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밑 (수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밑(base)은 라틴어 'radix'에서 유래된 용어로, 숫자를 표현하는 데 사용되는 기수이다. 일반적으로 밑수 b를 갖는 시스템에서 숫자 d₁...dₙ의 문자열은 d₁bⁿ⁻¹ + d₂bⁿ⁻² + ... + dₙb⁰을 나타내며, 여기서 0 ≤ dᵢ < b이다. 널리 사용되는 밑수로는 이진법(2), 8진법(8), 십진법(10), 16진법(16), 60진법(60) 등이 있으며, 컴퓨팅 분야에서는 이진법의 간결한 표현을 위해 8진법과 16진법이 자주 사용된다. 밑수는 자연수 외에도 황금비율, 음수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초등 수학 - 거리
    거리는 수학에서 두 점 사이를 측정하는 함수, 물리학에서 물체의 위치 변화량, 일상생활에서 두 지점 사이의 길이를 의미하며, 국제단위계에서는 길이로 표현된다.
  • 초등 수학 - 제곱근
    제곱근은 x² = a를 만족하는 x 값으로, a가 양수일 때 두 개의 제곱근을 가지며, 수학, 물리학, 기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이고, 무리수와도 관련되어 행렬이나 연산자에도 확장된다.
  • 기수법 - 이진법
    이진법은 0과 1 두 개의 숫자를 사용하는 밑이 2인 위치 기수법으로, 컴퓨터 과학의 기초가 되었으며 현대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 사용된다.
  • 기수법 - 구진법
    구진법은 9를 밑으로 하는 위치 기수법으로 0부터 8까지의 숫자를 사용하여 수를 나타내며, 3의 배수 표현이 간결하고 3의 역수는 유한소수로 표현되는 특징이 있다.
밑 (수학)
명칭
이름기수 (Radix)
다른 이름밑 (Base)
정의
정의어떤 수 체계에서 자릿값이 곱해지는 기준이 되는 수
수의 자릿값을 결정하는 기본 숫자
예시
10진법10
2진법2
16진법16
60진법60
성질
기수 표현어떤 진법으로 수를 표현하는가에 따라 같은 수를 다르게 나타낼 수 있음
기수 변환한 기수로 표현된 수를 다른 기수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함
활용
컴퓨터 과학2진법, 8진법, 16진법 등이 널리 사용됨
시간60진법이 시, 분, 초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각도60진법이 각도를 분, 초로 나누는 데 사용됨

2. 어원

라틴어 단어 '''radix'''는 "뿌리"를 의미한다. "뿌리"는 산술적 의미에서 ''밑''과 동의어로 간주될 수 있다.

3. 수 체계

밑(base)은 수를 표현하는 방법의 기초가 되는 개념이다. 특정한 밑 ''b''를 사용하여 숫자를 표현할 때, 각 자릿수는 ''b''의 거듭제곱에 해당하는 값을 가진다. 예를 들어 십진법에서는 10의 거듭제곱을 사용하고, 이진법에서는 2의 거듭제곱을 사용한다.

밑 ''b''를 1보다 큰 양의 정수로 표현할 수 있다.

:a = r_m b^m + r_{m-1} b^{m-1} + \dotsb + r_1 b + r_0,

여기서 ''m''은 음이 아닌 정수이고 ''r''은 다음과 같은 정수이다.

:0 < ''r''''m'' < ''b'' 및 0 ≤ ''r''''i'' < ''b'' (''i'' = 0, 1, ... , ''m'' − 1).[4]

밑수는 일반적으로 자연수이다. 그러나 황금비율 밑수 (밑수가 정수가 아닌 대수적 수)[5] 및 음수 밑수 (밑수가 음수)[6]와 같이 다른 위치 체계도 가능하다. 음수 밑수를 사용하면 마이너스 기호 없이 음수를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 = −10이라고 하자. 그러면 숫자 19와 같은 문자열은 (십진수) 숫자 1 × (−10)1 + 9 × (−10)0 = −1을 나타낸다.

3. 1. 여러 진법

일반적으로 밑수 ''b'' (''b'' > 1)를 갖는 시스템에서 숫자 문자열은 숫자 를 나타내며, 여기서 이다.[1] 십진법(밑수 10)과 대조적으로, 1의 자리, 10의 자리, 100의 자리 등이 있는 반면, 밑수 ''b''는 1의 자리, ''b''1의 자리, ''b''2의 자리 등을 갖는다.[2]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숫자 체계는 다음과 같다.

밑/밑수이름설명
2이진법거의 모든 컴퓨터에서 내부적으로 사용된다. 두 숫자는 각각 "0"과 "1"이며, OFF와 ON을 표시하는 스위치로 표현된다. 대부분의 전기 계수기에 사용된다.
88진법컴퓨팅에서 가끔 사용된다. 여덟 개의 숫자는 "0"–"7"이며 3비트(23)를 나타낸다.
10십진법대부분의 문화권에서 인간이 사용한다. 10개의 숫자는 "0"–"9"이다. 대부분의 기계식 계수기에 사용된다.
12십이진법때때로 2, 3, 4, 6으로 나누어 떨어지기 때문에 옹호된다. 전통적으로 더즌과 그로스로 표현되는 양의 일부로 사용되었다.
1616진법이진법의 보다 간결한 표현으로 컴퓨팅에서 자주 사용된다(4비트당 1개의 16진수). 16개의 숫자는 "0"–"9" 다음에 "A"–"F" 또는 "a"–"f"가 온다.
2020진법여러 문화권에서 전통적인 숫자 체계이며, 일부에서는 여전히 사용된다. 역사적으로 영어에서 score 시스템으로도 알려졌으며, 현재는 게티즈버그 연설에서 "네 스코어와 일곱 해 전에"라는 구절로 가장 유명하다.
3636진법이진 데이터ASCII 문자열 형식으로 표현하는 이진-텍스트 인코딩 방식이며, 이를 밑수-36 표현으로 변환하여 표현한다. 36을 선택한 이유는 숫자를 아라비아 숫자 0–9와 라틴 문자 A–Z (ISO 기본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각 36진수 숫자를 표현하는 데 6비트 미만의 정보가 필요하다.
6060진법고대 수메르에서 변형된 형태로 사용되었고 바빌로니아인에게 전해졌다.[3] 오늘날에는 현대 원형 좌표계 (도, 분, 초)와 시간 측정 (분, 초)의 기초로 사용되며, 지구의 자전과 유사하다.



8진법과 16진법은 이진법의 축약형으로 사용하기 쉽기 때문에 컴퓨팅에서 자주 사용된다. 16진수는 16이 2의 네 제곱이므로 각 16진수는 4개의 이진수 시퀀스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16진수 7816은 이진수 11110002이다. 마찬가지로, 8은 2의 세제곱이므로 각 8진수는 3개의 이진수 시퀀스에 해당한다.

밑수는 일반적으로 자연수이다. 그러나 다른 위치 체계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황금비율 밑수 (밑수가 정수가 아닌 대수적 수)[5] 및 음수 밑수 (밑수가 음수).[6]

3. 2. 특수한 수 체계

일반적으로 밑수 ''b'' (''b'' > 1)를 갖는 시스템에서 숫자 ''d''1 ... ''dn''의 문자열은 ''d''1''b''''n''−1 + ''d''2''b''''n''−2 + … + ''dnb''0을 나타내며, 여기서 0 ≤ ''di'' < ''b''이다.[1] 십진법은 1의 자리, 10의 자리, 100의 자리 등이 있는 반면, 밑수 ''b''는 1의 자리, ''b''1의 자리, ''b''2의 자리 등을 갖는다.[2]

예를 들어, ''b'' = 12인 경우, 숫자 59A (여기서 문자 "A"는 10의 값을 나타냄)와 같은 문자열은 십진수로 512 + 912 + 1012 = 838의 값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숫자 체계는 다음과 같다.

밑/밑수이름설명
2이진법거의 모든 컴퓨터에서 내부적으로 사용된다. 두 숫자는 각각 "0"과 "1"이며, OFF와 ON을 표시하는 스위치로 표현된다. 대부분의 전기 계수기에 사용된다.
88진법컴퓨팅에서 가끔 사용된다. 여덟 개의 숫자는 "0"–"7"이며 3비트(23)를 나타낸다.
10십진법대부분의 문화권에서 인간이 사용한다. 10개의 숫자는 "0"–"9"이다. 대부분의 기계식 계수기에 사용된다.
12십이진법2, 3, 4, 6으로 나누어 떨어지기 때문에 때때로 옹호된다. 전통적으로 더즌과 그로스로 표현되는 양의 일부로 사용되었다.
1616진법이진법의 보다 간결한 표현으로 컴퓨팅에서 자주 사용된다(4비트당 1개의 16진수). 16개의 숫자는 "0"–"9" 다음에 "A"–"F" 또는 "a"–"f"가 온다.
2020진법여러 문화권에서 전통적인 숫자 체계이며, 일부에서는 여전히 사용된다. 역사적으로 영어에서 score 시스템으로도 알려졌으며, 현재는 게티즈버그 연설에서 "네 스코어와 일곱 해 전에"라는 구절로 가장 유명하다.
3636진법이진 데이터ASCII 문자열 형식으로 표현하는 이진-텍스트 인코딩 방식이며, 이를 밑수-36 표현으로 변환하여 표현한다. 36을 선택한 이유는 숫자를 아라비아 숫자 0–9와 라틴 문자 A–Z (ISO 기본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각 36진수 숫자를 표현하는 데 6비트 미만의 정보가 필요하다.
6060진법고대 수메르에서 변형된 형태로 사용되었고 바빌로니아인에게 전해졌다.[3] 오늘날에는 현대 원형 좌표계 (도, 분, 초)와 시간 측정 (분, 초)의 기초로 사용되며, 지구의 자전과 유사하다.



8진법과 16진법은 이진법의 축약형으로 사용하기 쉽기 때문에 컴퓨팅에서 자주 사용된다. 16진법에서 16은 2의 네 제곱이므로 각 16진수는 4개의 이진수 시퀀스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16진수 7816은 이진수 11110002이다. 마찬가지로, 8은 2의 세제곱이므로 각 8진수는 3개의 이진수 시퀀스에 해당한다.

''b''를 1보다 큰 양의 정수라고 하자. 그러면 모든 양의 정수 ''a''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고유하게 표현될 수 있다.

:a = r_m b^m + r_{m-1} b^{m-1} + \dotsb + r_1 b + r_0,

여기서 ''m''은 음이 아닌 정수이고 ''r''은 다음과 같은 정수이다.

:0 < ''r''''m'' < ''b'' 및 0 ≤ ''r''''i'' < ''b'' (''i'' = 0, 1, ... , ''m'' − 1).[4]

밑수는 일반적으로 자연수이다. 그러나 황금비율 밑수 (밑수가 정수가 아닌 대수적 수)[5] 및 음수 밑수 (밑수가 음수)[6]와 같이 다른 위치 체계도 가능하다. 음수 밑수를 사용하면 마이너스 기호 없이 음수를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 = −10이라고 하자. 그러면 숫자 19와 같은 문자열은 (십진수) 숫자 1-10 + 9-10 = −1을 나타낸다.

참조

[1] 서적 Logic and Computer Design Fundamentals Pearson 2014
[2] 웹사이트 Binary https://experimonkey[...] 2023-05-14
[3] 서적 Handbook to Life in Ancient Mesopotam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 Press 2005
[4] 문서 1968
[5] 간행물 A Number System with an Irrational Base
[6] 간행물 Negative Based Number Systems https://www.math.uwa[...] 1979-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