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권리 보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든 권리 보유(All rights reserved)"는 1910년 부에노스아이레스 조약에서 유래된 문구로, 저작권 보호를 위해 작품에 명시적으로 표시해야 하는 요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다른 저작권 조약에서는 이 형식을 요구하지 않았으며, 1952년 만국 저작권 협약은 © 기호를, 베른 협약은 형식을 완전히 거부했다. 니카라과가 2000년 부에노스아이레스 조약의 마지막 조인국이 되면서 "모든 권리 보유" 고지의 추가를 요구하는 것은 구식이 되었지만, 여전히 예술가, 작가,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모호성을 제거하고 복사 방지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저작권법 - 공정 이용
공정 이용은 저작권법의 예외 조항으로,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저작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1976년 미국 저작권법에서 명문화되었고, 대한민국 저작권법은 2011년 개정을 통해 관련 조항을 신설하였다. - 저작권법 - 저작물
저작물은 인간의 사상이나 감정을 표현하고 창작성이 있는 결과물로서,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으며, 어문, 음악, 미술 등 다양한 종류로 분류된다. - 영어 어구 - 니거
'니거'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인종차별적 욕설로, 흑인을 지칭하는 중립적 단어에서 모욕적 의미로 변질되어 현재는 금기시되며, 흑인 사회 내부에서 변형된 형태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흑인이 아닌 사람이 사용하는 것은 인종차별 행위로 간주된다. - 영어 어구 - 미투 운동
미투 운동은 성폭력 피해자들이 경험을 공유하고 연대하는 사회 운동으로, 2006년 타라나 버크의 캠페인에서 시작되어 2017년 알리사 밀라노의 해시태그 사용으로 전 세계 확산되었으며, 성폭력 문제에 대한 인식 제고와 법률 개정 촉구에도 불구하고 허위 고발 논란과 소수자 배제 문제 등 비판과 논쟁이 제기되며 사회적 성찰과 노력을 요구한다.
모든 권리 보유 |
---|
2. 기원
"모든 권리 보유" 문구는 1910년 부에노스아이레스 조약에서 기원했다. 이 조약 제3조는 저작물에 재산권 보유를 명시하면, 조인국에 등록된 작품에 대해 모든 조인국에서 저작권을 부여했다. "모든 권리 보유"라는 문구 자체는 조약에 명시되지 않았지만, 이 요건을 충족했다.
1952년 만국 저작권 협약(UCC)은 © 기호를 저작권 표시로 채택했고,[3] 1908년 베른 협약 개정 조항 4조는 이러한 형식을 완전히 거부했다.[5]
2. 1. 부에노스아이레스 조약
이 문구는 1910년 부에노스아이레스 조약에서 비롯되었다. 조약 제3항은 작품에 재산권 보유를 명시한 경우, 조인국에 등록된 작품에 대해 모든 조인국에서 저작권을 부여했다. "모든 저작권 보유"라는 문구 자체는 조약에 명시되지 않았지만, 이 요건을 충족했다.다른 저작권 조약에서는 이러한 형식을 요구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1952년 만국 저작권 협약(UCC)은 © 기호를 저작권 표시로 채택했다.[3] 1908년 베른 협약 개정 조항 4조는 이러한 형식을 완전히 거부했다.[5] 따라서 베른 협약에 서명한 국가에서 자신의 저작물을 보호하려는 저작자는 "모든 권리 보유" 문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었다. 그러나 모든 부에노스아이레스 조약 서명국이 베른 협약이나 UCC 회원국은 아니었고, 특히 미국은 1955년까지 UCC에 가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1910년에서 1952년 사이에 대부분의 국가에서 저작물을 보호하려는 부에노스아이레스 조약 서명국의 출판업자는 "모든 권리 보유" 문구와 저작권 기호를 모두 사용했을 것이다.[6]
2. 2. 다른 저작권 조약과의 관계
이 문구는 1910년 부에노스아이레스 조약에서 유래되었다. 해당 조약 제3조는 저작물에 "소유권의 유보를 나타내는" 문구가 있으면 모든 가맹국에서 등록된 저작물에 대해 저작권을 인정했다. "모든 권리 보유"라는 문구 자체는 조약에 명시되지 않았지만, 이 요건을 충족했다.다른 저작권 조약에서는 이러한 형식을 요구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1952년 만국 저작권 협약(UCC)은 저작권 표시로 © 기호를 채택했다.[3] (이 기호는 1954년 1909년 저작권법 개정을 통해 미국에서 도입되었다.[4]) 베른 협약은 1908년 개정 조항 4조에서 형식 절차를 완전히 거부했으므로,[5] 베른 협약에 서명한 국가에서 저작물을 보호하려는 저작자는 "모든 권리 보유" 문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었다. 그러나 모든 부에노스아이레스 조약 서명국이 베른 협약이나 UCC 회원국은 아니었고, 특히 미국은 1955년까지 UCC에 가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1910년에서 1952년 사이에 가장 많은 국가에서 저작물을 보호하려는 부에노스아이레스 서명국의 출판업자는 "모든 권리 보유" 문구와 저작권 기호를 모두 사용했을 것이다.[6]
3. 구식화
"모든 저작권 보유"라는 문구는 부에노스아이레스 조약에서 저작권 보호를 위해 요구되었던 표현이다. 그러나 2000년 8월 23일, 니카라과가 베른 협약에 가입하면서 이 문구의 실질적인 의미는 사라졌다. 부에노스아이레스 조약 가입국은 모두 베른 협약에도 가입하게 되어, 별도의 저작권 고지 없이도 저작권 보호를 받을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19][20]
하지만 이 문구는 여전히 저작물 복제가 자유롭지 않다는 것을 명확히 하기 위해 예술가, 작가, 콘텐츠 제작자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20]
3. 1. 베른 협약 가입과 법적 효력 상실
니카라과가 베른 협약 조인국이 되기 위해 부에노아이레스 조약의 마지막 조인국이 된 2000년 8월 23일에 "모든 저작권 보유" 고지를 추가해야 하는 요구는 구식이 되었다.[19] 이 시점을 기준으로 부에노아이레스 조약(이 고지의 사용을 요구한 유일한 저작권 조약)에 조인한 모든 국가는 미리 저작권 고지를 하지 않아도 저작권 보호 부여를 요구하는 베른 협약의 조인국이기도 하였다.[20]"모든 권리 보유" 고지 의무는 2000년 8월 23일 니카라과가 부에노스 아이레스 조약의 마지막 가입국으로서 베른 협약에도 서명하게 되면서 사실상 효력을 잃게 되었다.[7] 그날 이후, "모든 권리 보유" 고지를 요구하는 유일한 저작권 조약인 부에노스 아이레스 조약의 모든 가맹국이 저작권 고지 없이 보호를 제공하는 베른 협약에도 가입하게 되었기 때문이다.[8]
2000년 8월 23일 니카라과가 베른 협약에 가입하고, 부에노스아이레스 조약에만 가입한 국가가 없어지면서, 저작권 행사를 위해 "all rights reserved"라는 표시를 추가할 필요성이 완전히 사라졌다.[15] 이 날을 기점으로 부에노스아이레스 조약 가맹국은 모두 저작권 통지의 형식을 묻지 않고 보호가 인정되는 것을 규정하는 베른 협약에도 가입했다.[16]
이 문구는 현재도 콘텐츠를 자유롭게 복제할 수 없음을 아티스트, 작가, 콘텐츠 제작자가 명확히 경고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16]
3. 2. 현재의 사용
베른 협약 조인국이 되기 위해 니카라과가 부에노아이레스 조약의 마지막 조인국이 된 2000년 8월 23일에 "모든 저작권 보유" 고지 추가를 요구하는 것은 구식이 되었다.[19] 이 시점을 기준으로 부에노아이레스 조약(이 고지의 사용을 요구한 유일한 저작권 조약)에 조인한 모든 국가는 미리 저작권 고지를 하지 않아도 저작권 보호 부여를 요구하는 베른 협약의 조인국이기도 하였다.[20]이 문구는 모호성을 제거하고 내용물이 자유로이 복사될 수 없음을 분명히 경고하는 차원에서 여전히 예술가, 작가,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20]
참조
[1]
웹사이트
The phrase "All rights reserved"
http://www.iusmentis[...]
2007-12-27
[2]
서적
Internet and the Law: Technology, Society, and Compromis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01-15
[3]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pyright
http://www.copyright[...]
U.S. Copyright Office
2014-05-17
[4]
서적
Copyright Law Revision: Study 7: Notice of Copyright
http://www.copyright[...]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5]
웹사이트
Copyright Registrations and Formalities
http://www.wipo.int/[...]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2014-05-17
[6]
웹사이트
'"All rights reserved." in a copyright declaration is nearly always just chaff.'
https://jdebp.eu/FGA[...]
[7]
간행물
All Rights Reserved: Does Google's "Image Search" Infringe Vested Exclusive Rights Granted Under the Copyright Law?
https://repository.j[...]
2008
[8]
서적
Internet and the Law: Technology, Society, and Compromis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01-15
[9]
웹사이트
The phrase "All rights reserved"
http://www.iusmentis[...]
2007-12-27
[10]
서적
Internet and the Law: Technology, Society, and Compromis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01-15
[11]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pyright
http://www.copyright[...]
U.S. Copyright Office
2014-05-17
[12]
서적
Copyright Law Revision: Study 7: Notice of Copyright
http://www.copyright[...]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3]
웹사이트
Copyright Registrations and Formalities
http://www.wipo.int/[...]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2014-05-17
[14]
웹사이트
'"All rights reserved." in a copyright declaration is nearly always just chaff.'
https://jdebp.eu/FGA[...]
2020-08-25
[15]
간행물
All Rights Reserved: Does Google's "Image Search" Infringe Vested Exclusive Rights Granted Under the Copyright Law?
https://repository.j[...]
2008
[16]
서적
Internet and the Law: Technology, Society, and Compromis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01-15
[17]
웹사이트
The phrase "All rights reserved"
http://www.iusmentis[...]
2007-12-27
[18]
서적
Internet and the Law: Technology, Society, and Compromis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01-15
[19]
간행물
All Rights Reserved: Does Google's "Image Search" Infringe Vested Exclusive Rights Granted Under the Copyright Law?
https://repository.j[...]
2008
[20]
서적
Internet and the Law: Technology, Society, and Compromis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0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