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란다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란다 주는 베네수엘라 북중부에 위치한 주로, 수도 지구 및 바르가스 주와 함께 수도 지역을 형성한다. 과거에는 카리브 원주민들이 거주했으며,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치며 카라카스 시가 건설되고 여러 도시가 개발되었다. 19세기에는 그란 콜롬비아 해체 후 주로 사용되었고, 20세기에는 여러 차례의 행정 구역 개편을 겪었다. 현재 21개의 지방 자치구와 55개의 교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농업, 제조업, 상업, 관광 등 다양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진다. 주요 축제로는 팔메로스, 춤추는 악마, 산 후안 축제 등이 있다. 주지사는 엑토르 로드리게스 카스트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네수엘라의 주 - 팔콘주
팔콘 주는 베네수엘라 북서부에 위치하며, 1874년 후안 크리스토소모 팔콘 대통령의 이름을 따서 개칭되었고, 주도는 코로이며, 농업, 어업, 석유 산업,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 베네수엘라의 주 - 카라보보주
카라보보주는 베네수엘라 북부에 위치하며 주도는 발렌시아이고, 베네수엘라 독립 전쟁의 격전지이자 발렌시오이드 문화의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베네수엘라의 주요 산업 및 경제 중심지 중 하나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미란다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미란다 주 |
현지 명칭 | Estado Miranda |
위치 | 베네수엘라 |
수도 | 로스 테케스 |
설립 | 1909년 |
명칭 유래 | 프란시스코 데 미란다 |
![]() | |
![]() | |
국가 | 베네수엘라 국가 |
주가 | 미란다 주의 노래 |
상징 나무 | 로소 블랑코 (Brownea leucantha) |
행정 | |
주지사 | 엑토르 로드리게스 카스트로 (2017년–현재) |
정부 형태 | 입법 위원회 |
국회 대표 | 12석 (2016-2021년) |
지리 | |
면적 | 7,950 km² |
면적 순위 | 17위 |
베네수엘라 면적 대비 비율 | 0.87% |
인구 | |
총 인구 (2016년) | 3,222,374명 |
인구 순위 | 2위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베네수엘라 인구 대비 비율 | 10.36% |
기타 정보 | |
시간대 | VET |
UTC 오프셋 | -4 |
HDI (2019년) | 0.744 |
HDI 순위 | 2위 |
ISO 3166-2 | VE-M |
웹사이트 | 미란다 주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미란다 주는 스페인 식민지 이전 시대부터 카리브 부족들이 거주하던 지역이었다. 16세기 스페인 정복자들이 이 지역을 정복하면서 카라카스 시를 중심으로 식민 통치가 시작되었다. 식민지 시대 동안 미란다 주는 카카오, 사탕수수 등 농업 생산의 중심지였으며, 노예 노동력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2] 17세기 초부터 노예 노동은 빠르게 원주민 노동력을 대체했으며, 가장 큰 코코아 생산지였던 윈드워드 지역에 집중되었다.[4]
1568년, 카라카스 시장 프란시스코 데 인판테는 베네수엘라 원주민 저항의 대표자인 카시케 과이카이푸로를 살해했다.[6] 1572년, 스페인 정복에 맞서 싸운 카시케 타마나코도 정복자들에 의해 살해되었다.[6]
2. 1. 식민지 이전 시대
스페인 사람들이 도착했을 때, 현재 미란다 주 지역에는 카라카스족, 테케스족, 쿠마나고토스족, 마리체스족, 키리키레스족 등 다양한 카리브 부족들이 살고 있었다. 테케스족은 구아이레 남서부에, 마리체스족은 카라카스 계곡 동부에 거주했다. 이들은 수렵과 채집을 주로 하였고, 일부 부족들은 어업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스페인 정복자들이 도착하자, 이들 부족은 과이카이푸로(Guaicaipuro)와 야레(Yare)와 같은 추장들의 지휘 아래 자신들의 영토를 지키기 위해 용감하게 저항했다.[1]과이카이푸로는 정복자 디에고 데 로사다에 저항한 테케스족과 카라카스족의 전설적인 추장이었고, 추장 야레는 인디오 타마나코를 살해한 멘도사 대위를 죽인 쿠마나고토, 키리키레, 차라고토, 아라우코의 지도자였다. 모든 부족이 정복되자 스페인인들은 이 땅에 완전히 정착하여 카라카스 시를 건설했고, 이후 미란다 주 내부에 여러 도시를 건설했다.[1]
2. 2. 스페인 식민지 시대
스페인 사람들이 도착했을 때, 미란다 주 지역에는 카리브 부족들이 거주하고 있었다. 테케스족은 구아이레 남서부에, 마리체스족은 카라카스 계곡 동부에 거주했다. 이들은 수렵, 채집, 어업 등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스페인 정복자들이 도착하자 이들 부족은 과이카이푸로, 야레와 같은 추장들의 지휘 아래 용감하게 저항했다.과이카이푸로는 정복자 디에고 데 로사다에 저항한 테케스족과 카라카스족의 전설적인 추장이었다. 추장 야레는 인디언 타마나코를 살해한 멘도사 대위를 죽인 쿠마나고토, 키리키레, 차라고토, 아라우코의 지도자였다.[2] 스페인인들은 모든 부족을 정복하고 이 땅에 완전히 정착하여 카라카스 시를 건설했고, 이후 미란다 주 내부에 여러 도시를 건설했다.
식민지 시대에 이 지역은 카라카스 자치주에 속했다. 16세기 말과 17세기 초, 고지대는 밀 재배에 사용되었으며, 주로 카르타헤나 데 인디아스와 카리브해 섬으로 수출되었다. 17세기 20년대부터 코코아가 밀을 대체했으며, 모든 상업 활동은 왕립 기푸스코아 회사에 의해 독점되었다. 이는 왕권에 대한 불만과 봉기를 야기했다. 17세기 초부터 노예 노동은 빠르게 인디언 노동력을 대체했으며, 가장 큰 코코아 생산지였던 윈드워드 지역에 집중되었다. 최초의 자유 흑인들이 그들의 주인에게 반기를 들었지만, 나중에 스페인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다.[4]
1568년, 카라카스 시장 프란시스코 데 인판테는 베네수엘라 원주민 저항의 대표자인 카시케 구아이카이푸로를 살해했다.[6] 1572년, 스페인 정복에 맞서 싸운 카시케 타마나코도 정복자들에 의해 살해되었다.[6] 1580년, 기니에서 흑인 노예들이 가져온 천연두가 유행하여 3년 만에 2만 명의 원주민이 사망했다.[6] 1620년, 새로운 도시 건설이 시작되었다.[6]
1812년, 왕당파는 공화국에 대항하여 무기를 든 흑인 노예들에게 자유를 제공했다. 흑인들의 반란은 토지 소유주들에게 공포를 일으켰고 정권 붕괴로 이어졌다.[6]
2. 3. 19세기
1841년 연방 헌법은 미란다를 자치 단체로 만들었다.[1] 1861년 보수주의자와 연방주의자 사이에 일련의 전투가 발생했다.[1] 1884년 메뚜기 떼가 미란다를 휩쓸어, 그늘진 나무가 시들면서 커피와 코코아 농장이 망했다.[1] 1886년 베네수엘라 중앙 철도가 개통되었다.[1] 1891년 미란다의 새로운 구획은 카라카스, 아라과, 과리코, 누에바 에스파르타의 지방과 함께 구스만 블랑코 주에 포함되었고, 같은 해 첫 번째 인구 조사가 실시되어 미란다의 현재 행정 구역에 165,000명 이상이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 1892년 합법주의 혁명 기간 동안 호아킨 크레스포와 라이문도 안두에자 팔라시오의 군대 사이에 이 지역에서 여러 전투가 벌어졌다.[1] 1893년 카라카스 (현재의 미란다 주 포함), 과리코, 누에바 에스파르타의 영토로 미란다 주가 형성되었다.[1] 1894년 베네수엘라 대철도가 개통되었다.[1] 1897년 기술자 리카르도 훌로아가가 페타레와 과레나스 사이에 위치한 "엘 엔칸타도"에 최초의 수력 발전소를 설치하여 카라카스 시의 전기 조명 단계를 시작했다.[1] 1899년 미란디나 지역은 카라카스 지방에 포함되었다.[1]2. 4. 20세기와 21세기
1900년, 치프리아노 카스트로 장군의 법령에 따라 카라카스 주가 미란다 주에 편입되었고, 카라카스는 임시 수도를 산타 루시아에 둔 미란다 주로 개명되었다.[1] 1901년에는 주의 수도가 페타레가 되었고, 1904년에는 오쿠마레 델 투이로 변경되었다.[1]1909년에는 수도가 로스 테케스로 변경되는 중요한 변경이 이루어졌다.[1]
1982년에는 미란다 주 관보를 통해 로스 살리아스 자치구가 설립되었다.[1]
1989년, 카를로스 안드레스 페레스 대통령이 추진한 지방 분권화 이후, 아르날도 아로차가 최초로 민선 주지사로 선출되었다.[1]
2017년 10월 15일, 엑토르 로드리게스가 선거에서 카를로스 오카리스를 꺾고 미란다 주지사로 선출되었다.[1] (더불어민주당 계열의 집권 여당인 베네수엘라 통합사회주의당(PSUV) 소속)
3. 지리
미란다 주는 베네수엘라 북중부에 위치하며, 수도 지구 및 바르가스 주와 함께 수도 지역의 일부를 형성한다. 북쪽으로는 연방 구, 남쪽으로는 구아리코 주와 아라과 주, 동쪽으로는 카리브해, 서쪽으로는 아라과 주와 접한다.
동서로 긴 미란다 주는 대략 투이 강 유역과 일치한다. 투이 강은 서쪽에서 들어와 주의 남쪽을 지나 동쪽에서 카리브해로 흘러든다. 그 해안을 따라 바를로벤토 평야가 펼쳐진다. 북쪽에는 카리베 산맥(코스타 산맥)을 경계로 바르가스 주와 접하고, 남쪽의 구아리코 주와는 인테리오르 산지로 경계가 나뉜다. 주 중앙에도 서쪽에서 언덕이 갈라져 들어간다. 서쪽은 투이 강 상류의 산지로 아라과 주와 접하며, 동쪽은 해안으로 안소아테기 주와 접한다. 북서부는 수도 지구와 인접하지만, 경계는 카라카스 분지 중앙에 그어져 있어, 인구 분포상으로도 수도와 일체화되어 있다. 지세적으로는 수도 지구는 미란다 주의 일부이며, 역사적으로도 수도 지구와 미란다 주는 하나의 주 분할로 성립되었다.
주에는 서부 고지의 로스 알토스(고지), 중부의 투이 분지, 동부의 바를로벤토의 세 지방이 있다. 카라카스와 접하는 지역은 이 세 곳에 포함되지 않으며, 지방 명칭은 없다.
3. 1. 지형
미란다 주의 지형은 산맥 내에서 높은 경사면과 좁은 계곡을 가진 울퉁불퉁하고 가파른 지형이 주를 이룬다. 동부 지역은 세라니아 델 리토랄의 저지를 구성한다. 카라카스 시를 관통하는 구아이레 강은 이 지역을 두 개의 띠로 나누며, 이 띠는 지형의 기울기에 따라 바예스 델 투이와 라 데프레시온 데 바를로벤토로 구분된다.3. 2. 수계
미란다 주의 수로 특성은 짧은 길이와 낮은 유량을 보이는 강들로 특징지어지는데, 투이 강을 제외하면 이러한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특징은 이 나라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정착해 있다는 사실과 결합되어, 이 주의 강들은 도시 소비를 위한 중요한 수원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1] 길이 250km의 투이 강은 리토랄 산맥 남쪽 사면 해발 2,100m 지점에서 발원하여 타카타 협곡을 지나 투이 계곡과 바를로벤토 계곡을 거쳐 동쪽으로 흐르다가 파파로 하구를 통해 카리브해로 흘러 들어간다.[1] 투이 강의 주요 지류는 과이레 강이다.[1] 투이 강은 우안으로 타구아사, 타구아시타 및 쿠이라 강을 받아들인다.[1] 다른 주요 강으로는 과레나스, 리오 그란데 또는 카우카과, 카파야, 엘 구아포, 파카이리과, 엘 쿠리에페 및 쿠피라 강 등이 있다.[1]3. 3. 기후
미란다 주의 기후는 저지대에서 매우 더우며 20°C에서 42°C 사이를 오르내리고, 바를로벤토 해안 지역은 습도가 매우 높다. 알토스 미란디노스 지역의 기온은 연중 약간의 변화를 보인다. 건기(12월~3월)에는 10°C에서 23°C 사이이며, 우기 초(4월, 5월)에는 최고 33°C까지 기온이 기록될 수 있다. 나머지 기간에는 16°C에서 25°C 사이를 오간다.3. 4. 토양
미란다 주의 토양은 농업에 매우 적합하여 식민지 시대부터 카카오, 과일, 채소, 곡물 등 여러 작물 재배에 이용되었다. 그러나 도시 및 산업 활동, 특히 인구 밀집 지역의 확대로 인해 투이 계곡, 과레나스, 과티레, 바를로벤토 지역에서 상당한 농경지가 사라졌다.3. 5. 동식물
산악 지역, 강과 시냇가에서는 주머니쥐(`Didelphis marsupialis`), Proechimys속 가시쥐, 다람쥐, 아홉띠아르마딜로(`Dasypus novemcinctus`), 호저, 아구티, 나무늘보와 같은 포유류를 흔히 볼 수 있다. 이들은 시 전체에서 매우 흔하게 발견된다. 토끼와 시 구역에서 거의 사라진 마타칸 사슴은 투르과 지역에서 흔히 발견되었다. 밤에는 줄무늬박쥐, 일반과일박쥐, 일반뱀파이어박쥐, 집박쥐와 같은 박쥐를 흔히 관찰할 수 있다. 로스 카라오스 동굴과 줄로아가 동굴 지역에서는 Natalus tumidirostris, Myotis keaysi, Tadarida aurispinosa와 같은 곤충을 먹는 박쥐 종이 확인되었다.숲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나무로는 국자나무 또는 아이나무(`Gyranthera caribensis`), 쓴 삼나무, 젖나무, 야그루모, 수컷 야그루모, 부카레, 세이바, 인디오 데스누도 등이 있다.
4. 행정 구역
미란다 주는 21개의 지방 자치구와 55개의 교구로 구성되어 있다.[4]
4. 1. 지방 자치구
지방 자치구 | 행정 중심지 | 면적 (km2) | 인구 (2001년 인구 조사) | 인구 (2011년 인구 조사) | 인구 추정치 (2016년 6월 30일) | |
---|---|---|---|---|---|---|
1. | 아세베도 | 카우카과 | 1879km2 | 70,282 | 87,371 | 96,210 |
2. | 안드레스 벨로 | 산 호세 데 바를로벤토 | 114km2 | 20,119 | 20,981 | 22,851 |
3. | 바루타 |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로사리오 데 바루타 | 86km2 | 260,853 | 240,755 | 362,371 |
4. | 브리온 | 이게로테 | 531km2 | 45,346 | 58,940 | 67,332 |
5. | 부로스 | 맘포랄 | 198km2 | 20,009 | 27,515 | 29,841 |
6. | 카리살 | 카리살 | 32km2 | 41,103 | 51,712 | 56,629 |
7. | 차카오 | 차카오 | 13km2 | 64,629 | 61,213 | 76,888 |
8. | 크리스토발 로하스 | 차라야베 | 120km2 | 77,257 | 117,888 | 141,593 |
9. | 엘 아티요 | 엘 아티요 | 81km2 | 54,225 | 58,156 | 90,554 |
10. | 과이카이푸로 | 로스 테케스 | 661km2 | 222,768 | 252,242 | 289,531 |
11. | 인데펜덴시아 | 산타 테레사 델 투이 | 284km2 | 126,999 | 138,776 | 157,961 |
12. | 란데르 | 오쿠마레 델 투이 | 478km2 | 108,970 | 144,947 | 170,728 |
13. | 로스 살리아스 | 산 안토니오 데 로스 알토스 | 51km2 | 60,723 | 68,255 | 76,035 |
14. | 파에스 | 리오 치코 | 963km2 | 30,812 | 37,944 | 42,125 |
15. | 파스 카스티요 | 산타 루시아 | 408km2 | 83,976 | 111,197 | 124,671 |
16. | 페드로 구알 | 쿠피라 | 925km2 | 17,928 | 21,831 | 23,879 |
17. | 플라자 | 과레나스 | 180km2 | 188,135 | 209,987 | 238,750 |
18. | 시몬 볼리바르 | 산 프란시스코 데 야레 | 131km2 | 31,944 | 42,597 | 48,445 |
19. | 수크레 | 페타레 | 164km2 | 546,766 | 600,351 | 691,317 |
20. | 우르다네타 | 쿠아 | 273km2 | 105,606 | 135,432 | 167,768 |
21. | 사모라 | 과티레 | 378km2 | 152,422 | 187,075 | 218,911 |
미란다 주는 21개의 지방 자치구와 55개의 교구로 나뉜다.[4]
- 아라귀타
- 아라이라
- 카파야
- 카르타날
- 쿰보
- 쿠리에페
- 엘 카페
- 엘 클라보
- 엘 구아포
- 라 데모크라시아
- 타카리과 석호
- 라스 브리사스
- 마추루쿠토
- 마리사파
- 미나스 데 바루타
- 누에바 쿠아
- 파나키레
- 파파로
- 파라코토스
- 산 안토니오 데 야레
- 산 호세 데 리오 치코
- 산 페드로 데 로스 알토스
- 타카리과 데 맘포랄
- 타카타
- 타피파
5. 인구 통계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미란다주의 인구는 2,675,165명이다.
5. 1. 인종 구성 (2011년)
인종 구성 | 인구 | % |
---|---|---|
메스티소 | 48.0 | |
백인 | 1,387,265 | 45.8 |
흑인 | 157,506 | 5.2 |
기타 인종 | 1.0 |
6. 경제
미란다 주의 경제는 농업, 제조업, 관광 산업을 중심으로 발전해왔다. 투이 계곡 지역은 코코아, 사탕수수, 옥수수 등을 생산하는 농업 중심지이다. 바로벤토 지역은 코코아 재배와 다양한 과일 및 채소 재배가 활발하다. 과티레와 과레나스는 커피 생산지로 유명하다. 제조업은 연방 지구와 함께 국가의 주요 도시 제조업 집단을 형성하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관광 산업은 바로벤토 해안에 대규모 호텔 인프라가 설치되면서 성장하고 있다.
교외 지역에서는 포르투갈, 스페인, 이탈리아 이민자들의 영향으로 가금류 및 돼지 사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투이 계곡에서는 곡물 재배와 더불어 미기후를 활용한 원예 및 과일 재배가 이루어지며, 생산된 농산물은 농업 산업에서 가공된다. 커피 생산량은 감소했지만, 투이 계곡의 사탕수수와 목화 재배는 계속 확대되고 있다. 식민지 시대부터 바로벤토에는 카사바, 참마, 카라오타스(콩), 바나나와 함께 코코아 농장이 있었다.
카라카스 시와의 근접성으로 인해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페타레, 과레나스, 과티레 시와 투이 계곡에 금속 기계, 화학, 식품 부문의 제조 중심지가 설립되어 도시 붐을 일으켰고, 이는 농지 감소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6. 1. 주요 생산품
미란다 주는 농업, 축산업, 어업,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생산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분야 | 주요 생산품 |
---|---|
농업 | 카카오, 과일, 채소, 코코넛, 유카, 곡물, 꽃 |
축산업 | 가금류, 소, 돼지 |
어업 | 참치, 고등어, 숭어, 농어, 새우, 게, 오징어 등 |
산업 | 금속 가공, 화학 및 식품, 알코올 및 청량 음료, 섬유, 신발 등 |
미란다 주의 경제는 토지의 비옥함을 바탕으로 농업이 발달하였다. 투이 계곡 지역은 코코아, 사탕수수, 옥수수 등을 생산하며, 바로벤토 지역은 코코아와 다양한 과일 및 채소 재배로 유명하다. 과티레와 과레나스 지역은 커피를 주로 생산한다.
산업 활동으로는 제조업이 발달하였으며, 연방 지구와 함께 국가의 주요 도시 제조업 중심지 중 하나이다. 3차 산업 또한 발달하여 금융, 상업, 서비스 활동이 미란다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최근에는 바로벤토 해안에 대규모 호텔 인프라가 설치되면서 관광 산업도 성장하고 있다.
투이 계곡에서는 곡물을 재배하며, 미기후를 활용하여 원예 및 과일 재배도 이루어진다. 교외 지역에서는 가금류 및 돼지 사육이 활발하며, 특히 포르투갈, 스페인, 이탈리아 이민자들의 영향이 크다.
투이 계곡의 사탕수수와 목화 재배는 계속 확대되고 있으며, 바로벤토 지역에서는 카사바, 참마, 카라오타스(콩), 바나나와 함께 코코아 농장이 운영되고 있다. 카라카스 시와의 근접성으로 인해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페타레, 과레나스, 과티레 시와 투이 계곡에 금속 기계, 화학, 식품 부문의 제조 중심지가 설립되었다.
7. 교통
중앙 에제키엘 사모라 철도 시스템(카라카스 - 쿠아 노선)은 카라카스, 차라야베 노르테, 차라야베 수르, 쿠아 4개의 역을 가지고 있으며, 길이는 41.4km이다.
- 로스 테케스 지하철: 2006년에 개통되었다. 라스 아준타스(카라카스 지하철 소속), 아야쿠초, 알리 프리메라, 과이카이푸로, 인데펜덴시아 5개의 역이 있다.
- 카라카스 지하철
- 지상 도로: 프란시스코 파하르도 고속도로, 프라도스 델 에스테 고속도로, 보야카 대로(코타 밀)가 가장 중요한 도로이다. 주 내부 및 외부의 여러 도시를 연결하는 도로도 있다.

8. 문화
미란다 주는 다양한 문화 유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바를로벤토 지역은 아프리카계 주민들의 문화가 짙게 남아있다.
8. 1. 주요 축제 및 전통
차카오의 팔메로스 전통은 1770년 베네수엘라 식민지 시대부터 이어져 온다. 당시 카라카스에 황열병이 유행하자, 교구 사제 호세 안토니오 모헤다노는 하느님께 자비를 구하는 약속의 형태로 기도하기로 결심했다. 그는 엘 아빌라 국립공원 근처 농장의 일꾼들에게 왕야자 잎을 가져오게 하여 예수의 예루살렘 입성을 기념했다.[1]
오늘날 팔메로스는 사순절 금요일(종려 주일 전 금요일)마다 산에 올라가 종려 주일에 축성될 종려 잎을 가지고 내려온다. 종려 잎은 사바스 니에베스 입구 근처의 쿠에바 데 로스 팔메로스라는 지역에서 수집된다. 축성된 종려 잎은 신자들에게 나누어지며, 신자들은 이를 엮고 짓이겨 십자가로 만들어 믿음의 징표로 집에 보관한다.[1]
야레의 춤추는 악마들은 성체 축일에 "사크라멘토 협회"에 의해 거행되는 종교 축제이다. 이 축제는 성체 축일의 춤추는 악마들의 지역 버전이다.[2] 그 기원은 18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아메리카 대륙에서 가장 오래된 형제단이자 세계에서 가장 큰 형제단이다. 악마 형제단은 가면으로 표현되는 계층적 질서로 나뉜다.[2] 성체 축일의 매주 목요일 (성 목요일 후 9번의 목요일)에는 춤추는 악마들이 제단의 성체 성사를 숭배하고 선이 악을 이기는 것을 기념하는 의식을 행한다.[2]
쿠리에페의 산 후안 축제는 베네수엘라 미란다 주 쿠리에페 마을에서 열리는 아프리카계 후손들의 축제이다. 매년 6월 23일 자정부터 6월 25일 저녁까지 세례자 요한의 이미지를 기리는 음악과 춤 의식이 이어진다.[3] 산 후안은 전국에서 많은 신봉자를 모으는 축제 중 하나이며, 쿠리에페의 행사는 국내에서 가장 잘 알려진 행사 중 하나이다.[3]
과티레와 과레나스의 산 페드로 파란다는 매년 6월 29일에 기념되는 대중적이고 종교적인 축제이다. 이 축제는 식민지 시대에 기원한다.[4] 레비타와 펌파를 입은 파란데로들이 성인의 이미지를 들거나 노란색과 빨간색 깃발을 들고, 쿠아트로와 마라카스를 연주한다. 발에는 샌들처럼 묶인 동물의 가죽 조각(코티자)으로 타악기를 연주한다. 빨간색과 노란색 정장을 입은 두 명의 아이들(투쿠시토스)이 동행한다.[4]
과티레의 파카이리과 성 십자가는 17세기 초부터 이 도시의 종교적 수호성인으로 여겨지는 종교적 이미지이다. 삼나무로 만들어 흰색 페인트와 금색 테두리로 덮인 이 십자가는 높이가 2미터이다. 매년 5월 3일, 가톨릭 성인 축일의 5월 십자가의 날에 행렬에 사용된다.[5]
9. 정치
미란다 주는 자체 헌장인 미란다 주 헌법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주 법률 시스템의 근간이 되고 2006년에 승인되었다.[1] 행정부는 주지사와 여러 비서로 구성되며, 주지사는 4년 임기로 직접 비밀 투표를 통해 선출된다.[1] 주지사는 주 행정을 담당하며, 새로운 임기로 재선될 수 있다.[1]
1988년까지 주지사는 공화국 대통령이 임명했으나, 1989년 이 지역에서 최초의 직접 선거가 실시되어 아르날도 아로차(Arnaldo Arocha)가 최초로 민선 주지사로 선출되었다.[1] 2001년부터 2004년까지 주지사는 엔리케 멘도사였는데, 그는 2003년부터 우고 차베스 대통령에 대항하는 야당 정치인으로서 인기가 높았지만, 2004년 10월 지방 선거에서 여당의 디오스다도 카베요에게 패배했다.[1] 엔리케 카프릴레스 라돈스키는 2008년 11월부터 미란다 주지사를 역임했다.[1]
현재 주지사는 엑토르 로드리게스이다.[1] 그는 2017년 10월 15일에 52.7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며, 2017년 10월 18일에 취임하였다.[1]
10. 주요 인물
참조
[1]
간행물
Instituto Nacional de Estadistica, Caracas.
[2]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globaldatala[...]
2021-07-31
[3]
간행물
Instituto Nacional de Estadistica, Caracas.
[4]
간행물
Instituto Nacional de Estadistica, Caracas.
[5]
웹사이트
Resultado Básico del XIV Censo Nacional de Población y Vivienda 2011 (Mayo 2014)
http://www.ine.gob.v[...]
Ine.gov.ve
2015-09-08
[6]
웹사이트
Venezuela/States
Citypopulation.de
2019-0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