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영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민영모(閔令謨, 1115년 ~ 1194년)는 고려의 문신입니다. 본관은 여흥(驪興)이며, 시호는 문경(文景)입니다.
생애:
- 1138년(인종 16년) 문과에 급제했습니다.
- 이부원외랑을 역임했습니다.
- 1175년(명종 5년) 형부시랑으로 고시관이 되어 승구원(承丘源) 및 방희진(方希進) 등을 합격시켰습니다.
-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를 거쳐 판병부사(判兵部事)가 되었습니다.
- 1179년(명종 9년) 중서시랑 평장사판이부사(中書侍郞平章事判吏部事)가 되었습니다.
- 1180년(명종 10년) 태자태사(太子太師)로 전임되었습니다.
- 1183년(명종 13년) 노령으로 은퇴를 요청하였으나, 이광정의 거짓 상표로 인해 자청하여 퇴직하였습니다.
가족 관계:
- 아버지: 민의(閔懿) (고려시대 호부원외랑)
- 처: 배씨(裵氏)
- 아들: 민식(閔湜), 민공규(閔公珪)
묘소: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사창리 민단에 묘소가 있습니다. 묘는 사창리 북동쪽 뒤편에 있는 경모재(景慕齋) 뒤 위쪽에 있습니다. 묘소는 실전되어 단비(壇碑)를 갖춘 묘단으로 대신하였습니다. 묘단비 앞면에는 '고려금자광록대부문하시랑평장사시문경민영모지묘단비(高麗金紫光祿大夫門下侍郞平章事諡文景閔令謨之墓壇碑)'라고 쓰여 있습니다.
평가:민영모는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했으며, 과거에 응시했을 때 지은 부(賦)는 격식에 맞지 않았으나, 지공거 최유(崔濡)는 그의 글에서 비범한 기개를 보았습니다. 그는 겁이 많고 말을 더듬었으며 실천력이 다소 떨어졌다고 전해지며, 정계에 있을 때 청탁을 받았으며 전주(銓注)를 함부로 하였다는 평가도 있습니다.
민영모 | |
---|---|
기본 정보 | |
![]() | |
본관 | 여흥 민씨 |
자 | 성오(聖五) |
호 | 연초(蓮樵) |
생애 | |
출생 | 1842년 10월 19일 |
사망 | 1916년 11월 16일 |
묘소 위치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금남리 |
가족 관계 | |
부 | 민치상(閔致庠) |
모 | 정부인 평산 신씨(貞夫人 平山申氏) |
배우자 | 정부인 안동 김씨(貞夫人 安東金氏) |
자녀 | 1남 민병승(閔丙承) |
관력 | |
주요 경력 | 규장각 직각 예문관 제학 공조판서 형조판서 한성부판윤 의정부찬정 판돈녕부사 의정부좌찬성 의정부우찬성 특명전권공사 중추원 고문 |
기타 | |
서훈 | 훈일등 태극장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