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델뷔르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델뷔르흐는 네덜란드 젤란트주에 위치한 도시로, 8세기 후반 또는 9세기 초에 형성되었다. 1217년 도시 권리를 부여받았으며, 중세 시대에는 영국과 플랑드르 사이의 무역 중심지였다. 17세기에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중요한 중심지가 되었고, 1940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구시가지의 일부가 파괴되었으나 전쟁 후 재건되었다. 현재는 역사적인 건물과 운하를 보존하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 시설과 스포츠 클럽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일란트주의 도시 - 테르뇌전
테르뇌전은 네덜란드 젤란트주에 위치한 겐트-테르뇌전 운하의 항구 도시로, 네덜란드에서 세 번째로 큰 항구이며 다우 케미컬의 공장이 있고, 날으는 네덜란드인 전설과 관련된 도시이다. - 제일란트주의 도시 - 플리싱언
플리싱언은 네덜란드 스헬데 강 어귀의 항구 도시로서 1400년이 넘는 역사를 지니고 어업, 상업, 사략선 활동, 노예 무역의 중심지였으며 역사적 격변기를 거쳐 현재는 젤란트 지역의 경제 중심지이자 해양성 기후로 온화한 기온과 풍부한 일조량을 자랑하고 역사적인 인물들을 배출했다. - 네덜란드의 주도 - 헤이그
헤이그는 네덜란드 정부의 중심지이자 "평화와 사법의 국제도시"로서, 국제사법재판소를 비롯한 주요 국제기구의 본부가 위치한 국제적인 도시이다. - 네덜란드의 주도 - 즈볼러
네덜란드 오버아이셀주의 도시 즈볼러는 여러 강으로 둘러싸인 언덕에 위치하며 한자 동맹 가입 후 무역 중심지로 성장했고, 중세 시대 공동 생활 형제회의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역사적 건축물과 미슐랭 레스토랑, 그리고 여러 도시와의 자매 결연으로 알려져 있다. - 네덜란드의 도시 - 헤이그
헤이그는 네덜란드 정부의 중심지이자 "평화와 사법의 국제도시"로서, 국제사법재판소를 비롯한 주요 국제기구의 본부가 위치한 국제적인 도시이다. - 네덜란드의 도시 - 틸뷔르흐
틸뷔르흐는 네덜란드 북브라반트주에 위치한 도시로, 중세 시대에는 지역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다가 1809년에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과거 양모 산업 중심에서 현재는 다양한 산업과 물류 산업, 문화 시설, 교육 기관, 그리고 쾌적한 자연환경을 갖춘 도시이다.
미델뷔르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네덜란드 제일란트주 |
소재지 | 미델뷔르흐 시청사 |
행정 구역 종류 | 도시 및 지방 자치체 |
시청 소재지 | 미델뷔르흐 시청사 |
시장 | 하랄트 베르흐만 |
시의회 | 지방 자치 의회 |
시장 소속 정당 | VVD |
면적 | 53.05km² |
육지 면적 | 48.64km² |
수면 면적 | 4.41km² |
고도 | 3m |
시간대 | CET |
UTC 오프셋 | +1 |
서머타임 시간대 | CEST |
서머타임 UTC 오프셋 | +2 |
우편 번호 | 4330–4341 |
지역 번호 | 0118 |
웹사이트 | 미델뷔르흐 공식 웹사이트 |
![]() | |
인구 | |
총 인구 | 48,544명 |
인구 밀도 | 1,003명/km² |
인구 기준 년도 | 2019년 |
인구 통계 | 미델뷔르허 |
기타 정보 | |
로마자 표기법 | Middelburg |
네덜란드어 발음 (IPA) | /ˈmɪdəlbʏr(ə)x/ |
2. 역사
1559년부터 1603년까지 미델뷔르흐는 젤란트 전체를 관할하는 가톨릭 교구의 주교좌였다. 80년 전쟁 중에는 장기간의 포위 공격(1572~1574) 끝에 스페인군으로부터 네덜란드 반군에게 함락되었다.[5]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인 1940년 5월 17일, 독일군의 폭격으로 구시가지의 약 3분의 1이 파괴되었다. 폭격 주체가 독일 폭격기인지 프랑스 포병인지는 아직 불확실하다.[5] 1944년 11월 6일, 인파튜에이트 작전 중 영국군이 도시를 점령하고 해방시켰다.[6] 전쟁 후, 파괴된 구시가지 대부분은 최대한 전쟁 이전 모습으로 재건 및 복원되었으나, 도시 기록 보관소는 소실되었다.
현대 미델뷔르흐는 운하를 따라 암스테르담에서 볼 수 있는 것과 유사한 양식의 화려한 17, 18세기 상인 주택과 창고들이 있는 등 역사적이고 그림 같은 특징을 많이 보존하고 되찾았다. 구시가지 해자는 여전히 남아 있으며, 코에포르트 게이트와 바르켄스포르트 게이트라는 두 개의 성문도 보존되어 있다. 그러나 18세기 해자와 방어 시설 일부는 플리싱언에서 베레까지 왈헤렌을 가로지르는 상업용 운하 건설을 위해 19세기에 철거되었다.
2. 1. 초기 역사


미델뷔르흐 시는 아마도 8세기 후반 또는 9세기 초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미델뷔르흐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바이킹 습격에 대비하여 왈헤렌(당시 섬이었음)에 세워진 세 개의 요새 도시("borgs") 중 하나로 언급된 것이다. 844년에는 그 지역에 수도원이 세워졌는데, 종교 개혁까지 활동적인 가톨릭 기관으로 남아 있었다. 중델부르흐의 "웅장하고 그림 같은" 대성당의 기초는 10세기에 처음 마련되었으며, 중세 시대를 거치면서 추가적인 건설이 계속되었다.
미델뷔르흐는 1217년 도시 권리를 부여받았다. 중세 시대 동안 영국과 부상하는 플랑드르 도시들 사이의 무역에서 중요한 무역 중심지가 되었으며, 이는 제프리 초서가 그의 ''캔터베리 이야기''에서 언급한 사실이다. 이 도시는 13세기와 14세기에 걸쳐 계속해서 권력과 명성을 얻었다.
2. 2. 중세 시대
미델뷔르흐 시는 8세기 후반 또는 9세기 초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미델뷔르흐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바이킹의 습격에 대비하여 왈헤렌(당시 섬이었음)에 세워진 세 개의 요새 도시("borgs") 중 하나로 언급된 것이다. 844년에는 그 지역에 수도원이 세워졌는데, 종교 개혁까지 활동적인 가톨릭 기관이었다. 미델뷔르흐의 "웅장하고 그림 같은" 대성당의 기초는 10세기에 처음 마련되었으며, 중세 시대를 거치면서 추가적인 건설이 계속되었다.
미델뷔르흐는 1217년 도시 권리를 부여받았다. 중세 시대 동안 영국과 부상하는 플랑드르 도시들 사이의 무역에서 중요한 무역 중심지가 되었으며, 이는 제프리 초서가 그의 ''캔터베리 이야기''에서 언급한 사실이다. 이 도시는 13세기와 14세기에 걸쳐 계속해서 권력과 명성을 얻었다.
2. 3. 네덜란드 황금기
17세기(네덜란드 황금기)에 미델뷔르흐는 홀란트의 중심지 암스테르담 다음으로 7개 연합 네덜란드 공화국에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의 가장 중요한 중심지가 되었다. 따라서 미델뷔르흐는 17세기 노예 무역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메나세 벤 이스라엘의 아들인 사무엘 벤 이스라엘은 중델부르흐 시벽 밖 '요덴강'에 있는 세파르디 매장지에 묻혀 있다. 메나세 벤 이스라엘은 크롬웰과 협상하여 영국과 그 식민지에 유대인의 입국을 허용했다. 중델부르흐에는 시벽 안 왈렌징겔에 위치한 아슈케나지 매장지도 있다.
2. 4. 근현대

1559년부터 1603년까지 중델부르흐는 젤란트 전체를 관할하는 가톨릭 교구의 주교좌였다. 80년 전쟁 중에는 장기간의 포위 공격(1572~1574) 끝에 스페인군으로부터 네덜란드 반군에게 함락되었다.[5] 이후 저지대 북부 지방은 스페인 합스부르크 통치로부터 독립하여 개신교 국가인 네덜란드 공화국을 세웠다. 17세기 (네덜란드 황금기)에 중델부르흐는 홀란트의 암스테르담에 이어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의 가장 중요한 중심지가 되었다. 이러한 배경으로 중델부르흐는 17세기 노예 무역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메나세 벤 이스라엘의 아들 사무엘 벤 이스라엘은 중델부르흐 시벽 밖 '요덴강'에 있는 세파르디 묘지에 묻혔다. 메나세 벤 이스라엘은 크롬웰과 협상하여 영국과 그 식민지에 유대인 재입국을 허용받았다. 중델부르흐에는 시벽 안 왈렌징겔에 아슈케나지 묘지도 있다. 1994년에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부분적으로 파괴되었던 시나고그가 복원되었다. 이 시나고그는 네덜란드 황금기에 세 번째로 건설된 것이었다. 기차역 홀에는 중델부르흐 기차역에서 죽음의 수용소로 향하는 여정을 시작한 젤란트 유대인들을 기리는 추모 명판이 있다.
1940년 5월 17일, 제2차 세계 대전 초기 독일군의 폭격으로 구시가지의 약 3분의 1이 파괴되었다. 폭격 주체가 독일 폭격기인지 프랑스 포병인지는 아직 불확실하다.[5] 1944년 11월 6일, 인파튜에이트 작전 중 영국군이 도시를 점령하고 해방시켰다.[6] 전쟁 후, 파괴된 구시가지 대부분은 최대한 전쟁 이전 모습으로 재건 및 복원되었다. 그러나 도시 기록 보관소는 독일군 폭격으로 소실되었다.
현대 중델부르흐는 역사적이고 그림 같은 특징을 많이 보존하고 되찾았다. 운하를 따라 암스테르담에서 볼 수 있는 것과 유사한 양식의 화려한 17, 18세기 상인 주택과 창고들이 있다. 구시가지 해자는 여전히 남아 있으며, 코에포르트 게이트와 바르켄스포르트 게이트라는 두 개의 성문도 보존되어 있다. 그러나 18세기 해자와 방어 시설 일부는 플리싱언에서 베레까지 왈헤렌을 가로지르는 상업용 운하 건설을 위해 19세기에 철거되었다. 중세 수도원은 현재 박물관과 지방 정부 청사로 사용되고 있다.
3. 인구
연도 | 인구 | ±% |
---|---|---|
1398년 | 6,300명 | — |
1576년 | 7,000명 | +11.1% |
1600년 | 20,000명 | +185.7% |
1675년 | 27,000명 | +35.0% |
1739년 | 25,000명 | -7.4% |
1795년 | 17,687명 | -29.3% |
4. 문화
빌럼 오렌지 공이 1575년 네덜란드 최초의 대학교를 설립하려고 했을 때, 처음에는 미델뷔르흐에 세우려고 했다. 그러나 결국 레이던에 대학교를 설립하기로 결정했다. 2004년 위트레흐트 대학교와 협력 관계인 로스벨트 아카데미(구 로스벨트 대학교)가 설립되기 전까지 미델뷔르흐와 제일란트 지역 전체에는 대학교가 없었다. HZ 응용과학대학교의 캠퍼스도 미델뷔르흐에 있지만, 본부는 근처 도시인 플리싱언에 있다.
4. 1. 문화 시설
- 제우어스 박물관(Zeeuws Museum)
- 플레살
- 샤키 초콜릿 박물관(Sjakie's Chocolademuseum)[13]
- 제우어스 기록보관소(Zeeuws Archief)[14]
- 제우어스 도서관(Zeeuwse Bibliotheek)
- 센터 벨던데 쿤스트(Centrum Beeldende Kunst)
- 로스벨트 대학교
4. 2. 극장 및 콘서트 홀
- 쇼우뷔르흐(Schouwburg)
- 콘서트잘 젤란드(Concertzaal Zeeland)
- 스피겔테아터(Spiegeltheater)
- 미니테아터(Minitheater)
- 필름테아터 슈터스호프(Filmtheater Schuttershof)
- UCR 스탠드업 코미디 극장(UCR Stand up comedy theatre)
4. 3. 관광 명소

- 더 애비(The Abbey)
- 쿠이퍼스포르트(Kuiperspoort)
- 랑에얀(Lange Jan)
- 시청
- 오스트케르크(Oostkerk)
- 담플레인(Damplein)
4. 4. 교육
빌럼 오렌지 공이 1575년 네덜란드 최초의 대학교 설립을 결정했을 때, 처음에는 미델뷔르흐에 설립하는 것을 고려했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레이던을 선택했고, 미델뷔르흐와 제일란트 전 지역은 위트레흐트 대학교와 제휴한 로스벨트 아카데미(구 로스벨트 대학교)가 설립된 2004년까지 대학교가 없었다. HZ 응용과학대학교의 캠퍼스 또한 이 도시에 있지만, 이 기관의 본부는 인근 도시인 플리싱언에 있다.5. 스포츠
미델뷔르흐에는 오에무에메노에(Oemoemenoe)라는 럭비 클럽과 MZVC, 질란디아 미들뷔르흐(Zeelandia Middelburg), 용암본(Jong Ambon), FC 다우웬다엘레(FC Dauwendaele) 등 네 개의 축구 클럽이 있다. 용암본은 대부분 암본 출신 선수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FC 다우웬다엘레는 다우웬다엘레 지역의 클럽이다.
선수 | 종목 | 주요 경력 |
---|---|---|
얀 포르트플리트(Jan Poortvliet) | 축구 | 531경기 출전 기록을 가진 은퇴한 축구 수비수 |
엘리자베스 빌레보르드세(Elisabeth Willeboordse) | 유도 | 2008년 하계 올림픽 동메달리스트 |
6. 교통
미델뷔르흐에는 기차역이 있으며, 플리싱언, 고스, 로젠달, 로테르담, 헤이그, 라이덴, 하를렘, 암스테르담으로 가는 시외 열차가 운행된다. 매 시간마다 양방향으로 4대의 열차가 출발한다.[15]
7. 자매 도시
8. 저명한 출신 인물
미델뷔르흐 출신 저명한 인물로는 현미경 발명가 안토니 반 레이벤호크, 이스터 섬을 발견한 탐험가 야코프 로헤베엔, 유도 선수 엘리자베트 빌보르더스 등이 있다.
8. 1. 예술 및 문화
암브로시우스 보스하르트 1세(1573–1621)는 네덜란드 황금기의 정물화 화가로, 대부분의 생애를 미델뷔르흐에서 보냈다. 그의 세 아들 요하네스 보스하르트(1606/08–1628/29), 암브로시우스 보스하르트 2세(1609–1645), 아브라함 보스하르트 2세(1612–1643) 모두 네덜란드 황금기의 화가였다.피터르 가알(1769–1819)은 유럽 전역을 여행하며 그림을 그린 화가로, 미델뷔르흐에서 태어나 정착하여 사망했다.
야코프 로헤베엔(1659-1729)은 미델뷔르흐 출신의 제독이자 탐험가이다. 그는 1659년 이 도시에서 태어나 1729년에 사망했다. 로헤베엔은 1722년 4월 6일 부활절 일요일에 남태평양의 이스터 섬(라파누이)을 발견했으며, 같은 항해에서 투아모투 제도의 섬들(현재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의 일부)을 추가로 발견했다.
페트로넬라 요하나 더 팀머만(1723-1786)은 과학자이자 시인으로, 1723년 미델뷔르흐에서 태어났다. 1774년 Kunstliefde Spaart Geen Vlijt 학회의 명예 회원이 되었으며, 프랑스 희곡에서 번역한 시를 학회에 발표하기도 했다. 1786년 유트레히트에서 사망했다.



다음은 미델뷔르흐 출신 예술 및 문화계 주요 인물 목록이다.
인물 | 분야 | 생몰년 | 주요 활동 |
---|---|---|---|
호르텐시아 델 프라도 | 원예가, 귀족 여성 | ? - 1627 | |
아드리아누스 발레리우스 | 시인, 작곡가 | 약 1575 – 1625 | |
야코프 판 헤일 | 화가 (네덜란드 황금기) | 약 1585 – 1648 | |
크리스토펠 판 덴 베르헤 | 화가 (네덜란드 황금기, 풍경화) | 약 1590 – 약 1645 | |
발타사르 판 더 아스트 | 화가 (네덜란드 황금기) | 1593/94 – 1657 | |
피터르 더 푸터 | 화가 (네덜란드 황금기, 정물화) | 약 1600 – 1659 | |
다니엘 더 블리크 | 화가, 드로잉 아티스트, 건축가 (네덜란드 황금기) | 약 1610 – 1673 | |
필립스 엔젤 1세 | 화가 (네덜란드 황금기, 정물화) | 1616–1683 | |
아리아나 노제만 | 배우 (네덜란드 최초의 여배우) | 1626/1628 – 1661 | |
피터르 보르셀러 | 초상화가 (영국에서 활동) | 약 1633 – 약 1687 | |
피터르 부스틴 | 작곡가, 오르가니스트, 하프시코드 연주자, 카리용 연주자 | 1649–1729 | |
아드리아엔 코르테 | 화가 (네덜란드 황금기, 정물화) | 약 1665 – 약 1707 | |
바렌드 코르넬리스 쿠크쿠크 | 풍경화가, 석판화가 | 1803–1862 | |
수잔나 삽블라롤레스 | 무대 배우 | 1829–1867 | |
안나 아델라이데 아브라함스 | 정물화가 | 1849–1930 | |
앙리 에두아르드 보잉크 | 작가 (문학적 지역주의 작품) | 1851–1925 | |
헤르만 요하네스 판 데르 베일 | 화가 (제2차 헤이그 학파) | 1852–1930 | |
피터르 코르넬리스 바우텐스 | 시인, 고전주의자, 신비주의자 | 1870–1943 | |
요스트 발주 | 화가, 조각가, 작가 | 1925–1991 | |
폴 판 더 핀 | 색소폰 연주자 | 1978년생 | |
캐롤린 릴리팔리 | 뉴스 앵커, 배우 | 1969년생 | [7] |
스테판 더 브리스 | 작가, 언론인 | 1970년생 | [8] |
안토니 반 레이벤호크 | 현미경 발명가 | ||
야코프 로헤베엔 | 탐험가 (이스터섬 발견) | ||
엘리자베트 빌보르더스 | 유도 선수 |
8. 2. 공공 및 정치
- 미델부르크의 파울(Paul of Middelburg) (1446–1534)은 플랑드르 출신의 과학자이자 포솜브로네 주교였다.[9]
- 필립 판 란스베르헤(Philippe van Lansberge) (1561–1632)는 네덜란드의 칼뱅파 목사이자 천문학자, 수학자였다.
- 존 포브스(John Forbes (Alford minister)) (약 1568–1634)는 스코틀랜드 교회 설립자였다.
- 아이작 베크만(Isaac Beeckman) (1588–1637)은 네덜란드의 철학자이자 과학자였다.
- 밸서저 저비어 경(Sir Balthazar Gerbier) (1592–1663)은 영국계 네덜란드인 궁정인이자 외교관, 미술 고문, 소형 초상화가, 건축가였다.
- 파울루스 판 더 페레(Paulus van de Perre) (약 1598 – 1653년 런던)는 네덜란드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올리버 크롬웰(Oliver Cromwell)과 협상을 벌였다.
- 아담 보렐(Adam Boreel) (1602–1665)은 네덜란드의 신학자이자 히브리어 학자였다.
- 마르가레타 산드라(Margaretha Sandra) (1629–1674)는 1672년 아르덴부르크(Aardenburg) 공성전에서 활약한 네덜란드 여성 군인이었다.
- 프레데릭 판 레엔호프(Frederik van Leenhof) (1647–1715)는 논란이 많았던 네덜란드 목사이자 철학자였다.
- 아드리안 베버랜드(Adrian Beverland) (1650 — 1716년 런던)는 네덜란드의 인문주의 학자로, 1679년 추방되어 잉글랜드에 정착했다.
- 코르넬리우스 판 빈커스호크(Cornelius van Bynkershoek) (1673–1743)는 네덜란드의 법학자이자 법 이론가였다.[10]
- 스테파누스 베르슬루이스(Stephanus Versluys) (1694–1736)는 제21대 네덜란드 세일론 총독이었다.
- 레이니에르 더 클레르크(Reynier de Klerck) (1710–1780)는 1778년부터 1780년까지 네덜란드 동인도 총독(Governor-General of the Dutch East Indies)을 역임했다.
- 라우렌스 피터 판 더 스피겔(Laurens Pieter van de Spiegel) (1736–1800)은 제일란트의 대펜셔너리(Grand Pensionary)였다.
- 피트 메르텐스(Piet Meertens) (1899–1985)는 네덜란드의 문학, 방언, 민족학 학자였다.
- 에티 힐레숨(Etty Hillesum) (1914 – 1943년 아우슈비츠)은 고백적인 편지와 일기를 쓴 네덜란드 작가였다.
- 헨드리쿠스 레오폴드(Hendricus Leopold) (1918–2008)는 네덜란드 외교관이자 초대 수리남 주재 네덜란드 대사(Ambassador of the Netherlands to Suriname)였으며, 종려 훈장(Honorary Order of the Palm) 수훈자였다.[11]
- 알베르트 더 프리스(Albert de Vries) (1955년생)는 네덜란드 정치인으로, 2002년부터 2012년까지 미델뷔르흐 시의원을 지냈다.
- 한 폴만(Han Polman) (1963년생)은 네덜란드 정치인으로, 2013년부터 제일란트 주지사를 역임하고 있다.
- 하랄드 베르크만(Harald Bergmann) (1965년생)은 네덜란드 정치인으로, 2012년부터 미델뷔르흐 시장을 맡고 있다.
8. 3. 과학 및 비즈니스
- 자카리아스 얀센(Zacharias Janssen)(1585년경 ~ 1632년경)은 네덜란드의 안경 제작자로, 주로 미델뷔르흐에서 활동했다.
- 알렉산더 대니얼(Alexander Daniell)(1599년 ~ 1668년)은 콘월 알버턴 영지(Manor of Alverton)의 유일한 소유주였다(1630/1668).
- 피터 판 아베엘레(Pieter van Abeele)(1608년 ~ 1684년)는 메달 제작가로, 속이 빈 메달을 찍어내는 기술을 완성했다.
- 얀 고다르트(Jan Goedart)(1617년 ~ 1668년)는 네덜란드의 자연 과학자, 곤충학자이자 화가였다.
- 스티븐 블랑카르트(Steven Blankaart)(1650년 ~ 1704년)는 네덜란드의 의사, 의화학자 및 곤충학자였다.
- 피터르 보다르트(Pieter Boddaert)(1730년 ~ 1795년)는 네덜란드의 의사이자 자연 과학자였다.
- 프란츠 자카리아스 에르머린스(Franz Zacharias Ermerins)(1808년 ~ 1871년)는 네덜란드 의사이자 의학 편집자였다.
- 얀 아드리아누스 헤르클로츠(Jan Adrianus Herklots)(1820년 ~ 1872년)는 네덜란드 동물학자로, 갑각류학과 극피동물을 연구했다.
- 세실 호어(Cecil Hoare) FRS(1892년 ~ 1984년)는 영국의 원생동물학자이자 기생충학자였다.
- 릴리 블리커(Lili Bleeker)(1897년 ~ 1985년)는 네덜란드 기업가이자 물리학자로, 광학 기기를 설계하고 제작했다.
- 세스 마스(Cees Maas)(1947년생)는 ING 그룹의 전 최고재무책임자였다.
- 마르텐 부이스만(Maarten Buysman)(1856년 ~ 1919년)은 미델뷔르흐에 식물원을 설립한 네덜란드 원예가이자 식물학자였다.
- 안토니 반 레이벤호크(Antonie van Leeuwenhoek)는 현미경 발명가이다.
- 야코프 로게벤(Jacob Roggeveen)은 탐험가(이스터섬 발견)이다.
참조
[1]
웹사이트
Collegeleden
http://www.middelbur[...]
Gemeente Middelburg
2013-12-04
[2]
텍스트
[3]
웹사이트
Postcodetool for 4331BK
http://www.ahn.nl/po[...]
Het Waterschapshuis
2013-12-04
[4]
텍스트
[5]
웹사이트
Middelburg
http://www.waroverho[...]
2016-04-30
[6]
서적
Buffaloes bevrijden Middelburg, 6 november 1944
Gemeente Middelburg
1990
[7]
웹사이트
IMDb Database
https://www.imdb.com[...]
2019-11-30
[8]
웹사이트
IMDb Database
https://www.imdb.com[...]
2019-11-30
[9]
백과사전
Paul_of_Middelburg
[10]
백과사전
Bynkershoek,_Cornelius_Van
[11]
뉴스
Drs. Leopold onze man in Paramaribo
https://www.delpher.[...]
1975-11-11
[12]
웹사이트
Ongekende hitte in de polder
https://meteozeeland[...]
2019-07-25
[13]
웹사이트
Home
http://www.chocolade[...]
[14]
웹사이트
Zeeuws Archief
http://www.zeeuwsarc[...]
[15]
웹사이트
NS Nieuwsarchief
https://nieuws.ns.nl[...]
ns.nl
2022-02-03
[16]
서적
The Romantic Prince
House of Stratus
2001
[17]
웹사이트
都市間の交流 ミデルブルフ市
http://www.city.nag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