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트로: 마지막 탈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트로: 마지막 탈출은 1935년 모스크바 지하철 사고를 배경으로 한 영화이다. 터널 붕괴 사고로 지하철이 탈선하고, 생존자들은 갱도를 통해 탈출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삼각관계와 갈등을 겪는다. 이 영화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흥행에서도 준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재난 영화 - 브레이브 언더 파이어
    브레이브 언더 파이어는 자연재해에 맞서는 소방관과 구조대원들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이며, 콘스탄틴 하벤스키 등이 출연하고 2020년 러시아에서 개봉되었다.
  • 러시아의 재난 영화 - 체르노빌 1986
    체르노빌 1986은 1986년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를 배경으로, 소방관 알렉세이 카르푸신이 희생적인 임무를 수행하며 개인의 영웅주의를 그리는 영화이다.
  • 러시아의 스릴러 영화 - 데이 워치
    《데이 워치》는 빛과 어둠의 '다른 사람들' 간 갈등 속에서 주인공 안톤이 아들 예고르의 조약 위반을 막고 모스크바의 파멸을 막기 위해 운명의 분필을 찾는 과정을 그린 2006년 러시아 판타지 액션 영화이자 2004년 《나이트 워치》의 속편이다.
  • 러시아의 스릴러 영화 - 나이트 워치 (2004년 영화)
    티무르 베크맘베토프 감독, 콘스탄틴 하벤스키 주연의 러시아 초자연 액션 영화 나이트 워치는 세르게이 루키야넨코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빛과 어둠의 세력 간 균형을 유지하는 '나이트 워치' 조직을 중심으로 대립을 그리며 러시아 영화로는 드물게 큰 흥행을 기록했다.
  • 러시아의 액션 영화 - 데이 워치
    《데이 워치》는 빛과 어둠의 '다른 사람들' 간 갈등 속에서 주인공 안톤이 아들 예고르의 조약 위반을 막고 모스크바의 파멸을 막기 위해 운명의 분필을 찾는 과정을 그린 2006년 러시아 판타지 액션 영화이자 2004년 《나이트 워치》의 속편이다.
  • 러시아의 액션 영화 - 나이트 워치 (2004년 영화)
    티무르 베크맘베토프 감독, 콘스탄틴 하벤스키 주연의 러시아 초자연 액션 영화 나이트 워치는 세르게이 루키야넨코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빛과 어둠의 세력 간 균형을 유지하는 '나이트 워치' 조직을 중심으로 대립을 그리며 러시아 영화로는 드물게 큰 흥행을 기록했다.
메트로: 마지막 탈출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로마자 표기Metro
다른 제목메트로: 마지막 탈출
영화 포스터
영화 정보
감독안톤 메게르디체브
프로듀서이고르 톨스투노프
세르게이 코즐로프
안나 카가를리츠카야
각본빅토리야 예브세예바
데니스 쿠리셰프
주연세르게이 푸스케팔리스
스베틀라나 호첸코바
아나톨리 벨리
촬영세르게이 아스타호프
세르게이 슐츠
음악유리 포텐코
알렉스 하드럼
편집안톤 메게르디체브
제작 국가러시아
언어러시아어
상영 시간132분
개봉일2013년 2월 21일
제작비9백만 달러
흥행 수익국내: 12,000,000 달러
전 세계: 15,000,000 달러

2. 줄거리

1935년에 건설된 모스크바 지하철의 파르크 쿨투리 역 인근 터널에서 노후화로 인한 구조적 결함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어느 날 밤, 터널 관리인 세르게이치는 모스크바 강 아래를 지나는 터널 천장에서 물이 새는 것을 발견하고 역 부역장에게 보고하지만, 부역장은 이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며 단순 지하수 문제로 치부한다.

한편, 외과 의사 안드레이 가린과 그의 아내 이리나, 그리고 이리나의 연인인 사업가 블라디슬라프 콘스탄티노프 사이에는 복잡한 삼각관계가 얽혀 있다. 콘스탄티노프는 이리나에게 남편과 이혼할 것을 계속해서 설득한다. 해외여행에서 돌아온 이리나는 집 대신 콘스탄티노프의 집에서 밤을 보낸다. 다음 날 아침, 안드레이는 딸 크세냐를 학교에 데려다주기 위해 지하철을 타러 가고, 같은 시각 콘스탄티노프 역시 출근길 교통 체증 때문에 지하철을 이용하게 되면서 두 사람은 우연히 같은 열차에 탑승한다.

같은 시간, 터널 관리인 세르게이치는 동료 갈리나와 술을 마시던 중 터널에서 새어 나오던 물에서 이상한 냄새가 났던 것을 기억해내고 단순 누수가 아님을 직감한다. 그는 즉시 관제실에 이 사실을 알려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공공장소 음주 혐의로 경찰에 체포되면서 위험을 경고할 기회를 놓치고 만다.

결국 우려는 현실이 되어, 터널 천장이 붕괴하며 엄청난 양의 강물이 쏟아져 들어온다. 가린과 콘스탄티노프가 타고 있던 열차의 기관사는 비상 제동을 걸지만, 열차는 탈선하여 쏟아지는 물과 잔해 속으로 처박힌다. 이 사고로 인해 열차 안의 많은 승객이 목숨을 잃는다. 혼란 속에서 가린은 딸 크세냐를 필사적으로 찾고, 콘스탄티노프는 그를 돕는다. 생존자들은 탈출을 시도하지만, 아직 전기가 흐르는 가선과 빠르게 차오르는 물 때문에 위험에 직면한다. 설상가상으로 수위가 높아지면서 누전이 발생하고, 미처 물 밖으로 피하지 못한 사람들은 감전되어 사망한다.

가린, 콘스탄티노프, 크세냐를 비롯해 갈리나, 택배원 미하일, 젊은 커플 데니스와 알리사 등 소수의 생존자들은 함께 탈출구를 찾아 나선다. 그들은 유지 보수용 통로를 발견하고 그곳으로 향하지만, 극심한 공포에 사로잡힌 미하일은 뒤처져 굴러떨어지는 객차에 깔려 사망한다. 나머지 생존자들은 통로 끝에 있는 지하 벙커에 도착한다.

벙커 안은 외부와 연락할 수단이 없고, 수위는 빠르게 상승한다. 고립된 공간 속에서 가린과 콘스탄티노프는 서로가 이리나를 사이에 둔 관계임을 짐작하게 되면서 둘 사이의 긴장감은 극으로 치닫는다. 물이 차올라 벙커 상부의 환기구 격자에 가까워졌을 때, 그들은 간신히 휴대전화 신호를 잡아 이리나에게 자신들의 위치를 알리는 데 성공한다. 하지만 그 순간, 터널 내 급격한 수압 변화로 인해 벙커 안의 물이 순식간에 빠져나가면서 생존자들은 다시 어두운 터널 속으로 휩쓸려 내려간다. 직후 벙커에 도착한 구조대는 물에 젖은 벽만 보고 생존자가 없을 것이라 판단하고 철수한다.

물살에 휩쓸린 생존자들은 폐쇄된 유령역인 '보로디노'에 도착하여 잠시 숨을 돌린다. 이곳에서 가린과 콘스탄티노프 사이의 갈등은 결국 폭발하여 격렬한 몸싸움으로 이어진다. 그 사이 사고가 발생한 터널의 천장이 추가로 붕괴하면서 더 많은 물이 터널을 집어삼키고, 구조 본부는 상황의 심각성을 깨닫고 관련 수문을 폐쇄하는 조치를 취한다. 생존자들은 다시 한번 힘을 합쳐 벙커로 돌아가고, 마침내 지상으로 통하는 환기구 격자를 통해 탈출에 성공한다.

사건이 마무리된 후, 데니스와 알리사는 서로에게 의지하며 함께 병원을 나서고, 가린은 병원으로 찾아온 아내 이리나를 마주하지만 그녀의 말을 애써 외면하며 냉담한 반응을 보인다. 영화는 콘스탄티노프가 가린이 탄 구급차를 뒤쫓는 듯한 모습으로 막을 내린다.

3. 등장인물

(내용 없음)

3. 1. 주요 인물


  • 세르게이 푸스케팰리스 - 안드레이 가린 역
  • 아나톨리 벨리 - 블라디슬라프 콘스탄티노프 역
  • 스베틀라나 홋첸코바 - 이리나 가리나 역
  • 안피사 비스틴가우젠 - 크세니야 가리나 역
  • 알렉세이 바르두코프 - 데니스 이스토민 역
  • 카테리나 슈피차 - 알리사 역
  • 옐레나 파노바 - 갈리나 역
  • 세르게이 소스노프스키 - 페트루닌 역

3. 2. 조연


  • 스타니슬라프 두즈니코프
  • 스베트라나 콜파코바
  • 세르게이 푸스케팔리스 - 안드레이 가린 역
  • 아나톨리 벨리 - 블라디슬라프 콘스탄티노프 역
  • 스베틀라나 호드첸코바 - 이리나 가리나 역
  • 안피사 비스틴가우젠 - 크세니야 가리나 역
  • 알렉세이 바르두코프 - 데니스 이스토민 역
  • 카테리나 슈피차 - 알리사 역
  • 옐레나 파노바 - 갈리나 역
  • 세르게이 소스노프스키 - 페트루닌 역

4. 평가

이 영화는 비평가들로부터 대부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4] 다만 일부 비평가들은 영화의 줄거리와 실제 지하철 및 관련 서비스 간의 불일치를 지적하며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기도 했다.[5]

4. 1. 흥행

이 영화는 러시아 국내 시장에서 1200만달러, 전 세계적으로 1500만달러의 수익을 올렸다.[6] 제작비는 900만달러로, 평균적인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6]

참조

[1] 웹사이트 Метро, 2012 https://www.kinopois[...]
[2] 웹사이트 Метро, 2012 https://www.kinopois[...]
[3] 웹사이트 Метро, 2012 https://www.kinopois[...]
[4] 웹사이트 "Метро": человеческая история в рамках техногенной катастрофы http://www.oren.aif.[...] Argumenty i Fakty 2013-02-18
[5] 웹사이트 "Специальный репортаж": возможна ли катастрофа в метро. (Special Report": Can There Be a Disaster in the Metro http://www.m24.ru/vi[...] Moscow 24 (TV channel) 2013-04-12
[6] 웹사이트 Метро, 2012 https://www.kinopoi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