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세력동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주세력동맹(SDS)은 1989년 12월 불가리아의 민주주의 도입을 목표로 결성된 정당 연합이다. 에코글라스노스트, 불가리아 사회민주노동자당 등 11개의 정치 조직으로 시작하여 급진 민주당 등 6개 정당이 추가로 합류했다. 젤류 젤레프가 의장, 페타르 베론이 서기를 맡았으며, 1990년 선거에서 압승을 거두고 민주주의를 도입했다. 이후 분열과 재결합을 거쳐, 1997년에는 이반 코스토프 정부를 출범시켰으나, 2001년 선거에서 패배했다. 2000년대 이후에는 청색 연합, 개혁 블록 등과 연합하여 활동했으며, 2024년 6월 선거에서 3석을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가리아의 반공주의 - 방공 협정
1936년 나치 독일과 일본 제국이 코민테른에 대항하여 체결한 방공 협정은 소련을 겨냥한 비밀 의정서를 포함하고, 추후 이탈리아 등을 포함한 추축국 형성에 기여했으나, 독소불가침조약으로 의미가 퇴색되고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비판받으며 국제 정세와 추축국 외교 전략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동유럽 혁명의 단체 - 민주사회당 (독일)
민주사회당(PDS)은 1989년 동독에서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SED)이 개혁 과정에서 당명을 변경하여 창당되었으며, 동독 민주화 이후 독일 재통일 과정에서 슈타지 연루 의혹과 과거 공산주의와의 관계를 정리하는 과제를 겪었고, 2007년 좌파당으로 통합되었다. - 동유럽 혁명의 단체 - 에스토니아 공산당
에스토니아 공산당은 1920년 소련 공산당의 에스토니아 지부에서 분리되어 창당되었으며, 1924년 쿠데타 시도 실패 이후 지지 기반이 약화되었고, 1940년 소련에 흡수되었다가 1990년 분열되었다. - 불가리아의 보수주의 정당 - 불가리아 구원 국민전선
불가리아 구원 국민전선은 2011년 창당된 극우 민족주의 정당으로, 애국 전선 결성을 통해 의회에 진입했으나, 이후 의회 진입에 어려움을 겪어 2023년 "보수 불가리아"로 당명을 변경했다. - 불가리아의 보수주의 정당 -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불가리아 국민운동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불가리아 국민운동은 불가리아 민주화 이후 결성된 우익 포퓰리즘 정당으로, IMRO의 후신을 자처하며 마케도니아인이 불가리아인이라는 주장을 펼치고, 자유 시장 경제를 옹호하며 사회적으로 보수적인 입장을 취한다.
민주세력동맹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로마자 표기 | Sayuz na demokratichnite sili |
약칭 | SDS |
창립일 | 1989년 12월 7일 |
본부 | 소피아, 라코프스카 거리 134 |
당원 수 | 약 10,000명 (2018년) |
웹사이트 | www.sds.bg |
지도자 | |
대표 | 루멘 흐리스토프 |
이념 | |
정치 성향 | 중도우파 |
주요 이념 | 기독교 민주주의 보수주의 국민보수주의 반공주의 친유럽주의 |
국제 관계 | |
소속 국제기구 | 중도 민주 인터내셔널 국제 민주주의 연합 |
유럽 정당 | 유럽 국민당 |
유럽 의회 | 유럽 국민당 그룹 |
국내 관계 | |
연합 | GERB—SDS |
의석수 | |
국민 의회 | 1/240석 |
유럽 의회 | 1/17석 |
지방 자치체 | 7/265석 |
기타 정보 | |
색상 | 파란색 |
2. 역사
1989년 11월 토도르 지프코프의 권위주의 정권이 무너진 직후, 불가리아의 민주주의 전환을 목표로 하는 여러 반체제 단체들이 모여 같은 해 12월 7일 민주세력동맹(SDS)을 결성했다. 초기에는 에코글라스노스트, 불가리아 사회민주노동자당 (연합), 불가리아 농민 인민 연합 "니콜라 페트코프" 등 11개 조직의 연합체로 출발했으며, 이후 6개 정당이 추가로 합류했다.[13][14] 반체제 철학자 젤류 젤레프가 초대 의장을 맡았다.
민주세력동맹은 시민들의 지지를 바탕으로 구 공산당의 후계 정당인 불가리아 사회당과 대립하며 민주화를 추진했다. 1990년 6월 첫 자유 총선거에서는 사회당에 이어 제2당이 되었으나, 이후 정치적 과정을 통해 1990년 8월 젤류 젤레프가 대통령으로 선출되는 성과를 거두었다. 1991년 총선거에서는 분열에도 불구하고 사회당을 누르고 제1당으로 부상하여 필립 디미트로프를 총리로 하는 단독 내각을 구성하며 집권에 성공했다.
그러나 디미트로프 정부는 급진적인 경제 개혁 추진 과정에서의 어려움과 정치적 갈등으로 1년여 만에 붕괴되었고, 1994년 총선에서는 큰 패배를 겪었다. 이후 정당 연합 형태에서 단일 정당으로 전환했다. 경제난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던 1997년 조기 총선에서 압승하여 이반 코스토프를 총리로 재집권했고, 경제 개혁을 추진하여 1999년 유럽 연합 가입 협상 개시라는 성과를 이끌어냈다.
하지만 개혁의 사회적 비용과 부패 논란 등으로 2001년 총선에서 패배하며 다시 야당이 되었다. 이후 당내 분열(코스토프의 신당 창당 등)과 정치 지형 변화 속에서 통일 민주 세력, 청색 연합, 개혁 블록 등 다양한 선거 연합을 통해 활동하며 부침을 겪었다. 2009년 선거에서는 청색 연합의 일원으로 의석을 확보했으나, 2013년에는 원내 진출에 실패하기도 했다. 이후 2014년과 2021년에는 각각 다른 정당과의 연합을 통해 의석을 일부 회복했다.[16] 민주세력동맹 출신 인물 중 젤류 젤레프, 페타르 스토야노프, 로센 플레브넬리에프 등이 대통령을 역임했다.
2. 1. 창설 배경
1980년대 후반 토도르 지프코프 정권이 몰락해가던 시기에 여러 반체제 그룹들이 결성되었고, 이들이 민주세력동맹의 기반이 되었다. 지프코프가 실각하자, 이들 그룹은 각자의 목표를 추구하면서도 협력하는 느슨한 정치 연합을 구상했다. 조정 위원회는 각 조직에서 3명의 위원을 파견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오랫동안 반체제 활동을 해온 철학자 젤류 젤레프 (후에 불가리아 대통령이 됨)가 초대 의장으로, 저명한 환경 과학자 페타르 베론이 서기로 선출되었다.민주세력동맹(SDS)은 1989년 12월 7일 공식적으로 창설되었다. 초기에는 에코글라스노스트, 불가리아 사회민주노동자당 (연합), 불가리아 농민 인민 연합 "니콜라 페트코프" 등 11개의 정치 조직이 연합했다. 이 조직들은 불가리아의 민주화 운동(동유럽 혁명)을 주도한 그룹(에코글라스노스트, 녹색당)과 공산 정권 수립 이전의 전통적 야당(불가리아 사회민주당, 농민동맹 "니콜라 페트코프파") 등을 포함했다. 다음 해에는 급진 민주당, 불가리아 녹색당, 민주당, 신 사회민주당, 통일 민주 중도, 민주 전선 등 6개 정당이 추가로 합류했다.[13][14]
2. 2. 초기 활동 및 민주화
1989년 12월 7일,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의 토도르 지프코프 독재 정권이 몰락한 지 한 달 만에 불가리아의 민주주의 도입을 목표로 여러 반체제 그룹들이 모여 민주세력동맹(SDS)을 결성했다.[13][14] 이는 1980년대 후반 지프코프 정권 하에서 활동한 에코글라스노스트, 불가리아 사회민주노동자당 (연합), 불가리아 농민 인민 연합 "니콜라 페트코프" 등 11개의 정치 조직이 연합한 것이었다. 이듬해에는 급진 민주당, 불가리아 녹색당, 민주당 등 6개 정당이 추가로 합류했다.[13][14] 초기 지도부는 오랫동안 반체제 철학자로 활동했던 젤류 젤레프가 의장으로, 환경 과학자인 페타르 베론이 서기로 선출되었다. 민주세력동맹은 각 조직의 자율성을 존중하며 조정 위원회를 통해 협력하는 느슨한 정치 연합 형태로 출발했다.민주세력동맹은 시민들의 광범위한 지지를 받으며 불가리아 공산당의 후계 정당인 불가리아 사회당과 대립하며 민주화를 요구하는 투쟁을 벌였다. 그 결과 1990년 2월, 불가리아 정부는 다당제에 기반한 의회 구성을 인정하게 되었다. 같은 해 6월에 치러진 첫 자유 총선거에서 민주세력동맹은 수도 소피아를 비롯한 도시 지역에서 높은 지지를 얻었으나, 전체적으로는 사회당에 밀려 제2당이 되었다. 선거 이후에도 민주화 요구는 계속되었고, 1990년 7월에는 기존의 권위주의 정부 체제가 사실상 막을 내리고 민주주의 체제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대통령 선출 과정에서 구 정부 출신의 페터르 믈라데노프가 선출되면서 민주세력동맹과 갈등을 빚었다. 결국 믈라데노프는 한 달 만인 1990년 8월 사임했고, 민주세력동맹의 지도자 젤류 젤레프가 새로운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1990년 선거 패배 후 민주세력동맹은 사회당 주도의 디미타르 일리예프 포포프 연립 내각에 참여했다. 그러나 신헌법 제정을 둘러싼 내부 이견으로 인해 1991년 5월 15일, 39명의 의원들이 탈퇴하여 SDS-센터와 SDS-자유주의자라는 별도의 조직을 결성하는 등 분열을 겪었다. 이러한 분열에도 불구하고, 민주세력동맹(주류파, '국민운동파')은 1991년 10월에 실시된 국민의회 선거에서 사회당을 누르고 제1당이 되었다.
선거 승리 후, 1991년 11월 민주세력동맹은 터키계 소수 민족 정당인 권리와 자유를 위한 운동의 원외 협력을 얻어 필립 디미트로프를 총리로 하는 단독 내각을 구성했다. 디미트로프 정부는 급진적인 경제 개혁과 긴축 재정 정책을 추진했으나, 이에 대한 사회적 반발과 권리와 자유를 위한 운동의 지지 철회로 인해 1992년 9월 불신임 결의로 1년 만에 붕괴되었다. 이후 사회당과 권리와 자유를 위한 운동이 연합하여 류벤 베로프 교수를 총리로 하는 새로운 연립 정부를 구성했다. 민주세력동맹 내에서는 이탈자가 계속 발생했고, 그 결과 1994년 총선거에서는 의석수가 크게 줄어드는 패배를 겪었다. 선거 이후 민주세력동맹은 기존의 정당 연합 형태에서 벗어나 단일 정당으로 조직을 개편했다.
2. 3. 1990년대: 집권과 개혁, 그리고 분열
1990년 6월 대국민의회 선거에서 민주세력동맹(SDS)은 수도 소피아 등 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지지를 얻었으나, 불가리아 공산당의 후계 정당인 불가리아 사회당에 이어 제2당에 머물렀다.[13][14] 선거 후 디미타르 일리예프 포포프가 이끄는 연립 내각에 참여했다. 같은 해 7월 구 공산 정권 출신의 페타르 믈라데노프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자 SDS는 그와 대립각을 세웠고, 결국 믈라데노프는 한 달 만에 사임했다. 이후 SDS의 지도자였던 젤류 젤레프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선거 후 신헌법 제정을 둘러싸고 동맹 내에서 의견 대립이 발생했다. 조기 선거를 요구하는 그룹(39인 그룹)과 헌법 초안 채택 후 선거 실시를 요구하는 그룹(불가리아 사회민주당, 농민동맹 "니콜라 페트코프파")으로 나뉘었다. 1991년 5월 15일, 39명의 의원들이 새 헌법 초안에 대한 이견으로 SDS를 탈당하여 SDS-센터와 SDS-자유주의자라는 새로운 조직을 만들면서 동맹은 분열을 겪었다.
신헌법 제정 후 치러진 1991년 국민의회 선거에서 SDS는 분열에도 불구하고 사회당을 누르고 제1당이 되었다. 선거 후, 터키계 주민의 정당인 권리와 자유를 위한 운동의 원외 협력을 얻어 필립 디미트로프를 총리로 하는 단독 내각을 구성하며 집권에 성공했다.
그러나 디미트로프 정부가 추진한 급진적인 경제 개혁과 긴축 재정 정책은 사회적 반발을 샀고, 결국 1992년 9월 권리와 자유를 위한 운동이 지지를 철회하면서 정부는 불신임 결의로 1년여 만에 붕괴되었다. 이후 SDS에서는 이탈자가 속출했으며, 사회당이 권리와 자유를 위한 운동과 함께 류벤 베로프 교수를 총리로 하는 새로운 연립 정부를 구성했다. 1994년 10월 베로프 내각이 사임한 후 치러진 1994년 총선에서 SDS는 의석수가 크게 줄어드는 참패를 겪었다. 선거 후 SDS는 여러 정치 조직의 연합체에서 단일 정당으로 조직을 개편했다.
경제난에 대한 국민적 불만이 커지면서 잔 비데노프 사회당 총리가 1996년 말 사임했고, 1997년 조기 총선이 실시되었다. 이 선거에서 SDS는 55%라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승리하며 재집권에 성공했다. 당 지도자 이반 코스토프가 총리가 되어 새로운 정부를 구성하고 여러 중요한 경제 개혁을 성공적으로 추진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불가리아는 1999년 12월 유럽 연합(EU) 가입 협상 시작 초청을 받는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개혁 과정에서 나타난 실업률 증가 등 사회적 비용과 부패 의혹에 대한 대중의 불만이 커지면서, SDS는 2001년 6월 총선에서 시메온 2세 국민 운동에 패배했다. SDS가 주도한 선거 연합인 통일 민주 세력은 18.2%의 득표율로 240석 중 51석을 얻는 데 그쳤다.
2. 4. 2000년대 이후: 연합 정치와 현재
2001년 6월 선거에서 민주세력동맹(SDS)은 시메온 2세 국민 운동에 패배했다. SDS가 주도한 통일 민주 세력 연합은 18.2%의 득표율로 240석 중 51석을 얻는 데 그쳤다. 이후 당내에서는 분열이 일어났는데, 전 총리이자 당 대표였던 이반 코스토프는 자신의 정당인 강력한 불가리아를 위한 민주당(DSB)을 창당했다.2005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 민주 세력은 8.4%의 득표율과 240석 중 20석을 얻었다. 당시 당 의장은 전 대통령인 페타르 스토야노프가 맡고 있었다 (2007년 5월 20일까지).
유럽 정치 무대에서는 2007년 3월 유럽 개혁 운동(MER) 창립 회의에서 SDS가 영국 보수당, 체코의 시민 민주당과 함께 공식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발표되었으나[15], 얼마 지나지 않아 SDS는 이 결정을 철회하고 유럽 인민당(EPP)에 계속 남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2007년 5월 20일 유럽 의회 선거에서 SDS는 단 한 명의 유럽 의원도 배출하지 못했고, 이 결과에 책임을 지고 명단을 이끌었던 스토야노프 의장이 사임했다.
2009년 초, SDS는 DSB, 통일 농민당, 불가리아 사회민주당, 급진 민주당 등 4개의 다른 중도 우파 정당들과 함께 선거 동맹인 "청색 연합"을 결성했다. 이 연합은 2009년 6월 유럽 의회 선거에 참여하여 1석을 얻었으며[25] (유럽 인민당(EPP) 그룹 소속), 같은 해 12월 리스본 조약이 발효되면서 의석 수가 2석으로 늘어났다. 청색 연합은 한 달 뒤 열린 2009년 7월 국내 의회 선거에서도 6.8%의 득표율로 15석을 확보하며 5위를 차지했다[26].
그러나 이후 선거에서는 부진을 겪었다. 2013년 5월 선거에서는 단독으로 출마하여 불가리아 국민 의회에서 모든 의석을 잃었다. 2014년 선거에서는 개혁 블록 연합의 일원으로 참여하여 4석을 되찾았으나, 2017년 선거에서는 다시 의석 확보에 실패했다. 2021년 4월 선거에서는 보수 정당인 GERB와 연합하여 출마해 2석을 얻었으며, 이후 다른 두 명의 국회의원이 추가로 SDS에 합류했다.[16]
3. 주요 정당 및 연합
민주세력동맹(SDS)은 불가리아 정치사에서 여러 차례 다른 정당들과 선거 연합 또는 연립 정부를 구성해왔다. 1997년 선거를 위해 SDS를 중심으로 통합 민주 세력이 결성되었고, 2009년에는 강력한 불가리아 민주당(DSB) 등과 함께 청색 연합을 이루었다. 2013년에는 개혁 블록 연합에 참여했으며, 2019년부터는 게르프와 연립 정부를 구성하고 있다. 각 연합 및 연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통합 민주 세력
1997년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민주세력동맹(SDS)을 중심으로 '민주세력동맹'이라는 이름의 선거 연합이 결성되었다. 이 명칭은 이후 다른 선거와 국회 내 그룹에서도 계속 사용되었다.3. 2. 청색 연합 (푸른 동맹)
2009년 초, 민주세력동맹(SDS)은 강력한 불가리아 민주당(DSB)과 함께 2009년 불가리아 유럽 의회 선거 및 2009년 불가리아 국회의원 선거에 참여하기 위한 선거 연합을 결성하였다. 이 연합은 청색 연합(푸른 동맹)으로 불렸으며, 다른 소규모 정당들도 포함되었다.3. 3. 개혁 블록
2013년 12월 20일에 개혁 블록 연합을 결성하기 위한 연립 협약이 체결되었다. 이 협약에 서명한 5개의 정당은 민주 세력 연합, 강력한 불가리아를 위한 민주당, 시민 운동을 위한 불가리아, 국민당 자유와 존엄, 그리고 불가리아 농업 국민 연합이었다.[17]3. 4. GERB
2019년부터 게르프와 연립 정부를 구성하고 있다.4. 역대 의장 (당수)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 서술을 피함)
4. 1. 조정 협의회 의장
4. 2. 통합 정당 의장
- 이반 코스토프 (1997–2001)
- 예카테리나 미하일로바 (2001–2002)
- 나데즈다 네인스키 (2002–2005)
- 페타르 스토야노프 (2005–2007)
- Пламен Юруков|플라멘 유루코프bg (2007–2008)
- 마틴 디미트로프 (2008–2012)
- Емил Кабаиванов|에밀 카바이바노프bg (2012–2013)
- Bozhidar Lukarski|보지다르 루카르스키영어 (2013–2018)
- 루멘 흐리스토프 (2018–''현재'')
5. 역대 선거 결과
=== 국회의원 선거 ===
선거 | 득표수 | 득표율 (%) | 순위 | 의석수 | 증감 | 비고 |
---|---|---|---|---|---|---|
1990년 | 2,217,798 | 36.21 | 2위 | 144 / 400 | - | 과도 정부 |
1991년 | 1,903,567 | 34.4 | 1위 | 110 / 240 | ▼ 34 | 연립 정부 |
1994년 | 1,260,374 | 24.23 | 2위 | 69 / 240 | ▼ 41 | 야당 |
1997년 | 2,223,714 | 52.3 | 1위 | 137 / 240 | ▲ 68 | 연립 정부 |
2001년 | 830,338 | 18.18 | 2위 | 51 / 240 | ▼ 86 | 야당 |
2005년 | 280,323 | 7.68 | 5위 | 20 / 240 | ▼ 31 | 야당 |
2009년 | 285,671 | 6.76 | 5위 | 15 / 240 | ▼ 5 | 정부 지지 |
2013년 | 48,681 | 1.38 | 12위 | 0 / 240 | ▼ 15 | 원외 정당 |
2014년 | 291,806 | 8.89 | 4위 | 4 / 240 | ▲ 4 | 연립 정부 |
2017년 | 107,399 | 3.06 | 6위 | 0 / 240 | ▼ 4 | 원외 정당 |
2021년 4월 | 837,671 | 25.71 | 1위 | 2 / 240 | ▲ 2 | 조기 선거 |
2021년 7월 | 642,165 | 23.21 | 2위 | 3 / 240 | ▲ 1 | 조기 선거 |
2021년 11월 | 596,456 | 22.44 | 2위 | 2 / 240 | ▼ 1 | 야당 |
2022년 | 634,627 | 25.34 | 1위 | 3 / 240 | ▲ 1 | 조기 선거 |
2023년 | 669,924 | 25.39 | 1위 | 2 / 240 | ▼ 1 | 연립 정부 |
2024년 6월 | 530,658 | 23.99 | 1위 | 3 / 240 | ▲ 1 | 조기 선거 |
2024년 10월 | 642,973 | 25.52 | 1위 | 1 / 240 | ▼ 2 | 미정 |
=== 대통령 선거 ===
선거 | 후보 | 1차 투표 | 2차 투표 | ||||
---|---|---|---|---|---|---|---|
득표수 | 득표율 (%) | 순위 | 득표수 | 득표율 (%) | 결과 | ||
1992년 | 젤류 젤레프 | 2,273,541 | 44.66 | 1위 | 2,738,420 | 52.85 | 당선 |
1996년 | 페타르 스토야노프 | 1,889,825 | 44.07 | 1위 | 2,502,517 | 59.73 | 당선 |
2001년 | 페타르 스토야노프 | 991,680 | 34.95 | 2위 | 1,731,676 | 45.87 | 낙선 |
2006년 | 네델초 베로노프 | 271,078 | 9.75 | 3위 | - | - | 낙선 |
2011년 | 루멘 흐리스토프 | 65,761 | 1.95 | 6위 | - | - | 낙선 |
2016년 | 트라이초 트라이코프 | 224,734 | 5.87 | 6위 | - | - | 낙선 |
2021년 | 아나스타스 게르지코프 | 610,862 | 22.8 | 2위 | 733,791 | 31.8 | 낙선 |
=== 유럽 의회 선거 ===
선거 | 대표 | 득표수 | 득표율 (%) | 순위 | 의석수 | 증감 | 유럽 의회 그룹 |
---|---|---|---|---|---|---|---|
2007년 | 스테판 소피얀스키 | 84,350 | 4.35 | 7위 | 0 / 18 | - | – |
2009년 | 나데즈다 미하일로바 | 204,817 | 7.95 | 6위 | 1 / 18 | ▲ 1 | 유럽 인민당 그룹 |
2014년 | 메글레나 쿠네바 | 144,532 | 6.45 | 5위 | 0 / 17 | ▼ 1 | – |
2019년 | 마리야 가브리엘 | 607,194 | 30.13 | 1위 | 1 / 17 | ▲ 1 | |
2024년 | 로센 젤랴즈코프 | 474,059 | 23.55 | 1위 | 1 / 17 | ± 0 |
참조
[1]
뉴스
БСП и ГЕРБ вече почти равни по брой членове
https://www.24chasa.[...]
2018-08-06
[2]
웹사이트
Bulgaria
http://www.parties-a[...]
[3]
간행물
Central and East European party systems since 198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11-17
[4]
간행물
Getting the Right Right: Redefining the Centre-Right in Post-Communist Europe
Routledge
[5]
간행물
Bulgaria
Routledge
[6]
서적
The JCMS Annual Review of the European Union in 2008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9-09-08
[7]
간행물
Postcommunism and the Theory of Democracy
Princeton University Press
[8]
서적
Postcommunism and the Theory of Democrac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1-12-02
[9]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European Electio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8-14
[10]
간행물
The Eastern Dimension of America's New European Allies
Strategic Studies Institute
[11]
간행물
Understanding the Politics of the Right in Contemporary East-Central Europe
Routledge
[12]
웹사이트
Само 344 000 членове стоят зад партиите в парламента - 24chasa.bg
https://www.24chasa.[...]
2016-03-13
[13]
웹사이트
Omda.bg - Съюз на демократичните сили /СДС/
http://www.omda.bg/b[...]
[14]
문서
Coordinating Council of the Union of Democratic Forces.
https://en.wikisourc[...]
[15]
웹사이트
Conservative Party - News Story
http://www.conservat[...]
2007-03-07
[16]
웹사이트
Bulgaria - Parties and Elections in Europe
http://parties-and-e[...]
2021-07-14
[17]
웹사이트
Bulgarian Rightists Seal Reformist Bloc Coalition
http://www.novinite.[...]
Sofia News Agency
2014-03-31
[18]
웹사이트
Bulgaria Rightists UDF Reelect Leader Martin Dimitrov
http://www.novinite.[...]
Sofia News Agency
[19]
간행물
Bulgaria
http://www.parties-a[...]
[20]
간행물
Central and East European party systems since 198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간행물
Getting the Right Right: Redefining the Centre-Right in Post-Communist Europe
Routledge
[22]
간행물
Bulgaria
Routledge
[23]
간행물
The Eastern Dimension of America's New European Allies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4]
간행물
Understanding the Politics of the Right in Contemporary East-Central Europe
Routledge
[25]
보고서
ブルガリア月報【09年3・4月号】
http://www.bul.jp/im[...]
在ブルガリア日本国大使館
null
[26]
보고서
ブルガリア月報【09年6・7月号】
http://www.bul.jp/im[...]
在ブルガリア日本国大使館
null
[27]
간행물
Bulgaria
http://www.parties-a[...]
[28]
간행물
Central and East European party systems since 198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간행물
Getting the Right Right: Redefining the Centre-Right in Post-Communist Europe
Routledge
[30]
간행물
Bulgaria
Routledge
[31]
서적
The JCMS Annual Review of the European Union in 2008
https://books.google[...]
[32]
간행물
Postcommunism and the Theory of Democracy
Princeton University Press
[33]
서적
Postcommunism and the Theory of Democracy
https://books.google[...]
[34]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European Elections
https://books.google[...]
[35]
간행물
The Eastern Dimension of America's New European Allies
Strategic Studies Institute
[36]
서적
Understanding the Politics of the Right in Contemporary East-Central Europe
Routled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