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하엘 하네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하엘 하네케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로, 1942년 독일 뮌헨에서 태어났다. 그는 빈 대학교에서 철학, 심리학, 연극을 공부한 후 영화 평론가로 활동하다가 1974년 TV 영화로 데뷔했다. 하네케는 사회적 문제와 인간 소외를 다루는 작품들을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세븐스 컨티넨트》(1989), 《피아니스트》(2001), 《히든》(2005), 《하얀 리본》(2009), 《아무르》(2012) 등 다수의 작품으로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 등 권위 있는 영화제에서 수많은 상을 받았다. 그의 작품은 종종 롱테이크와 정적인 샷을 활용하며, 관객에게 불편함을 주는 이미지를 통해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의 영화 감독 - 라르스 폰 트리어
    라르스 폰 트리어는 1956년 덴마크 출생으로, 논쟁적이고 실험적인 작품들을 연출하며 칸 영화제 수상 경력이 있는 영화 감독이자 도그마 95 운동을 주도했으며, 파킨슨병 진단을 받았다.
  • 유럽 영화상 - 페터 지모니셰크
    오스트리아 배우 페터 지모니셰크는 1980년대부터 영화와 TV 시리즈에서 활약했으며, 특히 영화 《토니 에르드만》으로 유럽 영화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했고 《렌츠 서류》, 《쿠르스크》, 《신비한 동물사전: 덤블도어의 비밀》 등 다양한 작품에서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 유럽 영화상 - 카트린 드뇌브
    카트린 드뇌브는 프랑스의 배우로, 1960년대 초 영화에 데뷔하여 《쉘부르의 우산》으로 세계적인 스타가 되었으며, 다양한 영화에 출연하고 모델, 사업가로 활동하며, 프랑스 공화국의 마리안느 모델로도 활동했다.
미하엘 하네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09년의 미하엘 하네케
이름미하엘 하네케
출생일1942년 3월 23일
출생지독일 뮌헨
국적오스트리아
배우자수잔네 하네케 (1983년 결혼)
자녀1명
직업영화 감독, 각본가, 무대 연출가
활동 기간1974년–현재
모교빈 대학교
수상
아카데미상외국어 영화상
칸 영화제황금종려상

황금종려상

심사위원대상

감독상

국제영화비평가연맹상

국제영화비평가연맹상

에큐메니컬 심사위원상

에큐메니컬 심사위원상
유럽 영화상작품상

작품상

감독상

감독상

감독상

각본상

국제영화비평가연맹상

국제영화비평가연맹상
전미 비평가 협회상감독상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외국어 영화상
방송 영화 비평가 협회상외국어 영화상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외국어 영화상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비영어 영화상
고야상유럽 영화상
세자르상감독상

각본상
골든 글로브상외국어 영화상

외국어 영화상
기타 수상전미 비평가 위원회상
외국어 영화상
주요 작품
대표작퍼니 게임
피아니스트
숨겨진 기억
하얀 리본
사랑

2. 초기 생애 및 교육

미하엘 하네케는 1942년 3월 23일 독일 뮌헨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독일배우영화 감독인 프리츠 하네케(Fritz Haneke)이고, 어머니는 오스트리아배우인 베아트릭스 폰 데겐실드(Beatrix von Degenschild)이다. 하네케는 오스트리아 비너노이슈타트(Wiener Neustadt)에서 성장했다. 그의 계부는 작곡가 알렉산더 슈타인브레허(Alexander Steinbrecher)였는데, 그는 나중에 배우 크리스토프 왈츠(Christoph Waltz)의 어머니와 결혼했다.[3]

하네케는 청소년 시절 문학과 음악에 강한 관심을 보였으나, 스스로 "반항아"였다고 회고할 만큼 학교 교육에는 다소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4] 젊은 시절 배우가 되기를 꿈꿨지만, 의 유명 연기 학교인 막스 라인하르트 세미나(Max Reinhardt Seminar) 입학 시험에 실패하며 포기했다.[5] 이후 빈 대학교에 진학하여 철학, 심리학, 연극을 공부했다. 하지만 그는 스스로 성실한 학생은 아니었다고 밝혔으며, 대학 시절 대부분의 시간을 영화관에서 보냈다고 한다.[6]

3. 경력

독일 뮌헨에서 1942년 3월 23일 태어났으며, 오스트리아 비너노이슈타트에서 성장했다. 아버지는 배우이자 영화 감독인 프리츠 하네케(Fritz Hanecke)이고, 어머니는 배우 베아트릭스 폰 데겐실트(Beatrix von Degenschild)이다.

빈 대학교에서 철학, 심리학, 연극을 공부한 후, 몇 년간 영화 평론가로 활동했다. 이후 독일의 한 TV 방송국에서 편집자 겸 각본가로 일했으며, 연극 연출가로도 활동 영역을 넓혔다. 1974년부터는 여러 편의 TV 영화를 연출하며 감독 경력을 시작했다.

1989년 첫 장편 영화인 《제7대륙》(Der siebente Kontinent)을 발표하며 영화계에 본격적으로 데뷔했다. 이 작품은 로카르노 국제 영화제에서 황금표범상을 수상하며 주목받았다. 이후 《베니의 비디오》(Benny's Video, 1992), 《우연의 연대기 71조각》(71 Fragmente, 1994) 등을 연이어 발표하며 자신만의 독특한 영화 세계를 구축했다. 이 초기 세 작품은 흔히 "감정의 빙하기 3부작"으로 불린다.

1997년 《재미있는 게임》(Funny Games)은 칸 영화제에 출품되어 큰 논란과 함께 국제적인 관심을 끌었다. 2000년대 들어서는 쥘리에트 비노슈, 이자벨 위페르 등 세계적인 배우들과 협업하며 《미지의 코드》(Code Unknown, 2000), 《피아니스트》(The Pianist, 2001), 《숨겨진 기억》(Caché, 2005) 등을 통해 비평적,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특히 《피아니스트》는 칸 영화제 심사위원 특별 대상을, 《숨겨진 기억》은 감독상을 수상했다.

2009년 발표한 《하얀 리본》(Das weiße Band)으로 제62회 칸 영화제에서 최고상인 황금종려상을 처음 수상했으며, 골든 글로브상 외국어 영화상도 받았다. 3년 뒤인 2012년에는 노년 부부의 사랑과 죽음을 다룬 《아무르》(Amour)로 다시 한번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66] 이 작품은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 등 수많은 국제 영화상을 휩쓸었다. 2013년에는 예술 분야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아스투리아스 여공상을 수상했다.[67] 이후에도 꾸준히 작품 활동과 오페라 연출, 교육 활동 등을 이어가고 있다.

3. 1. 1974-1988: 텔레비전에서의 초기 활동

하네케는 다수의 텔레비전 프로젝트를 연출하며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힐데가르트 슈마흘(Hildegard Schmahlde)과 디터 키르흘레히너(Dieter Kirchlechnerde)가 주연을 맡은 1974년 텔레비전 영화 《리버풀 이후》(After Liverpool영어)로 작가 겸 감독 데뷔를 했다. 이 작품은 본래 라디오 드라마였다.[7]

이후 그는 전쟁 사진 기자의 도덕적 위기를 다룬 《호수로 가는 세 갈래 길》(Drei Wege zum Seede, 1976)과 또 다른 텔레비전 영화 《쓰레기 더미》(Sperrmüllde, 1976)를 연출했다.[8] 1979년에는 텔레비전 시리즈 《레밍》(Lemmingede)의 두 에피소드인 〈아르카디아〉(Arkadiende)와 〈부상〉(Verletzungende)을 연출했다.

1983년에는 《변주곡 - 아니면 유토피아가 있다는 것을 내 스스로 알고 있지!》(Variation – oder Daß es Utopien gibt, weiß ich selber!de)를, 1984년에는 《에드거 앨런은 누구였는가?》(Wer war Edgar Allan?de)를 연출했다. 1986년에는 《프라울라인: 독일 멜로드라마》(Fraulein - Ein deutsches Melodramde)를 연출했는데, 이는 파스빈더의 《마리아 브라운의 결혼》에 대한 응답으로 여겨진다.[9] 하네케는 이 작품에 대해 "자기 연민에 빠지지 않으면서도 여전히 대중의 관심을 끄는 독일 역사에 관한 영화를 만들고 싶었다"고 밝혔다.[10]

=== 이 시기 주요 연출작 (TV) ===

연도제목원제비고
1974년리버풀 이후After Liverpool영어TV 영화, 작가/감독 데뷔작
1976년세 개의 호숫길Drei Wege zum SeedeTV 영화
폐기물SperrmülldeTV 영화
1979년아르카디아ArkadiendeTV 시리즈 《레밍》(Lemminge) 에피소드
부상VerletzungendeTV 시리즈 《레밍》(Lemminge) 에피소드
1983년변주곡 - 또는 유토피아가 있다는 것을 내가 스스로 알고 있다!Variation - oder Daß es Utopien gibt, weiß ich selber!deTV 영화
1984년에드거 앨런은 누구였는가?Wer war Edgar Allan?deTV 영화
1986년아가씨 - 독일 멜로드라마Fraulein - Ein deutsches MelodramdeTV 영화


3. 2. 1989-1997: 명성

하네케의 장편 영화 데뷔작은 1989년작인 제7대륙이다. 이 작품은 이후 그의 작품 세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날 폭력적이고 대담한 스타일을 예고했다. 영화는 비르기트 돌(Birgit Doll)과 디터 베르너(Dieter Berner)가 연기한 오스트리아 중산층 가족이 맞이하는 마지막 몇 년을 무미건조하게 그려내며 현대 사회의 소외 문제를 다룬다. 가디언의 피터 브래드쇼는 이 영화를 "걸작"이라고 평가했으며,[12]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 오스트리아 출품작으로 선정되었으나 최종 후보에는 오르지 못했다. 《제7대륙》은 1989년 로카르노 국제 영화제에서 브론즈 레오파드상을 수상했다.

3년 뒤인 1992년, 하네케는 논란을 일으킨 심리 공포 영화 베니의 비디오를 감독했다. 미디어 폭력에 무감각해진 소년의 이야기를 다룬 이 영화는 1992년 칸 영화제에서 호평 속에 상영되었고, 유럽 영화상에서 국제영화비평가연맹(FIPRESCI)상을 수상했으며, 1993년 테살로니키 국제 영화제에서도 같은 상을 받았다. 뉴욕 영화제 상영 당시 뉴욕 타임스의 스티븐 홀든은 배우들의 연기와 하네케의 각본을 칭찬하며 "텔레비전 폭력의 혼란스러운 영향에 대해 강력하지만, 다소 과장된 주장을 제기한다"고 평했다.[13]

1994년에는 우연의 연대기 71조각을 발표했다. 이 영화는 서로 무관해 보이는 여러 인물들의 파편적인 일상을 엮어 현대 사회의 단절과 소통 부재를 탐구한다. 뉴욕 타임스의 마놀라 다르기스는 이 영화를 "매체를 통해 전달되고 끔찍하게 현실적인 폭력에 대한 차갑고 시원한 연구"라고 평하며, "하네케에게 있어 중요한 점은 악이 흔하다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사고하고 적극적으로 도덕적인 존재로서 그것에 관여하지 않는다는 것 같다. 우리는 사라예보가 텔레비전에서 불타는 동안 스프를 홀짝인다"라고 덧붙였다.[14] 이 작품은 1994년 시체스-카탈루냐 국제영화제에서 작품상과 각본상을, 시카고 국제 영화제에서 골드 휴고상을 수상했다.

《제7대륙》, 《베니의 비디오》, 《우연의 연대기 71조각》 세 작품은 종종 '감정의 빙하기 3부작'으로 불리며, 현대 사회의 소외와 폭력, 미디어의 영향 등을 냉정한 시선으로 담아내 하네케를 국제적인 감독 반열에 올려놓았다.

1997년에는 두 편의 영화를 선보였다. 먼저 프란츠 카프카의 동명 소설 을 원작으로 한 TV 영화 《성》을 연출했다. 이 영화에는 이후 하네케의 작품에 자주 출연하게 되는 울리히 뮈헤수잔느 로타르가 출연했으며,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같은 해 발표한 장편 영화 《펀 게임》은 휴가지 별장에 침입한 두 젊은 남성이 한 가족을 인질로 잡고 벌이는 가학적인 게임을 다룬다. 영화는 폭력 장면을 직접적으로 보여주기보다 폭력의 과정을 암시하고 관객에게 불편함을 유발하는 연출 방식을 사용했다. 1997년 칸 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되어 큰 논란을 일으켰지만, 동시에 하네케의 이름을 세계적으로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버라이어티의 데이비드 루니는 "하네케는 폭력 행위 자체보다 폭력의 함의에 더 관심이 있는 것이 분명하며, 대부분의 육체적, 정신적 학살이 카메라 밖에서 연출됨으로써 심리적 충격은 더욱 강화된다"라고 평했다.[15] 《펀 게임》은 1997년 시카고 국제 영화제에서 실버 휴고상을 수상했다.

3. 3. 2000-2009: 국제적 성공과 인정

쥘리에트 비노슈(Juliette Binoche)는 하네케 감독의 ''미지의 코드''(2000)와 ''히든''(2005)에 출연했다.


2000년대에 들어 하네케는 국제적인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그는 쥘리에트 비노슈(Juliette Binoche)가 주연한 프랑스 영화 ''미지의 코드''(Code Unknown, 2000)를 감독했다. 이 영화는 서로 얽히고 겹치는 여러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되며, 프랑스 소설가이자 전쟁 특파원인 올리비에 베버(Olivier Weber)의 삶에서 영감을 받았다. 이 영화는 2000년 칸 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되었다. ''뉴욕 타임스''는 하네케를 "관객이 스스로 추리를 할 수 있도록 믿는 능숙하고 세밀하게 관찰하는 영화 제작자"라고 평하면서도, "너무 비밀스러워서 관객들은 이미 암시된 도덕적 교훈에 반응해야 할 때에도 여전히 연결 고리를 찾으려고 애쓴다"고 덧붙였다.[16]

이자벨 위페르(Isabelle Huppert)는 ''피아니스트''를 포함하여 하네케의 네 편의 영화에 출연했다.


하네케는 비평가들의 극찬을 받은 프랑스 영화 ''피아니스트''(The Piano Teacher, 2001)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자벨 위페르(Isabelle Huppert)가 성적으로 억압된 피아노 교사 역을 맡아 젊은 남자와 관계를 맺게 되는 이야기를 다루며, 가학증, 강간, 근친상간, 성적 억압, 성폭력 및 남녀 관계와 같은 논쟁적인 주제를 탐구한다. 이 영화는 2001년 칸 영화제에서 처음 공개되어 열렬한 찬사를 받았고, 영화제 최고 영예 중 하나인 그랑프리(심사위원 대상)를 수상했다. 주연 배우 브누아 마지멜과 위페르 역시 각각 칸 영화제 남우주연상칸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며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뉴요커''의 데이비드 덴비(David Denby)는 이 영화를 "심각하게 파격적인 작품이며 아름답게 만들어졌으며, 이 영화에 대해 논쟁하고, 감사하며, 심지어 증오할 수도 있는 상당한 규모의 관객을 받을 자격이 있다"라고 평가했다.[17]

이후 그는 다시 위페르가 주연한 디스토피아 드라마 ''늑대의 시간''(Time of the Wolf, 2003)을 감독했다. 세계적인 재앙 이후 길을 잃은 한 가족의 생존 투쟁을 그린 이 영화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버라이어티''의 스콧 파운더스(Scott Foundas)는 "하네케는 모든 겸손함이 사라지고, 원초적인 공황과 절망이 일상이 되며, 인간이 인간보다 늑대와 더 닮게 될 때 인간 행동의 본질에 대한 심오한 통찰력을 보여준다"라고 썼다.[18]

2005년에는 쥘리에트 비노슈와 다시 작업한 심리 스릴러 ''히든''(Caché)을 선보였다. 비노슈가 먼저 하네케에게 함께 작업하고 싶다는 의사를 표명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19] 이 영화는 2005년 칸 영화제 개막작으로 상영되었으며, 집단적 죄책감, 집단 기억, 식민주의와 같은 무거운 주제를 다룬다. 특히 하네케는 영화 속에 1961년 파리 학살 이야기를 결합하여 역사적 상처를 건드렸다. 그는 이 영화로 칸 영화제 감독상을 수상하며 거장으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했다. ''히든''은 BBC 선정 21세기 최고의 영화 100편에도 포함되었다.[20]

영화 작업 외에도 하네케는 2006년 오페라 연출가로 데뷔하여, 제라르 모르티에(Gerard Mortier)가 극장장으로 있던 파리 오페라의 가르니에궁에서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돈 조반니''를 연출하기도 했다.

2009년, 하네케는 흑백 영화 ''하얀 리본''(The White Ribbon)을 발표했다. 독일에서 촬영된 이 영화는 제1차 세계 대전 직전인 1913년, 독일 북부의 한 작은 마을에서 벌어지는 이상한 사건들을 다룬다. 아이들이 엄격한 규칙 아래 가혹한 처벌을 받고, 설명할 수 없는 죽음이 발생하는 등 마을에 감도는 권위주의적이고 파시스트적인 분위기를 섬세하게 묘사했다. 이 영화는 2009년 칸 영화제에서 처음 공개되어 하네케에게 첫 황금종려상을 안겨주었다. 이후 골든 글로브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했으며, 아카데미 국제영화상과 촬영상 부문에도 후보로 올랐으나 수상에는 실패했다. 영화 평론가 로저 이버트는 이 영화를 "시각적으로 탁월하다"고 평하며, "그의 영화는 우화와 같아서, 때때로 나쁜 일이 일어나는 것은 단순히…일어나기 때문이라는 것을 가르쳐준다. 우주는 인간의 법칙을 비웃고 자기가 하고 싶은 대로 한다"라고 덧붙였다.[21]

3. 4. 2012-현재

2014년 빈에서의 하네케


2012년, 하네케는 장루이 트랭티냥, 에마뉘엘 리바, 이자벨 위페르가 주연한 영화 《아무르》(Amour)를 감독했다. 영화는 함께 늙어가는 노년 부부의 삶과 사랑, 존엄의 문제를 깊이 있게 다룬다. 이 작품은 2012년 칸 영화제에서 상영되어 하네케에게 두 번째 황금종려상을 안겨주었다.[22] 이는 칸 영화제 역사상 두 번의 황금종려상을 받은 몇 안 되는 감독 중 한 명으로 기록되는 순간이었다. NPR의 엘라 테일러는 영화를 "감동적이고 비극적"이라고 평하며 "하네케는 우리를 인간 능력의 전 범위에 연루시킨다"고 언급했다.[23] 《아무르》는 전 세계적인 찬사를 받으며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했으며, 하네케는 감독상각본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특히 각본상 후보 지명은 그의 경력에서 처음 있는 일이었다.[24]

같은 해(2012년), 뉴욕 시티 오페라를 위해 모차르트의 오페라 《코지 판 투테》 연출을 계획했으나[25], 건강 문제로 연기되었다. 이 작품은 본래 2009년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에서 위르겐 플림의 의뢰로 준비되던 것이었으나, 당시에도 건강 문제로 하차한 바 있다. 결국 2013년 스페인 마드리드의 테아트로 레알에서 《코지 판 투테》를 성공적으로 무대에 올렸다.[26]

2013년에는 이브 몽마외르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미하엘 H. 감독이라는 직업》(Michael H – Profession: Director)이 제작되어 하네케의 작품 세계를 조명했다.[27][28] 같은 해, 그는 스페인의 권위 있는 상인 아스투리아스 여공상 예술 부문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2017년에는 그의 열두 번째 장편 영화인 《해피 엔드》(Happy End)를 발표했다. 이 영화를 통해 하네케는 《아무르》에 출연했던 장루이 트랭티냥, 이자벨 위페르와 다시 한번 호흡을 맞췄으며, 마티외 카소비츠, 토비 존스 등도 출연했다. 영화는 프랑스 칼레를 배경으로, 외부 세계의 위기(유럽 난민 위기)와 단절된 채 살아가는 부유한 부르주아 가족의 위선과 균열, 그리고 현대 사회의 문제를 날카롭게 포착한다. 《해피 엔드》는 2017년 칸 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되어 황금종려상 후보에 올랐으며, 비평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복스(Vox)의 알리사 윌킨슨은 이 영화가 "유럽 난민 위기와 특권의 함정"에 대한 논평이며, "관객에게 주의 깊은 관찰을 요구하는 정치적이면서도 미학적인 진술"이라고 평했다. 또한 "영화 속 가족 구성원들은 주변 세계를 제대로 보지 않음으로써 교양 있는 괴물이 되며, 이러한 성향을 세대를 거쳐 물려준다"고 분석했다.[29]

하네케는 자신의 영화 철학에 대해, 영화가 관객에게 명확한 답이나 도덕적 판단을 제시하기보다 상상력과 자기 성찰의 여지를 남겨야 한다고 강조한다. 지나치게 설명적인 영화는 관객의 주체적인 사유를 방해하고 수동적인 소비를 유도한다고 비판한다.[30] 그는 현재 빈 필름 아카데미(Filmacademy Vienna)에서 영화 연출을 가르치며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31][32] 오스트리아의 영화 감독 카타리나 뮈크슈타인 등이 그의 제자이다.[33][34]

4. 스타일 및 평가



미하엘 하네케는 감정에 직접 호소하기보다는 불편한 이미지를 사용하여 계층, 인종, 성별, 폭력과 같은 사회적 문제에 대한 비판적 탐구를 하는 영화를 연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뉴욕현대미술관(Museum of Modern Art)은 2007년 그의 영화들을 소개하며 "소외와 사회 붕괴, 폭력의 이용과 소비, 파시즘적 충동의 배양지로서의 부르주아 가족, 개인의 책임과 집단적 죄책감, 사진 이미지의 윤리"와 같은 주제들을 다룬다고 덧붙였다.[35]

그는 빠른 편집이나 몽타주 기법 대신 롱테이크를 사용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하네케는 장면이 천천히 펼쳐지도록 하여 관객이 각 순간의 긴장감과 감정을 충분히 경험하도록 유도하며, 이는 관객에게 친밀감을 형성하고 장면에 몰입하게 만든다. 또한 정적인 샷, 모호한 결말, 메타 내러티브, 그리고 침묵을 효과적으로 사용한다.[36]

뉴요커의 데이비드 덴비(David Denby)는 하네케가 ''피아니스트''에서 히치콕이나 폴란스키의 스릴러와 달리 선정성을 피하며, 표현주의적 장면이나 감상적인 묘사 없이 파격적이고 아름답게 영화를 만든다고 평가했다.[17] 로저 에버트(Roger Ebert)는 그의 영화 ''하얀 리본''에 대해 "시각적으로 탁월하다"고 평하며, 그의 영화가 우화와 같아서 때로는 나쁜 일이 특별한 이유 없이 그저 일어나며, 우주가 인간의 법칙을 초월한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21]

하네케는 특정 배우들과 여러 차례 협업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대표적으로 이자벨 위페르(Isabelle Huppert)와 쥘리에트 비노슈(Juliette Binoche)가 있다.[37] 위페르는 ''피아니스트''(2001), ''늑대의 시간''(2003) 등 네 편의 영화에 출연했으며, 비노슈는 ''숨겨진 코드''(2000)와 ''숨겨진''(2005)에 출연했다. 하네케는 또한 실제 부부였던 독일 배우 울리히 뮤에(Ulrich Mühe)와 수잔느 로타르(Susanne Lothar)와도 각각 세 번씩 작업했다.

5. 작품 목록

(내용 없음)

5. 1. 장편 영화

하네케의 장편 영화 데뷔작은 1989년작인 7번째 대륙으로, 이후 그의 작품에서 나타날 폭력적이고 대담한 스타일을 보여주는 작품이었다. 이 영화는 비르기트 돌(Birgit Doll)과 디터 베르너(Dieter Berner)가 연기한 오스트리아 중산층 가족의 마지막 몇 년을 그린다. 가디언의 피터 브래드쇼(Peter Bradshaw)는 이 영화를 "걸작"이라고 평했다.[12]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 후보 명단에 올랐으나, 최종 후보에는 오르지 못했다.

3년 후 그는 논란이 많은 심리적 공포 영화 베니의 비디오(1992)를 감독했다. 이 영화는 1992년 칸 영화제에서 호평을 받으며 상영되었고, 이후 유럽 영화상에서 국제영화비평가연맹(FIPRESCI)상을 수상했다. 뉴욕 영화제에서 상영되었을 때, 뉴욕 타임스의 스티븐 홀든(Stephen Holden)은 배우들의 연기와 하네케의 각본을 칭찬하며 "이 영화는 텔레비전 폭력의 혼란스러운 영향에 대해 강력하지만, 다소 과장된 주장을 제기한다"라고 평했다.[13]

3부작의 세 번째 영화는 우연의 연대기에 관한 71개의 단편(1994)으로, 뉴욕 타임스의 마놀라 다르기스(Manohla Dargis)는 이를 "매체를 통해 전달되고 끔찍하게 현실적인 폭력에 대한 차갑고 시원한 연구"라고 부르며, "하네케에게 있어 중요한 점은 악이 흔하다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사고하고 적극적으로 도덕적인 존재로서 그것에 관여하지 않는다는 것 같다. 우리는 사라예보가 텔레비전에서 불타는 동안 스프를 홀짝인다"라고 덧붙였다.[14]

1997년 그는 장편 영화 퍼니 게임(1997)을 감독했다. 줄거리는 두 명의 젊은 남성이 한 가족을 인질로 잡고 휴가지 별장에서 사디즘적인 게임으로 그들을 고문하는 것이다. 이 영화는 1997년 칸 영화제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버라이어티의 데이비드 루니(데이비드 루니)는 폭력에 대한 그의 지속적인 탐구에 대해 "하네케는 폭력 행위 자체보다 폭력의 함의에 더 관심이 있는 것이 분명하며, 대부분의 육체적, 정신적 학살이 카메라 밖에서 연출됨으로써 심리적 충격은 더욱 강화된다"라고 썼다.[15]

그는 쥘리엣 비노슈가 주연한 프랑스 영화 미지의 코드(2000)를 감독했다. 이 영화는 서로 얽히고 겹치는 여러 개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 영화는 프랑스 소설가이자 전쟁 특파원인 올리비에 베버(Olivier Weber)의 삶에서 영감을 받았다. 이 영화는 2000년 칸 영화제에서 상영되었다. 뉴욕 타임스는 하네케를 "관객이 스스로 추리를 할 수 있도록 믿는 능숙하고 세밀하게 관찰하는 영화 제작자"라고 칭찬했지만, "하지만 불행히도 그는 너무 비밀스러워서 관객들은 이미 암시된 도덕적 교훈에 반응해야 할 때에도 여전히 연결 고리를 찾으려고 애쓴다"고 덧붙였다.[16]

하네케는 비평가들의 극찬을 받은 프랑스 영화 피아니스트(2001)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 영화는 이자벨 위페르가 성적으로 억압된 피아노 선생님 역을 맡아 젊은 남자와 관계를 맺게 되는 이야기를 다룬다. 이 영화는 가학증, 강간, 근친상간, 성적 억압, 성폭력 및 남녀 관계와 같은 주제를 다룬다. 이 영화는 2001년 칸 영화제에서 처음 공개되어 열렬한 찬사를 받았다. 이 영화는 영화제에서 권위 있는 그랑프리를 수상했고, 브누아 마지멜과 위페르는 남우주연상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뉴요커의 데이비드 덴비(David Denby)는 "하네케는 알프레드 히치콕의 싸이코로만 폴란스키의 혐오와 같은 고급 스릴러 영화의 선정성을 피한다. ''피아니스트''에는 표현주의적인 장면, 갈망의 장면, 부드러운 초점의 꿈이나 영화적인 허술함은 없다"라고 썼다. 덴비는 "[이 영화는] 심각하게 파격적인 작품이며 아름답게 만들어졌으며, 이 영화에 대해 논쟁하고, 감사하며, 심지어 증오할 수도 있는 상당한 규모의 관객을 받을 자격이 있다"라고 결론지었다.[17]

몇 년 후 그는 위페르가 주연한 디스토피아 드라마 늑대의 시간(2003)을 감독했다. 이 영화는 세계적 대재앙 이후 길을 찾으려는 한 가족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 영화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버라이어티의 스콧 파운더스(Scott Foundas)는 "하네케는 모든 겸손함이 사라지고, 원초적인 공황과 절망이 일상이 되며, 인간이 인간보다 늑대와 더 닮게 될 때 인간 행동의 본질에 대한 심오한 통찰력을 보여준다"라고 썼다.[18]

2005년 하네케는 쥘리엣 비노슈와 함께 심리 스릴러 히든에서 다시 만났는데, 비노슈가 그와 함께 작업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했기 때문이다.[19] 하네케는 실제 부부인 울리히 뮈헤와 주자네 로타와 각각 세 번씩 자주 협업했다. 이 영화는 2005년 칸 영화제를 열었고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이 영화는 집단적 죄책감, 집단 기억, 식민주의라는 주제를 다룬다. 그는 영화에 1961년 파리 학살 이야기를 결합했다. 하네케는 이 영화로 감독상을 수상했다. 또한 BBC 선정 21세기 최고의 영화 100편에 포함되었다.[20]

2007년에는 자신의 1997년작 퍼니 게임을 영어로 리메이크한 퍼니 게임을 감독했다.

그의 다음 영화 하얀 리본(2009)에서 하네케는 흑백으로, 독일에서 촬영하기로 했다. 이 영화는 1913년을 배경으로 독일 북부의 작은 마을에서 일어나는 이상한 사건들을 다루며, 아이들이 엄격한 규칙에 굴복하고 가혹한 처벌을 받으며 이상한 죽음이 발생하는 권위주의적이고 파시스트적인 분위기를 묘사한다. 이 영화는 2009년 칸 영화제에서 처음 공개되어 그의 첫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 이후 골든 글로브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했고, 국제영화상촬영상 부문에 후보로 지명되었지만, 아르헨티나그들의 눈은 신을 보고 있다(2009)와 아바타(2009)에 밀려 수상하지 못했다. 로저 이버트 평론가는 이 영화를 "시각적으로 탁월하다"라고 묘사하며, "그의 영화는 우화와 같아서, 때때로 나쁜 일이 일어나는 것은 단순히…일어나기 때문이라는 것을 가르쳐준다. 우주는 인간의 법칙을 비웃고 자기가 하고 싶은 대로 한다"라고 덧붙였다.[21]

2012년, 하네케는 장루이 트랭티냥, 에마뉘엘 리바, 이자벨 위페르 주연의 영화 아무르(2012)를 감독했다. 이 영화는 함께 늙어가는 노년 부부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 영화는 2012년 칸 영화제에서 상영되었으며, 하네케의 두 번째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22] NPR의 엘라 테일러(Ella Taylor)는 이 영화를 "감동적이고 비극적"이라고 칭찬하며 "하네케는 우리를 인간 능력의 전 범위에 연루시킨다"고 덧붙였다.[23] 이 영화는 또한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했으며, 하네케는 감독상각본상 후보에 올랐는데, 후자는 그의 경력상 처음이었다.[24]

2017년, 그의 열두 번째 영화인 해피 엔드(2017)에서 하네케는 트랭티냥과 위페르와 다시 만났다. 이 영화에는 마티외 카소비츠토비 존스도 출연했다. 이 영화는 일련의 좌절과 위기에 직면한 부르주아 프랑스 가족을 중심으로 한다. 이 영화는 2017년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 후보에 올랐다. 이 영화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Vox의 알리사 윌킨슨(Alissa Wilkinson)은 이 영화를 "유럽 난민 위기와 특권의 함정"에 대한 논평이라고 묘사했다. 윌킨슨은 "이 영화는 관객들에게 이야기를 조합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이도록 요구하며, 영화를 보는 방법에 대한 미학적 진술만큼 정치적인 진술이기도 하다. 우리는 관찰하고 배경에 있는 것을 봐야 한다. 그리고 그것은 영화의 중심에 있는 가족이 하지 않는 일이며, 그들을 교양 있는 괴물로 만드는 것이다. 그들은 세대를 거쳐 이러한 성향을 전달한다."고 덧붙였다.[29]

년도제목참여평가
감독각본로튼 토마토메타크리틱
19897번째 대륙67% (6개의 평가)[40]89 (7개의 평가)[41]
1992베니의 비디오64% (11개의 평가)[42]60 (9개의 평가)[43]
1994우연의 연대기에 관한 71개의 단편67% (5개의 평가)[44]71 (8개의 평가)[45]
1997퍼니 게임71% (38개의 평가)[46]69 (10개의 평가)[47]
2000미지의 코드75% (51개의 평가)[48]74 (13개의 평가)[49]
2001피아니스트73% (89개의 평가)[50]79 (26개의 평가)[51]
2003늑대의 시간67% (54개의 평가)[52]71 (20개의 평가)[53]
2005히든89% (135개의 평가)[54]84 (37개의 평가)[55]
2007퍼니 게임52% (144개의 평가)[56]44 (33개의 평가)[57]
2009하얀 리본86% (147개의 평가)[58]82 (33개의 평가)[59]
2012아무르93% (227개의 평가)[60]94 (45개의 평가)[61]
2017해피 엔드70% (155개의 평가)[62]72 (30개의 평가)[63]


5. 2. 텔레비전

하네케는 수많은 텔레비전 프로젝트를 연출하며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힐데가르트 슈마흘과 디터 키르흘레히너가 주연을 맡은 1974년 텔레비전 영화 After Liverpool|리버풀 이후de로 작가 겸 감독 데뷔를 했다. 이 프로젝트는 원래 라디오 드라마였다.[7] 이후 전쟁 사진 기자의 도덕적 위기를 다룬 Drei Wege zum See|호수로 가는 세 갈래 길de(1976)과 텔레비전 영화 Sperrmüll|쓰레기 더미de(1976)를 연출했다.[8] 1979년에는 TV 미니시리즈 Lemminge|레밍de의 두 에피소드를 연출했으며, 이어 Variation – oder Daß es Utopien gibt, weiß ich selber!|변주곡 - 아니면 유토피아가 있다는 것을 내 스스로 알고 있지!de(1983)를 만들었다. 1986년에는 하네케가 파스빈더마리아 브라운의 결혼에 대한 응답으로 여겨지는 Fraulein: Ein deutsches Melodrama|프라울라인: 독일 멜로드라마de를 연출했다.[9] 하네케는 "자기 연민에 빠지지 않으면서도 여전히 대중의 관심을 끄는 독일 역사에 관한 영화를 만들고 싶었다"고 밝혔다.[10] 몇 년 후 그는 비엔나에서 끔찍한 유혈 사태를 일으킨 한 젊은 오스트리아인에 대한 실험적인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영화 Nachruf für einen Mörder|살인자를 위한 추모de(1991)를 제작했다.[11] 1997년에는 프란츠 카프카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텔레비전 영화 성(Das Schloßde)을 감독했다. 이 영화에는 울리히 뮬러와 수잔느 로타르가 출연했으며,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아래는 하네케가 참여한 텔레비전 작품 목록이다.

연도제목감독각본비고
1974After Liverpool|리버풀 이후deTV 영화
1976Drei Wege zum See|호수로 가는 세 갈래 길deTV 영화
1976Sperrmüll|쓰레기 더미deTV 영화
1979Lemminge|레밍deTV 미니시리즈 (2부작)
1983Variation – oder Daß es Utopien gibt, weiß ich selber!|변주곡 - 아니면 유토피아가 있다는 것을 내 스스로 알고 있지!deTV 영화
1984Wer war Edgar Allan?|에드거 앨런은 누구였는가?deTV 영화
1986Fraulein - Ein deutsches Melodram|프라울라인 - 독일 멜로드라마deTV 영화
1991Nachruf für einen Mörder|살인자를 위한 추모deTV 다큐멘터리 영화
1993Die Rebellion|반란deTV 영화
1997성 (Das Schloßde)TV 영화
2013Così Fan Tutte|코지 판 투테it아니오TV 영화
미정Kelvin's Book|켈빈의 책영어TV 시리즈[64]


5. 3. 단편 영화


  • '''뤼미에르와 컴퍼니'''(1995) (섹션 "미하엘 하네케/비엔나")

6. 수상 및 후보 목록

하네케의 데뷔작인 《제7대륙》(The Seventh Continent)은 1989년 로카르노 국제 영화제에서 청동표범상을 수상하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후 그는 칸 영화제에서 여러 차례 중요한 상을 받았다. 《피아니스트》(The Piano Teacher)로 2001 칸 영화제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했고, 《숨쉬기》(Caché)로는 2005 칸 영화제에서 감독상을 받았다.

그의 영화 《화이트 리본》(The White Ribbon)은 2009 칸 영화제에서 최고상인 황금종려상을 수상했으며, 제67회 골든 글로브상에서는 골든 글로브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3년 뒤인 2012년, 영화 《아무르》(Amour)로 2012 칸 영화제에서 다시 한번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 이로써 하네케는 황금종려상을 두 번 수상한 일곱 번째 감독이자 유일한 오스트리아 감독이 되었다.[65] 《아무르》는 아카데미상에서도 큰 성공을 거두어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했으며,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엠마뉘엘 리바의 여우주연상 등 총 5개 부문 후보에 올랐다. 특히 하네케 본인은 감독상과 각본상 후보에 올랐는데, 각본상 후보 지명은 그의 경력에서 처음이었다.[24]

2013년에는 스페인의 권위 있는 상인 아스투리아스 공주상 예술 부문을 수상했다. 그의 최근작 중 하나인 《해피 엔드》(Happy End)는 2017 칸 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되어 황금종려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7. 참고 문헌


  • 캐서린 휘틀리: ''미하엘 하네케의 시네마: 이미지의 윤리'', 뉴욕: 버그한 북스, 2009, ISBN 1-84545-722-6 [https://www.h-net.org/reviews/showrev.php?id=25902 서평]
  • ''미하엘 하네케''. ''현대 오스트리아 문학'' 특집호. 43.2, 2010.
  • 알렉산더 D. 오르넬라 / 슈테파니 크나우스 (편): ''매혹적으로 불안한. 미하엘 하네케 시네마에 대한 학제 간 관점'', 유진, 픽윅, 2010, ISBN 978-1-606-08624-7.
  • ''미하엘 하네케에 대한 논문집.'' 독일: 와일리, 2010.
  • 파티마 나크비, ''트뤼거리셰 페르트라우트하이트: 필메 폰 미하엘 하네케/기만적인 친밀함: 미하엘 하네케의 영화'', 시네마, 비엔나, 2010.
  • 휘틀리, 캐서린. ''미하엘 하네케의 시네마: 이미지의 윤리.'' 영국: 버그한 북스, 2013.
  • 그룬드만, 로이, 파티마 나크비, 콜린 루트. ''미하엘 하네케: 인터뷰''. 미시시피 대학교 출판부, 잭슨, 2020.

참조

[1] 뉴스 Minister of Fear. https://www.nytimes.[...] 2007-09-23
[2] 웹사이트 Michael Haneke: Trilogy https://www.criterio[...] 2023-07-03
[3] 일반텍스트
[4] 웹사이트 Haneke über Haneke https://www.morawa.a[...]
[5] 서적 Haneke par Haneke Alexander
[6] 웹사이트 Interview with Michael Haneke https://www.youtube.[...] 2015-03-24
[7] 웹사이트 After Liverpool https://mubi.com/en/[...] 2023-09-04
[8] 웹사이트 Three Paths to the Lake https://www.tcm.com/[...] 2023-09-04
[9] 웹사이트 Fraulein: A German Melodrama https://mubi.com/en/[...] 2023-09-04
[10] 웹사이트 FRÄULEIN - EIN DEUTSCHES MELODRAM https://www.torinofi[...] 2023-09-04
[11] 웹사이트 NACHRUF FÜR EINEN MÖRDER https://mubi.com/de/[...] 2023-09-04
[12] 뉴스 Haneke's house of horrors https://www.theguard[...] 2008-04-30
[13] 웹사이트 Review/Film Festival; Video Violence Turns Real for a Boy https://www.nytimes.[...] 2023-09-04
[14] 뉴스 In '71 Fragments of a Chronology of Chance,' the Random, the Violent and the Complicit Bourgeois https://www.nytimes.[...] 2006-07-14
[15] 웹사이트 Funny Games https://variety.com/[...] 1997-05-25
[16] 웹사이트 Film in Review: Code Unknown https://www.nytimes.[...] 2023-09-04
[17] 잡지 Play It Again https://www.newyorke[...] 2002-03-24
[18] 잡지 Time of the Wolf https://variety.com/[...] 2003-05-20
[19] 웹사이트 Sight & Sound | Code Unknown (2000) http://old.bfi.org.u[...] BFI 2010-07-08
[20] 웹사이트 The 21st Century's 100 greatest films https://www.bbc.com/[...] 2023-09-04
[21] 웹사이트 The White Ribbon movie review https://www.rogerebe[...] 2023-09-04
[22] 웹사이트 All 9 Directors Who Have Won 2 Palme d'Or, from Coppola to Östlund https://collider.com[...] 2023-05-24
[23] 웹사이트 A Touching, Tragic Look At 'Amour' In Autumn https://www.npr.org/[...] 2023-09-04
[24] 뉴스 Oscars: Hollywood announces 85th Academy Award nominations https://www.bbc.co.u[...] BBC News 2013-01-10
[25] 웹사이트 Opera News > The Met Opera Guild http://www.metoperaf[...] Metoperafamily.org
[26] 뉴스 Giving ''Così fan tutte'' a Little Extra Gravity https://www.nytimes.[...] 2013-03-05
[27] 뉴스 Michael H – Profession: Director https://www.theguard[...] 2013-03-14
[28] 웹사이트 Michael H., Profession: Director http://www.timeout.c[...] 2013-03-12
[29] 웹사이트 Michael Haneke's Happy End is tense horror, and the lurking monster is privilege https://www.vox.com/[...] 2023-09-05
[30] 웹사이트 Michael Haneke Interviewed by Alexander Kluge – News und Stories (eng subtitles by dctp) https://www.youtube.[...] ProSiebenSat.1 Media 2008-06-23
[31] 웹사이트 Top directors teach at European film schools https://variety.com/[...] 2010-09-08
[32] 웹사이트 Filmakademie Wien https://cineuropa.or[...] 2016-06-07
[33] 웹사이트 L'ANIMALE {{!}} Luxembourg City Film Festival https://www.luxfilmf[...]
[34] 웹사이트 Katharina Mückstein: "Die Discoszene mit Nina Proll ist natürlich ein Zitat" https://www.derstand[...] 2013-09-12
[35] 웹사이트 Michael Haneke https://www.moma.org[...] 2023-09-05
[36] 웹사이트 10 Signature Elements of Michael Haneke's Filmmaking Style https://www.criticfi[...] 2023-09-05
[37] 웹사이트 Where to begin with Michael Haneke https://www.bfi.org.[...] 2023-09-05
[38] 웹사이트 How the directors and critics voted: Michael Haneke http://old.bfi.org.u[...] 2023-09-05
[39] 웹사이트 Michael Haneke's list https://www.lacinete[...] 2024-06-20
[40] 웹사이트 THE SEVENTH CONTINENT https://www.rottento[...] 2022-08-21
[41] 웹사이트 The Seventh Continent (1989) https://www.metacrit[...] 2022-08-21
[42] 웹사이트 BENNY'S VIDEO https://www.rottento[...] 2007-06-11
[43] 웹사이트 Benny's Video (1992) https://www.metacrit[...] 2022-08-21
[44] 웹사이트 71 FRAGMENTS OF A CHRONOLOGY OF CHANCE https://www.rottento[...] 2006-05-16
[45] 웹사이트 71 Fragments of a Chronology of Chance https://www.metacrit[...] 2022-08-21
[46] 웹사이트 FUNNY GAMES https://www.rottento[...] 2007-03-01
[47] 웹사이트 Funny Games https://www.metacrit[...] 2022-08-21
[48] 웹사이트 CODE UNKNOWN https://www.rottento[...] 2001-11-30
[49] 웹사이트 Code Unknown: Incomplete Tales of Several Journeys https://www.metacrit[...] 2022-08-21
[50] 웹사이트 THE PIANO TEACHER https://www.rottento[...] 2002-03-29
[51] 웹사이트 The Piano Teacher https://www.metacrit[...] 2022-08-21
[52] 웹사이트 TIME OF THE WOLF https://www.rottento[...] 2004-11-23
[53] 웹사이트 Time of the Wolf https://www.metacrit[...] 2022-08-21
[54] 웹사이트 CACHÉ https://www.rottento[...] 2022-08-21
[55] 웹사이트 Caché (Hidden) https://www.metacrit[...] 2022-08-21
[56] 웹사이트 FUNNY GAMES https://www.rottento[...] 2008-03-14
[57] 웹사이트 Funny Games (2008) https://www.metacrit[...] 2022-08-21
[58] 웹사이트 THE WHITE RIBBON https://www.rottento[...] 2008-03-14
[59] 웹사이트 The White Ribbon https://www.rottento[...] 2009-12-30
[60] 웹사이트 AMOUR https://www.rottento[...] 2012-12-19
[61] 웹사이트 Amour https://www.metacrit[...] 2022-08-21
[62] 웹사이트 HAPPY END https://www.rottento[...] 2017-12-22
[63] 웹사이트 Happy End https://www.metacrit[...] 2022-08-21
[64] 웹사이트 Michael Haneke To Create His First TV Series 'Kelvin's Book' For FremantleMedia's UFA Fiction https://deadline.com[...] 2018-01-29
[65] 웹사이트 Awards 2012 http://www.festival-[...] 2012-05-27
[66] 웹사이트 Awards 2012 http://www.festival-[...] 2012-05-28
[67] 웹사이트 Flashmob (2015) http://www.imdb.com/[...] 2014-10-21
[68] 뉴스 Minister of Fear. http://www.nytimes.c[...] New York Times Magazine 2007-08-21
[69] 웹인용 Awards 2012 http://www.festival-[...] 2012-05-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