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천군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천군은 고조선 시대부터 1946년까지 존재했던 한반도의 행정 구역이다. 고구려 시대에는 매성군 또는 낭산군으로 불렸으며, 신라 경덕왕 때 천정군으로 개칭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문주, 덕원군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문천군으로 유지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천내면이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광복 후 북한에 의해 폐지되어 천내군과 법동군으로 분할되었다. 현재 문천군은 8개의 면과 23개의 리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경남도의 행정 구역 (대한민국) - 함경남도 (대한민국)
    함경남도는 대한민국 헌법상 자국 영토로 간주되는 한반도 동북부의 도이며, 해방 당시 3개의 시와 16개의 군으로 구성되었고 도청은 함흥시에 위치해 있다.
  • 함경남도의 행정 구역 (대한민국) - 혜산군 (대한민국)
    혜산군은 1개의 읍과 5개의 면으로 구성된 행정 구역으로, 각 읍과 면은 여러 개의 리를 관할한다.
  • 대한민국의 광역 행정 구역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광역 행정 구역 - 노원구
    노원구는 서울특별시 북동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주변 도시와 접하며 갈대밭 또는 여관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불리고, 수락산, 불암산 등의 자연환경과 여러 전철 노선 및 교육기관이 위치해 있다.
문천군 (대한민국)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문천군
한자 표기文川郡
약칭문천
로마자 표기Muncheon-gun
유형
국가대한민국
지역함경남도
지방 관청이북5도위원회
군수이황석
행정 구역
1개
7개
지리
면적1,380.65
시간대
시간대한국 표준시
UTC+09:00
인구 통계
언어
공용어한국어
지역어동북 방언

2. 행정 구역

문천군의 행정 구역은 8개의 읍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읍면의 면적과 이(里) 숫자는 아래 표와 같다.

읍면면적(km2)이(里) 숫자
천내읍145.46km223
문천면112.29km236
덕원면126.91km231
명구면105.81km263
북성면48.91km218
운림면251.71km223
풍상면299.7km223
풍하면289.86km223



각 읍면별 소속된 이(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각의 읍면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2. 1. 읍면

읍면면적(km2)이(里) 숫자이(里)
천내읍145.4623장흥(長興), 천내(川內), 용산(龍山), 용연(龍淵), 누익(樓翊), 가경(加慶), 신풍(新豊), 용암(龍巖), 신평(新坪), 용당(龍塘), 물방덕(勿方德), 화라(禾羅), 용담(龍潭), 중양(中陽), 문왕(問王), 덕상(德上), 관사(館仕), 재인(才仁), 노흥(蘆興), 용운(龍雲), 제위(祭位), 용천(龍川), 학포(鶴浦)
문천면112.2936옥평(玉坪), 문양(文陽), 초전(草田), 영로(營老), 성저(城底), 교월(矯越), 수침(水砧), 유정(柳亭), 미양(眉陽), 남산(南山), 남양(南陽), 당하(堂下), 성북(城北), 반계(磻溪), 장평(長坪), 부거(富居), 만포(晩浦), 자방(自方), 지산(智山), 영상(嶺上), 도창(道昌), 송치(松峙), 주교(舟橋), 석현(石峴), 당모로(堂毛老), 문봉(文峰), 용정(龍井), 문창(文昌), 보목정(補木亭), 서재(書齋), 대성(大成), 봉오(鳳梧), 능전(陵前), 육상(陸上), 함평(咸平), 원평(元坪)
덕원면126.9131상동(上洞), 수변(水邊), 성외(城外), 삼월(三越), 춘성(春城), 신교(新橋), 송하(松下), 방하산(方下山), 성북(城北), 의주(宜州), 의남(宜南), 석현(石峴), 상평(上坪), 삼대(三臺), 당치(堂峙), 용암(龍巖), 고성(古城), 성남(城南), 영등(永登), 영안(永安), 영강(永康), 덕산(德山), 오목(梧木), 도령(道靈), 관평(關坪), 문암(門巖), 어운(於雲), 부산(浮山), 관상(關上), 풍촌(豊村), 박천(朴川)
명구면105.8163풍전(豊田), 신률(新栗), 장흥(長興), 대덕(大德), 명우(明友), 신풍(新豊), 백산(白山), 도룡(圖龍), 어류(於柳), 원당(元塘), 석전(石田), 무우실(無憂實), 청어구미(靑魚), 유구미(柳), 방고개(方古介), 답촌(畓村), 어항(魚項), 방구미(方), 어은구미(魚隱), 지부구미 (地富), 풍무(豊武), 문송(問松), 반좌(磻佐), 추구미(楸), 송전(松田), 구부안(𩿨富岸), 오산(五山), 수치(秀峙), 용암(龍岩), 내양(內陽), 상평(上坪), 당북(塘北), 귀종(歸宗), 생포(生浦), 반암(班岩), 신흥(新興), 신천(新川), 신안(新安), 장발(長發), 한포(鷳浦), 금호(錦湖), 덕치(德峙), 성저(城底), 주산(主山), 황죽(黃竹), 귀포(歸浦), 송전(松田), 아치곶(牙致串), 당치(堂峙), 왕호(王湖), 평방(坪方), 안흥(安興), 논금(論錦), 향교판(鄕校板), 양지(陽地), 마산(馬山), 신양(新陽), 교양(橋陽), 서원(書院), 석흥(石興), 청어포(靑魚浦), 낙동(洛洞), 섬호(蟾湖)
북성면48.9118문평(文坪), 송탄(松灘), 옥정(玉井), 용평(龍坪), 황석(黃石), 사흘천(沙屹川), 용진(龍津), 신흥(新興), 신안(新安), 신성(新成), 고암(庫巖), 운성(雲城), 휘후(揮厚), 가평(柯坪), 염중(鹽中), 염동(鹽洞), 야태(野汰), 수달(秀達)
운림면251.7123신창(新倉), 용암(龍巖), 장흥(長興), 방고개(方古介), 어은(於隱), 신풍(新豊), 회복(會福), 덕평(德坪), 구덕(龜德), 월은(月隱), 영전(嶺前), 쟁경(爭境), 마한(馬汗), 직두(直頭), 상평(上坪), 동봉(東鳳), 수한(水閑), 중덕(仲德), 금덕(金德), 가목정(柯木亭), 인흥(仁興), 철산(鐵山), 응봉(鷹峰)
풍상면299.7023마전(馬轉), 영저(嶺底), 수침(水砧), 금동(金洞), 도찬(道贊), 방하(方下), 도념(道念), 유동(裕洞), 동산(東山), 억동(億洞), 복회(伏回), 감산(甘山), 거(巨), 구미(九味), 내동(內洞), 작동(鵲洞), 마식(馬息), 노동(蘆洞), 용포(龍浦), 감둔(甘屯), 하서(下西), 상서(上西), 서흥(西興)
풍하면289.8623법동(法洞), 원산(元山), 여해(汝海), 율동(栗洞), 석천(石泉), 장안(長安), 고련(古蓮), 종포(從浦), 어유지(魚遊池), 금구(金龜), 노탄(蘆灘), 청계(淸溪), 봉황산(鳳凰山), 내백일(內白日), 외백일(外白日), 내고읍(內古邑), 외고읍(外古邑), 산저(山底), 동화(東化), 병암(屛巖), 백안(白岸), 상취암(上鷲巖), 하취암(下鷲巖)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