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라노 패션 위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라노 패션 위크는 1958년에 시작되어 뉴욕, 런던, 파리와 함께 세계 4대 패션 위크 중 하나로 꼽힌다. 이탈리아 패션 협회가 주최하며, 여성복과 남성복 패션 위크를 반년에 한 번씩 개최한다. 주요 브랜드들의 패션쇼와 신진 디자이너들의 전시가 열리며, 디지털 전환을 통해 온라인으로도 진행된다. 밀라노 패션 위크는 경제적 효과를 창출하며, 지속 가능성 문제와 일부 브랜드와의 갈등 등 다양한 이슈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8년 시작된 행사 - 그래미 어워드
그래미 어워드는 미국 레코딩 아카데미가 주최하는 음악 시상식으로, 음악 업계의 뛰어난 업적을 이룬 음악인과 음반 제작자들에게 상을 수여하며, 상업주의 등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방영되는 권위있는 시상식으로 자리매김했다. - 1958년 시작된 행사 -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는 냉전 시대 소련의 문화적 과시를 목적으로 시작되어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성악, 관악기 부문으로 확장된 4년마다 열리는 세계적인 클래식 음악 콩쿠르로, 세계음악콩쿠르연맹에서 제명되었지만 여전히 권위 있는 콩쿠르로 평가받는다. - 밀라노의 문화 - 사임당, 빛의 일기
사임당의 삶을 재해석한 SBS 드라마 "사임당, 빛의 일기"는 이영애가 신사임당과 서지윤, 1인 2역을 맡아 금강산도에 얽힌 비밀을 풀어나가며, 송승헌이 이겸 역을 맡아 과거와 현재를 넘나들며 사임당의 예술혼과 사랑을 그린다. - 밀라노의 문화 - 코톨레타
코톨레타는 빵가루를 입혀 튀기거나 구운 고기 요리를 통칭하며, 이탈리아, 남아메리카, 인도, 일본, 미국 등 다양한 지역에서 각기 다른 방식으로 조리된다.
밀라노 패션 위크 | |
---|---|
행사 개요 | |
![]() | |
장르 | 의류 및 패션 전시회 |
빈도 | 반년마다 |
위치 | 밀라노, 이탈리아 |
시작 | 1958년 |
주최 | 이탈리아 패션 협회 |
관련 인물 | 마리아 안토넬리 로베르토 카푸치 프린세스 카라치올로 지네티 알베르토 파자니 지오반니 체사레 귀디 제르마나 마루첼리 에밀리오 페데리코 슈베르트 시모네타 콜로나 디 체사로 졸레 베네치아니 프란체스코 보렐로 조반니 바티스타 조르지니 피에트로 파리시오 |
공식 웹사이트 | 이탈리아 패션 협회 공식 웹사이트 |
명칭 | |
이탈리아어 | Settimana della moda di Milano 세티마나 델라 모다 디 밀라노 |
영어 | Milan Fashion Week 밀란 패션 위크, MFW |
2. 역사
밀라노 패션 위크는 1958년에 시작되었으며, 파리 패션 위크, 런던 패션 위크, 뉴욕 패션 위크와 함께 세계 4대 패션 위크 중 하나이다.[14]
프레타포르테 컬렉션은 밀라노 외에도 파리, 뉴욕, 런던, 도쿄 등에서 열리지만, 100개 이상의 브랜드가 참여하는 파리 패션 위크가 가장 규모가 크고, 그 해의 유행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주목도가 매우 높다.
밀라노 패션 위크의 상설 회장은 국제 박람회 회장에 인접해 있지만, 브랜드별로 독자적인 회장을 마련하는 경우도 많다. 관련 행사로는 국제 섬유 전시회인 모다인(MODAIN), 신발·가방 컬렉션인 미캄(MICAM) 등이 있다.
2. 1. 초기 역사 (1958년 ~)
밀라노 패션 위크는 1958년에 시작되었으며, 파리 패션 위크, 런던 패션 위크, 뉴욕 패션 위크와 함께 세계적인 "패션 위크 빅 4"로 불린다.[14] 패션 위크는 뉴욕에서 시작하여 런던, 밀라노를 거쳐 파리에서 마무리되는 일정으로 진행된다. 밀라노 패션 위크는 여성복과 남성복 패션 위크를 포함하여 반년에 한 번씩 열린다.밀라노 패션 위크는 이탈리아 패션의 발전과 홍보를 담당하는 비영리 단체인 이탈리아 패션 협회(Camera Nazionale della Moda Italianait)에 의해 부분적으로 조직된다. 1958년 6월 11일, Camera Sindacale della Moda Italianait가 설립되었고, 이 단체는 이후 Camera Nazionale della Moda Italianait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로베르토 카푸치, 에밀리오 슈베르트, 제르마나 마루첼리, 졸레 베네치아니 등 당시 이탈리아 패션계의 주요 인사들이 창립 멤버로 참여했다.
여성 패션 행사(여성복/밀라노 SS 여성복 레디 투 웨어, 밀라노 모다 돈나가 주요 패션쇼)가 가장 중요하며, 남성복을 위한 여름 행사로는 남성복과 밀라노 모다 우오모가 있다.
2013년 가을/겨울 밀라노 패션 위크는 파올라 프라니의 쇼케이스로 시작되었으며, 아르마니, 보테가 베네타, 로베르토 카발리, 돌체 & 가바나, 에트로, 펜디, 페라가모, 구찌, 질 샌더, 마르니, 막스 마라, 미소니, 미우 미우, 모스키노, 프라다 등 유명 패션 하우스의 프레젠테이션이 이어졌다.
2015년 4월, 카를로 카파사가 이탈리아 패션 협회의 회장으로 임명되었다.
돌체 & 가바나를 포함한 특정 쇼는 이탈리아 패션 협회와 함께 개최되지 않으며, 이탈리아 패션 협회는 카발리와 같은 디자이너들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
1976년부터 밀라노에서 패션 컬렉션이 개최되고 있으며, 수많은 디자이너들이 신작을 발표하고 홍보하기 위해 바이어, 저널리스트 등을 초대한다.
파리 패션 위크 전 주에 밀라노 패션 위크 일정이 잡혀 있다.[14]
2. 2. 발전과 성장
밀라노 패션 위크는 1958년에 시작되었으며, 파리 패션 위크, 런던 패션 위크, 뉴욕 패션 위크와 함께 세계적인 "패션 위크 빅 4"로 불린다. 패션 위크는 뉴욕에서 시작하여 런던, 밀라노를 거쳐 파리에서 끝나는 순서로 진행된다. 1958년 이후, 밀라노 패션 위크는 여성복과 남성복 패션 위크를 포함하여 반년에 한 번씩 열리고 있다.[14]밀라노 패션 위크는 이탈리아 패션의 발전과 홍보를 담당하는 비영리 단체인 이탈리아 패션 협회(Camera Nazionale della Moda Italianait)에 의해 부분적으로 조직되며, 밀라노의 패션 행사와 쇼를 주최한다. Camera Sindacale della Moda Italianait는 1958년 6월 11일에 설립되었으며, 이후 Camera Nazionale della Moda Italianait로 이름이 바뀌었다.
로베르토 카푸치, 에밀리오 슈베르트, 제르마나 마루첼리, 시모네타 콜로나 디 체사로, 졸레 베네치아니 등 당시 이탈리아 패션계의 주요 인사들이 이 단체의 창립 멤버로 참여했다.
여성 패션에 특화된 행사(여성복/밀라노 SS 여성복 레디 투 웨어, 밀라노 모다 돈나가 주요 패션쇼)가 가장 중요하며, 남성복을 위한 여름 행사에는 남성복과 밀라노 모다 우오모가 있다.
2013년 가을/겨울 밀라노 패션 위크는 파올라 프라니의 쇼케이스로 시작되었다. 이후 아르마니, 보테가 베네타, 로베르토 카발리, 돌체 & 가바나, 에트로, 펜디, 페라가모, 구찌, 질 샌더, 마르니, 막스 마라, 미소니, 미우 미우, 모스키노, 필립 플레인, 프라다 등 유명 패션 하우스들의 프레젠테이션이 이어졌다. 또한, 신진 레이블과 젊은 디자이너들의 전시도 열렸다. 2013년 11월 20일, 조르지오 아르마니는 이탈리아 패션 협회에 합류하기로 결정했다.
2015년 4월, 카를로 카파사가 마리오 보셀리를 이어 Camera Nazionale Della Moda Italiana의 회장으로 임명되었다.
돌체 & 가바나를 포함한 특정 쇼는 Camera Nazionale Della Moda Italiana와 함께 개최되지 않으며, Camera Nazionale Della Moda Italiana는 카발리와 같은 디자이너들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
1976년부터 밀라노에서 개최되는 패션 컬렉션으로, 수많은 디자이너가 신작을 발표하고 홍보를 위해 주로 바이어, 저널리스트, 카메라맨 등을 초대한다. 비즈니스의 장이므로 일반인은 기본적으로 볼 수 없다.
파리 패션 위크 전 주에 밀라노 패션 위크 일정이 잡혀 있다.
유명한 프레타포르테 컬렉션은 밀라노 외에도 파리, 뉴욕, 런던의 "빅 4" 외에 도쿄 등에서도 열리지만, 100개 이상의 브랜드가 참여하는 파리 패션 위크가 가장 규모가 크고, 그 해의 유행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주목도가 매우 높다.
상설 회장은 국제 박람회 회장에 인접하여 만들어지지만, 브랜드별로 독자적인 회장을 마련하는 경우도 많다.
관련 컬렉션에는 국제 섬유 전시회인 모다인(MODAIN), 신발·가방 컬렉션인 미캄(MICAM) 등이 있다.
2. 3. 디지털 전환 (2020년 ~ 현재)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2020년 밀라노 패션 위크는 2020년 7월 14일부터 7월 17일까지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서만 진행되었다.[10] 2022년에는 구찌가 밀라노 패션 위크에서 데뷔하여, 68쌍의 쌍둥이를 기용하여 그들의 디자인을 선보였다.[11]3. 운영 및 구성
밀라노 패션 위크는 1958년에 시작되었으며, 파리 패션 위크, 런던 패션 위크, 뉴욕 패션 위크와 함께 세계적인 "패션 위크 빅 4"의 일부이다.[14] 스케줄은 뉴욕, 런던, 밀라노를 거쳐 파리에서 끝나는 순서로 진행된다. 1958년 이후, 밀라노 패션 위크는 여성복과 남성복 패션 위크를 포함하여 반년에 한 번씩 열리고 있다.
밀라노 패션 위크는 이탈리아 패션의 발전을 규율, 조정 및 홍보하는 비영리 단체인 이탈리아 패션 협회(Camera Nazionale della Moda Italianait)에 의해 부분적으로 조직되며, 밀라노의 패션 행사와 쇼를 주최하는 역할을 한다. 이탈리아 패션 협회의 전신인 Camera Sindacale della Moda Italianait는 1958년 6월 11일에 설립되었다.
로베르토 카푸치, 에밀리오 슈베르트 등 당시 이탈리아 패션계의 주요 인물들이 이 단체의 창립 멤버로 참여했다.
여성 패션에 특화된 행사(여성복/밀라노 SS 여성복 레디 투 웨어, 밀라노 모다 돈나가 주요 패션쇼)가 가장 중요하며, 남성복을 위한 여름 행사로는 남성복과 밀라노 모다 우오모가 있다.
2013년 가을/겨울 밀라노 패션 위크는 1월 20일 파올라 프라니의 쇼케이스로 시작되었으며, 아르마니, 보테가 베네타, 로베르토 카발리, 돌체 & 가바나 등 유명 패션 하우스의 프레젠테이션이 이어졌다. 또한, 신진 레이블과 젊은 디자이너들의 전시도 열렸다. 2013년 11월 20일, 조르지오 아르마니는 이탈리아 패션 협회에 합류하기로 결정했다.
2015년 4월, 카를로 카파사가 전 회장 마리오 보셀리를 이어 이탈리아 패션 협회의 회장으로 임명되었다.
돌체 & 가바나를 포함한 특정 쇼는 이탈리아 패션 협회와 함께 개최되지 않으며, 이탈리아 패션 협회는 카발리와 같은 디자이너들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
1976년 이래 밀라노에서 개최되는 패션 컬렉션으로, 수많은 디자이너가 신작을 발표하고, 홍보를 위해 주로 바이어, 저널리스트, 카메라맨 등을 초대한다. 비즈니스의 장이므로 일반인은 기본적으로 볼 수 없다.
파리 패션 위크 전 주에 밀라노 패션 위크 일정이 잡혀 있다.[14]
유명한 프레타포르테 컬렉션은 밀라노 외에도 파리, 뉴욕, 런던의 "빅 4"[14]에 더해 도쿄 등에서 열리지만, 100개 이상의 브랜드가 참여하는 파리 패션 위크가 가장 규모가 크고, 그 해의 유행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주목도가 매우 높다.
상설 회장은 국제 박람회 회장에 인접하여 만들어지지만, 브랜드별로 독자적인 회장을 마련하는 경우도 많다.
관련 컬렉션에는 국제 섬유 전시회인 모다인(MODAIN), 신발·가방 컬렉션인 미캄(MICAM) 등이 다수 존재한다.
4. 주요 장소
밀라노 패션 위크는 매 시즌 40개 이상의 쇼를 포함하며, 도시를 관광 중심지로 변화시킨다. 이는 디자인 무대가 될 가장 우아하고 영향력 있는 궁전을 선택하여 쇼를 위한 다양한 장소를 만들기 때문이다. 장소의 예로는 왕궁, 세르벨로니 궁전 등이 있다.
5. 논란과 과제
2014년, 그린피스는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미술관에서 베르사체를 비롯한 이탈리아 브랜드 제품에 유해 화학 물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는 이유로 "유해 물질 없는 패션"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다.[12]
5. 1. 지속 가능성 문제
2014년, 그린피스는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미술관에 "유해 물질 없는 패션"을 요구하는 현수막을 걸며 시위를 벌였다.[12] 그린피스 이탈리아의 키아라 캄피오네는 "...이탈리아 브랜드, 특히 베르사체는 제품에 유해 화학 물질이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생산의 다양한 단계에서 유해 물질을 제거하기로 공개적으로 약속하도록 요구하기 위해 시위를 벌였습니다."라고 시위의 목적을 밝혔다.6. 경제적 효과
항목 | 수치 |
---|---|
참석자/방문객 | 30,000명 |
총 수입 | 6400만유로 |
도시 수입 | 1550만유로 |
사업 수입 | 4850만유로 |
행사 수입 | 700만유로 |
식당 수입 | 2200만유로 |
소매 수입 | 2600만유로 |
숙박 수입 | 900만유로 |
방문객 1인당 평균 지출 | 1902EUR |
참조
[1]
웹사이트
5 of the Most Famous Fashion Events in the World
https://www.tatleras[...]
2023-12-30
[2]
웹사이트
Fashioning the City: Exploring Fashion Cultures, Structures and Systems
http://fashioningthe[...]
Royal College of Art
2012-01-27
[3]
웹사이트
Fashion Week: le quattro settimane della moda nel mondo
https://www.lifeandp[...]
2021-12-28
[4]
서적
Fashion Journalism
https://books.google[...]
Routledge
[5]
서적
The Fundamentals of Fashion Management
https://books.google[...]
A&C Black
[6]
웹사이트
History and Facts About Milan Fashion Week {{!}} Fashion Week Online®
https://fashionweeko[...]
2022-04-15
[7]
웹사이트
Giorgio Armani Joins Italian Chamber of Fashion
http://www.wwd.com/f[...]
WWD
2013-11-20
[8]
웹사이트
Carlo Capasa Named President Of The Camera Nazionale Della Moda Italiana
http://www.fashionti[...]
2015-04-10
[9]
웹사이트
Roberto Cavalli Lashes Out at Camera Nazionale della Moda
http://wwd.com/fashi[...]
2016-03-28
[10]
웹사이트
Milano Fashion Week: la prima edizione digitale a luglio 2020
https://www.vogue.it[...]
.vogue.it
2020-07-18
[11]
웹사이트
Seeing Double: Gucci Sent 68 Sets Of Identical Twins Down Its SS23 Runway
https://graziamagazi[...]
2023-12-31
[12]
웹사이트
Greenpeace Activists Protest at Milan Fashion Week
http://www.wwd.com/f[...]
WWD
2014-02-20
[13]
웹사이트
Money-makers: What Milan earns from Milan Fashion Week
https://fashionunite[...]
2021-03-09
[14]
웹사이트
Beyond London, fashion weeks fabulously cut from a different cloth
https://www.theguard[...]
2012-09-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