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녀와 야수 (1946년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녀와 야수》는 1946년 개봉한 프랑스 영화로, 가난한 벨이 아버지를 대신해 야수의 성에 갇히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다. 장 콕토가 각본을 쓰고 연출했으며, 장 마레, 조세트 데이 등이 출연했다. 귀스타브 도레의 삽화와 요하네스 페르메이르의 그림에서 영감을 얻은 미술, 장 마레의 특수 분장, 조르주 오릭의 음악 등이 특징이다. 개봉 당시 호평을 받았으며, 이후 다양한 작품에 영향을 미쳤다. 1948년 대한민국에서 개봉된 최초의 프랑스 영화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 콕토 감독 영화 - 시인의 피
    《시인의 피》는 예술가의 무의식과 초현실적인 세계를 담아 폭력, 죽음, 운명 등을 다루는 초현실주의 영화이다.
  • 장 콕토 감독 영화 - 오르페의 유언
    장 콕토가 감독하고 주연을 맡았으며 에두아르 데르미스, 장 마라이, 마리아 카사레스 등이 출연하고 피에르 구프로이가 미술을 담당한 1960년 영화가 《오르페의 유언》이다.
  • 미녀와 야수 영화 - 미녀와 야수 (2017년 영화)
    엠마 왓슨과 댄 스티븐스 주연의 《미녀와 야수》는 1991년 애니메이션 영화를 실사화한 뮤지컬 영화로, 벨과 야수의 사랑 이야기를 통해 진정한 사랑과 사회적 편견 극복 메시지를 전달하며 흥행에 성공했지만, 르푸 캐릭터의 동성애 묘사 논란도 있었다.
  • 미녀와 야수 영화 - 미녀와 야수 (1991년 영화)
    미녀와 야수 (1991년 영화)는 18세기 프랑스 동화를 원작으로, 오만하고 이기적인 왕자가 야수로 변하는 저주와 그 저주를 풀기 위해 야수를 진정으로 사랑해야 하는 벨이라는 소녀의 이야기를 그린 월트 디즈니의 애니메이션 뮤지컬 로맨스 영화이다.
  • 디아나 - 황금가지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의 《황금가지》는 전 세계 신화, 마술, 종교 의례를 비교 분석하여 인류 사고방식의 진화를 주장하고 신성왕, 희생양, 금기, 주술 등의 주제를 탐구한 저서로, 종교 비교 연구로서 의의를 가지나 비판 또한 존재한다.
  • 디아나 - 포이베
    포이베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순수하고 밝은"의미의 티탄 여신으로, 코이오스와 결혼하여 레토와 아스테리아를 낳았으며, 아폴론과 아르테미스의 할머니이자 델포이 신탁소를 다스린 여신으로 전해진다.
미녀와 야수 (1946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포스터
영화 포스터
원제La Belle et la Bête
영어 제목Beauty and the Beast
한국어 제목미녀와 야수
장르드라마
판타지
원작잔-마리 르프랭스 드 보몽의 "미녀와 야수"
제작
제작자앙드레 폴베
배급사DisCina
감독
감독장 콕토
각본
각본가장 콕토
출연
출연 배우장 마레
조제트 데이
밀라 파렐리
나네 제르몽
미셸 오클레르
마르셀 앙드레
음악
음악가조르주 오리크
촬영
촬영 감독앙리 알레캉
편집
편집자클로드 이베리아
개봉
프랑스 개봉일1946년 10월 29일
일본 개봉일1948년 1월 27일
상영 시간
상영 시간93분
국가
제작 국가프랑스
언어
사용 언어프랑스어
흥행
프랑스 관객 수4,202,951명

2. 줄거리

벨은 집에서 바닥을 닦다가 오빠의 친구 아브네망에게 방해를 받는다. 아브네망은 벨에게 더 나은 삶을 누릴 자격이 있다며 청혼하지만, 벨은 아버지의 배가 침몰하여 가산을 탕진하고 고생하시는 아버지를 돌보기 위해 집에 머물고 싶다며 거절한다. 벨의 아버지는 큰 재산을 찾았다는 소식을 듣고 딸들인 벨과 심술궂은 언니 아델라이드와 펠리시를 위한 선물을 가져올 것이라고 말하며 집에 돌아온다. 벨의 장난기 많은 오빠 루도빅은 곧 부자가 될 것이라고 믿고 사채업자와 계약을 맺는데, 여기에는 아버지가 빚을 갚지 못하면 고소할 수 있다는 조항이 있었다. 벨의 언니들은 선물로 원숭이와 앵무새를 요구했지만, 벨은 장미 한 송이만을 원한다.

다음 날, 벨의 아버지는 도착하여 자신의 재산이 빚을 청산하기 위해 압류되었고 이전처럼 무일푼이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는 숙박할 돈이 없어 밤에 숲을 통해 집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었다. 그는 숲에서 길을 잃고, 문과 문이 마법처럼 저절로 열리는 큰 성에 도착한다. 성에 들어가자 그는 마법의 촛대에 이끌려 풍성한 만찬이 차려진 식탁으로 안내받고 잠이 든다. 큰 으르렁거림에 잠에서 깨어난 그는 성의 구석구석을 돌아다닌다. 벨이 장미를 원했다는 것을 기억하고, 나무에서 장미를 따는데, 이때 야수가 나타난다. 야수는 그를 도둑질로 죽이겠다고 위협하지만, 그의 딸 중 한 명이 그의 자리를 대신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야수는 숲과 집으로 안내하기 위해 그의 말 매그니피센트를 제공한다.

벨의 아버지는 가족과 아브네망에게 상황을 설명한다. 벨은 아버지를 대신하기로 동의하고 매그니피센트를 타고 성으로 간다. 야수를 만나자 벨은 괴물 같은 그의 모습에 기절하고 성의 방으로 옮겨진다. 벨은 깨어나 무엇이든 볼 수 있는 마법 거울을 발견한다. 야수는 벨을 저녁 식사에 초대하여 자신과 동등한 지휘권을 가지고 있으며 매일 결혼을 제안받을 것이라고 말한다. 벨은 야수에게 점점 더 익숙해지고 친밀해지지만 결혼은 계속 거절한다. 마법 거울을 사용하여 벨은 아버지가 위독해졌다는 것을 알게 된다. 벨은 가족을 방문할 수 있도록 간청하고, 야수는 1주일 동안 떠날 수 있도록 허락한다. 그는 벨에게 두 개의 마법 아이템을 준다. 어디든 원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장갑과 야수의 진정한 부의 원천인 다이애나의 파빌리온을 여는 황금 열쇠이다. 그는 벨에게 이 귀중한 물건을 주는 것은 그녀에 대한 자신의 신뢰를 보여주는 것이며, 일주일 안에 돌아오지 않으면 슬픔으로 죽을 것이라고 말한다.

벨은 장갑을 사용하여 병상에 누워있는 아버지의 방에 나타나고, 그녀의 방문은 아버지를 건강하게 회복시킨다. 벨은 가족이 루도빅의 사채업자와의 거래에서 회복하지 못하고 빈곤 속에서 살고 있는 것을 발견한다. 성에서 부유한 벨의 삶을 질투하는 아델라이드와 펠리시는 그녀의 황금 열쇠를 훔쳐 루도빅과 아브네망을 야수에 대항하게 하려는 계획을 세운다. 아브네망과 루도빅은 야수를 죽이려는 자신의 계획을 세우고 벨의 언니들을 돕기로 동의한다. 벨을 늦추기 위해 언니들은 벨을 사랑하는 척하며 그녀가 7일의 제한 시간을 넘기도록 속인다. 벨은 마지못해 머물기로 동의한다.

야수는 마법 거울을 든 매그니피센트를 보내 벨을 데려오려 하지만 루도빅과 아브네망이 먼저 매그니피센트를 발견하고 성으로 타고 간다. 벨은 나중에 거울을 발견하고 그 반사 속에서 야수의 슬픈 얼굴을 본다. 거울이 깨지면서 벨은 황금 열쇠가 없다는 것을 깨닫는다. 괴로워하는 벨은 마법 장갑을 사용하여 성으로 돌아와 마당에서 심장이 부러져 죽어가는 야수를 발견한다.

한편, 아브네망과 루도빅은 다이애나의 파빌리온을 우연히 발견한다. 훔친 열쇠가 함정을 작동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여 파빌리온 벽을 타고 올라간다. 야수가 벨의 품에서 죽자 아브네망은 유리 지붕을 통해 파빌리온에 침입하는데, 그러자 다이애나의 움직이는 조각상이 화살을 쏘아 아브네망을 야수로 변하게 한다. 이 일이 일어나자 죽은 야수가 누워 있던 곳에서 아르당트 왕자가 나타나 야수의 저주에서 벗어난다. 그는 부모가 영혼을 믿지 않았기 때문에 영혼들이 복수로 그를 야수로 만들었다고 설명한다. 아르당트 왕자와 벨은 포옹하고 그의 왕국으로 날아가 그녀는 왕비가 된다. 그는 아버지가 그들과 함께 머물 것이고 벨의 언니들은 그녀의 가운 옷자락을 들고 다닐 것이라고 약속한다.

3. 등장인물

이 영화에는 장 마레가 야수, 왕자, 아브낭의 1인 3역을 맡았고, 조제트 데이가 벨 역을 연기했다. 벨의 아버지 역은 마르셀 앙드레, 벨의 언니들인 펠리시와 아델라이드 역은 각각 밀라 파렐리와 난 제르몽이 맡았다. 벨의 오빠 뤼도빅 역은 미셸 오클레르, 고리대금업자 역은 라울 마르코가 연기했다.

이 영화는 일본에서도 더빙되어 방영되었으며, 후지TV판, 도쿄12ch(TV 도쿄)판, TBS판 등 여러 버전이 존재한다. 각 더빙판은 서로 다른 성우진, 연출, 번역을 사용했다.[12]

3. 1. 주요 등장인물

wikitext

배우역할
장 마레야수 / 왕자 / 아브낭
조제트 데이
마르셀 앙드레벨의 아버지
밀라 파렐리펠리시
난 제르몽아델라이드
미셸 오클레르뤼도빅
라울 마르코고리대금업자


3. 2. 조연


  • 장 마레 - 아브낭 역
  • 미셸 오클레르 - 루도빅 역
  • 라울 마르코 - 고리대금업자 역
  • 마르셀 앙드레 - 벨의 아버지 역
  • 밀라 파렐리 - 펠리시 역
  • 난 제르몽 - 아델라이드 역


역할배우일본어 더빙
후지TV판도쿄12ch(TV 도쿄)판TBS판
야수장 마레야마우치 마사토아오노 타케시쓰가야마 마사타네
왕자
아브낭야스하라 요시토
벨(미녀)Josette Day|조제트 데이프랑스어키타자토 미유키무토 레이코
펠리시Mila Parély|밀라 파렐리프랑스어타치이 히사코
아델레이드Nane Germon|난느 제르몽프랑스어모리타 이쿠요
뤼도빅Michel Auclair|미셸 오클레르프랑스어아키모토 요우스케
고리대금업자Raoul Marco|라울 마르코프랑스어마에자와 미치오
벨의 아버지Marcel André|마르셀 앙드레프랑스어미야자와 겐
기타코지마 토시히코
연출코바야시 모리오마쓰카와 리쿠
번역이리에 아쓰코
효과
조정
제작도호쿠 신샤[12]잭 프로모션
해설
초기 방송1961년 10월 30일
『텔레비전 명화좌』
1978년 9월 29일
『추억의 명작 외화극장』
1986년 7월 18일
『금요 로드쇼』


4. 제작

이 영화의 음악은 조르주 오리크가 작곡했다.[1][6] 크리스티앙 베라르와 뤼시앙 카레가 미술 감독을 맡았으며,[6] 귀스타브 도레삽화조각, 요하네스 페르메이르의 그림에서 영감을 받아 세트 디자인과 촬영 기법을 기획했다. 야외 장면은 앵드르에루아르주 로슈 쿠르봉 성에서 촬영되었다.

4. 1. 각본

장 콕토는 잔 마리 르프랭스 드 보몽 부인의 동화를 바탕으로 직접 각본을 집필하며, 자신만의 시적이고 철학적인 요소를 가미하였다. 영화 시작 부분에는 서면 서문을 삽입하여 관객들에게 어린아이와 같은 순수한 마음으로 영화를 감상할 것을 당부한다.[4]

L'enfance croit ce qu'on lui raconte et ne le met pas en doute. Elle croit qu'une rose qu'on cueille peut attirer des drames dans une famille. Elle croit que les mains d'une bête humaine qui tue se mettent à fumer et que cette bête en a honte lorsqu'une jeune fille habite sa maison. Elle croit mille autres choses bien naïves.프랑스어

C'est un peu de cette naïveté que je vous demande et, pour nous porter chance à tous, laissez-moi vous dire quatre mots magiques, véritable «sésame ouvre-toi» de l'enfance:프랑스어

Il était une fois...프랑스어

:아이들은 우리가 하는 말을 믿고 의심하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장미 한 송이를 꺾는 것이 가족에게 갈등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믿습니다. 그들은 인간의 짐승의 손이 희생자를 죽일 때 연기가 나고, 어린 소녀가 그의 집에 살 때 그가 수치심을 느낄 것이라고 믿습니다. 그들은 다른 수천 가지의 순진한 것들을 믿습니다.

:저는 여러분에게 이러한 어린아이 같은 순수함을 조금만 부탁드립니다. 우리 모두에게 행운을 가져다주기 위해, 어린 시절의 진정한 마법의 단어, "열려라 참깨"라고 할 수 있는 네 단어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옛날 옛날에...

프랑스 밀리라포레(Milly-la-Foret)에 있는 장 콕토의 집(Jean Cocteau House)에 전시된 원본 시나리오의 페이지

4. 2. 촬영

앙리 알레캉이 촬영 감독을 맡아, 흑백 화면을 통해 빛과 그림자의 대비를 극대화하여 몽환적이고 신비로운 분위기를 연출했다. 귀스타브 도레의 삽화와 판화, 얀 페르메이르의 그림에서 영감을 받은 세트 디자인과 촬영 기법은 영화의 시각적 완성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야외 촬영은 주로 프랑스의 라레 성, 루아몽 수도원, 로슈코르봉의 투보아 물레방앗간 등에서 진행되었다.

야외 촬영 장소는 다음과 같다.

지역장소
우아즈라레 성
발두아즈루아몽 수도원
앵드르에루아르벨의 집은 로슈코르봉(Rochecorbon)에 있는 투보아의 물레방앗간(Le Moulin de Touvoie)
파르세메슬레(Parçay-Meslay)
알프마리팀에즈



스튜디오 촬영 장면은 다음 장소에서 촬영되었다.

지역장소
발드마른 생모리스프랑스튜디오
에피네쉬르센에끌레르 스튜디오
조앙빌르퐁조앙빌 스튜디오



처음에 장 마레는 사슴 머리를 사용하려고 했지만, 라 샤트 블랑슈에서 마법 성의 문 두드리는 것이 사슴 머리였기 때문에 그 생각을 포기했다.[1] 그는 또한 그것이 켈트 신 케르누노스의 뿔 달린 신화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했다.[1] 게다가 장 콕토는 관객들이 위험하고 사나운 짐승에게 사슴 머리가 우스꽝스럽다고 생각할 것이라고 생각했다.[1] 그들은 장 마레의 알래스카 허스키, 뮬룩을 짐승 얼굴의 모델로 사용했다.[1]

짐승의 분장과 보철물은 부착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는데, 짐승 가면을 붙이는 데 약 3시간, 각 발톱 하나에 1시간이 걸렸다.[1] 이빨은 배우의 입에 걸어야 했는데, 이는 식사하기에 매우 실용적이지 않았다.[1] 이 때문에 배우는 주로 수프를 먹었다.[1]

4. 3. 미술

크리스티앙 베라르와 뤼시앙 카레가 미술 감독을 맡아,[6] 화려하면서도 섬세한 세트와 의상을 제작하여 영화의 판타지적인 분위기를 극대화했다. 세트 디자인과 촬영은 귀스타브 도레삽화조각을, 농가 장면에서는 요하네스 페르메이르의 그림을 연상시키도록 기획했다.

4. 4. 특수 분장

장 마레가 연기한 야수의 특수 분장은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기술이었다. 처음에는 사슴 머리를 사용하려 했으나, 라 샤트 블랑슈에서 마법 성의 문 두드리는 것이 사슴 머리였고 관객들이 우스꽝스럽다고 생각할 것을 우려하여 장 마레의 알래스카 허스키 '뮬룩'을 모델로 삼았다.[6]

야수의 가면과 보철물 부착에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가면을 붙이는 데 약 3시간, 각 발톱 하나에 1시간이 소요되었다.[6] 이빨은 배우의 입에 걸어야 했기 때문에 식사에도 어려움이 있어, 장 마레는 주로 수프를 먹어야 했다.[6]

장 콕토는 자신의 영화 일지에서 야수의 클로즈업 샷이 사슴과 닮았다고 언급했다. 그는 르네 클레망이 짐승 뒤에 숨어 막대기로 귀를 움직여 세우는 장면에서 그 효과가 놀라웠다고 기록했다.[6]

야수의 분장은 6대째 오노에 키쿠고로의 『영화 鏡獅子』에서 힌트를 얻었다고 전해진다.[13]

4. 5. 음악

이 영화의 음악은 조르주 오리크가 작곡했으며, 앙리 알캉이 촬영했다.[1][6]

5. 평가

1948년 일본에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처음으로 개봉된 프랑스 영화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14]

6. 수상


  • 1946년 루이 델뤼크 상 수상
  • 1946년 칸 영화제 그랑프리 후보 지명
  • 1948년 밤비 어워드 장 마레 남우주연상 후보 지명
  • 영국영화협회가 선정한 14세 이전에 봐야 할 50대 영화 목록에 포함

7. 영향

《미녀와 야수》는 이후 수많은 영화, 연극, 오페라, 뮤지컬 등에 영감을 주었으며, 다양한 형태로 재해석되었다. 자크 드미 감독의 1970년 영화 《당나귀 가죽》, 스티비 닉스의 1983년 노래 "Beauty and the Beast", 1994년 필립 글래스의 오페라 《미녀와 야수》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1] 1984년 TV 시리즈 《요정 이야기 극장》의 에피소드 중 하나는 이 영화에 대한 오마주로 제작되었다.[2]

8. 한국과의 관계

La Belle et la Bête프랑스어1948년 대한민국에서 개봉된 최초의 프랑스 영화였다.[14]

참조

[1] 웹사이트 Box Office Figures for Jean Marais films http://www.boxoffice[...]
[2] 웹사이트 LA BELLE ET LA BETE https://web.archive.[...] 2016-04-14
[3] 웹사이트 Jean Cocteau's Acclaimed Films https://web.archive.[...] They Shoot Pictures, Don't They 2016
[4] 웹사이트 La belle et la bête de Jean Cocteau https://web.archive.[...] LM2E 2012-03-30
[5] 웹사이트 Feeling Possessive? https://www.legalwri[...] 2023-10-10
[6] 웹사이트 La Belle et la Bete (1946) https://movies.nytim[...] The New York Times 2011-10-25
[7] 간행물 Good & French https://content.time[...] 2011-10-25
[8] 뉴스 Beauty and the Beast (1946) https://www.rogerebe[...] 2011-10-25
[9] 뉴스 Simple Twists of Fate https://web.archive.[...] 2011-09-19
[10] 웹사이트 The 100 Best Films Of World Cinema – 26. Beauty and the Beast http://www.empireonl[...]
[11] 서적 The Greenwood Encyclopedia of Folktales and Fairy Tales: G–P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12] 학술지 東北新社とSFテレビの新時代 https://kenshoikeda.[...] 2004-12
[13] 서적 コクトー、1936年の日本を行く 中央公論新社
[14] 서적 近代日本総合年表 第四版 岩波書店 2001-1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