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네스트로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네스트로네는 두꺼운 채소 수프를 의미하는 이탈리아 요리이다. 로마 시대 이전부터 채소를 주재료로 한 요리에서 유래되었으며, 다양한 채소와 때로는 파스타나 쌀을 넣어 끓인다. 이탈리아 각 지역, 특히 리구리아 지역에서는 페스토를 곁들인 변형이 존재하며, 리비아에서도 이탈리아의 식민지배를 통해 파스타, 병아리콩, 향신료, 고기를 넣은 임바바카라는 미네스트로네와 유사한 요리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미네스트로네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요리 종류 | 수프 |
주재료 | 양파 당근 셀러리 감자 양배추 토마토 콩과 식물 (콩, 병아리콩, 누에콩) |
부재료 | 파스타 쌀 |
지역 | 이탈리아 |
기타 이름 | Minestrone di verdure (미네스트로네 디 베르두레) |
어원 | |
어원 | (미네스트라) + 접미사 (-오네) |
설명 | 'minestra (미네스트라, 수프)'에 확대 접미사 "-one"이 붙어 "두껍고 푸짐한 수프"를 의미 |
minestra (미네스트라) | 라틴어 'ministrare (미니스트라레, 제공하다)'에서 유래 |
특징 | |
특징 | 다양한 채소의 혼합과 잘게 썰지 않은 재료가 특징 (잘게 썰면 (파사토 디 베르두레)라고 함) |
2. 어원
채소 수프를 뜻하는 '미네스트로네(minestrone)'라는 단어는 1871년부터 영어에서 사용된 기록이 있다. 이 단어는 이탈리아어 ''minestrone''에서 유래되었으며, '수프'를 뜻하는 ''minestra''의 확대형이다. 문자 그대로는 '제공되는 것'을 의미하며, ''minestrare''(제공하다)에서 파생되었다.[2][3] 이는 '치료법을 투여하다'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administer'와 어원상 관련이 있다.
미네스트로네의 기원은 로마의 라틴 부족이 로마 왕국(후에 로마 공화국과 로마 제국)으로 확장되기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지역 식단은 주로 양파, 렌즈콩, 양배추, 마늘, 잠두, 식용 버섯, 당근, 아스파라거스, 순무와 같은 채소로 구성된 "필수적인 채식주의"였다.[4]
미네스트로네는 지역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있다.
3. 역사
당시 주된 식사는 소금물에 삶은 스펠트 가루로 만든 간단하지만 든든한 죽인 ''풀테''였으며, 여기에 사용 가능한 채소를 추가했다.[4]
기원전 2세기, 로마가 이탈리아를 정복하고 상업 및 도로망을 독점하면서 다양한 상품이 수도로 유입되었고, 이는 식단에 변화를 가져왔다.[4] 특히 수프에 고기를 육수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빵이 그리스인에 의해 로마 식단에 도입되면서 스펠트 가루는 수프에서 제외되었고, ''풀테''는 가난한 사람들의 음식이 되었다.[5]
고대 로마인들은 곡물, 채소, 콩과 식물 중심의 "검소한" 식단이 건강에 좋다는 것을 알고 있었으며, 걸쭉한 채소 수프와 채소는 여전히 주요 음식이었다.[4]
마르쿠스 아피키우스의 고대 요리책 ''요리에 관하여(De Re Coquinaria)''에는 양파, 마늘, 라드, 채소를 넣은 파로, 병아리콩, 잠두로 만든 기원후 30년 로마 수프인 ''폴루스''가 설명되어 있다.[6]
이탈리아의 식습관과 재료가 변하면서 미네스트로네도 바뀌었다. 아피키우스는 조리된 뇌와 와인과 같은 화려한 장식을 사용하여 ''풀테스''와 ''풀티쿨래''를 업데이트한다.[5]
미네스트로네는 시골의 뿌리를 잃지 않고 오늘날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으며, 현재 이탈리아에서 '가난한 사람들의 요리'를 의미하는 ''쿠치나 포베라'' 요리 스타일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귀족과 귀족의 요리 스타일인 ''쿠치나 노빌레''와 대조된다.[7]
4. 지역별 변형
리구리아 지역의 페스토를 넣어 만드는 ''미네스트로네 알라 제노베세''(Minestrone alla genovese)와 리비아의 파스타, 병아리콩, 바자르 향신료, 고기로 만드는 스튜 종류인 ''임바바카''(Imbakbaka) 또는 ''음바바카''(mbakbaka) 등이 있다.[8][9]
4. 1. 제노바식 미네스트로네
리구리아 지역에서 유래한 미네스트로네 알라 제노베세는 페스토를 포함한 허브를 더 많이 사용하는 변종이다.[8]
4. 2. 리비아식 미네스트로네
리비아에는 임바바카 또는 음바바카라고 불리는 스튜 종류가 있는데, 파스타, 병아리콩, 바자르 향신료, 고기로 만든다.[9] 이는 이탈리아 제국의 식민지배를 통해 유래했다.[9]
참조
[1]
웹사이트
Flawless Minestrone!
https://www.lacucina[...]
La Cucina Italiana
2020-01-16
[2]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Minestrone
http://www.etymonlin[...]
2012-11-17
[3]
백과사전
minestrone
http://www.merriam-w[...]
2012-11-17
[4]
서적
Magna Roma, cibi e bevande di Roma antica
Scipioni
[5]
웹사이트
LacusCurtius • Apicius, De Re Coquinaria — Book V
https://penelope.uch[...]
2018-02-04
[6]
서적
Soups of Italy: Cooking over 130 Soups the Italian Way
William Morrow
[7]
서적
Italian Country Cooking: the Secrets of Cucina Povera
Metro Books
[8]
뉴스
Lentil Minestrone
https://www.vahrehva[...]
2018-02-06
[9]
웹사이트
Libyan Imbakbaka
https://www.middleea[...]
2021-01-16
[10]
서적
フランス 食の事典(普及版)
株式会社白水社
[11]
웹사이트
minestrone
http://www.etymonlin[...]
Online Etymology Dictionary
2013-10-22
[12]
문서
Soup (sūp), v.
Clarendon Press
1884–19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