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혜공화원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혜공화원비(1609년 ~ 1641년)는 몽골 코르친 부족의 여성으로, 홍 타이지의 후궁이자 효단문황후의 조카이며, 효장문황후의 언니이다. 후금과 코르친 부족의 우호 관계를 위해 홍 타이지의 측복진이 되었으며, 총애를 받아 숭덕제가 황위에 오른 후에는 동관저궁신비로 책봉되었다. 1637년 아들을 낳아 황태자로 책봉되었으나 이듬해 사망했고, 하르졸은 1641년 사망했다. 숭덕제는 그녀를 잃은 슬픔에 국상을 치르고 민혜공화의 시호를 내렸다. 그녀를 향한 숭덕제의 순애보는 순치제의 순애보와 함께 청나라를 대표하는 로맨스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르지기트 할라 - 효장문황후
    청나라 초기 세 황제를 섬긴 효장문황후는 순치제의 어머니이자 강희제의 할머니로서, 청나라 건국과 초기 안정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정치적 영향력 행사와 문화 융합 정책 추진 등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만, 일부 야사는 사실과 다르다는 의견도 있다.
  • 보르지기트 할라 - 효정성황후
    효정성황후는 청나라 도광제의 후궁으로 귀비에 책봉되었다가 황귀비에 진봉되어 육궁을 통솔했으며, 도광제 사후 황후로 추존되어 동치제 때 정식 황후 시호를 받았다.
  • 1609년 출생 - 홋타 마사모리
    홋타 마사모리는 하급 무사 출신으로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유모 가스가노츠보네와의 인척 관계를 통해 로쥬까지 오른 다이묘로, 이에미쓰 사망 후 순사하여 충절의 상징으로 여겨지지만 출신 배경에 대한 논쟁 또한 존재하는 인물이다.
  • 1609년 출생 - 이케다 미쓰마사
    이케다 미쓰마사는 에도 시대 초기 다이묘로, 히메지 번주, 돗토리 번주를 거쳐 오카야마 번 초대 번주를 지냈으며, 교육 진흥과 간척 사업에 힘썼으나 신불분리 추진과 종교 탄압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후금 사람 - 효장문황후
    청나라 초기 세 황제를 섬긴 효장문황후는 순치제의 어머니이자 강희제의 할머니로서, 청나라 건국과 초기 안정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정치적 영향력 행사와 문화 융합 정책 추진 등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만, 일부 야사는 사실과 다르다는 의견도 있다.
  • 후금 사람 - 아이신기오로 아민
    누르하치의 조카인 아이신기오로 아민은 청나라 초기의 장군이자 호쇼이 버일러로, 사대 버일러로서 국정을 담당하고 정묘호란을 주도했으나 영평 점령 실패의 책임을 지고 유폐되어 사망했다.
민혜공화원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법복을 입은 민혜공화원비
법복을 입은 민혜공화원비
휘호민혜공화원비 (敏惠恭和元妃)
본명박이제길특 해란주 (博爾濟吉特 海蘭珠)
출생명박이제길특 해란주 (博爾濟吉特 海蘭珠)
출생일1609년 (만력 37년)
사망일1641년 10월 22일 (숭덕 6년 9월 18일)
사망 장소성경고궁 관저궁
매장지조릉
씨족박이제길특 씨 (博爾濟吉特氏, 출생 시)
애신각라 씨 (愛新覺羅氏, 혼인 후)
혼인과 가족 관계
배우자홍타이지
결혼 기간1634년 - 1641년
자녀1남 (8번째 아들)
생애 및 경력
칭호원비 (元妃)
시호민혜공화원비 (敏惠恭和元妃)

2. 생애

몽골 코르친부 보르지기트 씨족 출신으로, 청나라 태종 홍타이지의 후궁이다. 고모는 효단문황후 저저, 동생은 효장문황후 붐부타이이다.

후금과 코르친 부족 간의 정치적 관계 속에서 1634년(천총 8년), 26세의 나이로 홍타이지에게 시집와 측복진(側福晉)이 되었다. 이전 혼인 경력이 있었다는 설도 있다. 이듬해 홍타이지의 총애를 받아 동궁복진(東宮福晉)으로 승격되었다.

1636년 홍타이지가 청 제국을 건국하고 황제로 즉위하면서 후비 제도를 정비할 때, 동생 붐부타이보다 높은 서열인 관저궁 신비(關雎宮 宸妃)로 책봉되었다. 이는 홍타이지의 깊은 총애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1637년 아들을 낳아 홍타이지를 기쁘게 했으나, 아들은 이듬해인 1638년 요절하였다. 아들을 잃은 슬픔 속에 건강이 나빠진 하르졸은 1641년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홍타이지는 그녀의 죽음을 매우 슬퍼하며 국상에 준하는 장례를 치르고 '''민혜공화원비'''(敏惠恭和元妃)라는 시호를 내려 추존했다.

2. 1. 가계와 초기 생애

몽골 호르친부 보르지기트씨(博爾済吉特, Borjigit hala) 출신이다. 아버지는 코르친 부족의 버이러인 자이사이 노얀(寨桑)이고, 어머니는 그의 둘째 부인인 보리(博禮)이다. 홍타이지의 정후인 효단문황후 저저는 그의 고모이며, 훗날 순치제의 생모가 되는 효장문황후 붐부타이는 그의 여동생이다.

가계
관계이름비고
할아버지망구스(莽古思)코르친 버이러, 사후 1품 친왕 추증
아버지자이사이 노얀(寨桑)코르친 버이러, 사후 1품 친왕 추증
어머니보리(博禮)코르친 제2부인 (1654년 사망)
고모효단문황후 저저홍타이지의 정후 (1599–1649)
여동생효장문황후 붐부타이순치제의 생모 (1613–1688)
배우자홍타이지청나라 태종



후금과 코르친 부족은 우호 관계 유지를 위해 정략혼을 맺었다. 하르졸의 고모 저저(효단문황후)가 먼저 홍타이지와 혼인했으나, 11년이 지나도록 아들을 낳지 못했다. 당시 다른 부인들이 아들을 낳자 위기를 느낀 저저와 그의 오빠이자 하르졸의 아버지인 자이사이 노얀은 후계 구도에서 코르친 부족의 입지를 강화하고자 1625년 자이사이 노얀의 딸이자 하르졸의 동생인 붐부타이(효장문황후)를 홍타이지의 측복진(측실)으로 보냈다. 그러나 붐부타이 역시 딸만 낳았다.

1626년 누르하치 사후 홍타이지가 한(汗)의 자리에 오르면서 처첩이 늘어나자, 코르친 부족의 새 버이러가 된 오극선(하르졸의 오빠)과 고모 저저는 붐부타이 대신 새로운 카드로 하르졸을 선택했다. 코르친 부족의 정치적 영향력과 아들을 낳지 못한 저저의 대복진(정실 부인) 지위를 지키기 위해, 이미 한 번 혼인했던 26세의 하르졸을 홍타이지에게 보내기로 결정한 것이다.

1634년 (당시 후금 천총 8년) 12월 6일, 하르졸은 26세의 나이로 현재의 랴오닝성 선양시에 위치한 무크덴 궁전에서 홍타이지와 혼인하여 그의 여러 부인 중 한 명인 측복진(側福晉)이 되었다.[1] 당시 여성들의 일반적인 혼인 연령인 13~17세보다 상당히 늦은 나이였다.[2] 일부 기록에서는 그녀가 홍타이지와 결혼하기 전 코르친 부족의 전사 주오린(桌林)과 결혼했다가 사별했다고 주장하기도 하지만, 이를 명확히 증명하는 문서는 없다.

홍타이지에게 시집간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이듬해인 1635년에 홍타이지는 기존의 동궁복진(東宮福晉, 제1측실)이었던 자루트 보르지기트씨와 이혼하고 하르졸을 새로운 동궁복진으로 삼았다. 이는 하르졸이 홍타이지의 총애를 얻기 시작했음을 보여주는 사건이다.

2. 2. 숭덕제의 후궁

호르친 몽골 보르지기트 씨족 출신으로, 아버지는 버이러 자이사이 노얀이고 어머니는 그의 둘째 부인 보리이다. 홍타이지의 정후인 효단문황후 저저에게는 질녀가 되고, 순치제의 생모인 효장문황후 붐부타이에게는 친언니가 된다.

후금 시절, 코르친 부족과의 우호 관계를 공고히 하고 후계 구도에서 입지를 다지기 위해 홍타이지는 코르친 부족의 여인들과 정략결혼을 했다. 먼저 고모인 저저(효단문황후)가 1614년에 시집왔으나 아들을 낳지 못했고, 1625년에는 동생인 붐부타이(효장문황후)가 측복진으로 시집왔으나 딸을 낳았다. 1626년 누르하치 사후 홍타이지가 한의 자리에 오르자, 코르친 부족의 새로운 버이러이자 붐부타이의 오빠인 오극선은 부족의 영향력 유지와 고모 저저의 지위를 지키기 위해 이미 한 번 혼인했던 스물여섯 살의 하르졸을 1634년 홍타이지에게 보냈다.[1][2] 천총 8년(1634년) 12월 6일, 하르졸은 랴오닝성 선양시의 묵덴 궁전에서 홍타이지와 혼인하여 측복진(側福晉)이 되었다.[5] 당시 여성의 일반적인 혼인 연령(13~17세)보다 늦은 26세였는데,[2] 이전 코르친의 전사 주오린(桌林)과 결혼했다가 사별한 후 홍타이지와 재혼했다는 주장이 있다. 이듬해 홍타이지는 기존의 동궁복진(제1 측실) 자루트 보르지기트씨와 이혼하고 하르졸을 동궁복진으로 삼았다.

1636년 청 제국 건국 후 홍타이지가 황제로 즉위하며 후비 제도를 정비할 때, 하르졸은 관저궁 신비(關雎宮 宸妃, Dergi Hūwaliyasun Doronggo Booi Hanciki Amba Fujinmnc)로 책봉되었다.[6] 이는 황후 다음가는 서열이자 동생 붐부타이(서측영복궁장비)보다 높은 지위였다.[3] '신(宸)'은 본래 황제에게만 사용하는 글자이며, 거처인 관저궁(關雎宮, Hūwaliyasun Doronggo Gungmnc)의 이름은 홍타이지가 직접 지어 현판을 써준 것으로, 시경의 애정시 구절 "관관저구 재하지주 요조숙녀 군자호구(關關雎鳩 在河之洲, 窈窕淑女 君子好逑)"에서 따와 하르졸에 대한 깊은 애정을 드러냈다.

1637년 8월 27일(음력 7월 8일), 하르졸은 홍타이지의 여덟 번째 아들을 낳았다. 홍타이지는 자신이 황제가 된 후 처음 얻은 아들이라며 크게 기뻐하여 천하에 대사면령을 내리고, 태어난 지 얼마 안 된 아들을 황태자로 삼겠다고 공표했다.[9] 그러나 이 아들은 이듬해인 1638년 3월 13일(음력 1월 28일)에 요절하고 말았다. 이는 붐부타이가 훗날 순치제가 되는 아홉 번째 아들을 낳기 불과 이틀 전이었다.

아들을 잃은 충격으로 하르졸은 건강이 급격히 나빠졌고, 1641년 9월(양력 10월 22일) 위독해졌다. 당시 명나라와의 전쟁 중 금주성을 공격하고 있던 홍타이지는 하르졸이 위급하다는 소식을 듣고 전장을 뒤로한 채 닷새 밤낮을 달려 선양으로 돌아왔으나, 도착하기 전에 하르졸은 이미 세상을 떠난 후였다. 홍타이지는 비보를 듣고 대성통곡하다 실신하여 오랫동안 깨어나지 못했다고 전해진다. 그는 하르졸을 위해 국상(國喪)에 준하는 장례를 치렀으며, 애도 기간에 예를 갖추지 않은 친왕 두 명을 처벌하기도 했다. 또한 하르졸에게 민혜공화원비(敏惠恭和元妃)라는 시호를 내려 후궁 중 가장 높은 지위로 추증했다.[4][7] 그녀는 자오릉에 안장되었다.

하르졸을 잃은 홍타이지의 슬픔은 깊어 건강이 급격히 악화되었으며, "짐은 평생 백성과 세상을 돌보았으나 한 여인조차 돌보지 못하였다!"라고 탄식했다고 한다. 결국 하르졸이 죽은 지 2년 뒤인 1643년, 홍타이지는 황후 저저의 궁에서 갑자기 세상을 떠났다. 하르졸을 향한 홍타이지의 지극한 사랑 이야기는 청나라 역사의 대표적인 로맨스 중 하나로 꼽힌다.[10]

2. 3. 아들의 요절과 죽음

1637년 8월 27일(음력 7월 8일), 하르졸은 홍타이지의 여덟 번째 아들을 낳았다.[3] 홍타이지는 자신이 황제가 된 후 처음 태어난 아들이라며 크게 기뻐하였고, 아직 이름도 짓지 않은 아기를 황태자로 삼겠다고 선포하며 청 제국 전역에 대사면령을 내렸다.[9]

그러나 황태자로 지목되었던 이 아들은 오래 살지 못하고 다음 해인 1638년 3월 13일(음력 1월 28일)에 태어난 지 1년도 되지 않아 갑자기 세상을 떠났다.[4] 아들을 잃은 충격 때문인지 하르졸의 건강은 점차 나빠졌고, 결국 1641년 10월 22일(숭덕 6년 9월)에 병으로 사망하였다.[4]

당시 홍타이지는 명나라와의 금주성 전투를 지휘하고 있었으나, 하르졸이 위독하다는 소식을 듣고는 즉시 전장을 떠나 닷새 밤낮을 달려 묵던으로 돌아왔다. 하지만 그가 도착했을 때는 하르졸이 이미 숨을 거둔 뒤였다. 홍타이지는 비보를 듣고 대성통곡하다가 실신하여 오랫동안 깨어나지 못할 정도로 큰 충격을 받았다.[4] 그는 하르졸을 위해 국상(國喪)에 준하는 장례를 치렀으며, 이 기간에 제대로 슬픔을 표하지 않은 친왕 두 명을 처벌하기도 했다. 또한 하르졸에게 '''민혜공화원비'''(敏惠恭和元妃)라는 시호를 내리고 그녀를 최고 후궁으로 추존하였다.[4] 하르졸은 자오릉에 안장되었다.[4]

3. 가족 관계

'''시가(媤家)''' (애신각라 씨)


  • 시아버지 : 청나라 초대 황제 천명제(天命帝, 1559~1626, 재위 1616~1626)
  • 시어머니 : 효자고황후 예허나라 씨(孝慈高皇后 葉赫那拉氏, 1575~1603)
  • * 남편 : 청나라 제2대 황제 숭덕제(崇德帝, 1592~1643, 재위 1627~1643)
  • ** 아들 : 황자 (이름 미상, 1637년 8월 27일 ~ 1638년 3월 13일) - 요절


'''본가(本家)''' (보르지긴 씨)

  • 조부 : 망고사(莽古思) - 과이심패륵(科爾沁貝勒), 화석복친왕(和碩福親王)
  • 조모 : 화석복비(和碩福妃)
  • * 아버지 : 채상(寨桑) - 과이심부패륵(科爾沁部貝勒), 화석충친왕(和碩忠親王)
  • * 어머니 : 박례(博禮) - 현비(賢妃, 1654년 사망)
  • ** 오빠 : 오극선(吳克善) - 탁례극도친왕(卓禮克圖親王)

조카 : 작이제(綽爾濟) - 과이심패륵(科爾沁貝勒)
* 종손녀 : 효혜장황후 보르지긴 씨(孝惠章皇后 博爾濟吉特氏, 1641년~1717년) - 순치제의 계후
* 종손녀 : 숙혜비 보르지긴 씨(淑惠妃 博爾濟吉特氏, 1642~1713) - 순치제의 후궁
질녀 : 폐후 보르지긴 씨(廢皇后·靜妃 博爾濟吉特氏) - 순치제의 첫 번째 황후. 후에 후궁 정비(靜妃)로 강봉됨.
조카 : 고륜옹목공주(固倫雍穆公主, 1629~1678) - 숭덕제의 4녀
조카사위 : 필이탑합이(弼爾塔哈爾, ?~1667) - 과이심부 보르지긴 씨
* 조카손자 : 악제이(鄂齊爾) - 찰살극다라군왕(札薩克多羅郡王)
조카 : 고륜숙혜공주(固倫淑慧公主, 1632~1700) - 숭덕제의 5녀
조카사위 : 색이합(索爾哈)
조카사위 : 색포등(色布騰, ?~1668) - 파림부 보르지긴 씨
조카 : 고륜단헌공주(固倫端獻公主, 1633~1648) - 숭덕제의 7녀
조카사위 : 견길이격(堅吉爾格) - 보르지긴 씨
조카 : 세조 순치제(世祖 順治帝, 1638~1661, 재위 1643~1661) - 청나라 제3대 황제
고종사촌 : 고륜온장공주(固倫溫莊公主, 1625~1663) - 숭덕제의 2녀
고종사촌 : 고륜정단공주(固倫靖端公主, 1628~1686) - 숭덕제의 3녀
고종사촌 : 고륜단정공주(固倫端貞公主, 1634~1692) - 숭덕제의 8녀

4. 평가 및 대중문화

(내용 없음)

4. 1. 등장 작품


  • 1987년 드라마 《청나라 흥망사》에서 위엔이링이 연기하였다.
  • 2003년 드라마 《효장비사》에서 허새이페이가 연기하였다.
  • 2006년 드라마 《대청풍운》에서 천젠웨가 연기하였다.
  • 2012년 드라마 《권력에 빠지다》와 《궁쇄연성》에서 장멍이 연기하였다.
  • 2015년 드라마 《소장비전》에서 허화가 연기하였다.
  • 2017년 드라마 《천하를 다스리다》와 《고고의 황비》에서 탕이신이 연기하였다. 《고고의 황비》에서는 퉁가와 동일 인물로 설정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warrior emperor and the five phoenixes http://www.chinadail[...] 2018-02-27
[2] 웹사이트 皇太极和海兰珠的故事 皇太极为何独宠海兰珠?_人物_历史上的今天 https://web.archive.[...] 2018-02-28
[3] 간행물 盛京烟云——关雎宫生死恋 【国宝档案】720P https://www.youtube.[...] CCTV百家讲坛官方频道 2015-12-28
[4] 웹사이트 官方史料讳莫如深 皇太极宠妃海兰珠究竟葬哪了_历史频道_凤凰网 http://news.ifeng.co[...] 2018-02-28
[5] 문서 天聰八年 十月 十六日
[6] 문서 崇德元年 七月
[7] 문서 祟德六年 十月
[8] 문서 여진족과 몽골족은 일부다처제이다.
[9] 문서 반면 붐부타이가 낳은 아들인 [[순치제]]가 푸린이란 이름을 얻게 된 건 붐부타이의 거처인 영복궁에서 태어났기 때문이다.
[10] 문서 "[[순치제]] 또한 외가인 코르친 부족의 딸과 정략결혼을 했지만 후궁인 동악비를 유난히 사랑하였으며, 유산의 충격으로 곧 사망한 동악비를 따라가듯 [[순치제]] 또한 곧 서거하였는데 이에 대해 민간에선 [[순치제]]가 정인을 죽인 황궁을 떠나 승려가 되었다는 소문이 있었다. 이 전설을 배경으로 홍콩의 유명 작가 [[김용 (1924년)|김용]]이 대하소설 [[녹정기]]를 지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