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므앙쁘라쭈압키리칸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므앙쁘라쭈압키리칸군은 태국 쁘라쭈압키리칸주의 군으로, 아유타야 시대부터 라타나코신 왕조를 거치며 현재의 명칭과 행정 구역으로 정비되었다. 이 지역은 '세 개의 만의 도시'로 불리며, 동쪽으로는 태국만, 서쪽으로는 미얀마와 접한다. 지리적으로 태국에서 가장 좁은 지역에 위치하며, 국립공원과 철도, 국도 4호선 등의 교통 시설을 갖추고 있다. 6개의 땀본과 3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역의 민간 설화와 경제 활동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쁘라쭈압키리칸주의 군 - 후아힌군
    후아힌군은 쁘라쭈압키리칸 주의 군으로, 어촌 마을에서 왕족 휴양지로 발전하여 태국 최초이자 가장 인기 있는 해변 리조트 중 하나이며, 다양한 관광 명소와 자연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방콕과 연결된다.
  • 쁘라쭈압키리칸주의 군 - 꾸이부리군
    꾸이부리군은 태국 쁘라쭈압 키리칸주의 군으로, 라타나코신 시대에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클롱 꾸이 강이 흐르고 8개의 땀본과 47개의 무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므앙쁘라쭈압키리칸군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클롱완 분구 해변
클롱완 분구 해변
행정
국가태국
쁘라쭈압키리칸 주
군 유형군 (암프)
설립정보 없음
지리
면적 (총)830.0km²
인구 통계
총 인구 (2000년)90869명
인구 밀도109.48명/km²
우편 정보
우편 번호77000
지역 코드7701
시간대
시간대ICT
UTC 오프셋+7
좌표
기타
웹사이트정보 없음

2. 역사

아유타야 시대(1351-1767) 동안, 이 지역은 나 랑 마을의 부지였다.[2] 아유타야 시대에는 므앙나랑(เมืองนารังth)과 므앙클롱완(เมืองคลองวาฬth)이라는 도시가 존재했지만, 1767년 아유타야 왕조의 멸망과 함께 폐허가 되었다.

라타나코신 왕조 초기 라마 2세는 낭롬 운하 입구에 므앙 방낭롬(เมืองบางนางรมth)을 세웠다. 그러나 토지가 비옥하지 않아 왕은 도시 중심지를 므앙쿠이 (เมืองกุยth, 현 쿠이부리군)로 옮겼다.[2]

라마 4세 통치 기간에 방낭롬, 쿠이, 클롱완 마을이 '산들의 무리들이 있는 마을'을 의미하는 쁘라쭈압키리칸으로 합병되었다.[2] 1894년 쭐라롱꼰은 므앙 쁘라쭈압을 펫차부리 므앙에 두었다. 1898년 라마 5세 (출라롱콘)는 쿠이부리의 군청을 탐본 콕락으로 이전했다. 또한 군의 이름을 콕락군으로 했다. 1899년에는 시청이 쿠이 마을에서 아오 코 락(아오 쁘라쭈압)으로 옮겨졌다.[2] 1906년 국왕은 므앙 쁘란부리, 캄느엣 노파쿤, 쁘라쭈압을 합병하여 므앙 쁘란의 이름을 유지하기 위해 므앙 쁘란부리를 세웠다. 새로운 도시는 몬톤 랏차부리의 통제 하에 있는 주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1938년에 므앙쁘라쭈압키리칸군으로 개칭했다[5]。 도시 이름의 혼란을 막기 위해 와치라웃 (라마 6세) 국왕은 1915년 8월 16일에 지구 이름을 쁘라쭈압키리칸으로 다시 변경했다.[1]

2. 1. 아유타야 왕조와 라타나코신 왕조

아유타야 시대(1351-1767) 동안, 이 지역은 나 랑 마을의 부지였다.[2] 아유타야 시대에는 므앙나랑(เมืองนารังth)과 므앙클롱완(เมืองคลองวาฬth)이라는 도시가 존재했지만, 1767년 아유타야 왕조의 멸망과 함께 폐허가 되었다.

라타나코신 왕조 초기 라마 2세는 낭롬 운하 입구에 므앙 방낭롬(เมืองบางนางรมth)을 세웠다. 그러나 토지가 비옥하지 않아 왕은 도시 중심지를 므앙쿠이 (เมืองกุยth, 현 쿠이부리군)로 옮겼다.[2]

라마 4세 통치 기간에 방낭롬, 쿠이, 클롱완 마을이 '산들의 무리들이 있는 마을'을 의미하는 쁘라쭈압키리칸으로 합병되었다.[2] 1894년 쭐라롱꼰은 므앙 쁘라쭈압을 펫차부리 므앙에 두었다. 1898년 라마 5세 (출라롱콘)는 쿠이부리의 군청을 탐본 콕락으로 이전했다. 또한 군의 이름을 콕락군으로 했다. 1899년에는 시청이 쿠이 마을에서 아오 코 락(아오 쁘라쭈압)으로 옮겨졌다.[2] 1906년 국왕은 므앙 쁘란부리, 캄느엣 노파쿤, 쁘라쭈압을 합병하여 므앙 쁘란의 이름을 유지하기 위해 므앙 쁘란부리를 세웠다. 새로운 도시는 몬톤 랏차부리의 통제 하에 있는 주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1938년에 므앙쁘라쭈압키리칸군으로 개칭했다[5]。 도시 이름의 혼란을 막기 위해 와치라웃 (라마 6세) 국왕은 1915년 8월 16일에 지구 이름을 쁘라쭈압키리칸으로 다시 변경했다.[1]

2. 2. 쁘라쭈압키리칸으로의 통합

아유타야 시대(1351-1767) 동안, 이 지역은 나 랑 마을의 부지였다.[2] 라타나코신 왕조 초기 라마 2세는 낭롬 운하 입구에 므앙 방낭롬을 세웠으나, 토지가 비옥하지 않아 도시 중심지를 므앙 쿠이로 옮겼다. 몽꿋, 라마 4세 통치 기간에 방낭롬, 쿠이, 클롱완 마을이 '산들의 무리들이 있는 마을'을 의미하는 쁘라쭈압키리칸으로 합병되었다.[2]

1894년 쭐라롱꼰은 므앙 쁘라쭈압을 펫차부리 므앙에 두었다. 1899년에는 시청이 쿠이 마을에서 아오 코 락(아오 쁘라쭈압)으로 옮겨졌다.[2] 1906년 국왕은 므앙 쁘란부리, 캄느엣 노파쿤, 쁘라쭈압을 합병하여 므앙 쁘란의 이름을 유지하기 위해 므앙 쁘란부리를 세웠고, 새로운 도시는 몬톤 랏차부리의 통제 하에 있는 주로 만들어졌다. 와치라웃(라마 6세) 국왕은 1915년 8월 16일에 지구 이름을 쁘라쭈압키리칸으로 다시 변경했다.[1]

아유타야 시대에는 므앙나랑(เมืองนารังth)과 므앙클롱완(เมืองคลองวาฬth)이라는 도시가 존재했지만, 1767년 아유타야 왕조의 멸망과 함께 폐허가 되었다. 이후 라마 2세에 의해 도시가 재건되어 므앙방낭롬(เมืองบางนางรมth)이라는 도시가 건설되었으나 토지가 비옥하지 않아 므앙쿠이 (เมืองกุยth, 현 쿠이부리군)로 이전했다. 1898년 라마 5세 (출라롱콘)는 쿠이부리의 군청을 탐본 콕락으로 이전하고 군의 이름을 콕락군으로 했다. 그러나 1938년에 므앙쁘라쭈압키리칸군으로 개칭했다[5]

3. 지리

므앙쁘라쭈압키리칸군은 동쪽 해안에 아오노이, 아오 쁘라쭈압, 아오 마나오가 있어 "세 개의 만의 도시"로 알려져 있다.[2] 북쪽으로는 쿠이부리군, 남쪽으로는 탑사깨군이 인접해 있다. 서쪽으로는 미얀마의 따닌따리 지방, 동쪽으로는 태국만이 있다.

태국은 이 구역에서 가장 좁으며, 미얀마 국경의 단 싱콘 (ด่านสิงขร) 국경 검문소 근처 지점과 태국만 사이의 거리가 불과 11km이다.[3] 서부는 산악 지대로, 카오힌툰 국립공원이 위치하여 그 자연이 보호되고 있다.

교통은 남북으로 태국 국철과 국도 4호선이 거의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북쪽은 펫차부리, 남쪽은 춤폰과 연결된다. 또한, 국경을 향해 도로가 뻗어 있으며, 싱콘 국경 통과 지점이라는 국경 지대에 연결되어 있으며, 더 나아가 미얀마의 메르귀 방면과 연결된다.

4. 행정 구역

므앙쁘라쭈압키리칸군은 6개의 탐본으로 나뉘며, 이 구역은 다시 53개의 무반으로 세분된다. 쁘라쭈압키리칸 타운(테사반 므앙)은 땀본 쁘라쭈압키리칸 전체와 꼬락, 아오노이 일부를 관할한다. 클롱완 땀본 일부는 클롱완 읍에 속한다.

번호지명태국어 지명빌리지
1.쁘라쭈압키리칸ประจวบคีรีขันธ์th-
2.꼬락เกาะหลักth11
3.클롱완คลองวาฬth9
4.후아이사이ห้วยทรายth13
5.아오노이อ่าวน้อยth16
6.보녹บ่อนอกth14



군에는 3개의 지방 자치 단체(테사반)가 설치되어 있다.


  • 므앙쁘라쭈압키리칸 테사반은 쁘라쭈압키리칸 탐본 전체 및 아오노이, 꼬락 탐본 일부를 관할한다.
  • 테사반 땀본 아오노이는 아오노이 탐본 일부를 관할한다.
  • 테사반 땀본 클롱완은 클롱완 탐본 일부를 관할한다.

4. 1. 땀본 목록

므앙쁘라쭈압키리칸군은 6개의 땀본으로 나뉘며, 이 구역은 다시 53개의 무반으로 세분된다. 쁘라쭈압키리칸 타운(테사반 므앙)은 땀본 쁘라쭈압키리칸 전체와 꼬락, 아오노이 일부를 관할한다. 클롱완 땀본 일부는 클롱완 읍에 속한다.

번호지명태국어 지명빌리지
1.쁘라쭈압키리칸ประจวบคีรีขันธ์-
2.꼬락เกาะหลัก11
3.클롱완คลองวาฬ9
4.후아이사이ห้วยทราย13
5.아오노이อ่าวน้อย16
6.보녹บ่อนอก14


4. 2. 지방 자치 단체

므앙쁘라쭈압키리칸 군에는 6개의 탐본이 있으며, 그 아래에 53개의 무반이 있다. 군에는 3개의 지방 자치 단체(테사반)가 설치되어 있다.

  • 므앙쁘라쭈압키리칸 테사반은 쁘라쭈압키리칸 탐본 전체 및 아오노이, 꼬락 탐본 일부를 관할한다.
  • 테사반 땀본 아오노이는 아오노이 탐본 일부를 관할한다.
  • [http://klongwanmun.com/ 테사반 땀본 클롱완]은 클롱완 탐본 일부를 관할한다.

5. 민속

므앙쁘라쭈압키리칸군은 섬, 만, 산 등 태국만의 다른 지역뿐만 아니라 지역 내 다양한 지형의 이름 유래에 대한 민간 설화를 가지고 있다. "따 몽 라이 이야기"는 아오노이에 사는 쁘라쭈압키리칸의 어부 따 몽 라이의 이야기이다. 따 몽 라이와 그의 아내 야이 람풍에게는 욤도이 라는 아름다운 딸이 한 명 있었다. 어느 날, 그와 그의 아내는 욤도이의 결혼 문제로 다투었다. 그는 욤도이를 중국 영주의 아들과 결혼시키는 것에 동의했지만, 야이 람풍은 욤도이를 펫차부리 주지사의 아들과 결혼시키는 것에 동의했다. 결국 그들은 격렬하게 다투며 서로에게 물건을 던졌다. 마침내 그들은 모두 죽었고, 그들의 시신과 여러 소지품들은 카오 따 몽 라이, 핫 매 람풍, 코 놈 사오, 카오 롬무악, 카오 차오 라이, 코 삭, 카오 타키압, 카오 총 끄라촉 등과 같은 장소가 되었다.[4]

6. 교통

므앙쁘라쭈압키리칸군은 태국 영토에서 가장 폭이 좁은 지역에 위치하며, 미얀마 국경과 바다 사이의 거리가 매우 짧다. 동쪽으로는 바다와 접하고 서쪽으로는 미얀마와 국경을 이룬다. 서부 지역은 산악 지대로, 카오힌툰 국립공원이 있어 자연환경이 보존되고 있다.

남북 방향으로는 태국 국철과 국도 4호선이 거의 평행하게 뻗어 있다. 북쪽으로는 펫차부리와 연결되고, 남쪽으로는 춤폰과 이어진다. 또한, 국경 방향으로 도로가 뻗어 있어 싱콘 국경 통과 지점을 통해 미얀마의 메르귀 방면으로 연결된다.

7. 경제

므앙쁘라쭈압키리칸 군에는 6개의 땀본이 있으며, 그 아래에 53개의 마을(무반)이 있다. 군에는 므앙쁘라쭈압키리칸 테사반, 테사반 땀본 아오노이, [http://klongwanmun.com/ 테사반 땀본 클롱완] 등의 자치체(테사반)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은 군내의 땀본 목록이다.

# 땀본 쁘라쭈압키리칸 (ประจวบคีรีขันธ์th)

# 땀본 코락 (เกาะหลักth)

# 땀본 클롱완 (คลองวาฬth)

# 땀본 후아이사이 (ห้วยทรายth)

# 땀본 아오노이 (อ่าวน้อยth)

# 땀본 보노크 (บ่อนอกth)

8. 각주

참조

[1] 간행물 ประกาศ เปลี่ยนนามเมืองปราณบุรี เป็นเมืองประจวบคีรีขันธ์ http://www.ratchakit[...] 1915-08-22
[2] 뉴스 A place of gold https://www.bangkokp[...] 2018-10-11
[3] 문서 GoogleEarth
[4] 웹사이트 ตาม่องล่าย https://www.baanjomy[...]
[5] 간행물 พระราชกฤษฎีกาเปลี่ยนนามจังหวัด และอำเภอบางแห่ง พุทธศักราช ๒๔๘๑ http://www.ratchakit[...] 2481-1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