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테라치 빙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테라치 빙하는 동알프스산맥에 위치한 계곡 빙하로, 파스테르체 빙하와 게파치페르너 다음으로 부피가 크다. 아르기엔트봉에서 모테라치 계곡의 얼음 전선까지의 거리는 약 6km이며, 고도 차이는 최대 2,000m이다. 이 빙하는 모테라치강을 통해 인강으로 흘러가 다뉴브강을 거쳐 흑해로 유입된다. 1878년부터 측정을 시작한 이래 빙하는 지속적으로 후퇴했으며, 2016년에는 모테라치역에서 더 이상 보이지 않을 정도로 얼음 전선이 물러났다. 2017년에는 빙하를 보호하기 위한 제설 시스템 개발이 시작되었다. 봄에는 숙련된 스키어들을 위한 10km 길이의 스키 활주로가 운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르니나산맥 - 디아볼레차
디아볼레차는 스위스 엥가딘에 위치한 스키장으로, 케이블카를 통해 접근 가능하며, 붉고 검은색 슬로프와 5월까지 좋은 눈 상태로 유명하고, 모르테라취 빙하를 따라 10km 슬로프를 즐길 수 있으며, 베르니나 산군 파노라마를 감상할 수 있다. - 베르니나산맥 - 코르바취봉
스위스 생모리츠 인근의 코르바취봉은 고산 툰드라 기후를 나타내며, 대부분의 기간 동안 추운 겨울이 지속되고 짧은 여름에만 기온이 영하 이상으로 올라가며, 생모리츠에서 접근 가능하지만 봄/가을에는 로프웨이 운행이 중단될 수 있다. - 알프스산맥의 빙하 - 그림젤 고개
그림젤 고개는 스위스 알프스에 위치하며 베른주와 발레주를 연결하고, 과거 교역로로 이용되었으며, 현재는 수력발전소 건설로 도로가 확장되었고 연중 서늘하거나 추운 기후를 보인다. - 알프스산맥의 빙하 - 콘코르디아플라츠
스위스 알프스 융프라우 지역의 해발 2,700~2,800미터에 위치한 콘코르디아플라츠는 여러 빙하가 합류하여 눈과 얼음의 깊이가 900미터가 넘는 약 2km² 넓이의 빙하 지역이다.
모테라치 빙하 | |
---|---|
지리 | |
![]()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Vadret da Morteratsch |
종류 | 곡빙하 |
위치 | 베르니나산맥, 스위스 |
하단부 위치 | 오바 다 모테라치 (다뉴브강) |
상태 | 빠른 후퇴 |
지리적 속성 | |
면적 (페르스 빙하 포함) | 15.3 km2 (2008년) |
길이 | 7 km (1973년), 5.85 km (2016년) |
추가 정보 | |
연구 사이트 | ETH 취리히, 프리부르 대학교, 취리히 대학교 |
2. 지리적 특징
모테라치 빙하는 뚜렷한 얼음 전선을 가진 전형적인 계곡 빙하이다. 봄철에는 눈 상태에 따라 빙하 위에 10km 길이의 스키 활주로가 표시되기도 한다. 이 활주로는 디아볼레차 공중트램 종착역에서 모테라치의 인강까지 이어지며, 고도 차이는 1100m에 달한다.
과거 모테라치역은 빙하 바로 앞에 위치했으나, 지속적인 빙하 후퇴로 인해 2016년 기준으로 얼음 전선이 2800m 이상 물러나면서 더 이상 역에서는 빙하를 직접 볼 수 없게 되었다.[8][9]
빙하의 길이 변화는 1878년부터 꾸준히 측정 및 기록되고 있다. 1878년부터 1998년까지 120년 동안 빙하는 총 1.8km 이상 후퇴했으며, 연평균 후퇴 거리는 약 17.2m였다. 이러한 후퇴 경향은 최근 들어 더욱 가속화되어, 1999년부터 2005년 사이에는 연평균 30m씩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2006년 이후에도 빙하의 후퇴는 계속되었고,[10] 지난 10년 동안에만 추가로 1km의 길이가 줄어들었다.[11]
측정 기간 동안 빙하가 몇 미터 정도 전진했던 해도 4년 있었지만, 이는 단기적인 강수량 증가보다는 과거 빙하 규모가 더 컸던 시기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특히 19세기 중반 '작은 빙하기' 말기에 형성된 것으로 보이는 빙하 옆 높은 측퇴석(모레인)은 당시 빙하의 거대했던 규모를 짐작하게 한다.
빙하의 급격한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2017년부터는 인공 눈으로 빙하 표면을 덮어 얼음 손실을 줄이려는 제설 시스템 개발 연구가 시작되었다.[12] 이 프로젝트는 1km2 면적을 4m 높이의 눈으로 덮는 것을 목표로 하며,[13] 10년간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운영할 경우 빙하의 후퇴를 400m에서 500m 정도 늦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14]
2. 1. 위치 및 규모
모테라치 빙하는 동알프스산맥에 위치하며, 파스테르체 빙하와 게파치페르너 다음으로 세 번째로 큰 빙하이다. 이 빙하는 뚜렷한 얼음 전선을 가진 전형적인 계곡 빙하의 형태를 띤다. 빙하의 축적 지역은 모테라치봉, 베르니나봉, 크라스트 아귀차, 아르기엔트봉, 추피봉, 벨라비스타 봉우리 사이에 자리 잡고 있다. 아르기엔트봉에서 모테라치 계곡의 얼음 전선까지의 수평 거리는 약 6km 미만이며, 고도 차이는 최대 2000m에 달한다.1973년 기준으로 팔뤼봉에서 발원한 페르스 빙하와 합쳐진 면적은 약 16km2였다. 빙하의 전체 부피는 약 1.2km3로 추정된다. 모테라치 빙하에서 녹은 물은 모테라치강으로 흘러 들어가며, 이 강은 인강과 합류하여 최종적으로 다뉴브강을 통해 흑해로 흘러 들어간다.[8]
2. 2. 유출 경로
모테라치 빙하에서 녹은 물은 모테라치강으로 흘러 들어간다. 이 강물은 다시 인강과 합류하며, 최종적으로 다뉴브강을 통해 흑해까지 이르게 된다.[8]3. 빙하의 변화
모테라치 빙하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특히 20세기 후반 이후 뚜렷한 후퇴 경향을 보이고 있다. 1878년부터 시작된 길이 측정 기록에 따르면, 빙하는 꾸준히 길이가 줄어들었으며 최근 들어 그 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있다.[10] 이러한 빙하의 변화는 장기적인 기후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빙하의 급격한 축소에 대응하기 위해, 최근에는 인공 눈을 이용하여 빙하를 보존하려는 연구와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12][13][14] 빙하의 후퇴로 인해 과거 빙하 가까이에 있던 모테라치역에서는 더 이상 빙하를 직접 보기 어려워졌다.[8][9]
3. 1. 후퇴 현황
모테라치 빙하의 길이 변화는 1878년부터 매년 측정되어 기록되고 있다. 1878년부터 1998년까지 빙하는 총 1.8km 이상 후퇴했으며, 연평균 후퇴 속도는 약 17.2m였다.[10] 이 평균 후퇴 속도는 1999년부터 2005년 사이에 연간 30m로 크게 증가하며 최근 들어 후퇴 속도가 빨라지고 있음을 보여준다.[10] 빙하의 후퇴는 2006년까지 계속되었다.[10]2016년을 기준으로 빙하의 끝부분(얼음 전선)은 측정 시작 시점보다 2800m 이상 뒤로 물러났으며[8][9], 특히 2006년부터 2016년까지의 최근 10년 동안에만 약 1km가 추가로 후퇴했다.[11] 이러한 급격한 후퇴로 인해, 과거 빙하 바로 앞에 위치했던 모테라치역에서는 더 이상 빙하를 볼 수 없게 되었다.[8]
측정이 시작된 이후 빙하가 전진한 해는 단 4년에 불과하며, 그 길이도 몇 미터에 그쳤다. 큰 빙하는 단기적인 기후 변화에 느리게 반응하므로, 이러한 짧은 전진이 특정 해 겨울의 강설량 증가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 빙하 옆 측퇴석에서는 19세기 중반 작은 빙하시대 말기에 빙하가 현재보다 훨씬 거대했음을 알 수 있다.
빙하가 녹는 속도를 늦추기 위한 노력도 진행 중이다. 2017년에는 인공 눈으로 빙하 표면을 덮는 제설 시스템 개발 연구가 시작되었다.[12] 이 시스템은 빙하의 특정 구역을 4m 높이의 눈으로 덮는 것을 목표로 하며[13], 10년간 운영 시 빙하 후퇴를 400m에서 500m 정도 늦출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14]
3. 2. 후퇴 원인
모테라치 빙하의 길이 변화는 1878년부터 꾸준히 측정되어 왔다. 1878년부터 1998년까지 120년 동안 빙하는 총 1.8km 이상 후퇴했으며, 이는 연평균 약 17.2m씩 줄어든 것에 해당한다. 이러한 장기적인 후퇴 경향은 최근 들어 더욱 심화되어, 1999년부터 2005년 사이에는 연평균 후퇴 속도가 약 30m로 크게 증가했다. 2006년에도 이러한 급격한 후퇴는 계속되었으며,[10] 그 후 약 10년 동안 추가로 1km가량 길이가 줄어들었다.[11]측정 기간 동안 빙하가 몇 미터 전진한 경우는 단 4년에 불과했다. 이는 모테라치 빙하와 같이 거대한 빙하가 기후 변화, 특히 단기적인 기상 변화에 매우 느리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이전 겨울에 강설량이 많았다고 해서 곧바로 빙하가 전진하는 것은 아니다. 빙하 주변의 높은 빙퇴석들은 19세기 중반 작은 빙하기가 끝날 무렵 빙하의 크기가 훨씬 거대했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오늘날 관측되는 지속적이고 가속화되는 후퇴는 장기적인 기온 상승, 즉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빙하의 급격한 축소를 막기 위해, 2017년에는 빙하 위에 인공 눈을 뿌려 얼음을 보호하는 제설 시스템 개발 연구가 시작되었다.[12] 이 프로젝트는 넓은 면적을 약 4m 높이의 눈으로 덮는 것을 목표로 하며,[13] 이를 통해 10년 동안 빙하의 후퇴를 400m에서 500m 정도 늦출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14]
3. 3. 보존 노력
2017년 연구진은 빙하의 얼음을 보호하기 위한 인공 제설 시스템 개발을 시작했다.[12] 이 시스템은 1km2 면적을 4m 높이의 인공 눈으로 덮는 것을 목표로 한다.[13] 연구진은 이 시스템을 10년간 운영하면 빙하의 길이 후퇴를 400m에서 500m 정도 늦출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14]4. 관광 및 레저
모테라치 빙하 지역에서는 봄철 눈 상태가 좋을 때 스키를 즐길 수 있다. 디아볼레차 공중트램 종착역에서 시작하는 코스가 마련되어 있다.[8]
과거에는 모테라치역이 빙하 바로 앞에 위치하여 기차역에서 빙하를 쉽게 조망할 수 있었다. 하지만 빙하가 지속적으로 후퇴하면서 2016년 기준으로 얼음 전선은 역에서 2.8km 이상 뒤로 물러났고, 이로 인해 현재는 역에서 빙하를 직접 볼 수 없게 되었다.[8][9] 이는 기후 변화로 인한 빙하 감소가 관광 환경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4. 1. 스키 활주로
봄에는 눈 상태에 따라 숙련된 스키어들이 접근할 수 있는 길이 10km의 스키 활주로를 빙하 위에 표시한다. 이 활주로는 디아볼레차 공중트램 종착역에서 모테라치강 유역까지 연결되며, 고도 차이는 1100m에 달한다.[8]4. 2. 기타 관광 요소
봄에는 눈 상태에 따라 숙련된 스키어들이 접근할 수 있는 길이 10km의 스키 활주로가 빙하 위에 표시된다. 이 활주로는 디아볼레차 공중트램 종착역에서 모테라치의 인강까지 연결되며, 고도 차이는 1100m에 달한다. 과거 모테라치역은 빙하 바로 앞에 위치했지만, 빙하가 크게 후퇴하면서 상황이 변했다. 2016년을 기준으로 얼음 전선이 2800m 이상 뒤로 물러나, 현재는 역에서 빙하를 직접 볼 수 없게 되었다.[8][9]빙하의 길이 변화는 1878년부터 꾸준히 측정되어 왔다. 1998년까지 약 120년 동안 빙하는 총 1.8km 이상 후퇴했으며, 연평균 후퇴 거리는 약 17.2m였다. 그러나 최근 들어 후퇴 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있다. 1999년부터 2005년 사이에는 연평균 30m씩 줄어들었으며, 이러한 급격한 후퇴는 2006년 이후에도 지속되었다.[10] 최근 10년 동안에는 추가로 1km가량 짧아졌다.[11] 측정 기간 동안 빙하가 몇 미터 전진한 해는 단 4년에 불과했는데, 이는 단기적인 강수량 증가보다는 과거 빙하 규모 변화와 관련된 것으로 해석된다. 빙하 주변의 높은 빙퇴석(모레인) 지형은 19세기 중반 '소빙기' 말기에 빙하가 얼마나 거대했는지를 보여주는 증거로 남아 있다.
빙하의 급격한 축소에 대응하기 위해, 2017년에는 연구자들이 빙하의 얼음을 보호하기 위한 인공 제설 시스템 개발에 착수했다.[12] 이 시스템은 넓은 면적을 4m 높이의 눈으로 덮어 빙하가 녹는 것을 늦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13] 이 기술이 성공적으로 적용되면, 10년 안에 빙하의 길이를 400m에서 500m 정도 보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14]
5. 한국과의 관계
주어진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작성할 수 있는 정보가 없다.
참조
[1]
지도
Maps of Switzerland
https://s.geo.admin.[...]
Swiss Confederation
2020-08-23
[2]
웹사이트
Candidature UNESCO World Heritage - Rhaetian Railway in the Albula/Bernina Cultural Landscape
https://www.rhb.ch/f[...]
Rhaetian Railway
2020-08-27
[3]
웹사이트
Glaciers online: Morteratsch
http://www.swisseduc[...]
Glaciers online
2007-01-18
[4]
웹사이트
Welcome to the Glacier Monitoring in Switzerland (GLAMOS)
https://www.glamos.c[...]
ETH Zurich, University of Fribourg, University of Zurich
2018-01-16
[5]
웹사이트
Plan to regrow receding Swiss glacier by blowing artificial snow
https://www.newscien[...]
2019-10-26
[6]
웹사이트
Artificial snow might save a glacier in the Swiss Alps
https://www.popsci.c[...]
2019-10-26
[7]
웹사이트
A Swiss Community Fights to Save their Glacier
https://glacierhub.o[...]
2019-10-26
[8]
지도
Maps of Switzerland
https://s.geo.admin.[...]
Swiss Confederation
2020-08-23
[9]
웹인용
Candidature UNESCO World Heritage - Rhaetian Railway in the Albula/Bernina Cultural Landscape
https://www.rhb.ch/f[...]
Rhaetian Railway
2020-08-27
[10]
웹인용
Glaciers online: Morteratsch
http://www.swisseduc[...]
Glaciers online
2007-01-18
[11]
웹인용
Welcome to the Glacier Monitoring in Switzerland (GLAMOS)
http://swiss-glacier[...]
ETH Zurich, University of Fribourg, University of Zurich
2018-01-16
[12]
웹인용
Plan to regrow receding Swiss glacier by blowing artificial snow
https://www.newscien[...]
2019-10-26
[13]
웹인용
Artificial snow might save a glacier in the Swiss Alps
https://www.popsci.c[...]
2019-10-26
[14]
웹인용
A Swiss Community Fights to Save their Glacier
https://glacierhub.o[...]
2019-10-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