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명효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효철은 대한민국의 수학자로서, 리 허용 대수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미국 미시간 주립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노던아이오와 대학교 교수를 거쳐 한국과학기술원과 고등과학원에서 후학 양성에 힘썼다. 특히 앨버트 문제를 해결하고, 말체프 허용 대수 연구를 통해 학문적 업적을 남겼다. 고등과학원 부원장과 원장을 역임하며 한국 수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2010년 7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수학자 - 이상설
    이상설은 대한제국 시기의 독립운동가로, 성균관 교수와 탁지부 재무관을 역임하며 헤이그 특사로 파견되어 독립을 호소하고, 국외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다 러시아에서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수학자 - 박경미
    박경미는 서울대학교 수학교육과 졸업 후 미국에서 수학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홍익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를 역임, 교육 분야 전문성을 쌓아 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 국회의원, 대통령비서실 대변인, 국회의장 비서실장 등을 거쳐 현재 더불어민주당 교육특별위원회 위원장과 대변인으로 활동 중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수학교육학 박사이다.
  • 과학기술유공자 - 박상대
    박상대는 대한민국의 분자세포생물학자로서, 국내 분자생물학 발전에 기여하고 한국분자생물학회 설립 및 학술지 창간을 주도했으며, 서울대학교 교수 및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 등을 역임하고 2024년 별세했다.
  • 과학기술유공자 - 김정룡
    김정룡은 B형 간염 백신 '헤파박스-B' 개발과 세계 최초 C형 간염 바이러스 혈청 분리 성공으로 국내 간 질환 연구에 크게 기여한 대한민국 의학자이다.
  • 2010년 사망 - 프란체스코 코시가
    프란체스코 코시가는 이탈리아의 내무부 장관, 총리,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알도 모로 납치 사건과 비밀 조직 글라디오 등의 논란을 거치며 이탈리아 정치사에서 중요한 논쟁을 남긴 인물이다.
  • 2010년 사망 - 이진우 (1934년)
    이진우는 1934년에 출생하여 2010년에 사망한 법조인 출신 정치인으로, 검사, 국회의원,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 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 등을 역임했으며 변호사로 활동했다.
명효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명효철
출생일1937년 6월 15일
사망일2010년 2월 11일 (향년 72세)
국적대한민국
명효철 박사

2. 학력

3. 경력

1970년부터 1995년까지 Northern Iowa 대학영어 수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1] 1979년부터 1980년까지 서울대학교 초빙교수를 지냈다.[1] 1995년부터 2002년까지 한국과학기술원 수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1] 1996년부터 2007년까지 고등과학원 부원장, 원장직무 대리, 교수부장을 역임하였다.[1] 2007년부터 2010년까지 고등과학원 원장을 역임하였다.[2][3]

4. 생애 및 업적

'''명효철'''은 리 허용 대수 연구에서 세계적인 성과를 거두었으며, 한국과학기술원고등과학원에서 후학 양성과 한국 수학 발전을 위해 헌신했다.

1937년 6월 15일 경남 마산에서 태어나 1960년 서울대학교 수학과를 졸업하고, 1962년에 석사학위를 받았다. 1966년 미국으로 건너가 1970년 미시간 주립 대학교에서 “Flexible Lie-admissible algebras”라는 논문으로 대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곧바로 노던아이오와 대학교 수학과 교수로 25년간 재직하면서 연구활동을 이어갔다.[3]

1995년 귀국하여 한국과학기술원 교수가 된 후, 고등과학원 부원장(1996)[1]과 원장(2007-2010)[2]을 역임하며 기관의 방향성과 연구 기반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특히 대한수학회와 한국여성수리과학회 학술사업을 적극 후원하고 개인적으로 고등과학원에 3억을 기부하는 등 한국 수학 발전을 위해 물심양면으로 지원했다.[1]

1986년 노던아이오와 대학교로부터 최우수 교수상을 받았고, 1990년에는 제정된 Donald Mckey 최우수 연구상 1회 수상자가 되었다. 귀국 후에는 2006년 서울시 문화상과 2009년 수당상을 받았다. 2010년 2월 11일, 7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

4. 1. 리 허용 대수 연구

'''명효철'''은 리 허용 대수 연구에서 세계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그의 연구 중심은 리 허용 대수(Lie-admissible algebras), 즉 교환자를 정의하면 리 대수를 만들어낼 수 있는 비결합 대수(nonassociative algebras)의 구조를 찾아내고 이를 분류하는 것이었다. 그는 특히 앨버트 문제와 추측을 해결한 일련의 연구를 통해 세계 수학계에서 이름을 널리 알렸다. 1948년 수학자 앨버트(A. Adrian Albert)는 리 대수학의 일반화로서 리 허용 대수를 도입하고 관련된 몇 가지 문제와 추측을 남겼다. 많은 연구자들이 앨버트가 제기한 문제에 대해 연구했지만 1970년대에도 부분적으로만 해결된 상태였다.

그는 미국 로체스터 대학교의 물리학자 오쿠보(Susumu Okubo)와 공동 연구를 통해 앨버트 문제를 해결했다. 1948년에 앨버트는 A-가 반단순 리 대수(semisimple Lie algebra)일 때 유동 대수 A(flexible algebra A)를 결정하는 문제를 제기했다. 오쿠보와 '''명효철'''은 1978년부터 1980년까지 A-가 유한차원의 단순 리 대수일 때 리 허용 대수 A의 구조를 분류하는 연구 성과들을 발표했다. 이 연구는 수학의 앨버트 문제를 해결했을 뿐 아니라 양자역학의 일반화를 시도하는 과정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는 대수 모델이 유동 리 허용 대수라는 것을 증명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1986년 '''명효철'''은 리 허용 대수를 말체프 허용 대수까지 확장하는 연구를 했고, 이를 종합하여 ''Malcev-admissible algebras''를 출판했다. 1988년 미국수학회지의 서평은 이 책을 “리 허용 대수를 공부하려는 수학자들에게 최고의 책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른 수학자, 물리학자들과의 공동 연구는 1980년대까지 계속 이어졌다. 그는 고전역학의 일반화에서 유래한 대수의 문제와 대수 이론을 미분기하에 응용하는 연구를 추진했다. 특히 스페인 수학자 엘뒤크(A. Elduque)와 공동 연구를 통해 위상다양체 S6, S7, S15 위에서 모든 불변아핀접속(Affine connection)을 완전히 결정했다. 이 연구는 아핀접속의 연구에서 새로운 방향과 도구를 제시한 것으로 인정받았다. 1996년에는 엘뒤크와 공동으로 ''Mutational Alternative Algebras''를 출판했다.

4. 2. 국제 협력 연구

그는 미국 로체스터대학의 물리학자 오쿠보 스스무와 공동 연구를 통해 앨버트 문제를 해결했다. 1948년에 앨버트는 A-가 반단순 리 대수(semisimple Lie algebra)일 때 유동 대수 A(flexible algebra A)를 결정하는 문제를 제기했다. 오쿠보와 명효철은 1978년부터 1980년까지 A-가 유한차원의 단순 리 대수일 때 리 허용 대수 A의 구조를 분류하는 연구 성과들을 발표했다. 이 연구는 수학의 앨버트 문제를 해결했을 뿐 아니라 양자역학의 일반화를 시도하는 과정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는 대수 모델이 유동 리 허용 대수라는 것을 증명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1986년 명효철은 리 허용 대수를 말체프 허용 대수까지 확장하는 연구를 했고, 이를 종합하여 같은 해 ''Malcev-admissible algebras''를 출판했다. 1988년 미국수학회지의 서평은 이 책을 “리 허용 대수를 공부하려는 수학자들에게 최고의 책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른 수학자, 물리학자들과의 공동 연구는 1980년대까지 계속 이어졌다. 그는 고전역학의 일반화에서 유래한 대수의 문제와 대수 이론을 미분기하에 응용하는 연구를 추진했다. 특히 스페인 수학자 엘뒤크(A. Elduque)와 공동 연구를 통해 위상다양체 S6, S7, S15 위에서 모든 불변아핀접속(Affine connection)을 완전히 결정했다. 이 연구는 아핀접속의 연구에서 새로운 방향과 도구를 제시한 것으로 인정받았다. 1996년에는 엘뒤크와 공동으로 ''Mutational Alternative Algebras''를 출판했다.

4. 3. 한국 수학 발전에 기여

명효철은 리 허용 대수 연구에서 세계적인 성과를 거두었으며, 한국과학기술원고등과학원에서 후학 양성과 한국 수학 발전을 위해 헌신했다.[1]

1995년 한국과학기술원 교수가 된 후, 고등과학원 부원장(1996)과 원장(2007-2010)을 역임하며 기관의 방향성과 연구 기반을 확립했다.[1] 특히 1994년 필즈상 수상자인 에핌 젤마노프(Efim Zelmanov)를 석좌교수로 유치하여 고등과학원이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를 지향한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1] 이후 고등과학원은 그의 국제 수학계에서의 신뢰와 교류 관계를 바탕으로 많은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하고 공동연구를 진행할 수 있었다.[1]

또한 대한수학회와 한국여성수리과학회 학술사업을 적극 후원하고 개인적으로 고등과학원에 3억을 기부하는 등 한국 수학 발전을 위해 물심양면으로 지원했다.[1]

5. 사망

明孝哲|명효철중국어은 1937년 6월 15일에 태어나 2010년 2월 11일에 7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

6. 포상


  • 1986년 최우수 교수상 (University of Northern Iowa)
  • 1990년 Donald Mckey 최우수 연구상 (University of Northern Iowa)
  • 2006년 서울시 문화상
  • 2009년 수당상

참조

[1] 웹사이트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 2022-05-29
[2] 웹사이트 고등과학원 원장 명효철씨 https://www.hankyung[...] 2022-05-30
[3] 웹사이트 ‘수학계 거목’ 명효철 고등과학원장 별세 https://www.hani.co.[...] 2022-05-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