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함마드 5세 (모로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함마드 5세는 1927년 모로코의 술탄으로 즉위하여 1961년 사망한 모로코의 국왕이다.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모로코의 독립 운동을 주도했으며, 1953년 프랑스에 의해 코르시카로 망명했다가 1955년 귀환하여 술탄으로 복위했다. 1956년 프랑스와의 협상을 통해 모로코의 독립을 이끌었고, 1957년 국왕으로 즉위했다. 그의 유산은 라바트의 대학교, 카사블랑카의 국제공항 등 여러 건물과 시설의 명칭에 반영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로코 술탄 - 아부 알아바스 아흐마드 이븐 무함마드
    아부 알아바스 아흐마드 이븐 무함마드는 와타스 왕조의 모로코 술탄으로,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공략에 맞서 프랑스와 관계를 개선하려 노력했지만, 사드족에게 포로로 잡혔다가 복귀 후 사망했다.
  • 모로코 국왕 - 하산 2세
    알라위 왕조 출신으로 모로코 국왕를 지낸 하산 2세는 프랑스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아버지와 함께 추방되었다가 귀국 후 왕위에 올라 보수적인 통치와 서방과의 협력, 서사하라 병합 등으로 평가받는다.
  • 모로코 국왕 - 무함마드 6세
    무함마드 6세는 1999년부터 모로코 국왕으로 재위하며 빈곤 퇴치, 인권 개선 등의 개혁을 추진하고 헌법 개정을 통해 의회 권한을 강화했으며,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외교 강화와 이스라엘과의 관계 정상화를 이루어낸 주요 사업가이자 은행가이다.
무함마드 5세 (모로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무함마드 5세 (1953년)
칭호아미르 알무민
종교수니 이슬람
왕조알라위 왕조
출생일1909년 8월 10일
출생지페스, 모로코 술탄국
사망일1961년 2월 26일
사망지라바트, 모로코
매장지왕실 묘, 라바트, 모로코
아버지유세프 빈 하산
어머니랄라 야쿠트
배우자랄라 하닐라 빈트 마문
랄라 아블라 빈트 타하르
랄라 바히아 빈트 안타르
자녀랄라 파티마 조흐라
하산 2세
랄라 아이샤
랄라 말리카
물라이 압달라
랄라 누즈하
랄라 아미나
전체 이름무함마드 알카미스 빈 유세프 빈 하산 빈 무함마드 빈 압드 알라흐만 빈 히샴 빈 무함마드 빈 압달라 빈 이스마일 빈 샤리프 빈 알리 알-알라위
통치
술탄 재위 시작1927년 11월 17일
술탄 재위 종료1953년 8월 20일
이전 술탄유세프 빈 하산
다음 술탄무함마드 벤 아라파
술탄 재위 시작1955년 10월 30일
술탄 재위 종료1957년 8월 14일
이전 술탄무함마드 벤 아라파
국왕 즉위1957년 8월 14일
국왕 재위 종료1961년 2월 26일
후임 국왕하산 2세
총리음바레크 베카이
아흐메드 발라프레즈
압달라 이브라힘

2. 생애

모로코의 술탄 유세프 벤 하산의 아들로 태어나, 1927년 11월 17일 부친의 사망 후 술탄으로 즉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모로코 독립 운동을 주도하다가 1953년 8월 20일 프랑스에 의해 폐위되어 코르시카, 마다가스카르 등지로 망명했다. 프랑스의 인도차이나 전쟁 패배 등 정세 변화 속에서 1955년 11월 16일 귀국하여 술탄으로 복위했다.

복위 후 1956년 2월 프랑스스페인과의 협상을 통해 모로코의 독립을 확정지었다. 1957년 8월 14일에는 전통적인 술탄 칭호 대신 국왕(الملكar) 칭호를 채택했다.

1961년 2월 26일 사망했으며, 왕위는 아들 하산 2세가 계승했다. 오늘날 라바트의 무함마드 5세 대학교, 카사블랑카무함마드 5세 국제공항, 모하메드 5세 스타디움 등 여러 중요 시설이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909-1927)

시디 무함마드 빈 유세프는 1909년 8월 10일 모로코페스에서 술탄 유세프 벤 하산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1][2] 그가 어렸던 1912년 3월, 페스 조약이 체결되면서 모로코는 프랑스 보호령이 되었다.

그는 페스에 있는 ''qasr al-amami''(정면 궁전) 궁궐 부지 안에서 가정 교육을 받으며 교육을 시작했다.[3] 이곳에서 읽고 쓰는 법을 배우고 쿠란의 첫 수업을 받았다.[3]

부친 유세프 벤 하산이 라바트를 왕국과 행정부의 수도로 정하자, 시디 무함마드는 대부분의 형제들과 함께 라바트로 옮겨가 개인 교사들과 함께 가정 교육을 이어갔다.[3] 라바트에서 그는 쿠란을 암기하여 하피즈가 되었으며,[3] 이후 본격적인 학문 학습을 시작했다. 그는 아랍어프랑스어를 공부했는데,[4] 특히 프랑스어는 무함마드 마메리가 가르쳤다.[5] 이후 시디 무함마드는 라바트의 공립 학교에서 교육을 계속 받았다.[3]

2. 2. 통치 초기 (1927-1939)

214x214px


1930년, 아들이자 미래의 국왕 하산 2세와 함께 복제 파나르 자동차에 앉아 있는 술탄 무함마드 5세.


무함마드 5세는 프랑스 보호령 시기인 1912년 9월 프랑스에 의해 술탄으로 추대된 유수프 벤 하산과 그의 아내 야쿠트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중 한 명이었다.[7] 그의 아버지인 술탄 유수프가 1927년 11월 17일 사망하자,[6] 다음 날인 11월 18일, 당시 17세였던 무함마드 벤 유수프가 술탄으로 즉위했다. 프랑스 측에서는 그를 "어리고 소심하다"고 평가했으며,[8] 이는 프랑스 총독 위베르 리오테가 퇴임한 직후의 일이었다.[8]

그는 1925년에 하닐라 빈트 마문과 첫 결혼을 했고, 1928년에는 랄라 아블라 빈트 타하르와 두 번째 결혼을 했다. 랄라 아블라 빈트 타하르는 1929년에 훗날 왕위를 계승하는 하산 2세를 낳았다. 이후 랄라 바히아 빈트 안타르와도 결혼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1939-1945)

제2차 세계 대전 중 술탄 무함마드 5세는 1943년 1월 카사블랑카에서 개최된 카사블랑카 회담에 참여했다.[8] 1월 22일에는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와 영국 총리 윈스턴 처칠과 비공개 만찬 회담을 가졌다.[8] 이 자리에서 루스벨트 대통령은 술탄에게 전쟁 이후 식민지 문제 등 국제 정세가 크게 변화할 것이라고 언급하며 모로코의 독립 가능성을 시사했다.[8] 당시 14세의 나이로 회담에 동석했던 왕세자이자 훗날 국왕이 되는 하산 2세는 루스벨트가 "10년 후 당신의 나라는 독립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고 회고했다.[8]

홀로코스트 기간 동안 무함마드 5세가 모로코 유대인 공동체를 보호하기 위해 어떤 역할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상반된 평가가 존재한다.[10] 그러나 대부분의 학자들은 그가 비시 프랑스 정권 하에서 유대인들에게 호의적인 태도를 보였다는 점을 강조한다.[11] 특히 비시 정부가 모로코 내 약 25만 명의 유대인을 유럽의 나치 강제 수용소절멸 수용소로 보내기 위해 비시 반유대주의 법안 서명을 강요했을 때 이를 거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술탄의 이러한 입장은 인도주의적 동기뿐 아니라, 유대인을 포함한 모든 모로코 신민에 대한 자신의 주권을 침해하려는 비시 정부의 ''칙령''에 대한 반발심에서도 비롯되었다.[12]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치의 인종 차별 정책이 부분적으로 모로코에서 시행되었고,[12] 무함마드 5세는 비시 관리들의 압력으로 유대인의 특정 학교 입학 및 직업 활동을 제한하는 두 법령에 서명하기도 했다.[13]

하지만 전반적으로 무함마드 5세는 나치 독일과 비시 프랑스 정부로부터 유대인 공동체를 보호한 공로를 인정받아 유대인 단체로부터 존경받으며, 홀로코스트 기간 유대인 신민을 보호한 역할로 명예를 얻었다.[14] 일부 역사가들은 무함마드 5세의 반나치 역할이 다소 과장되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역사가 미셸 아비톨은 무함마드 5세가 반유대주의 법령 서명을 강요받기는 했지만, 당시 튀니지의 통치자였던 무함마드 7세 알-문시프에 비해 소극적이었으며 비시 정권의 정책을 명확히 거부하는 공개적인 행동은 취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13]

2. 4. 독립 투쟁 (1945-195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전개된 모로코의 독립 운동을 적극적으로 주도했다.

술탄 무함마드는 1943년 카사블랑카 회담에서 프랭클린 D. 루스벨트윈스턴 처칠과 함께 앉아있다; 그의 아들 하산 왕자는 그의 뒤에 서있다.


술탄 무함마드는 국왕과 국민의 혁명(ثورة الملك والشعبar)이라고도 알려진 모로코 민족주의 운동의 핵심 인물이었다. 이 운동은 1930년 5월 16일 베르베르 다히르에 대한 항의에서 시작되었으며, 그는 처음에는 프랑스 식민 행정부의 개혁 운동에 비판적이었으나 나중에 독립 지지자가 되었다.[15] 그는 모로코 독립 선언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국가적 상징으로서의 이미지를 더욱 높였다.

1947년 4월 9일과 10일, 그는 각각 멘두비아와 탕헤르 대모스크에서 두 번의 중요한 연설(탕헤르 연설)을 했는데, 특정 식민 강대국을 명시하지 않으면서 모로코의 독립을 호소했다.[16][17] 1947년 민족주의 운동의 급속한 진전 속에서, 시디 무함마드는 탕헤르 연설을 통해 처음으로 독립을 요구했으며, 1945년 창설된 아랍 연맹에 모로코의 가입과 아랍의 연대를 촉구했다. 그는 모로코와 나머지 아랍 세계 간의 긴밀한 유대를 강조했다. 역사가 베르나르 퀴베르타퐁에 따르면, 군주제와 민족주의 운동 간의 이러한 화해는 "각 측이 서로를 필요로 했기 때문"이라고 설명될 수 있다. 국왕은 민족주의 운동의 힘을 이용하여 프랑스에 변화를 압박할 필요가 있었다.[18]

물레이 하산과 그의 아버지 술탄 무함마드 5세, 1950년


이후 프랑스와의 관계는 악화되었는데, 특히 새로운 레지던트 제너럴 알퐁스 줴는 술탄에게 이스티클랄을 부인하고 민족주의적 주장과 거리를 두도록 압박했다. 1951년 프랑스와의 결별이 이루어졌고, 시디 무함마드는 민족주의자들과 협력하여 독립을 위해 싸우기로 했다. 새로운 레지던트 제너럴 오귀스탱 기욤의 임명은 갈등을 더욱 심화시켰다. 1952년 카사블랑카 등지에서 시위가 폭동으로 번지자, 시디 무함마드는 미국의 지원을 받아 UN에서 모로코 문제를 국제적으로 알리려 했다.[18]

그러나 독립 운동 주도로 인해 1953년 8월 20일 프랑스에 의해 폐위되었고, 가족들과 함께 코르시카로 망명하게 되었다.

2. 5. 망명과 복위 (1953-195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모로코에서 프랑스로부터의 독립 운동이 거세지자, 술탄 무함마드 5세는 이 운동의 중심적인 지도자로 부상했다. 그의 영향력이 커지는 것을 우려한 프랑스 식민 당국은 1953년 8월 20일, 이슬람 명절인 이드 알 아드하 전날에 무함마드 5세와 그의 가족을 코르시카 섬으로 강제로 추방했다. 프랑스 당국은 그의 종증손인 무함마드 벤 아라파를 새로운 술탄으로 내세웠지만, 그는 프랑스의 의도대로 움직이는 괴뢰 군주라는 비판을 받았다.[19]

무함마드 5세의 갑작스러운 추방은 모로코 민족주의자들의 격렬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같은 해 크리스마스 이브에는 무하마드 자르투니가 카사블랑카의 중앙 시장에서 폭탄 테러를 감행하는 등 저항 운동이 확산되었다.[19] 프랑스 당국은 1954년 1월, 무함마드 5세와 그의 가족을 아프리카 본토에서 더 멀리 떨어진 마다가스카르로 다시 이송했다.

하지만 프랑스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모로코의 독립 요구는 수그러들지 않았다. 리비아, 알제리(FLN), 이집트 등 주변 아랍 국가들의 지지를 등에 업은 모로코 민족주의자들은 프랑스 정부에 무함마드 5세의 복위를 지속적으로 요구했다. 더불어 프랑스가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패배하면서 국제적인 입지가 약화된 것도 무함마드 5세의 복위에 유리하게 작용했다.

결국 프랑스는 국내외의 압력에 굴복하여 1955년 11월 16일 무함마드 5세의 귀국과 술탄 복위를 인정했다. 그의 귀환은 프랑스 보호령에 대한 모로코인들의 적극적인 저항의 결실이었으며, 많은 이들에게 식민 통치의 종말이 임박했음을 알리는 신호로 받아들여졌다.[20] 복위한 무함마드 5세는 곧바로 독립 협상에 나서 1956년 2월 프랑스스페인으로부터 모로코의 완전한 독립을 이끌어내는 데 성공했다.

2. 6. 독립 이후 (1956-1961)

1956년 2월 프랑스, 스페인과의 협상을 통해 모로코의 독립이 확정되었다. 독립 이후 무함마드는 알제리 독립을 위한 투쟁에서 알제리 민족해방전선(FLN)을 지지했으며, FLN 지도자들이 튀니지에서 하비브 부르기바와 회담을 갖도록 지원했다.[21] 그러나 1956년 10월 22일, 알제리 전쟁 중 프랑스군은 FLN 지도자 아흐메드 벤 벨라, 호신 아이트 아메드, 모하메드 부디아프 등이 탑승하여 팔마 데 마요르카를 출발해 튀니스로 향하던 모로코 비행기를 납치하는 모로코 항공기 납치 사건을 일으켰다. 프랑스군은 비행 경로를 강제로 알제로 변경하여 FLN 지도자들을 체포했다.[22][21][23]

1957년 모로코의 무함마드 5세 국왕


1957년 8월 14일, 무함마드 5세는 기존의 술탄 칭호 대신 모로코 국왕( الملك|알말리크ara )이라는 칭호를 채택했다. 이는 아랍인베르베르인 사이의 분열을 넘어 국가 통합을 상징하기 위한 조치였다. 국내 정책에서는 독립 운동을 주도했던 이스티클랄당의 활동을 허용하고 노동 조합 창설을 승인했으나, 통치 말기에는 사회적 불안과 파업이 이어지자 전권을 행사하기도 했다.[18] 같은 해 미국 국빈 방문은 국제 사회에서 무함마드 5세의 입지를 "왕국의 유일한 합법적 대표"로서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24] 이 방문은 모로코를 미국과 긴밀히 연계시키려는 전략적 목적을 가졌으며, 군주제의 중요성을 국제 무대에 알리는 홍보 효과를 거두었다.[24] 그는 모로코 국민을 직접 만나 감사를 표하는 등 왕실의 권위를 국민에게 투영하는 데 힘썼다.[24] 또한, 베네딕토회 Toumliline 수도원에서 개최된 종교 간 대화 및 현대 문제에 관한 국제 회의를 후원하며 문화적 교류에도 관심을 보였다.[25]

1961년 모로코를 방문한 이집트 대통령 가말 압델 나세르를 맞이하는 무함마드 5세 국왕


무함마드 5세 통치 기간 동안 모로코 해방군은 스페인과 프랑스를 상대로 이프니 전쟁을 벌여 이프니의 상당 부분과 케이프 주비, 서사하라 일부 지역을 점령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후 앙그라 데 신트라 조약을 통해 모로코는 케이프 주비와 이프니 주변 지역을 공식적으로 병합했다.[26]

1961년 2월 26일 무함마드 5세가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인 하산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2. 7. 사망 (1961)

1961년 2월 26일, 무함마드 5세는 비중격 수술의 합병증으로 사망했다.[27][28] 이 수술은 스위스 보(Vaud) 출신 외과 의사가 집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의 사망 소식은 아들이자 왕세자인 물라이 하산이 국영 라디오를 통해 발표했으며, 물라이 하산은 하산 2세로 즉위하여 왕위를 계승했다.[29]

3. 유산

무함마드 5세 묘 내부의 묘소


카사블랑카무함마드 5세 국제공항, 스타드 무함마드 V, 무함마드 5세 광장, 라바트의 무함마드 5세 대로, 무함마드 5세 대학교, 모하마디아 공과대학, 그리고 탕헤르의 무함마드 5세 모스크 등 수많은 건물, 지역, 기관이 그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라바트에는 그의 무함마드 5세 묘소가 있다. 모로코의 거의 모든 도시에는 무함마드 5세 거리가 있으며, 튀니지튀니스알제리알제에도 그의 이름을 딴 주요 도로가 있다. 기니코나크리에 있는 무함마드 5세 궁전 역시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07년 12월, ''더 유대 데일리 포워드''는 모로코 정부가 무함마드 5세를 열방의 의인으로 인정받기 위한 비밀 외교 노력을 펼치고 있다고 보도했다.[31]

4. 가족 관계

모로코의 술탄인 유세프 벤 하산의 아들로 태어났다.

무함마드 5세와 딸 공주 말리카, 아이샤, 누자, 아들 물레이 압달라, 1950년경


무함마드 5세는 세 명의 부인과 여러 자녀를 두었다.

'''무함마드 5세의 배우자와 자녀'''
배우자결혼자녀비고
랄라 하닐라 빈트 마문1925년[32][33]랄라 파티마 조라첫 번째 부인
랄라 아블라 빈트 타하르1928년하산 2세
아이샤
말리카
압달라
누자[34]
두 번째 부인. 무함마드 5세의 사촌으로, 모하메드 타하르 빈 하산(모로코의 하산 1세의 아들)의 딸이다. 1992년 3월 1일 라바트에서 사망했다.
랄라 바히아 빈트 안타르정보 없음아미나세 번째 부인



그의 왕위는 아들인 하산 2세가 승계받았다.

5. 훈장


  • 튀니지 공화국의 피의 훈장
  • 프랑스 공화국의 레지옹 도뇌르 훈장 그랜드 크로스 (1927)
  • 스페인 왕국의 카를로스 3세 훈장 칼라 (1929)[35]
  • 프랑스 공화국의 해방 훈장 동반자 (1945)
  • 미국의 공로 훈장 최고 사령관 (1945)
  • 프랑코 치하 스페인의 이베리아 및 화살 훈장 그랜드 칼라 (1956년 4월 3일)[36]
  • 리비아 왕국의 이드리스 1세 훈장 그랜드 칼라 (1956)
  • 이라크 왕국의 하심 훈장 칼라 (1956)
  • 시리아의 우마이야 훈장 그랜드 리본 (1960)
  • 레바논의 공로 훈장 그랜드 리본 특별 등급 (1960)
  • 이집트의 나일 훈장 칼라 (1960)
  • 요르단의 알 후세인 빈 알리 훈장 칼라 (1960)
  • 사우디 아라비아의 압둘아지즈 국왕 훈장 그랜드 리본 (1960)

5. 1. 명예 학위

참조

[1] 웹사이트 Mohammed Al Hassan https://www.geni.com[...] 2024-02-04
[2] 웹사이트 Mohammed Al Hassan, V https://www.geni.com[...] 2024-02-04
[3] 서적 durafakhira https://archive.org/[...]
[4] 웹사이트 محمد الخامس.. تعليم لا يليق بالملوك http://www.alyaoum24[...] 2022-05-06
[5] 서적 Les couturiers du sultan: itinéraire d'une famille juive marocaine : récit https://books.google[...] Marsam Editions 2007
[6] 웹사이트 8-7-30, [de g. à d.] El Mokri, le sultan, maréchal Liautey, M. Saint : [photographie de presse] / [Agence Rol] https://gallica.bnf.[...] 2022-03-03
[7] 서적 Journal d'un Prince Banni: Demain le Maroc Grasset 2014-04-09
[8] 서적 A history of modern Morocco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9] 웹사이트 الأمازيغية والاستعمار الفرنسي (24) .. السياسة البربرية والحرب https://www.hespress[...] 2018-06-09
[10] 문서 "Across Legal Lines: Jews and Muslims in Modern Morocco" Yale University Press 2016
[11] 문서 "Historical themes: Muslim-Jewish relations in the modern modern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Routledge 2016
[12] 문서 A History of Modern Morocco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13] 문서 "The second coming of Morocco's 'Commander of the Faithful': Mohammed VI and Morocco's religious policy" Bruce Maddy-Weitzman & Daniel Zisenwine 2013
[14] 뉴스 KIVUNIM Convocation Honoring the Memory of King Mohammed V of Morocco http://www.kivunim.o[...] Kivunim 2015-12-24
[15] 서적 Imperial Rule and the Politics of Nationalism: Anti-Colonial Protest in the French Empire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16] 웹사이트 Evènements du 7 avril 1947 à Casablanca, un tournant décisif dans la lutte pour la liberté et l'indépendance https://www.atlasinf[...] 2019-08-29
[17] 웹사이트 Morocco Commemorates Sultan Mohammed V's 'Historic Visits' to Tangier and Tetouan https://www.moroccow[...] 2018-04-10
[18] 서적 Figures de la révolution africaine : de Kenyatta à Sankara http://worldcat.org/[...] Découverte 2014
[19] 웹사이트 Histoire : Le Noël sanglant du marché central de Casablanca https://www.yabiladi[...] 2020-07-05
[20] 서적 Globalizing Morocco : transnational activism and the postcolonial state 2019
[21] 웹사이트 22 October 1956 : Ben Bella, King Mohammed V and the story of the re-routed plane https://en.yabiladi.[...] 2022-08-22
[22] 간행물 Le Maroc entre la France et l'Algérie (1956-1962) http://dx.doi.org/10[...] 2011
[23] 웹사이트 أكتوبر في تاريخ المغرب أحداث وأهوال {{!}} المعطي منجب https://www.alquds.c[...] 2022-08-22
[24] 서적 Globalizing Morocco : transnational activism and the postcolonial state 2019
[25] 서적 Decolonization and the Remaking of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24-01-23
[26] 서적 Morocco Since 1830: A History https://books.google[...] Hurst 2000
[27] 서적 Histoire du Maroc: de Moulay Idrîs à Mohammed VI Fayard 2012
[28] 뉴스 Mohammed V of Morocco Dies at 51 After Surgery https://www.nytimes.[...] 2008-06-13
[29] 웹사이트 Gazette de Lausanne - 27.02.1961 - Page 8 https://www.letempsa[...] 2024-07-31
[30] 웹사이트 الإستقصا لأخبار دول المغرب الأقصى https://ia803007.us.[...] 2022-05-06
[31] 뉴스 An Arab King Righteous Among the Nations? http://www.forward.c[...] The Forward 2007-12-12
[32] Youtube Triple royal wedding in Morocco https://www.youtube.[...]
[33] 뉴스 Feue la princesse Lalla Fatima Zahra décedée le 10 aout 2014 http://zeyna.skyrock[...] 2018-02-24
[34] 문서 Morocco Foreign Policy and Government Guide International Business Publications
[35] 문서 Guía oficial de España http://hemerotecadig[...]
[36] 간행물 Boletín Oficial del Estado http://www.boe.es/da[...]
[37] 웹사이트 Honorary Degree Recipients https://provost.gwu.[...] 2024-1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