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정 (상나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정은 상나라의 21대 또는 22대 왕으로, 상나라를 부흥시킨 명군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즉위 후 3년간 정사에 관여하지 않다가, 꿈에서 만난 현인 부열을 등용하여 정치를 개혁하고 군사적 업적을 쌓았다. 무정은 귀방 등 이민족을 정벌하고 상나라의 세력을 확장했으며, 왕비 부호가 군사령관으로 활약하는 등 여성의 역할이 증대되었다. 갑골문을 통해 당시 사회, 문화, 종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그의 통치 시기는 기원전 13세기경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3세기 중국 사람 - 반경
    반경은 상나라의 19대 왕으로, 황하 남쪽 박으로 천도하여 은나라의 기세를 부흥시켰다.
  • 기원전 12세기 사망 - 람세스 3세
    람세스 3세는 기원전 1186년부터 1155년까지 이집트를 통치한 제20왕조의 파라오로, 해양 민족과 리비아인의 침입을 막아 이집트의 안정을 유지했지만 통치 말기 경제적 어려움과 암살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으며, 메디넷 하부 신전 등의 건축 사업을 통해 업적을 기념했다.
  • 기원전 12세기 사망 - 수필룰리우마 2세
    수필룰리우마 2세는 기원전 1207년경 히타이트 대왕이 되어 왕실 내부의 불충을 다스리고 군사 활동을 벌였으며, 해양 민족의 침략에 맞서 싸우다 히타이트 제국 멸망 시기에 마지막 대왕으로 여겨진다.
무정 (상나라)
기본 정보
이름무정 (武丁)
전체 이름가족 이름: 자 (子)
개인 이름: 조 (昭)
삼재도회에 따른 상나라 무정의 초상
재위기원전 13세기 후반
섭정감반
부열
배우자부정
부호
약 60명의 다른 첩
사후 칭호고종 (高宗)
자녀조기
조경
조갑
소신도
출생기원전 13세기 전반
사망기원전 1200년경
사망 장소
종교상나라 국가 종교
아버지소을
통치
왕조상나라
계승 순서상나라의 왕
이전소을
이후조경
추가 정보
시대상나라

2. 생애

무정은 태자 시절 현인 감반에게 학문을 배웠다. 반경 이후 쇠퇴한 을 부흥시키고자 했으나, 보좌할 인물이 없어 즉위 후 3년 동안 정치에 직접 관여하지 않았다. 어느 날 밤, 꿈에서 성인(聖人) 열(說)을 보았지만, 신하들 중에는 그런 인물이 없었다. 각지에 사람을 보내 열을 찾게 한 결과, 길을 만드는 노역자 중에서 그를 발견했다. 무정은 그와 이야기를 나누어 성인임을 확신하고 부(傅)씨 성을 하사하여 부열이라 불렀다. 이후 부열의 보좌를 받아 상나라는 다시 부흥하게 되었다.[14]

사마천사기에는 상 왕조의 22대 왕으로, 은허에서 발굴된 갑골문에는 21대 상 왕으로 기록되어 있다.[10][11]

河|하중국어 (황하)

2. 1. 군사적 업적

무정은 귀방(鬼方) 등 이민족을 정벌하고 상나라의 세력을 사방으로 확대했다.[20] 3년에 걸친 전투 끝에 귀방을 정복하고[10][11], 대붕(大彭)과 시위(豕韋)를 공격하여 영토를 왕국에 병합했다.[21]

무정의 왕비 부호는 제사장이자 군사령관으로서 직접 군대를 지휘하여 이민족 정벌에 참여했다.[10][11] 부호의 군대는 13,000명이 넘는 병력에 달했으며, 상나라가 많은 적대 부족을 정복하고 영토를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

상나라 군대는 마오(矛) 창, 위에(鉞) 자루 도끼, 거(戈) 자루 단도 도끼, 복합 활을 포함한 뼈와 청동 무기를 사용했다.[18] 병사들은 청동 및 가죽 헬멧과 같은 방어 장비도 소지했다.[19] 무정 시대에는 수레가 등장하여 군사력 강화에 기여했다.

무정 시대의 갑골문에는 부족 및 족장과의 불안정한 관계가 광범위하게 언급되어 있다.[20] 특히, 귀방(鬼方)은 상나라 북서쪽에 위치한 족장으로, 때때로 중앙 지역에 "적대적"인 것으로 해석되었다.[20] ''죽서기년''에 따르면 무정 재위 32년(BC 1200년경)에 군대를 파견하여 귀방을 정벌했다.

대붕(大彭)국은 기원전 14세기 초부터 상 왕조의 봉신이었으나,[21] 무정 시대에 상 왕에 의해 유지되는 종주권에 대해 적대감을 보이기 시작했다. 재위 43년(BC 1200년경)에 무정은 대붕을 공격하여 영토를 왕국에 병합했고, 7년 후 시위(豕韋)를 정복했다.

무정 재위 기간 동안 서부 지역에는 주나라의 전신인 희(姬)씨가 거주했다. 이들은 상나라와 느슨한 관계를 유지했지만, 무정은 주나라 영토를 순방하거나 사냥하러 방문한 적이 없었다. 전주 시대는 무정의 어떠한 확장 계획에도 참여하지 않았으며, 조정에 불만을 나타내지도 않았다.

무정의 남방 원정에는 한수 유역과 회수 유역 사이에 위치한 형만(荊蠻) 부족인 호방(虎方)과의 충돌이 포함된다.[22] 그의 재위 기간 동안 장군 왕승(望乘)은 호방과 교전하기 위해 군대를 지휘하라는 명령을 받았고, 호방 부족은 별다른 저항 없이 항복했다.

은허에서 발굴된 상나라의 인신 제사의 약 75%는 무정의 재위 기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는 그의 큰 군사적 성공을 보여준다.

2. 2. 갑골문

무정 시대의 점술 비문이 새겨진 거북 배딱지


중국 문자 체계의 초기 형태인 갑골문(甲骨文|jiaguwen중국어)은 거북 배딱지나 소 어깨뼈에서 발견되었으며, 은허에 있는 왕실 무덤에서 발굴되었다.[26] 무정은 상나라의 수도에서 통치한 가장 초기의 군주였다. 갑골문의 내용은 전쟁, 인신공희, 국가 경제에 대한 점술 질문이었다. 이 문자들은 현대 중국 문자의 거의 모든 원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는 이전의 발전 기간이 있었음을 시사한다.[26] 상나라의 또 다른 주요 문자 형태인 청동 비문(jinwen)도 갑골문과 같은 시기에 사용되었다. 상나라의 청동 비문은 갑골문에 비해 사용 범위가 좁았으며, 특히 무정 통치 시대에는 의식용 그릇에 몇 글자만 주조되었다. 청동 비문은 종종 존경받는 개인의 성과 이름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었다.[27]

2. 3. 기타

아들로 조기, 조경, 조갑이 있었는데, 복사(卜辞)에서는 이들이 순서대로 즉위했다고 했으나, 《사기》 등의 문헌에는 조기는 즉위하지 않았다고 하였다.[35] 천자문의 70번째 문장에 '열감무정'(說感武丁)이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는 부열이 무정을 감화시켰다는 뜻이다.

3. 기록

사기에는 상나라의 22대 왕으로, 은허에서 발굴된 갑골문에는 21대 왕으로 기록되어 있다.[10][11] 그의 통치 시기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으나, 기원전 13세기경으로 추정된다. 전통적인 연대기에 따르면 기원전 1324년부터 1266년까지 통치했으나,[2] 이는 주 문왕천명 달력에 대한 오해로 인한 잘못된 계산으로 밝혀졌다.[3][4]

사마천사기 기록에 따르면 그의 재위는 정미년(丁未)에 시작되었는데, 이는 간지력의 60년 주기 반복에 따라 기원전 1333년 또는 기원전 1273년일 수 있다. 《고본 죽서기년》은 무정의 재위 기간을 기원전 1273년에서 1213년으로 제시한다. 《고대 중국의 케임브리지 역사》는 달의 일식 기록을 바탕으로 그의 재위 종료일을 기원전 1189년으로 제시한다.

중국 정부가 후원한 하상주 단대공정 초안 발표(2000)에서는 그의 재위 기간을 기원전 1250년에서 1192년으로 제시했다.[5] 그의 재위 기간에 이루어진 26개의 점복 갑골문 비문의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는 기원전 1254~1197년 ±10년으로 나타났다.[6]

죽서기년에 따르면, 그의 재위 25년에 그의 아들 조기(祖己중국어)가 유배된 후 외딴 지역에서 사망했다. 그는 모든 자료에 따르면 재위 59년에 사망했는데, 그의 사망 연도는 기원전 1197년부터 기원전 1180년까지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연도는 기원전 1192년이다. 그의 정확한 사망 연도를 찾기 위해 천문 기록을 사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었다. 무정 시대의 갑골문에는 월식에 대한 언급이 있는데, 기원전 1199년부터 기원전 1180년까지의 월식은 일반적으로 그의 죽음과 관련이 있다. 데이비드 케이틀리는 월식을 기록한 네 개의 갑골문을 연구하여 다양한 사망 연도를 제시했고, 데이비드 니비슨은 케이틀리의 결과를 사용하여 기원전 1180년 사망 가능성을 배제하고 무정이 기원전 1189년에 사망했다고 결론지었다.

태자 시절에는 현인 감반에게 학문을 배웠다. 무정은 반경 이후 쇠퇴한 상을 부흥시키려 했으나, 보좌할 사람이 없어 즉위 후 3년 동안 정치에 관여하지 않았다. 어느 날 밤, 설(說)이라는 성인을 꿈에서 보았고, 신하들 중에는 그런 인물이 없어 사람을 보내 찾게 하였다. 길을 만드는 노역자 중에 이 인물이 있었고, 무정이 이야기를 해보니 성인이었기에 부(傅)라는 성을 내리고 부열이라 불렀다. 부열의 보좌로 상나라는 다시 부흥했다.

4. 여성의 역할

무정(武丁)이 즉위했을 당시 상(商)나라 여성들은 이후 중국 문화권보다 더 큰 공식 권한을 행사했다. 이는 상나라가 유교의 영향을 받지 않았기 때문이다(상속은 남성을 선호했지만). 상 왕조에서 가장 두드러진 여성들은 대부분 무정 시대에 살았으며, 주로 왕과의 결혼을 통해 권력을 얻었다. 무정의 왕비들은 전쟁과 점술에 참여하고, 농업 경제 관리에 참여했으며, 상나라의 최고신인 ''상제(上帝)''를 숭배했다.

부호는 왕비이자 갑골문에 기록된 유명한 군 사령관이었다. 그녀는 전쟁에 능숙했고 남편의 신임을 받아 장군으로 임명되었다. 부호는 상나라 서쪽의 여러 세력에 맞서 다양한 원정을 수행했다. 절정기에 부호의 군대는 13,000명이 넘는 병력에 달했으며, 그녀 자신과 부하 장군들이 지휘했다. 이 군대는 상 왕조가 많은 적대 부족을 정복하고 영토를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

부호는 무정(武丁)을 대신하여 군대를 양성하고 지휘했지만, 제후와 같은 독립적인 군대나 권력 기반을 갖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무정이 가장 총애하는 비였으며, 그의 많은 부인들 중 가장 자주 언급되었다. 부호의 군사 작전은 점술적 문의에 의해 결정되었으며, 이는 그녀의 군대 동원을 결정했다. 예를 들어, 한 점복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정(程)이 점을 쳤다: '부호는 지(Zhi)의 궈(Guo)를 따라 적을 공격해야 한다. 왕은 부호가 갈 동쪽에서 중루(Zhonglu)를 공격할 것이다.'" 또 다른 기록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왕은 부호에게 궈를 따르도록 명령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우리는 충분한 지원을 받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전쟁과 더불어, 그녀는 제사장으로서 종교적 역할도 수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녀는 무정의 점술가들과 함께 의식, 제사, 점술에 참여할 수 있었다. 그녀는 인신 제사에 참여했는데, 죽은 사람들은 종종 그녀가 전쟁 후 포로로 잡은 적들이었다. 일부 갑골문에는 조상 제사를 위해 포로로 잡힌 적들의 처형을 조직하는 그녀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29][30] 제사장으로서 그녀는 상나라에서 완전한 문해력을 가진 몇 안 되는 여성 중 한 명이었다. 많은 갑골문 단락에서 그녀는 점술가로 등장한다.[31]

상나라 무기, 유물 및 제물이 있는 부호 여왕의 무덤
기원전 1200년경에 지어진 부호의 무덤에 있는 매장 구덩이.


부호가 사망했을 때(기원전 1200년경), 무정은 그녀를 위해 에 부호의 무덤을 건설했다. 무덤 내부에서 고고학자들은 수많은 상나라 그릇, 거울, 청동 유물, 무기(아마도 전쟁에 대한 그녀의 공헌을 기리기 위해), 그리고 16명의 인간과 6마리의 개의 제물 유해를 발견했다. 이 무덤은 방의 크기로 지어졌으며, 이는 여왕의 중요성을 나타내고 무정이 그녀에게 보인 호의를 보여준다. 부호의 시신은 옻칠된 관에 묻힌 것으로 보이지만, 오랫동안 썩어 없어졌다. 무덤 위에는 기념 의식을 거행하기 위한 구조물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31] 사후에, 그녀는 다음 세대 왕들에 의해 묘호인 목신(母辛)을 받았고, 그 후에는 비신(妣辛)을 받았다. 그녀는 상나라 후기 의식 주기에서 제사를 받은 무정의 세 부인 중 한 명이었다.

무정의 또 다른 부인인 부징(갑골문에서는 "비무"妣戊중국어로 언급됨)은 농업 생산을 감독했을 가능성이 높은데, 이는 그녀가 가장 자주 점복에 관해 질문한 주제였기 때문이다. 그녀는 또한 에서 왕실의 장례를 치렀으며 260호 묘에 안장되었다. 불행히도 묘는 도굴꾼에 의해 도굴된 것으로 밝혀졌다.[32][33] 갑골문의 증거에 따르면 최소 60명 이상의 여성(무정의 배우자)이 군사적 업적을 통해 궁정에 기여했다.[34]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결혼은 정치적인 목적만을 위한 것으로 보였고, 부징과 부호가 그들 중 가장 활발한 여성들이었으며 가장 많이 기록되었다. 무정의 딸인 자타오 공주(子妥)도 비슷한 특권을 받았다. 그녀의 아버지는 그녀를 귀족으로 봉했고, 그녀는 자신의 봉토의 지방 영주로서 중앙 정부에 정기적으로 조공을 바쳤다. 그녀는 추가적으로 신하의 지위인 ''소신''(小臣) ("겸손한 종"; 따라서 그녀의 다른 이름은 "소신 타오")으로 승진하여 궁정 회의 및 정치적 활동에 참여할 수 있었다. 그녀의 참정권 부여는 자세히 설명되어 있지 않지만 상나라의 여성 존중을 증명한다.

5. 평가

무정은 상나라를 부흥시키고 전성기를 이끈 명군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현인 감반에게 학문을 배웠으며, 꿈에서 만난 성인 부열을 등용하여 국정을 쇄신했다. 부열의 보좌를 통해 상나라는 다시 부흥할 수 있었다.[1]

무정은 귀방을 정벌하고, 왕비 부호의 활약으로 주변 이민족을 정벌하여 상나라의 안정을 가져왔다. 이러한 군사적 업적은 상나라의 세력을 크게 확장시켰다.[1]

또한 무정의 무덤에서는 갑골문이 발견되어 당시의 사회와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1]

후대 사람들은 무정을 상나라의 가장 위대한 왕 중 한 명으로 널리 여겼으며, 육십갑자에 따라 무정이라는 이름을 받았다. 그는 묘호 고종과 시호 상왕으로 불렸으며, 상나라의 판테온에서 신격화된 존재가 되어 많은 제물을 받았다.[1]

무정의 통치는 백성을 위한 정치와 능력 위주의 인재 등용이라는 긍정적인 측면을 보여준다. 꿈에서 얻은 계시를 통해 인재를 등용하고, 신분 고하를 막론하고 능력 있는 인물을 발탁한 점은 주목할 만하다. 하지만 정복 전쟁으로 인해 백성들이 겪었을 고통은 부정적인 측면으로 지적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무정은 강력한 리더십과 개혁적인 정책으로 상나라의 번영을 이끌었지만, 전쟁으로 인한 백성들의 희생은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6. 대중문화

미야기야 마사미츠의 소설 『침묵의 왕』에서 무정은 언어 장애를 가진 인물로 그려진다. 소설에서 무정은 말을 구하고 설을 만나며, 한자를 만들어낸다.

참조

[1] 서적 An Outline History of China Foreign Language Press
[2] 서적 The Mandate of Heaven: Hidden History in the Book of Change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5-12-14
[3] 간행물 The Dates of Western Chou Harvard-Yenching Institute 1983
[4] 간행물 The ''Bamboo Annals'' Revisited: Problems of Method in Using the Chronicle as a Source for the Chronology of Early Zhou. Part 2: The Congruent Mandate Chronology in ''Yi Zhou Shu''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5] 서적 China in the Early Bronze Age: Shang Civiliz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6] 간행물 Radiocarbon Dating of Oracle Bones of the Late Shang Period in Ancient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0-20
[7] 간행물 Kingship and Inheritance in the State of Wu: Fraternal Succession in Spring and Autumn Period China (771–475 BC) Brill 2004
[8] 서적 Shiji Zhonghua Shuju
[9] 간행물 2012
[10] 웹사이트 The Shang Dynasty Rulers http://chinaknowledg[...] China Knowledge 2018
[11] 웹사이트 Shang Kingship And Shang Kinship http://www.indiana.e[...] Indiana University 2006
[12] 웹사이트 The Legend Of King Wu Ding's Years Long Silence https://thehistorian[...] 2022-05-23
[13] 웹사이트 "War and Sacrifice: The Tomb of Fu Hao" https://www.khanacad[...]
[14] 웹사이트 Fu Yue 傅說 http://www.chinaknow[...]
[15] 간행물 "Que" in oracles and "Fu Shuo" in literature 2017
[16] 문서 Ulrich Theobald 2018
[17] 웹사이트 Shang Period Military http://www.chinaknow[...] 2018
[18] PhD The bronze weapons of the late Shang period https://eprints.soas[...]
[19] 서적 https://archive.org/[...] Sinolingua 1993
[20] 간행물 Chinese Religion in the Shang Dynasty Brill 1961
[21] 간행물 The Art of Xuzhou: A Regional Approach https://lucian.uchic[...] 1990
[22] 웹사이트 Wu Ding 武丁 http://www.chinaknow[...] 2011-12-29
[23] 서적 Ancient Sichuan and the Unification of China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2-01
[24] 웹사이트 Fu Hao – Queen and top general of King Wuding of Shang http://www.colorq.or[...] Color Q World 2007-08-04
[25] 서적 Jiaguwen heji Zhonghua Shuju 1982
[26] 서적 Chinese Writing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00
[27] 웹사이트 Jinwen 金文, bronze vessel inscriptions http://www.chinaknow[...] 2010
[28] 간행물 Historical Perspectives on The Introduction of The Chariot Into China Harvard-Yenching Institute 1988-06
[29] 웹사이트 War and Sacrifice: The Tomb of Fu Hao https://www.khanacad[...]
[30] 웹사이트 Queen, Priestess, General: The Legendary Life of Fu Hao https://www.medieval[...] 2018
[31] 웹사이트 A Visual Sourcebook of Chinese Civilization https://depts.washin[...] University of Washington 2007-08-04
[32] 간행물
[33] 간행물 1993
[34] 서적 Notable Women of China: Shang Dynasty to the Early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35] 문서 Collection of oracle bone inscriptions
[36] 문서 考古学資料からは、武丁以降が都を[[殷墟]]の地に置いたことが裏付けられるが、[[竹書紀年]]には第19代の[[盤庚]]から都を[[殷墟]]の地に置いたとあ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