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양서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무양서원(武陽書院)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동에 있는 서원으로, 1927년 탐진 최씨 문중이 전국 유림의 호응을 얻어 세웠습니다. 1984년 2월 29일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무양서원은 고려 인종 때 어의(御醫)이자 명신이었던 장경공 최사전(崔思全)을 주벽으로, 그의 후손인 손암 최윤덕(崔允德), 금남 최부(崔溥), 문절공 유희춘(柳希春), 충열공 나덕헌(羅德憲) 등 5인을 배향하고 있습니다.


  • 최사전: 고려 인종 때 의술로써 벼슬에 나아가 왕의 총애를 받아 높은 벼슬에 오른 인물입니다. 탐진 최씨의 시조입니다.
  • 최윤덕: 고려 말에 영도첨의사(領都僉議事)를 지냈습니다.
  • 최부: 조선 성종 때 활동한 인물로, 중국에서 한양까지 표류하면서 겪은 일을 기록한 『표해록(漂海錄)』을 저술했습니다.
  • 유희춘: 최부의 외손자로, 호남 지방의 학풍 조성에 기여한 인물입니다. 『미암일기(眉巖日記)』를 썼습니다.
  • 나덕헌: 이괄의 난 때 공을 세우고, 여러 관직을 역임한 인물입니다.


서원의 명칭은 광주의 옛 이름인 '무진의 볕'을 의미하는 '무진지양(武珍之陽)'에서 따왔습니다. 강당인 이택당(以澤堂)을 중심으로 좌우에 합의문(合義門)과 합인문(合仁門)이 있고, 문 안 오른쪽에는 동재인 성지재(誠之齋), 왼쪽에는 서재인 낙호재(樂乎齋)가 있습니다. 그 위로 내삼문인 삼오문(三五門)을 지나면 무양사(武陽祠)가 있습니다.

무양서원은 제사 기능 외에도 교육 기능을 담당했는데, 탐진 최씨 문중은 1945년 광산구 쌍암동에 무양중학교(현 비아고등학교)를 설립하여 교육기관의 역할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매년 음력 9월 6일에 제향을 지내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무양서원에서 왕실 어의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무양서원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무양서원
로마자 표기Muyang Seowon
한자 표기武陽書院
문화재 정보
국가대한민국
위치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동 510번지
유형문화재자료
지정 번호3
지정일1984년 2월 29일
해제일1987년 12월 31일
시대일제강점기
수량일곽
문화재청 ID31,00030000,24
문화재청 ID31,00080000,3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