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중고등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중고등학교는 덴마크에서 시작된 교육기관으로, 1844년 설립되어 농민과 빈민의 교육을 목표로 했다. 덴마크 민족주의 성장과 함께 널리 퍼졌으며, 현재는 종교적, 세속적 학교로 나뉘어 다양한 과목을 제공한다. 시험이나 학위 없이 자기 개발과 평생 학습을 중시하며, 기숙 학교 형태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민중고등학교는 덴마크 외에도 여러 국가로 확산되었으며, 한국에서도 일제강점기 이전에 국민고등학교, 농민고등학교 등의 형태로 존재했다. 이 학교들은 다양한 과목을 제공하고, 자율 학습과 독립적인 교육 내용을 추구하며, 평생 학습을 핵심 가치로 삼는다.

2. 역사

그룬트비는 대중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민중고등학교는 교육과 문화에 대한 보수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평범한 사람들이 책뿐만 아니라 실제 경험을 통해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는 상류층의 전유물이었던 대학교육을 대중에게 확대하고, 사회와 개인의 관계를 새롭게 만들고자 했다.[39][40]

민중고등학교는 시간이 지나면서 많은 변화를 겪었고, 오늘날에는 현대적인 가치와 문제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고 있다. 가장 핵심적인 가치는 "평생 교육"으로, 학교 교육은 누구나 평생에 걸쳐 받을 수 있어야 하며, 개인은 사회 구성원의 일부로서 존중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룬트비는 현실과 삶을 그대로 반영하는 보편적 가치를 추구했으며, 학교 교육은 사람들의 삶에 따라 재정비되어야 하고, 시험은 불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는 학교에서의 삶과 상호 이해를 통한 학습을 중요하게 여겼다.

민중고등학교는 1844년 덴마크 뢰딩에서 크리스텐 콜드의 주도로 처음 시작되었다. 콜드는 재정적으로 어려운 사람들과 농민들을 교육해야 한다는 신념으로 학교를 설립했으며, 사회 변화에 따라 교육 대상을 확대하고 누구나 배울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후 여러 곳에 민중고등학교가 설립되었고, 현재도 덴마크에서 운영되고 있다. 비형식교육의 일환으로 다양한 연령대와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모이며, 2009년 말 기준 76개교가 운영 중이다. 교육 방침은 음악, 미술, 디자인, 작문, 종교, 철학, 언어, 문학 등 매우 다양하며, 일부 학교는 스포츠에 특화되어 있기도 하다. 학비는 학교마다 다르지만, 보통 매주 1200KRW 정도이다.

최근 세계화 추세에 따라 덴마크 민중고등학교의 교과 과정도 다양해지고 있으며, 외국인 학생도 참여할 수 있고, 여행이나 자원봉사 프로그램도 운영되고 있다.

2. 1. 덴마크에서의 기원과 발전

그룬트비는 민중고등학교의 창시자로 여겨지며, 영국 기숙학교에서 영감을 얻었지만, 정규 교육이 아닌 대중 교육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의 아이디어는 개인적인 발전을 통해 농민과 사회 하층 계급의 사람들에게 더 높은 교육 수준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그룬트비는 이를 "살아있는 말"이라고 불렀다. 기독교적 틀 안에서 교육의 지도 원리는 조국의 언어와 역사, 헌법 및 주요 산업(농업)과 민요가 되어야 했다.[1]

그룬트비히 민중고등학교


최초의 민중고등학교는 1844년 덴마크 뢰딩에 설립되었다. 그룬트비를 따르던 크리스텐 콜의 주도로 시작되었으며, 대학에 다닐 시간이나 돈이 없었던 가난한 농민들을 교육해야 할 필요성에서 영감을 받았다. 덴마크의 다른 오래된 민중고등학교로는 유틀란트에 있는 테스트루프 민중고등학교(1866년 설립), 아스코프 호이스콜레(1865년 설립), 뤼 호이스콜레(1892년 설립), 셸란의 발레킬데 민중고등학교(1865년 설립), (Møn)에 있는 뢰드킬데 호이스콜레(1866년 설립) 등이 있다. 헬싱괴르에 있는 국제 민중 대학교는 덴마크 민중고등학교 중 가장 국제적인 학교로, 영어로 수업이 진행되며 전 세계 여러 나라에서 온 교사와 학생들이 재학하고 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아스코우의 폴케호이스콜레. 1885년


1851년에 크리스텐 콜에 의해, 교장의 인격적 지도성에 이끌린 하나의 "집"과 같은 기숙 제도를 가진 교육 시스템으로 확립되어, 1864년부터 1900년에 걸쳐 융성하여 덴마크 국내에 80개교 정도로 확산되었다.[28] 이들은 도시의 교양 시민을 육성하는 전통적인 라틴어 학교와 달리, 모두 사립이며, 졸업 증명서도 없고, 민중의 다수인 농민을 대상으로 하는 보습 학교적인 의미를 가지며, 이러한 존재가 덴마크의 농산물 수출의 성공을 가져온 "협동조합 시스템"(산업조합)을 기능하게 하는 배경을 형성하는 원천이 되었다.[28] 1891년에 아스코우 호이스콜레 강사 폴 라 쿠르가 농촌에 전기를 보급하기 위해 세계 최초의 풍력 발전기를 건설하는 등, 덴마크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29]

민중고등학교는 1864년 제2차 슐레스비히 전쟁으로 덴마크가 영토의 상당 부분을 할양해야 했을 때, 국민의 계몽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덴마크 의식과 민족주의의 성장을 가능하게 했다. 덴마크가 프로이센에 영토를 빼앗긴 것은 덴마크의 국가 의식을 강타했고, 이는 새로운 덴마크 정체성의 촉매제가 되었다. 그들은 전국에 민중고등학교를 설립했으며, 1867년까지 21개의 민중고등학교가 개교했다. 1918년 덴마크의 민중고등학교 수는 68개에 달했다.

현대의 민중고등학교는 상당히 다양하다. 일부는 여전히 종교적인 초점을 가지고 있지만, 대부분은 세속적이다. 학교는 여전히 ''그룬트비안'' 민중고등학교로, 명시적으로 가르치지는 않지만, 계몽, 윤리, 도덕민주주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룬트비안'' 철학은 예술, 체조, 저널리즘 등 다양한 과목의 교육에 스며들어 있다. 대부분의 학교는 스포츠, 음악, 예술 또는 글쓰기와 같은 전문 분야를 가지고 있다. 학위나 졸업장이 수여되지 않기 때문에 교육은 일반 교육 기관보다 더 자유롭고 비공식적이다. 대부분의 스칸디나비아 민중고등학교는 학생들이 2개월에서 6개월 동안 기숙하는 기숙학교이다.[2] 일부 학교는 1년 전체 과정을 제공한다.

덴마크에는 약 70개의 민중고등학교가 있다. 주요 교육 과목은 음악, 미술, 디자인, 글쓰기와 같은 창의적인 예술에서부터 종교, 철학, 문학, 심리학과 같은 지적인 과정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일부 학교는 스포츠를 전문으로 하는 과정을 개설하기도 한다. 수업료는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식비와 숙박비를 포함하여 주당 약 1300 덴마크 크로네이다.

최근 역사에서 세계화는 덴마크 학교에 점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많은 과정이 덴마크인뿐만 아니라 외국인에게도 열려 있으며, 많은 과정에서는 다른 국가로의 여행이나 자원 봉사 활동을 교과 과정의 일부로 포함한다.

덴마크어의 "폴케호이스콜레(Folkehøjskole)"는 '사람들'을 뜻하는 '폴케(Folke)', '높은'을 뜻하는 '호이(Høj)', '학교'를 뜻하는 '스콜레(Skole)'가 합쳐진 단어이다. 일본에서는 이를 직역한 "국민고등학교"가 다이쇼 시대 초부터 번역어로 주로 사용되어 왔다.[28]

덴마크에는 약 70개의 민중고등학교가 있다. 이 학교들은 사립학교이지만, 공적 보조를 받는다. 덴마크의 교육에서 "폴케호이스콜레법"이 제정되어, 수업의 절반 이상을 종합적인 배움에 할애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시험이나 학점은 없으며, 강사를 포함한 참가자 상호 간의 대화를 통한 성장을 중시하기 때문에, 전원 기숙사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아침과 저녁에 집회를 열어 노래를 부른다. 이를 위한 곡을 모은 『호이스콜레 송북』은 시대마다 곡을 바꾸면서 1894년부터 판을 거듭하고 있다.

2. 2. 세계 각국으로의 확산

덴마크에서 시작된 민중고등학교는 전 세계 여러 나라로 확산되었다.

민중고등학교 뒤셀도르프, 독일


민중고등학교 크렘스안데어도나우, 오스트리아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의 민중고등학교는 대개 지역 차원에서 재정 지원을 받으며 성인을 대상으로 학점 미취득 강좌를 제공한다. 제공되는 강좌는 일반 교육, 직업 교육, 정치 교육, 제2외국어로서의 독일어 (특히 이민자 대상), 통합 과정 (특히 새로 도착한 난민 대상), 다양한 외국어, 다양한 형태의 예술, 정보 기술, 건강 교육, 학교 시험 준비반 (특히 아비투어 또는 마투라) 등이다.[2] 독일에서는 학교 시험 준비반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 학교들은 다른 국가의 성인 고등학교와 동등한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독일에는 기숙 학교 형태의 민중고등학교도 있는데, 이를 "Heimvolkshochschulen"이라고 부른다.[2]

북유럽 국가 및 독일 외에도 스위스, 오스트리아, 폴란드, 프랑스에도 민중고등학교가 있다.[2]

1866년 제2제국 시대에 장 마세는 대중 교육에 전념하는 ''교육 연맹''(Ligue de l'enseignement)을 창립했다.[7] 1880년대에 통과된 쥘 페리 법은 무료, 세속적, 의무 공교육을 프랑스 제3공화국의 건국 원칙 중 하나로 확립했다.[7]

강연 목록, 대중 대학교 - 빌르반 - 1936


최근에는 1981년 1981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이후, 교육부 장관 알랭 사바리는 장 레비의 주도로 바칼로레아를 수여하지만 ''노동자 자치 관리''(또는 "자동 관리") 원칙에 따라 조직되는 공립 고등학교를 설립하는 것을 지지했다.[7] 이 고등학교는 ''파리 자치 고등학교''(LAP)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7]

1889년, 소피아 하그만은 캉가살라에 핀란드 최초의 민중고등학교를 설립했다.[5] 핀란드에는 공립, 사립, 세속적, 종교적 민중고등학교가 일반적이며, 노동운동이 관할하는 노동자 고등학교도 있다.[6] 핀란드에는 184개의 민중고등학교가 있으며, 연간 65만 명이 200만 시간의 수업을 받는데, 이는 인구 550만 명의 국가에서 상당한 숫자이다.[6] 핀란드 공교육과는 달리, 과목별 및 수업별 수강료가 있다. 가장 흔한 과목은 수공예 기술, 음악, 언어, 체육, 시각 예술, 연극 및 무용이다.[6]



1910년 폴란드에서는 덴마크의 민중고등학교가 덴마크 시골의 번영을 촉진하는 데 성공했다는 보고를 바탕으로 폴란드 활동가 안토니 루드비차크가 유사한 학교를 설립하였다.[12] 첫 번째 폴란드 민중고등학교는 독립 폴란드가 재건된 후 1921년 달키에 설립되었다.[12]

노르웨이 최초의 민중고등학교인 사가툰은 1864년에 설립되었다.[2] 2012년 기준으로 전국에 77개의 민중고등학교가 있으며, 그 중 30개는 기독교 계열 학교였다. 민중고등학교는 주로 젊은 성인들을 대상으로 일반 교육 기회를 제공한다.[2]

1868년 스웨덴에 최초의 폴크호이스콜레가 설립되었다.[15] 스웨덴의 폴크호이스콜레는 민주주의 강화, 개인 발전, 교육 평등 창출, 문화에 대한 관심과 참여 증진이라는 네 가지 목표를 지원하기 위해 스웨덴 정부로부터 공적 자금을 지원받는다.[16] 2023년 현재, 전국에 156개의 폴크호이스콜레가 있으며, 대부분 시골 지역, 특히 외딴 지역에 위치해 있다.[17]

일본에서는 "폴케호이스콜레(Folkehøjskole)"를 직역한 "국민고등학교"가 다이쇼 시대 초부터 번역어로 주로 사용되어 왔다.[28] 19세기 시인이자 성직자인 그룬트비가 처음 구상하여, 1884년에 첫 학교가 설립되었다.[28]

아이슬란드에는 단 두 곳의 폴크스쿨이 있는데, 하나는 2014년에 개교한 세이디스피요르(Seyðisfjörður)에 위치한 LungA 학교로 예술가 주도 예술 학교이며[8][9], 다른 하나는 2018년에 개교한 플라테이리(Flateyri)에 위치한 플라테이리 폴크스쿨이다.[10]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에 있는 존 C. 캠벨 민속학교에서 학생들이 컨트라 댄스를 배우고 있다.


미국인 존 C. 캠벨과 올리브 데임 캠벨은 유럽의 민속 고등학교를 관찰한 것을 바탕으로 아팔라치아 지역에 민속 고등학교를 설립하는 데 기여했다.[19] 존 C. 캠벨 민속학교는 1925년 노스캐롤라이나주 브래스타운에 문을 열었으며, 오늘날까지 수업을 제공하고 있다.[20]

1998년, 나이지리아의 그룬트비 운동은 그룬트비의 교육 원칙을 바탕으로 설립된 남녀공학 사립 중등학교인 그룬트비 국제 중등학교(Grundtvig International Secondary School)를 설립했다.[18]

2. 3. 한국에서의 민중고등학교

1910년대 일본에서는 덴마크의 폴케호이스콜레를 모델로 한 농업 교육 기관들이 설립되기 시작했다. 1911년 우치무라 간조의 강연과 1912년 대만총독부 기사 도고 미노루의 소개를 통해 덴마크의 농업 교육이 주목받았다.[31][32] 1915년에는 야마가타현립 자치강습소가 설립되었고, 1919년에는 도야마현에 농업공민학교(도야마현립 고스기고등학교)가 설립되었다.[34]

1920년대에는 일본인들의 덴마크 유학이 활발해졌고, 1925년에는 일본국민고등학교협회가 설립되었다.[35] 1927년에는 이바라키현에 일본국민고등학교(현 일본농업실천학원)가 개교했다.[33]

1930년대 농촌 위기가 심화되면서 1934년 농림성은 국민고등학교를 모델로 한 농민도장을 각지에 설립했다.[33] 같은 해, 마츠마에 시게요시는 덴마크를 방문하고 1936년에 망성학숙(도카이 대학)을 개설했다.[36]

우치무라 간조의 영향은 일본 통치 시대의 조선에도 미쳐, 1958년 대한민국의 풀무학교 설립에 영향을 주었다.[37]

3. 특징

민중고등학교는 국가마다 다른 특징을 가지지만, 공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3][4]


  • 매우 다양한 종류의 과목을 제공한다.
  • 기말 평가가 없다.
  • 자기 개발 및 평가에 집중한다.
  • 교육학적 이론에서 자유롭다.
  • 수개월에서 수년에 걸쳐 교과 과정을 다양화할 수 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민중고등학교는 기숙학교 형태로 운영되며, 학생들의 연령대는 18세에서 30세 정도로 다양하다.

민중고등학교 운동은 기존 학교와의 논쟁에서 시작되었다. 그룬트비는 대학 엘리트 교육에 대한 대안으로 공교육을 주장했다. 그는 민중고등학교가 일반적인 "학습"을 원하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어야 하며, 사람들이 인간관계와 사회의 일원이 되는 것을 돕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생각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민중고등학교는 자연스럽게, 때로는 급진적으로 변화해왔다. 하지만 오늘날에도 그룬트비가 제시했던 민중고등학교의 핵심적인 가치들은 여전히 학교 운영 방식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현대의 민중고등학교는 복잡한 현실에 발맞춰 국가적, 국제적, 세계적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

오늘날 민중고등학교에서 여전히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평생 학습"이다. 민중고등학교는 삶을 위한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즉, 개인으로서, 그리고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사람들의 삶을 둘러싼 기본적인 질문들에 대해 고민하고 답을 찾을 수 있도록 돕는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그룬트비는 학생들에게 공동선을 위한 감각을 길러주고 현실의 삶에 집중하는 교육을 제공하고자 했다. 그는 민중고등학교가 현실의 삶에 따라 조직되고 발전해야 하며, 교육과 계몽 자체가 충분한 보상이므로 시험을 치르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중고등학교의 본질적인 요소는 학교에서의 '삶' 그 자체였고, 지금도 그러하다. 민중고등학교는 그곳을 구성하는 사람들, 즉 학생과 교사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존재한다. 학습은 사회적 지위와 차이를 넘어 발생한다. 교사는 학생에게서 배우고, 학생은 교사에게서 배우는 살아있는 교류와 상호 가르침이 이루어진다. 그룬트비는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사람들 간의 대화가 필수적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사람들이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법을 배울 때 비로소 진정한 계몽이 가능하다고 믿었다.

비독일어권 국가의 민중고등학교는 주로 기숙 학교 형태이거나 18세에서 30세 사이의 성인을 위한 강좌를 제공한다.

지역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이지만, 공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학습 과목의 다양성
  • 시험 폐지
  • 학생의 자율적 학습 촉진
  • 국가나 외부의 지배를 받지 않는 독립적인 교육 내용
  • 수개월에서 1년의 코스

4. 교육 철학

그룬트비는 대중교육을 가장 중요한 관점으로 보았다. 민중고등학교는 교육과 문화 모두 보수적으로 생각하는 관점을 버리고, 대신 보통 사람들이 배움을 통해 책만으로 배울 수 있다는 관점에서 벗어나고자 했다.[39][40]

그룬트비는 상류층에만 제공되는 대학교육이 대중에게 확대되기를 바랐고, 사회와 개인의 관계가 새로 빚어지길 바랐다. 시간을 거치면서 그 형태 또한 많은 변화를 겪었고 변화 방식을 유지하고 있다. 오늘날의 민중고등학교는 현대적인 가치와 문제점에 대해 질문을 제기하고 있다.[39][40]

가장 핵심적인 가치는 "평생 학습"이다. 학교 교육이 누구나 평생에 걸쳐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여겨져야 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개인으로서 또한 사회 구성원의 일부로서 대우받아야 한다고 보았다.[39][40]

그룬트비가 생각한 이상적인 가치는 현실과 삶을 그대로 생각해야 한다는 보편적 가치에 관한 것이었다. 이에 그는 어떻게 학교 교육이 미래에 이뤄져야 할지에 대해서 가이드라인을 적어놓곤 했다. 사람들의 삶에 따라 학교 교육이 재정비되어야 하는데, 학교 시험은 충분한 보상이 필요하기 때문에 필요 없다고 본 것이 그의 생각이었다.[39][40]

학교에서의 삶이 핵심적인 요소라고 보았는데, 민중고등학교는 개인의 삶이 모인 것으로 여겨졌다. 학습이란 사회적 지위뿐 아니라 서로의 다양성을 인정함으로써 이뤄진다. 교사가 학생으로부터 배울 수도 있으며, 상호 이해를 통해 상호 학습이 이뤄진다는 것이 이상적으로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사람들이 서로 다른 생각을 익히고 다른 이해의 지평선에 이를 수 있다고 보았다.[39][40]

그룬트비는 민중 고등학교의 창시자로 여겨지며, 영국 기숙학교에서 영감을 얻었지만, 그룬트비의 초점은 정규 교육이 아닌 대중 교육에 맞춰져 있었다. 그의 아이디어는 개인적인 발전을 통해 농민과 사회 하층 계급의 사람들에게 더 높은 교육 수준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그룬트비는 이를 "살아있는 말"이라고 불렀다. 기독교적 틀 안에서 교육의 지도 원리는 조국의 언어와 역사, 헌법 및 주요 산업(농업)과 민요가 되어야 했다.[1]

이 운동은 기존 학교와의 논쟁으로 시작되었다. 그룬트비는 대학 엘리트에게 대안으로 공교육을 위해 싸웠다. 민중 고등학교는 일반적인 "학습"을 원하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어야 하며, 사람들이 인간관계와 사회의 일원이 되는 것을 돕기 위한 것이어야 했다.[3]

민중 고등학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어떤 경우에는 급진적으로 변화해 왔지만, 오늘날에도 그들이 운영되는 방식에서 그룬트비의 민중 고등학교에 대한 핵심 아이디어의 많은 부분을 찾아볼 수 있다. 오늘날의 민중 고등학교는 복잡한 현대 현실에 관여하고 있으며, 국가적, 국제적, 세계적 문제의 영향을 모두 받는다.[3]

오늘날 민중 고등학교에서 여전히 찾아볼 수 있는 주요 개념 중 하나는 "평생 학습"이다. 학교는 삶을 위해 교육해야 한다. 학교는 개인으로서, 그리고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사람들의 삶을 둘러싼 기본적인 질문에 대한 빛을 비춰야 한다.[3]

그룬트비에게 이상은 학생들에게 공통의 최선에 대한 감각을 주고, 현실 그대로의 삶에 집중하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그룬트비는 미래의 학교에 대한 지침이나 학교가 어떻게 운영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결코 제시하지 않았다. 그는 민중 고등학교가 현실의 삶에 따라 조직되고 발전해야 하며, 교육과 계몽이 충분한 보상이기 때문에 학교가 시험을 치르지 않아야 한다고 선언했다.[3]

본질적인 요소는 학교에서의 삶이었고, 지금도 그렇다. 민중 고등학교는 그것을 구성하는 개인들 때문에 존재한다. 학습은 사회적 지위와 차이를 넘어 발생한다. 교사는 학생에게서 배우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로 살아있는 교류와 상호 가르침 속에서 이루어진다. 그룬트비에게 차이를 넘어서는 대화는 필수적이었다. 이상은 계몽이 실현되기 전에 사람들이 서로의 차이를 참아내는 것을 배워야 한다는 것이었다.[3][4]


  • 죽은 문자보다 살아있는 말 - 책을 이용한 학습보다, 인간과 인간의 대화를 중시한다.
  • 학내 평등 - 학생은 지도자에게 배우지만 지도자 또한 학생에게 배우며, 입장의 높낮이가 없다.
  • 지역과의 연계를 중시 - 펀드가 되면 지역 주민도 학교 운영에 관여할 수 있다.
  • 만인이 지도자가 될 수 있다 - 자격보다 경험을 중시한다.

5. 현대적 의의와 과제

그룬트빅은 대중교육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민중고등학교는 교육과 문화에 대한 보수적인 관점을 버리고 평범한 사람들이 책뿐만 아니라 삶을 통해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는 상류층만을 위한 대학교육이 대중에게 확대되고, 사회와 개인의 관계가 새롭게 만들어지기를 바랐다.[39][40]

시간이 지나면서 민중고등학교는 많은 변화를 겪었고, 오늘날에는 현대적인 가치와 문제점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고 있다. 가장 핵심적인 가치는 "평생 교육"으로, 학교 교육이 누구나 평생에 걸쳐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여겨져야 한다는 것이다. 개인은 사회 구성원의 일부로서 존중받아야 한다고 보았다.[39][40]

그룬트빅은 현실과 삶을 그대로 생각해야 한다는 보편적 가치를 이상으로 삼았다. 그는 학교 교육이 사람들의 삶에 따라 재정비되어야 하며, 학교 시험은 충분한 보상이 필요하기 때문에 필요 없다고 생각했다.[39][40]

민중고등학교는 개인의 삶이 모인 곳으로 여겨졌다. 학습은 사회적 지위뿐 아니라 서로의 다양성을 인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교사가 학생으로부터 배울 수도 있으며, 상호 이해를 통해 서로 배우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보았다. 이를 통해 사람들은 서로 다른 생각을 익히고, 다른 이해의 지평에 이를 수 있다고 보았다.[39][40]

역사적으로 민중고등학교는 과거 국민고등학교, 농민고등학교라는 명칭으로 존재했다. 현대에는 경쟁 사회인 일본의 현실 속에서 일본판 폴케호이스콜레로 분류되는 교육의 장이 생겨나고 있다.

명칭위치비고
NPO 법인 SET Change Makers' College이와테현
NPO 법인 아소 포크스쿨
세타 폴케·호이스콜레홋카이도
피스보트
NPO 법인 메다카가 갓코도쿄도
호이스콜레 삿포로홋카이도2008년 설립[38]
JIBUN HOJSKOLE미야기현2021년 설립, 운영 회사는 주식회사 쓰리데이스


참조

[1]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folk high school http://danishfolkhig[...]
[2] 웹사이트 The Danish Folk High School https://web.archive.[...] 2009-06-24
[3]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folk high school http://danishfolkhig[...] 2017-12-13
[4] 웹사이트 Daily life at the folk high schools http://www.hojskoler[...] 2017-12-13
[5] 문서 kansallisbiografia Suomen kansallisbiografia (National Biography of Finland)
[6] 웹사이트 Kansalaisopistot pähkinänkuoressa http://kansalaisopis[...]
[7]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of the LAP https://web.archive.[...] 2017-12-13
[8] 간행물 Kicking It New School https://grapevine.is[...] Jón Trausti Sigurðarson 2024-05-03
[9] 웹사이트 Lunga School, 'an ambitious offspring of the festival' https://andrewjtagga[...] 2024-05-04
[10] 뉴스 Fyrsti dagurinn í Lýðháskólanum á Flateyri https://www.ruv.is/f[...] 2019-03-18
[11] 백과사전 liaudies universitetas https://www.vle.lt/s[...] Mokslo ir enciklopedijų leidybos centras 2024-07-13
[12] 간행물 Dziewięćdziesięciolecie powstania uniwersytetu ludowego w Dalkach Poznań Society of Friends of Learning
[13] 문서 Maliszewski, p. 147
[14] 간행물 Uniwersytet Ludowy w Karpnikach w latach 1946–1949
[15] 문서 Paykull, släkt, urn:sbl:8076, Svenskt biografiskt lexikon (art av HG-m), hämtad 2014-01-17.
[16] 웹사이트 Förordning (2015:218) om statsbidrag till folkbildningen https://www.riksdage[...] 2015
[17] 웹사이트 Om folkhögskola https://www.folkhogs[...] Sveriges folkhögskolor 2023-02-09
[18] 웹사이트 Grundtvig International Secondary School - http://grundtvigseco[...] 2017-12-13
[19] 웹사이트 John C. Campbell Folk School https://folkschool.o[...] 2017-12-13
[20] 웹사이트 JCCFS, Our Programs https://www.folkscho[...] 2023-02-06
[21] 웹사이트 History – Highlander Research and Education Center http://highlandercen[...]
[22] 서적 The Long Haul: An Autobiography Doubleday
[23] 간행물 Democracy, Leadership, and Education: Finding Grundtvig in the Modern US Folk School Movement https://tidsskrift.d[...] 2019
[24] 웹사이트 Folk School Directory https://www.folkscho[...] 2019-09-23
[25] 뉴스 "덴마크 대인의 학교" 日本経済新聞 2019-09-29
[26] 간행물 "児玉珠美著『デンマークの教育を支える「声の文化」─オラリティに根ざした教育理念』" https://doi.org/10.2[...] 日本国際教育学会 2018
[27] 문서 “生"を見つめる教育 : デンマークの市民運動・市民大学(フォルケホイスコーレ)に学ぶ https://ci.nii.ac.jp[...]
[28] 문서 「日本のデンマーク」安城に見る我が国の海外文化の受容に関する一考察 https://hdl.handle.n[...]
[29] 간행물 デンマークにおける風力発電機の普及と産業化のプロセス:農機具鉄工所を世界企業に変貌させた技術・組織・制度 https://dl.ndl.go.jp[...] 機械振興協会経済研究所 2008-03
[30] 문서 Powerpointpresentation http://www.folkhogsk[...]
[31] 서적 デンマルク國の話 : 信仰と樹木とを以て國を救ひし話 https://dl.ndl.go.jp[...] 聖書研究社 1930
[32] 서적 丁抹農業論 https://dl.ndl.go.jp[...] 臺灣總督府民政部殖産局 1912
[33] 간행물 日本における農業者教育 https://dl.ndl.go.jp[...] 農林中央金庫 2014-04
[34] 문서 「トネリコの里」からの「知性・教養・個性」と南原繁の教育哲学 : 自校史・郷土教育と子ども育成学構築の基礎的研究 https://dl.ndl.go.jp[...]
[35] 문서 宮沢賢治と岩手国民高等学校 https://hdl.handle.n[...]
[36] 웹사이트 松前重義と建学の精神 https://www.u-tokai.[...]
[37] 논문 真空・結晶化の思想──内村鑑三の「自然 https://dl.ndl.go.jp[...] 東京大学 2013-07-01
[38] 웹사이트 『ホイスコーレ札幌(社会人の学びの場)創設 』 http://www2.snowman.[...]
[39] 웹사이트 The Danish Folk High School http://www.hojskoler[...]
[40] 웹사이트 The Danish Folk High School http://www.hojskol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