 시작하고, 다음날 동이 틀 때까지 계속 관측한다. 해질녘에 서쪽 하늘에 있는 막 지고 있는 낮은 고도의 천체부터 먼저 관측을 끝내고, 서서히 하늘을 따라서 동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마라톤이 성공적이라면, 참가자는 해가 뜰 무렵에는 너무 밝아지기 전에 동쪽 지평선 근방에서 막 떠오르고 있는 낮은 고도의 천체를 관측하고 있을 것이다. 특히 메시에 천체가 몰려 있는 지역(즉, 처녀자리 은하단은하수의 중심 방향)이 떠오르는 저녁 무렵에는 많은 천체들을 적은 시간 내에 찾아 내야 하므로 체력과 끈기가 필요하다.

4. 2. 주의할 점

메시에 마라톤 참가자는 보통 일몰 직후부터 관측을 시작하고, 다음날 동이 틀 때까지 계속 관측하게 된다. 해질녘에 서쪽 하늘에 있는 막 지고 있는 낮은 고도의 천체부터 먼저 관측을 끝내고, 서서히 하늘을 따라서 동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마라톤이 성공적이라면, 참가자는 해가 뜰 무렵에는 너무 밝아지기 전에 동쪽 지평선 근방에서 막 떠오르고 있는 낮은 고도의 천체를 관측하고 있을 것이다. 특히 메시에 천체가 몰려 있는 지역(즉, 처녀자리 은하단은하수의 중심 방향)이 떠오르는 저녁 무렵에는 많은 천체들을 적은 시간 내에 찾아 내야 하므로 체력과 끈기가 필요하다.[1]

날씨 조건과 관측자의 체력에 따라 그날 밤은 지구력과 의지력의 시험이 될 수 있다. 특히 하늘의 밀집된 지역(예: 처녀자리 은하단과 우리 은하의 은하 중심)은 관측자에게 어려움을 줄 수 있으며, 메시에 마라톤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지역에 맞춰 시간을 배분한다.[1]

5. 마라톤 개최

마라톤은 대체로 지역 천문 단체나 천문 동아리에서 개최한다. 몇몇 동아리나 단체는 참가 자체나 몇 개의 천체를 찾아냈는지를 적은 인증서를 발행해주기도 한다.[1]

마라톤은 일반적으로 지역 천문 단체 또는 천문학회가 특별한 유형의 별 관측회로 개최하며, 보통 매년 최소 한 번 이상 시도된다. 일부 클럽에서는 참여 또는 정해진 수의 천체를 관측한 사람에게 증명서/상을 수여한다.[2]

메시에 마라톤을 시도하는 관측자는 일몰부터 일출까지 모든 메시에 천체를 관측하기 위해 계속 관측한다. 일몰 후 서쪽 낮은 하늘에서 관측을 시작하여 하늘을 가로질러 동쪽으로 관측을 계속하며, 하늘이 밝아지기 전에 동쪽 지평선에서 마지막 천체를 관측한다. 관측에는 끈기와 강한 의지가 요구된다.

일본에서의 메시에 마라톤은 1987년에 아마추어 천문가 A・K・옥센돌(A・K・Oksendol)이 제안하여, "월간 천문"이라는 잡지 주최로 1987년 3월에 이바라키현 쓰쿠바 산에서 개최된 것이 시작으로 여겨진다.

참조

[1] 웹사이트 October https://messierobjec[...] 2016-10-15
[2] 웹사이트 メシエ天体を制覇せよ! ~メシエマラソンへの案内~ https://www.astroart[...] AstroArts 2013-1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