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전신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선전신기는 송신기에서 보낸 전파를 수신기로 받아 통신하는 기술로, 공명 현상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한다. 초기에는 감쇠파를 사용했으나, 1905년 이후 연속파(CW) 방식이 개발되어 1920년대까지 표준이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진공관 송신기가 보급되면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모스 부호를 이용한 통신은 오늘날까지 아마추어 무선, 비상 통신, 군사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은 CW 무선 전신을 A1A 형식의 방사로 규제하며, 상업적 목적의 모스 부호 무선 전신은 현대적인 통신 방식의 발달로 인해 점차 사용 빈도가 줄어들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신 - 전건
전건은 모스 부호 통신에 사용되는 스위치 장치로, 상하식 키, 복식 전신 키, 반자동 전신 키, 자동 전신 키 등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아마추어 무선 통신에서 사용된다. - 전신 - 전신타자기
전신타자기는 19세기 중반부터 개발되어 키보드로 문자를 입력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통신 장치이며, 텔렉스, 전용 회선 등에서 활용되다가 팩스, 개인용 컴퓨터 등의 등장으로 쇠퇴했다. - 라디오 - 전파
전파는 전기장과 자기장의 결합으로 공간을 통해 이동하는 전자기파의 일종으로, 통신, 방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파장에 따라 분류되고, 열적 및 비열적 효과를 가지며 생물학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라디오 - 도쿄 로즈
도쿄 로즈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라디오 도쿄의 영어 선전 방송 "제로 아워"의 여성 아나운서들을 미군 병사들이 부르던 명칭으로, 사기 저하를 목적으로 했으나 실제 효과는 미미했으며 대중문화 소재로 활용되었고, 아이바 토구리 다키노가 대표적인 인물로 알려져 있다. - 무선 통신 - 건 다이오드
건 다이오드는 건 효과를 이용하여 마이크로파를 생성하는 발진 소자로, 갈륨 비소와 같은 반도체의 전자띠 구조를 통해 음의 미분 저항을 발생시키며, 스피드건, 레이더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무선 통신 - 진폭 변조
진폭 변조(AM)는 정보 신호를 반송파의 진폭 변화로 전송하는 통신 변조 방식으로, 잡음에 약하고 전력 효율이 낮지만 포락선 검파가 가능하여 중파 및 단파 방송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디지털 방송에 밀려 사용이 줄었으나 재난 방송 및 사물 인터넷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무선전신기 | |
---|---|
개요 | |
![]() | |
정의 | 전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파 또는 다른 형태의 전자기파를 통해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전신 통신 방식 |
역사 | |
초기 명칭 | 무선 전신 (wireless telegraphy) 무선 전신 통신 (radiotelegraphy) |
개발 배경 | 기존 유선 전신 시스템의 제한 극복 |
주요 인물 | 굴리엘모 마르코니 |
초기 기술 | 코히어러 |
상용화 | 20세기 초 |
주요 활용 | 해상 통신 군사 통신 |
주요 사건 | 짐머만 전보 사건 |
대체 기술 | 주파수 편이 방식 (FSK) 현대 디지털 통신 기술 |
현재 | 전보 서비스는 대부분 중단되었으나, 관련 기술은 현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반 기술로 활용됨. |
기술적 특징 | |
신호 전송 방식 | 모스 부호 전파 기타 전자기파 |
변조 방식 | 진폭 편이 방식 (ASK) |
통신 프로토콜 | 단순한 온-오프 키잉 방식 |
장비 | 송신기 수신기 안테나 |
장점 | 이동성 유선망 구축이 어려운 지역에서 통신 가능 |
단점 | 보안 취약성 전파 간섭 |
관련 기술 및 용어 | |
관련 기술 | 무선 통신 전파 전자기파 |
관련 단체 | 미국 육군 통신대 |
기타 | |
참고 | 무선(wireless) 뿐만 아니라 radio도 "무선"으로 번역될 수 있음. 자세한 내용은 무선 항목 참고. |
2. 원리
무선전신기는 송신기에서 보낸 전파를 수신기에서 받아들여 통신하는 것이다. 파동은 어떤 시스템에서 다른 시스템으로 전달될 때 특정한 주파수(전파나 음파가 1초 동안에 진동하는 횟수)에서만 잘 전달된다. 이를 '공명' 현상이라고 한다. 즉 양쪽 시스템의 고유한 공명 진동수가 같을 때 전파가 잘 전달되는 것이다. 무선전신기의 예를 들어보면, A가 10, 20, 30Hz(헤르츠)의 주파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송신기를 가지고 있고, B는 10, 30, 40Hz, C는 5, 15, 30Hz를 받아들일 수 있는 수신기를 가지고 있다고 할때, A가 30Hz의 신호를 보내면 B와 C 둘 다 수신이 가능해 진다. 이를 통해 암호나 정보를 통신했다.
초기 무선 전신은 감쇠파라는 변조 방식을 사용했다. 전신 키를 누르면 오디오 속도로 반복되는 일련의 과도 라디오파 펄스가 생성되었고,[33] 수신기에서는 음악적인 음색, 거친 소리, 윙윙거리는 소리 등으로 들렸다.[33] 모스 부호의 "점"과 "대시"는 삐 소리로 구분되었다. 감쇠파는 큰 주파수 대역폭을 가져 라디오 신호가 넓은 주파수 대역을 차지했기 때문에 범위가 제한적이고 다른 송신기의 전송을 방해했다.[34]
1905년 이후, 연속파(CW)를 사용하는 새로운 무선 전신 송신기가 발명되었다.[35] 전신 키를 누르면 일정한 진폭의 정현파가 생성되었고,[35] 모든 에너지가 단일 주파수에 집중되어 주어진 전력으로 더 멀리 전송하고 인접 주파수 전송 방해를 줄일 수 있었다. 초기 연속파 송신기에는 1903년 발데마르 폴센이 발명한 아크 변환기(폴센 아크) 송신기[37]와 1906~1912년 레지날드 페센덴과 에른스트 알렉산더슨이 발명한 알렉산더슨 교류 발전기가 있었다.[38] 이들은 고출력 무선 전신국에서 스파크 송신기를 대체했다.
그러나 감쇠파 수신기로는 연속파를 수신할 수 없었다. 키를 누르는 동안 생성된 CW 신호는 변조되지 않은 반송파여서 수신기에서 소리가 나지 않았다.[39] 1901년 레지날드 페센덴은 "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 이 문제를 해결했다. 들어오는 신호는 수신기의 검파기에서 비트 주파수 발진기(BFO)의 정현파와 혼합되었다. 발진기 주파수()는 송신기 주파수()에서 오프셋되어, 두 주파수의 차이인 비트 주파수(헤테로다인) 가 생성되었다.[40] BFO 주파수가 송신기 주파수에 충분히 가까우면 비트 주파수는 오디오 주파수 범위에 속해 이어폰에서 들을 수 있었다.[40] 모스 부호는 음악적인 "삐" 소리로 들렸다.
1913년 에드윈 암스트롱이 진공관 피드백 발진기를 발명하면서 BFO는 무선 전신 수신기의 표준 부품이 되었다. 라디오 주파수가 바뀌면 BFO 주파수도 바꿔야 했기에 BFO 발진기는 튜닝 가능해야 했다. 1930년대 이후 수퍼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는 BFO 신호가 중간 주파수(IF)와 혼합되어 BFO는 고정 주파수가 될 수 있었다.[41]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전력 튜브의 사용 가능성으로 인해 연속파 진공관 송신기가 저렴해지면서 다른 송신기를 대체했다. CW는 1920년대까지 무선 전신의 표준 방식이 되었고, 감쇠파 스파크 송신기는 1930년에 금지되었으며,[9] CW는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다. 현재도 단파 통신 방송국용 통신 수신기 대부분에 BFO가 있다.[42]
2. 1. 공명 현상
무선전신기는 송신기에서 보낸 전파를 수신기에서 받아들여 통신하는 것이다. 파동은 어떤 시스템에서 다른 시스템으로 전달될 때 특정한 주파수(전파나 음파가 1초 동안에 진동하는 횟수)에서만 잘 전달된다. 이를 '공명' 현상이라고 한다. 즉 양쪽 시스템의 고유한 공명 진동수가 같을 때 전파가 잘 전달되는 것이다. 무선전신기의 예를 들어보면, A가 10, 20, 30Hz(헤르츠)의 주파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송신기를 가지고 있고, B는 10, 30, 40Hz, C는 5, 15, 30Hz를 받아들일 수 있는 수신기를 가지고 있다고 할때, A가 30Hz의 신호를 보내면 B와 C 둘 다 수신이 가능해 진다. 이를 통해 암호나 정보를 통신했다.2. 2. 라디오 수신과의 관계
라디오 수신 역시 방송국에서 특정한 주파수에 음악 등을 실어 보내면 라디오 수신기로 그 주파수에 맞추어 신호를 받아들이는 공명 현상을 기반으로 한다. 예를 들어 KBS는 89.1MHz, MBC는 91.9MHz로 방송을 내보내는데, 라디오 주파수를 89.1MHz에 맞추면 공명 현상에 의해 KBS만 들리고 MBC에서 내보낸 신호는 라디오에 들어오지 않는다.2. 3. 변조 방식
초기 무선 전신은 감쇠파라는 변조 방식을 사용했다. 전신 키를 누르면 오디오 속도로 반복되는 일련의 과도 라디오파 펄스가 생성되었고,[33] 수신기에서는 음악적인 음색, 거친 소리, 윙윙거리는 소리 등으로 들렸다.[33] 모스 부호의 "점"과 "대시"는 삐 소리로 구분되었다. 감쇠파는 큰 주파수 대역폭을 가져 라디오 신호가 넓은 주파수 대역을 차지했기 때문에 범위가 제한적이고 다른 송신기의 전송을 방해했다.[34]1905년 이후, 연속파(CW)를 사용하는 새로운 무선 전신 송신기가 발명되었다.[35] 전신 키를 누르면 일정한 진폭의 정현파가 생성되었고,[35] 모든 에너지가 단일 주파수에 집중되어 주어진 전력으로 더 멀리 전송하고 인접 주파수 전송 방해를 줄일 수 있었다. 초기 연속파 송신기에는 1903년 발데마르 폴센이 발명한 아크 변환기(폴센 아크) 송신기[37]와 1906~1912년 레지날드 페센덴과 에른스트 알렉산더슨이 발명한 알렉산더슨 교류 발전기가 있었다.[38] 이들은 고출력 무선 전신국에서 스파크 송신기를 대체했다.
그러나 감쇠파 수신기로는 연속파를 수신할 수 없었다. 키를 누르는 동안 생성된 CW 신호는 변조되지 않은 반송파여서 수신기에서 소리가 나지 않았다.[39] 1901년 레지날드 페센덴은 "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 이 문제를 해결했다. 들어오는 신호는 수신기의 검파기에서 비트 주파수 발진기(BFO)의 정현파와 혼합되었다. 발진기 주파수()는 송신기 주파수()에서 오프셋되어, 두 주파수의 차이인 비트 주파수(헤테로다인) 가 생성되었다.[40] BFO 주파수가 송신기 주파수에 충분히 가까우면 비트 주파수는 오디오 주파수 범위에 속해 이어폰에서 들을 수 있었다.[40] 모스 부호는 음악적인 "삐" 소리로 들렸다.
1913년 에드윈 암스트롱이 진공관 피드백 발진기를 발명하면서 BFO는 무선 전신 수신기의 표준 부품이 되었다. 라디오 주파수가 바뀌면 BFO 주파수도 바꿔야 했기에 BFO 발진기는 튜닝 가능해야 했다. 1930년대 이후 수퍼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는 BFO 신호가 중간 주파수(IF)와 혼합되어 BFO는 고정 주파수가 될 수 있었다.[41]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전력 튜브의 사용 가능성으로 인해 연속파 진공관 송신기가 저렴해지면서 다른 송신기를 대체했다. CW는 1920년대까지 무선 전신의 표준 방식이 되었고, 감쇠파 스파크 송신기는 1930년에 금지되었으며,[9] CW는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다. 현재도 단파 통신 방송국용 통신 수신기 대부분에 BFO가 있다.[42]
3. 역사
전선 없이 전신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찾으려는 노력은 최초의 즉각적인 통신 시스템인 전기 전신 네트워크의 성공에서 비롯되었다.[23] 1830년대부터 개발된 전신선은 가공선을 전신주에 지지하여 연결한 여러 개의 전신국으로 구성된 개인 간 텍스트 메시지 시스템이었다.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 한 사무소의 운영자는 전신 키라고 하는 스위치를 두드려 모스 부호로 메시지를 철자하는 전기 펄스를 생성했다. 키를 누르면 배터리가 전신선에 연결되어 전선으로 전류가 흘렀다. 수신 사무소에서는 전류 펄스가 각 전류 펄스를 수신할 때 "클릭" 소리를 내는 장치인 전신 사운더를 작동시켰다. 모스 부호를 아는 수신국의 운영자는 클릭 소리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메시지를 적었다. 접지는 두 번째 가공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신 회로의 전류 반환 경로로 사용되었다.[24]
1860년대까지 전신은 가장 긴급한 상업, 외교 및 군사 메시지를 보내는 표준 방법이었으며, 산업 국가들은 대륙 전체에 걸친 전신 네트워크를 구축했으며, 해저 전신 케이블을 통해 전신 메시지가 대양을 건너갈 수 있게 되었다.[25] 그러나 멀리 떨어진 스테이션을 연결하는 전신선을 설치하고 유지하는 것은 매우 비쌌고, 전선은 해상 선박과 같은 일부 위치에 도달할 수 없었다. 발명가들은 연결선 없이 모스 부호의 전기 펄스를 분리된 지점 사이로 보낼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면 통신에 혁명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 문제에 대한 성공적인 해결책은 1887년 전파의 발견과 1899년경 실용적인 무선 전신 송수신기의 개발이었다.[26]
1887년에 하인리히 헤르츠에 의해 전파의 존재가 증명되었다. 1894년부터 수년에 걸쳐 이탈리아의 발명가 굴리엘모 마르코니는 새로 발견된 전파를 통신에 응용하는 데 힘썼고, 단순한 기초적인 물리 현상을 유용한 통신 시스템으로 바꾸어[74][75], 그것을 사용한 최초의 무선 전신 시스템을 구축했다[76]。 영국의 프리스와 우체국 (GPO)는 처음에는 1896년부터 솔즈베리 평원(Salisbury Plain)에서 실시된 마르코니의 실험을 지지하고 자금 지원을 했다. 프리스는 자신의 무선 유도 실험을 통해 마르코니의 아이디어를 납득했다. 그러나 마르코니가 무선 전신 및 신호 회사(Wireless Telegraph & Signal Company, 후의 마르코니 회사(Marconi Company))를 설립했을 때 지원은 철회되었다. 우체국 (GPO)의 변호사는 이 시스템이 전신법 (영국)(Telegraph Act)에서 규정하는 전신이며, 따라서 GPO의 독점권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마르코니에 대한 금지 조치 등은 취해지지 않았다[73]。 1901년 마르코니가 대서양을 횡단하는 무선 전신 통신에 성공한 후, 이 시스템은 배에서 육지로의 통신, 배에서 배로의 통신 등의 일반적인 통신에 사용되기 시작했다[77]。
이 시스템의 개발로 "무선 전신"(wireless telegraphy)은 전파를 사용한 전신(radiotelegraphy)을 의미하게 되었고, 모스 부호는 전파에 의해 전송되는 것이 되었다. 최초의 무선 송신기인 원시적인 스파크 갭 송신기는 제1차 세계 대전까지 사용되었지만, 음성을 전송할 수는 없었다. 오퍼레이터는 전신기를 조작하여 송신기의 전원을 켜고 끄고, 단점(톤)과 장점(투)의 전파 펄스로 모스 부호를 보내 문장을 전달했다. 수신 측에서는 신호가 가청음으로 변환되어 오퍼레이터가 코드를 문장으로 변환한다. 처음에는 "헤르츠파"(Hertzian waves)라고 불리던 것은 1910년까지 "전파"(radio)라고 불리게 되었다[78]。
3. 1. 전파의 발견과 마르코니의 실험
1860년대까지 전신은 가장 긴급한 상업, 외교 및 군사 메시지를 보내는 표준 방법이었으며, 산업 국가들은 대륙 전체에 걸친 전신 네트워크를 구축했고, 해저 전신 케이블을 통해 전신 메시지가 대양을 건너갈 수 있게 되었다.[25] 그러나 전신선을 설치하고 유지하는 것은 매우 비쌌고, 전선은 해상 선박과 같은 일부 위치에 도달할 수 없었다. 발명가들은 연결선 없이 모스 부호의 전기 펄스를 분리된 지점 사이로 보낼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면 통신에 혁명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1887년 하인리히 헤르츠가 전파의 존재를 증명했다.[74] 1894년부터 수년에 걸쳐 이탈리아의 발명가 굴리엘모 마르코니는 새로 발견된 전파를 통신에 응용하여 최초의 무선 전신 시스템을 구축했다.[76] 영국의 프리스와 우체국 (GPO)은 처음에는 1896년부터 솔즈베리 평원에서 실시된 마르코니의 실험을 지지하고 자금 지원을 했다. 그러나 마르코니가 무선 전신 및 신호 회사(후의 마르코니 회사)를 설립했을 때 지원은 철회되었다. GPO의 변호사는 이 시스템이 전신법 (영국)에서 규정하는 전신이며, 따라서 GPO의 독점권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마르코니에 대한 금지 조치 등은 취해지지 않았다.[73] 1901년 마르코니가 대서양을 횡단하는 무선 전신 통신에 성공한 후, 이 시스템은 배에서 육지로의 통신, 배에서 배로의 통신 등의 일반적인 통신에 사용되기 시작했다.[77]
이 시스템의 개발로 "무선 전신"(wireless telegraphy)은 전파를 사용한 전신(radiotelegraphy)을 의미하게 되었고, 모스 부호는 전파에 의해 전송되는 것이 되었다. 최초의 무선 송신기인 원시적인 스파크 갭 송신기는 제1차 세계 대전까지 사용되었지만, 음성을 전송할 수는 없었다. 오퍼레이터는 전신기를 조작하여 송신기의 전원을 켜고 끄고, 단점(톤)과 장점(투)의 전파 펄스로 모스 부호를 보내 문장을 전달했다. 수신 측에서는 신호가 가청음으로 변환되어 오퍼레이터가 코드를 문장으로 변환한다. 처음에는 "헤르츠파"(Hertzian waves)라고 불리던 것은 1910년까지 "전파"(radio)라고 불리게 되었다.[78]
3. 2. 초기 무선 전신 방식 (전파 이전)
전기 전신 네트워크의 성공에 이어, 전선 없이 전신 신호를 전송하는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었다. 1830년대부터 개발된 전신선은 전신주에 지지된 가공선을 통해 여러 전신국을 연결하여 텍스트 메시지를 주고받는 시스템이었다.[23]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 전신국의 운영자는 전신 키를 두드려 모스 부호로 된 전기 펄스를 생성했다. 수신국에서는 이 펄스가 전신 사운더를 작동시켜 "클릭" 소리를 냈고, 모스 부호를 아는 운영자가 이를 텍스트로 변환했다.[24] 접지는 전신 회로의 전류 반환 경로로 사용되었다.[24]1860년대까지 전신은 상업, 외교, 군사 메시지를 보내는 표준 방법이었고, 해저 전신 케이블을 통해 대양을 건너 메시지를 보낼 수 있게 되었다.[25] 그러나 전신선 설치 및 유지 비용이 비쌌고, 해상 선박 등에는 도달할 수 없었다. 발명가들은 무선 전신이 통신에 혁명을 일으킬 수 있다고 인식했다.
1887년 전파 발견 이전, 물, 땅, 공기를 통한 전류 전송 등 다양한 무선 전기 신호 방식이 연구되었다. 1837년 독일 뮌헨의 카를 아우구스트 폰 슈타인하일은 전신선의 한쪽 전선을 제거하고 접지를 통해 통신이 가능함을 발견했다. 새뮤얼 모스와 는 강물을 통한 전류 전송 실험을 했다. 린지는 1854년 8월에 거리에서 을 넘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음을 보였다[60]。

미국의 발명가 (1871년)와 (1872년)는 대기층을 이용한 전도 시스템을 개발했다.[61][62] 그들은 대기의 전류를 사용하고, 복로는 "지구 전류(Earth currents)"를 사용하여 무선 전신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전신에 전력을 공급하여, 전원의 준비가 불필요하게 된다고 생각했다[63][64]。1879년, 는 자기 전기 전화로, 보다 실용적인 전도를 이용한 무선 전송의 데먼스트레이션을 행했다. 이것은 접지 전도를 사용해 4분의 1마일 거리를 전송했다[65]。
1890년대의 발명가 니콜라 테슬라는 공기와 땅으로 전도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착수했고, 이것을 전신에도 응용할 계획이었다. 1901년에는 워든클리프 타워를 건설했지만, 자금 지원 중단으로 운용되지 못했다.[69][65]

정전 유도와 전자기 유도를 이용한 무선 전신 시스템도 개발되었다. 토머스 에디슨은 1880년대 중반 "그래스호퍼 전신"이라 불리는 전자기 유도 시스템 특허를 취득했다.[70] 이 시스템은 열차와 전신선 사이의 짧은 거리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방식이었으나, 경제적으로는 성공하지 못했다. 1888년의 대폭설 당시 열차 조난 통신에 사용되기도 했다.[71] 에디슨은 정전 유도를 이용한 선박-육상 통신 시스템 특허도 취득했다.[72]
영국의 (GPO)의 는 전자기 유도식 전신 시스템 개발에 성공했다. 1892년 브리스틀 해협을 횡단하는 약 간격으로 전신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송수신 양측에 긴 안테나선이 필요하여 실용적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땅의 전도성을 사용한 전신 통신, 물을 통한 통신, 전자기/정전 유도 방식은 모두 전송 거리가 짧아 실용화에 실패했다.
3. 3. 발전과 응용
무선통신은 통신 역사에 혁명을 가져왔다.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해져 배와 비행기 간의 통신, 그리고 멀리 떨어진 곳과의 통신이 케이블 없이 가능해졌다.
국제 무선 전신 연합은 1906년 제1차 국제 무선 전신 회의에서 비공식적으로 설립되었으며, 1932년 국제 전기 통신 연합에 합병되었다.[43][79] 미국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면서 개인 무선 전신국이 금지되었고, 이는 이 분야의 여러 선구자들의 작업을 종식시켰다.[44]
1920년대에는 상업 및 정부 무선 전신국이 전 세계적으로 네트워크를 이루었으며, 상업적 목적과 여객 메시지 전송을 위해 선박에서 무선 전신을 광범위하게 사용했다.[9] 무선 전화는 1920년대에 많은 응용 분야에서 무선 전신을 대체하기 시작하여, 라디오 방송을 가능하게 했다.[45] 무선 전신은 전보 및 외교 통신과 같은 개인 간의 사업, 정부 및 군사 통신에 계속 사용되었으며, 무선 텔레타이프 네트워크로 발전했다.[46]
무선 전신의 궁극적인 구현은 1930년대에 개발되어 여러 해 동안 많은 원거리 국가 간의 유일한 신뢰할 수 있는 통신 수단이었던 무선 신호를 사용하는 텔렉스였다.[47] 가장 진보된 표준인 CCITT R.44는 단파 전송을 통해 메시지의 라우팅과 인코딩을 자동화했다.[48]
오늘날, 보다 현대적인 텍스트 전송 방법으로 인해, 상업적 목적으로 모스 부호 무선 전신은 구식이 되었다. 선박에서는 컴퓨터 및 위성 연결 GMDSS 시스템이 통신 수단으로 모스 부호를 대체했다.[49][50]
4. 한국에서의 무선 전신
4. 1. 대한제국 시기
4. 2. 일제강점기
4. 3. 광복 이후
5. 현대의 무선 전신
국제 무선 전신 연합은 1906년 제1차 국제 무선 전신 회의에서 비공식적으로 설립되었으며, 1932년 국제 전기 통신 연합에 합병되었다.[43] 미국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면서, 개인 무선 전신국이 금지되었고, 이는 이 분야의 여러 선구자들의 작업을 종식시켰다.[44] 1920년대에 이르러, 상업 및 정부 무선 전신국이 전 세계적으로 네트워크를 이루었으며, 상업적 목적과 여객 메시지 전송을 위해 선박에서 무선 전신을 광범위하게 사용했다.[9] 음성 전송(무선 전화)은 1920년대에 많은 응용 분야에서 무선 전신을 대체하기 시작하여, 라디오 방송을 가능하게 했다.[45] 무선 전신은 전보 및 외교 통신과 같은 개인 간의 사업, 정부 및 군사 통신에 계속 사용되었으며, 무선 텔레타이프 네트워크로 발전했다.[46] 무선 전신의 궁극적인 구현은 1930년대에 개발되어 여러 해 동안 많은 원거리 국가 간의 유일한 신뢰할 수 있는 통신 수단이었던 무선 신호를 사용하는 텔렉스였다.[47] 가장 진보된 표준인 CCITT R.44는 단파 전송을 통해 메시지의 라우팅과 인코딩을 자동화했다.[48]
오늘날, 보다 현대적인 텍스트 전송 방법으로 인해, 상업적 목적으로 모스 부호 무선 전신은 구식이 되었다. 선박에서는 컴퓨터 및 위성 연결 GMDSS 시스템이 통신 수단으로 모스 부호를 대체했다.[49][50]
몰스 부호를 사용한 통신은, 현재에서는 전 무선국 공통 비상 호출(4630 kHz), 위성 비상용 위치 지시 무선 표지, 아마추어 무선, 표준 전파 (일본 제외), 전파 전파 시험용, 조류 정보, 신문 사업용 무선, 방재 행정용 무선, 선박 무선, 어업 무선, 라디오 부이, 기상 방송, 기상청기상용 단파대 고정 회선, 해상 무선 표지국, 항공 무선 표지국, 무지향성 무선 표지 시설, 컴퍼스 로케이터, ILS, 해상 보안청, 경찰청경찰용 단파대 고정 회선, 국제 형사 기구, 자위대, 미국 해군, 미국 해안 경비대 등에서 사용될 뿐이 되었다.
또한, 2003년의 세계 무선 통신 회의에서는, 아마추어 무선 기사의 몰스 통신 능력을 비의무화했기 때문에, 자격 심사 시에 전신의 송수신 실기 시험을 폐지하는 움직임이 각국에서 나오고 있다.
5. 1. 아마추어 무선
전 세계 아마추어 무선사들은 여전히 모스 부호를 이용한 무선 전신(CW) 통신을 즐기고 있다. 2003년 세계 무선 통신 회의에서는 아마추어 무선 기사의 모스 통신 능력을 비의무화하여, 각국에서 자격 심사 시 전신 송수신 실기 시험을 폐지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5. 2. 비상 통신
몰스 부호를 사용한 통신은 아마추어 무선, 표준 전파(일본 제외), 전파 전파 시험용, 조류 정보, 신문 사업용 무선, 방재 행정용 무선, 선박 무선, 어업 무선, 라디오 부이, 기상 방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특히, 전 무선국 공통 비상 호출(4630 kHz), 위성 비상용 위치 지시 무선 표지를 통해 재난 발생 시 긴급 통신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기상청기상용 단파대 고정 회선, 해상 무선 표지국, 항공 무선 표지국, 무지향성 무선 표지 시설, 컴퍼스 로케이터, ILS, 해상 보안청, 경찰청경찰용 단파대 고정 회선, 국제 형사 기구, 자위대, 미국 해군, 미국 해안 경비대 등에서도 사용된다.5. 3. 항공 및 해상
몰스 부호를 사용한 통신은 현재 전 무선국 공통 비상 호출(4630 kHz), 위성 비상용 위치 지시 무선 표지 등에 사용되고 있다. 해상 무선 표지국, 항공 무선 표지국, 무지향성 무선 표지 시설, 컴퍼스 로케이터, ILS 등에서도 사용된다.5. 4. 군사 통신
일부 군에서는 신호병에게 비상 통신을 위해 모스 부호 교육을 실시한다. 전자전 환경에서 전파 방해에 강한 통신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자위대, 미국 해군, 미국 해안 경비대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6. 규제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은 연속파(CW) 무선 전신을 A1A 형식의 방사로 규제한다.[36] 전파 형식은 주 반송파의 변조 방식(알파벳), 주 반송파를 변조하는 신호의 성질(숫자), 전송 정보(알파벳)의 세 글자로 구성되며, 무선 전신은 세 번째 글자가 "A" 또는 "B"이다.
A1A는 전파(CW)를 단속하여 모스 부호를 송신하며, 점유 주파수 대역폭이 500Hz 정도로 좁아 SN비가 높다. 따라서 장거리 무선 통신이나 월면 반사 통신에도 사용된다.[36] A2A, F2A는 가청 톤 신호로 모스 부호를 송신하고, F1B, A2B, F2B는 텔레타이프 단말기나 컴퓨터를 사용한 기계 전신(인쇄 전신)이다.
미국 연방 통신 위원회는 평생 유효한 상업용 무선 전신 기사 면허를 발급한다. 이 면허를 받으려면 규정 및 기술 필기 시험을 통과하고, 분당 20단어의 평문 및 분당 16단어의 코드 그룹으로 모스 부호를 수신할 수 있음을 증명해야 한다.[51]
7. 사회문화적 영향
7. 1. 언론과 통신
7. 2. 경제와 무역
7. 3. 외교와 국제 관계
참조
[1]
서적
Hawkins' Electrical Dictionary: A cyclopedia of words, terms, phrases and data used in the electric arts, trades and sciences
https://books.google[...]
Theodore Audel and Co.
1910
[2]
서적
Merriam-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 11th Ed.
https://archive.org/[...]
Merriam-Webster Co.
2004
[3]
서적
American Telegraphy and Encyclopedia of the Telegraph: Systems, Apparatus, Operation
https://archive.org/[...]
Maver Publishing Co.
1903
[4]
서적
Special Reports: Telephones and Telegraphs 1902
https://books.google[...]
U.S. Bureau of the Census
1906
[5]
서적
25th European Microwave Conference, 1995
[6]
웹사이트
Technology You Didn't Know Still Existed: The Telegram
http://www.atlasobsc[...]
2015-06-02
[7]
웹사이트
Zimmermann Telegram {{!}} Facts, Text, & Outcom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4-12
[8]
웹사이트
Section 2.201: Emission, modulation, and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footnote (f)
https://www.gpo.gov/[...]
US Government Publishing Office website
2018-03-16
[9]
서적
Contact at Sea: A History of Maritime Radio Communications
https://books.google[...]
The Gregg Press
1967
[10]
서적
The History of Communications - Electronics in the U.S. Navy
https://archive.org/[...]
U.S. Navy
1963
[11]
서적
Electrical, Electronics and Computer Engineering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https://books.google[...]
New Age International
2007
[12]
서적
Basic Radio: Principles and Technology
https://books.google[...]
Newnes
1998
[13]
서적
Basic Electronics
https://books.google[...]
Technical Publications
2009
[14]
웹사이트
Maritime Morse Is Tapped Out
https://www.wired.co[...]
Wired website
2021-11-19
[15]
웹사이트
Why the Navy Sees Morse Code as the Future of Communication
https://www.engineer[...]
Engineering. com website
2021-11-19
[16]
Youtube
Morse code training in the Air Force
http://swling.com/bl[...]
[17]
문서
Coast Station KSM
http://www.radiomari[...]
[18]
웹사이트
Club Log activity report – 2021 update {{!}} G7VJR's Blog
https://g7vjr.org/20[...]
2021-03-27
[19]
웹사이트
ARRL Letter, FT8 Accounts for Nearly Two-Thirds of HF Activity
http://www.arrl.org/[...]
2021-04-01
[20]
웹사이트
CEPT Radio Amateur Licence Recommendation T/R 61-01
https://docdb.cept.o[...]
2020-10-23
[21]
웹사이트
Amateur Station Licence Guidelines
https://www.comreg.i[...]
2018-04-16
[22]
웹사이트
Услови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ыделенных полос радиочастот
https://grfc.ru/uplo[...]
2015-10-16
[23]
웹사이트
1830s – 1860s: Telegraph {{!}} Imagining the Internet {{!}} Elon University
https://www.elon.edu[...]
2024-05-22
[24]
웹사이트
Morse Telegraph – 1844 - Magnet Academy
https://nationalmagl[...]
2024-05-22
[25]
웹사이트
History of the Atlantic Cable & Submarine Telegraphy - Frank Leslie's Illustrated Newspaper 1858 Cable News
https://atlantic-cab[...]
2024-05-22
[26]
웹사이트
Heinrich Hertz and electromagnetic radiation
https://www.aaas.org[...]
2012-10-12
[27]
서적
Icons of Invention: The Makers of the Modern World from Gutenberg to Gates
https://books.google[...]
ABC-CLIO
[28]
서적
Ingenious Ireland: A County-by-County Exploration of the Mysteries and Marvels of the Ingenious Irish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03
[29]
서적
Icons of the invention: the makers of the modern world from Gutenberg to Gat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1-07-08
[30]
간행물
The Electric Telegraph: A Social and Economic History
David and Charles
1973
[31]
웹사이트
Marconi at Mizen Head Visitor Centre Ireland Visitor Attractions
http://www.mizenhead[...]
Mizenhead.net
2012-04-15
[32]
문서
earlyradiohistory.us, United States Early Radio History, Thomas H. White, section 22, Word Origins-Radio
https://earlyradiohi[...]
[33]
웹사이트
Spark Transmitter Basics
http://home.freeuk.n[...]
2024-05-21
[34]
서적
Ultra-wideband Radio Technology
https://books.google[...]
Wiley
2004-06-07
[35]
웹사이트
continuous wave
https://encyclopedia[...]
2024-05-21
[36]
웹사이트
Emissions Designator A1A
https://fccid.io/Emi[...]
2024-05-21
[37]
서적
Transactions of the International Electrical Congress, St. Louis, 1904
J.B. Lyon Company
[38]
웹사이트
Milestones:Alexanderson Radio Alternator, 1904
https://ethw.org/Mil[...]
2024-05-23
[39]
웹사이트
Carrier wave with no modulation transports no information.
http://www.utexas.ed[...]
University of Texas
[40]
간행물
Heterodyne receiver
https://www.antiquew[...]
The Antique Wireless Association, Inc.
2009
[41]
웹사이트
Superheterodyne reception {{!}} Radio waves, Frequency, Amplification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5-23
[42]
웹사이트
Beat Frequency Oscillator- Principle and Applications
https://www.wellpcb.[...]
2024-05-21
[43]
웹사이트
ICAO and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https://www.icao.int[...]
[44]
웹사이트
13. Radio During World War One (1914-1919)
https://earlyradiohi[...]
2024-05-21
[45]
웹사이트
Broadcasting {{!}} Definition, History, Types, Systems, Examples,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5-23
[46]
간행물
Typing in Airplane Received by Radio
https://timesmachine[...]
1922-08-10
[47]
웹사이트
BT Museum Memorial Pages - Telegraphy 2
http://www.samhallas[...]
2024-05-23
[48]
웹사이트
Requirements for Telex and Gentex operation to be met by synchronous multiplex equipment described in recommendation R.44
https://www.itu.int/[...]
1968
[49]
웹사이트
Radiocommunications
https://www.imo.org/[...]
[50]
웹사이트
Introduction/History
https://www.imo.org/[...]
[51]
문서
Title 47 –Telecommunication Chapter I –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Subchapter A – General Part 13 – Commercial Radio Operators
http://www.ecfr.gov/[...]
[52]
서적
Hawkins' Electrical Dictionary: A cyclopedia of words, terms, phrases and data used in the electric arts, trades and sciences
https://books.google[...]
Theodore Audel and Co.
1910
[53]
서적
Merriam-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 11th Ed.
https://books.google[...]
Mirriam-Webster Co.
2004
[54]
서적
American Telegraphy and Encyclopedia of the Telegraph: Systems, Apparatus, Operation
https://books.google[...]
Maver Publishing Co.
1903
[55]
서적
Special Reports: Telephones and Telegraphs 1902
https://books.google[...]
U.S. Bureau of the Census
1906
[56]
문서
無電(むでん)の意味 - goo国語辞書
https://dictionary.g[...]
[57]
문서
Morse code training in the Air Force
http://swling.com/bl[...]
[58]
문서
Coast Station KSM
http://www.radiomari[...]
[59]
문서
TITLE 47—Telecommunication CHAPTER I—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SUBCHAPTER A—GENERAL PART 13—COMMERCIAL RADIO OPERATORS
http://www.ecfr.gov/[...]
[60]
문서
A History of Wireless Telegraphy, 1838–1899
1899
[61]
서적
The Truth About Tesla: The Myth of the Lone Genius in the History of Innovation
Race Point Publishing
2015
[62]
서적
Wireless Personal Communications: Trends and Challenge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
[63]
서적
The Truth About Tesla: The Myth of the Lone Genius in the History of Innovation
Race Point Publishing
2015
[64]
문서
THOMAS H. WHITE, section 21, MAHLON LOOMIS
https://earlyradiohi[...]
[65]
서적
The Truth About Tesla: The Myth of the Lone Genius in the History of Innovation
Race Point Publishing
2015
[66]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 Volume 78 - Page 87
[67]
서적
Tesla: Inventor of the Electrical 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3
[68]
서적
Wizard: The Life and Times of Nikola Tesla: Biography of a Genius
Citadel Press
1996
[69]
서적
Tesla: Inventor of the Electrical 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3
[70]
특허
Means for Transmitting Signals Electrically, US 465971 A
1891
[71]
뉴스
Defied the storm's worst-communication always kept up by 'train telegraphy,'
New York Times
1888-03-17
[72]
서적
Encyclopedia of Radio 3-Volume Set
Routledge
2004
[73]
서적
The Electric Telegraph: A Social and Economic History
David and Charles
1973
[74]
서적
Icons of Invention: The Makers of the Modern World from Gutenberg to Gates
https://books.google[...]
ABC-CLIO
[75]
서적
Ingenious Ireland: A County-by-County Exploration of the Mysteries and Marvels of the Ingenious Irish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03
[76]
서적
Icons of invention: the makers of the modern world from Gutenberg to Gat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1-07-08
[77]
웹사이트
Marconi at Mizen Head Visitor Centre Ireland Visitor Attractions
http://www.mizenhead[...]
Mizenhead.net
2012-04-15
[78]
웹사이트
UNITED STATES EARLY RADIO HISTORY, THOMAS H. WHITE, section 22, Word Origins-Radio
https://earlyradiohi[...]
earlyradiohistory.us
[79]
웹사이트
ICAO and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https://www.icao.int[...]
ICAO official websi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