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테비데오 조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몬테비데오 조약은 1828년 브라질 제국과 아르헨티나 연합주 사이의 시스플라티나 전쟁을 종식시키고, 우루과이의 독립을 승인하기 위해 체결된 조약이다. 이 조약은 영국의 중재로 이루어졌으며, 브라질과 아르헨티나로부터 우루과이의 독립을 선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조약은 또한 우루과이 내전 발생 시 조약 서명국들의 개입 가능성을 명시하고, 라플라타 강에서의 자유 항해를 보장하며, 우루과이 헌법 제정을 위한 조항을 포함하고 있다. 우루과이 역사학계에서는 몬테비데오 조약과 우루과이 독립의 의미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며, 독립 기념일의 역사적 의미에 대한 논쟁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몬테비데오 조약 | |
---|---|
조약 정보 | |
이름 | 몬테비데오 조약 |
정식 명칭 | 리오데라플라타 합중국 정부와 브라질 황제 폐하 간의 예비 평화 협약 |
![]() | |
유형 | 양자 조약 |
서명일 | 1828년 8월 27일 |
서명 장소 | 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 제국 |
비준일 | 리오데라플라타 연합주: 1828년 8월 29일 브라질 제국: 1828년 8월 30일 |
발효일 | 1828년 10월 8일 |
발효 조건 | 1828년 10월 4일 몬테비데오에서 비준서 교환이 이루어짐 |
중재자 | 존 폰손비 |
원 서명자 | 후안 라몬 발카르세 토마스 귀도 아라카티 후작 호세 클레멘테 페레이라 조아킴 데 올리베이라 알바레스 |
당사자 | 리오데라플라타 연합주 브라질 제국 대영 제국 |
비준자 | 페드루 1세, 브라질 황제 마누엘 도레고, 부에노스아이레스 주지사 |
사용 언어 | 스페인어 및 포르투갈어 |
2. 배경
1820년대 시스플라티나 전쟁은 아르헨티나와 브라질 양측 모두에게 어려운 상황을 초래했다. 아르헨티나 육군은 주요 도시를 점령하지 못했고, 브라질군은 병력 부족으로 공세를 펼치기 어려웠다.[1]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양국 모두 경제적 부담이 커졌고, 특히 브라질에서는 전쟁을 외교적으로 해결하라는 여론이 높아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영국이 중재에 나서게 되었다. 영국은 부에노스아이레스 봉쇄로 인해 라플라타 지역 무역에 큰 피해를 보고 있었기 때문에, 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는 데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2. 1. 시스플라티나 전쟁
1828년까지 시스플라티나 전쟁은 아르헨티나 육군이 주요 도시를 점령하지 못하고 교착 상태에 빠졌으며,[1] 브라질군은 아르헨티나군을 상대로 전면적인 공세를 펼칠 인력이 부족했다. 전쟁의 무거운 부담과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가능성이 줄어들면서, 브라질에서는 외교를 통해 전쟁을 종식시키라는 여론이 거세졌다.이러한 상황에서 1828년 2월 20일, 브라질과 아르헨티나는 평화 회담을 시작하기로 결정했으며, 영국이 중재를 맡았다. 영국은 부에노스아이레스 봉쇄로 인해 라플라타 지역에 심각한 무역 방해를 초래했기 때문에 전쟁의 평화로운 해결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존 폰손비 경이 회담 중재자로 선택되었으며, 그는 즉시 우루과이에 대한 브라질의 주권을 허용하려는 아르헨티나의 거부와 미소에스 오리엔타이스에 대한 주권 유지 요구, 라플라타 강에서의 자유 항해, 그리고 아르헨티나가 시스플라티나 지역을 병합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으려는 브라질의 요구에 직면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폰손비 경은 라플라타 지역의 평화를 재건하기 위해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모두를 달래기 위해 독립적인 우루과이를 제안했고, 미소에스 오리엔타이스에 대한 주권과 라플라타 강에서 자유롭게 항해할 권리에 관한 브라질의 요구를 수용했다.
초기 아르헨티나의 반대에 직면했지만, 외교관은 아르헨티나가 동부 지역을 위한 전쟁에 돈을 쓰는 것이 더 이상 타당하지 않다는 것을 설득했고, 1828년 8월 27일에 합의를 이끌어냈다.
2. 2. 영국의 중재
1828년까지 시스플라티나 전쟁은 교착 상태에 빠졌다. 아르헨티나 육군은 주요 도시를 점령하지 못했고,[1] 브라질군은 아르헨티나군에 대한 전면적인 공세를 펼칠 인력이 부족했다. 전쟁의 부담과 긍정적 결과를 얻을 가능성이 줄어들면서 브라질에서는 외교를 통해 전쟁을 끝내라는 여론이 높아졌다.이러한 상황에서 1828년 2월 20일, 브라질과 아르헨티나는 평화 회담을 시작하기로 했고, 영국이 중재를 맡았다. 영국은 부에노스아이레스 봉쇄로 라플라타 지역의 무역에 큰 방해를 받았기 때문에 평화로운 해결에 관심을 가졌다.
존 폰손비 경이 회담 중재자로 선택되었다. 그는 우루과이에 대한 브라질의 주권을 인정하려는 아르헨티나의 거부와, 미시오네스 오리엔탈리스에 대한 주권 유지, 라플라타 강에서의 자유 항해, 그리고 아르헨티나가 시스플라티나 지역을 병합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으려는 브라질의 요구에 직면했다.
폰손비 경은 라플라타 지역의 평화를 위해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모두를 달래기 위해 독립적인 우루과이를 제안했다. 그는 미시오네스 오리엔탈리스에 대한 주권과 라플라타 강에서 자유롭게 항해할 권리에 관한 브라질의 요구를 수용했다.
초기 아르헨티나의 반대가 있었지만, 외교관은 아르헨티나가 동부 지역을 위한 전쟁에 돈을 쓰는 것이 더 이상 타당하지 않다고 설득했고, 1828년 8월 27일에 합의를 이끌어냈다.
3. 조약의 내용
1828년 몬테비데오 조약은 다음과 같은 주요 내용을 담고 있다.
- 독립 선언: 브라질 제국과 라플라타 연합 주로부터 동부 지방의 독립을 선언했다. (제1조 및 제2조)
- 헌법 제정 및 검토: 대표자들이 주의 정치 헌법을 제정하고, 헌법 승인 전에 각 주의 안전에 반하는 조항이 있는지 계약 정부 위원들이 검토하도록 했다. (제7조)
- 내전 시 지원: 헌법 승인 후 5년 동안 내전으로 국내 평온과 안전이 침해될 경우, 서명국들이 법적 정부 유지를 지원하고 이후에는 완전한 독립 상태로 간주했다. 단, "법적 정부" 지원 개입 권한은 새로운 국가의 명시적 요청 없이 계약 당사자가 설정했다. (제10조)
- 자유 항해 보장: 아르헨티나와 브라질 두 국가에 15년 동안 라플라타강과 그 지류에서의 자유로운 항해를 보장하는 조항이 추가되었다.
3. 1. 독립 선언
조약의 제1조와 제2조는 동부 지방의 브라질 제국과 라플라타 연합 주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한다.[1]3. 2. 독립의 성격
몬테비데오 조약 제10조는 헌법 승인 후 5년 동안 내전으로 국내 평온과 안전이 침해될 경우, 서명국들이 '법적 정부'가 스스로를 유지하고 지탱하는 데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도록 규정했다. 그 이후에는 모든 보호가 중단되며 해당 주는 완전하고 절대적인 독립 상태로 간주되었다.[1] '법적 정부'를 지원하기 위한 개입 권한은 새로운 국가의 명시적인 요청 없이 계약 당사자에 의해 설정되었다.[1]3. 3. 헌법 검토
주의 정치 헌법 제정 이후, 조약에 서명한 국가들의 위원들이 헌법을 검토하여 각 주의 안전에 반하는 조항이 있는지 확인하도록 규정했다.[1]3. 4. 자유 항해
라플라타강과 라플라타강으로 흘러드는 모든 강에서 아르헨티나와 브라질 두 국가에 15년 동안 자유로운 항해를 보장하는 조항이 추가되었다.4. 조약의 영향
이전 결과물은 원본 소스가 없어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는 정보만 담고 있었고, 주어진 지시사항에 따라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결과물을 그대로 출력합니다.
몬테비데오 조약과 관련된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조약의 영향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5. 역사 해석
우루과이 역사학계는 몬테비데오 조약과 우루과이의 독립 국가 탄생에 대해 크게 두 가지 견해로 나뉜다. 프란시스코 바우사를 비롯한 일부 학자들은 조약 이전부터 우루과이 민족주의가 존재했다고 주장하는 반면, 에두아르도 아세베도 바스케스 등은 우루과이 독립의 주요 원인을 영국의 영향과 같은 외부 요인에서 찾는다.[2] 한편, 역사학자 레오나르도 보르헤스는 독립 기념일이 8월 25일이지만, 이 날짜가 실제 국가 탄생을 반영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3]
5. 1. 민족주의 논쟁
우루과이 역사학계는 몬테비데오 조약과 우루과이의 독립을 두고 두 가지 주요 견해로 나뉜다.첫 번째 그룹은 조약 체결 이전에 이미 우루과이 민족주의가 존재했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몬테비데오와 부에노스아이레스 간의 경쟁, 라플라타 부왕령을 묶었던 느슨한 연결 고리, 호세 헤르바시오 아르티가스가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중앙집권주의에 강력하게 반대한 점을 근거로 든다. 이 견해는 프란시스코 바우사, 후안 소리야 데 산 마르틴, 파블로 블랑코 아세베도, 마리오 팔카오 에스팔터, 후안 피벨 데보토 등이 지지한다.[2]
반면 두 번째 그룹은 우루과이인들이 라플라타 연합주의 일부로 남기를 원했으며, 아르티가스는 중앙집권주의에 반대했지만 분리주의적 사상을 가진 것은 아니라고 본다. 이들은 우루과이 독립의 원인을 주로 영국의 영향과 같은 외부 요인에서 찾는다. 에두아르도 아세베도 바스케스, 아리오스토 곤잘레스, 에우제니오 프티 무뇨스, 워싱턴 레예스 아바디에, 알베르토 메톨 페레, 오스카 브루셰라 등이 이 견해를 지지한다.[2]
역사학자 레오나르도 보르헤스는 독립 기념일이 8월 25일이지만, 실제 국가 탄생을 반영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1825년 8월 25일 브라질 제국과 라플라타 연합주의 독립이 서명되었을 때, 우루과이는 여전히 아르헨티나의 일부인 반다 오리엔탈로 남아 있었다.[3] 보르헤스는 8월 25일을 독립 기념일로 정하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일"이라고 평가한다. 교육문화부 차관인 아나 리베이로는 모든 그러한 날짜가 임의적이라며, 바스티유의 날이 프랑스 혁명의 결정적인 날짜를 기념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지적한다.[3]
5. 2. 독립 기념일 논쟁
역사학자 레오나르도 보르헤스는 독립 기념일이 8월 25일에 기념되지만, 실제 국가의 탄생을 반영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1825년 8월 25일에 브라질 제국과 라플라타 연합주가 독립을 서명했을 때, 우루과이는 여전히 아르헨티나의 일부인 반다 오리엔탈로 남아 있었다.[3] 보르헤스는 8월 25일을 독립 기념일로 정하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일"이라고 말한다. 교육문화부 차관 아나 리베이로는 바스티유의 날이 프랑스 혁명의 결정적인 날짜를 기념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들어, 모든 그러한 날짜가 임의적이라고 주장한다.[3]참조
[1]
서적
Latin America's Wars: the age of the caudillo, 1791-1899
Brassey's
2003
[2]
문서
Nahum, p. 29
[3]
웹사이트
El debate sin fin en Uruguay: ¿debería cambiar su Día de la Independencia?
https://www.infobae.[...]
2020-08-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