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깥엉덩정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깥엉덩정맥은 넙다리정맥의 연속이며, 고샅인대 높이에서 시작되어 작은골반의 가장자리를 따라 바깥엉덩동맥과 함께 주행한다. 엉치엉덩관절 앞쪽에서 속엉덩정맥과 합쳐져 온엉덩정맥을 형성한다. 바깥엉덩정맥은 수뇨관, 속엉덩동맥, 수정관(남성), 자궁원인대 및 난소동맥(여성)에 의해 가로질러지며, 하나의 판막을 가지거나 없는 경우도 있다. 주요 지류로는 아래배벽정맥, 깊은엉덩휘돌이정맥, 두덩정맥이 있다. 바깥엉덩정맥은 해부학적 변이에 의해 압박될 수 있으며, 심부정맥혈전증과 관련될 수 있다. 또한 클리펠-트레노우네이 증후군과 관련하여 바깥엉덩정맥의 무발생 또는 기형이 보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바깥엉덩정맥 | |
---|---|
개요 | |
이름 | 바깥엉덩정맥 |
라틴어 이름 | vena iliaca externa |
영어 이름 | external iliac vein |
기원 | 넙다리정맥 |
합류 | 온엉덩정맥 |
혈액 공급 | 하지 |
동맥 | 바깥엉덩동맥 |
![]() | |
![]() |
2. 구조
바깥엉덩정맥은 넙다리정맥이 연속된 정맥으로[6] 고샅인대 높이에서 시작된다.[7] 바깥엉덩정맥의 주행 경로, 구조, 판막 유무, 지류 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세부 구조
바깥엉덩정맥은 넙다리정맥이 연속된 정맥으로[6] 고샅인대 높이에서 시작된다.[7] 이때 작은골반의 가장자리를 따라 바깥엉덩동맥과 함께 주행한다. 그 후 엉치엉덩관절의 앞쪽에서 속엉덩정맥과 합쳐져 온엉덩정맥을 형성한다.[8]왼쪽 바깥엉덩정맥은 전체 주행 경로에서 바깥엉덩동맥의 안쪽에 놓여 있다. 오른쪽 바깥엉덩정맥은 처음에는 동맥의 안쪽에 위치하지만 위로 올라가면서 동맥의 뒤쪽에서 주행하게 된다.[7]
수뇨관과 속엉덩동맥은 모두 중앙을 향하기 때문에 바깥엉덩정맥을 가로지른다. 또한 남성에서는 수정관이, 여성에서는 자궁원인대, 난소동맥이 바깥엉덩정맥을 가로지른다. 큰허리근은 동맥이 사이에 놓이는 부분을 제외하면 바깥엉덩정맥의 측면에 놓여 있다.[9]
바깥엉덩정맥은 하나의 판막을 가지기도 하지만 종종 판막이 없는 경우도 있다.[7]
바깥엉덩정맥의 주된 지류에는 아래배벽정맥, 깊은엉덩휘돌이정맥, 두덩정맥(pubic vein)이 있다.[9]
2. 2. 지류
바깥엉덩정맥의 주요 지류에는 아래배벽정맥, 깊은엉덩휘돌이정맥, 두덩정맥이 있다.[9]3. 임상적 중요성
바깥엉덩정맥의 압박은 심부정맥혈전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1967년 코케트(Cockett)가 처음으로 바깥엉덩정맥이 눌리기 쉬운 해부학적 변이를 기록했다. 메이-터너 증후군보다는 덜 흔하지만, 현대 영상 촬영 기법으로 꾸준히 보고되고 있다. 오른쪽 온엉덩동맥이나 왼쪽 속엉덩동맥이 바깥엉덩정맥을 가로질러 골반으로 들어가면서 왼쪽 바깥엉덩정맥을 누를 수 있다.[10] 바깥엉덩정맥의 발달 부전이나 무형성은 클리펠-트레노우네이 증후군과 관련되어 보고되었다.[4]
3. 1. 압박 증후군
1967년, 코케트(Cockett)는 바깥엉덩정맥이 눌리기 쉬운 해부학적 변이에 대해 기록했다. 메이-터너 증후군보다 덜 흔하기는 하지만, 현대의 영상 촬영 기법들에 의해 이 변이는 꾸준히 보고되어 왔다. 오른쪽 온엉덩동맥이나 왼쪽 속엉덩동맥은 바깥엉덩정맥을 가로질러 골반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이 동맥들에 의해 왼쪽 바깥엉덩정맥이 눌릴 수 있다. 이렇게 정맥이 압박되면 심부정맥혈전증이 발생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10]바깥엉덩정맥이 제대로 발생하지 못했거나 무발생한 경우는 클리펠-트레노우네이 증후군과 관련하여 설명되어 왔다.[9]
3. 2. 선천적 기형
1967년, 코케(Cockett)는 바깥엉덩정맥이 눌리기 쉬운 해부학적 변이에 대해 기록했다. 메이-터너 증후군보다 덜 흔하기는 하지만, 현대의 영상 촬영 기법들에 의해 이 변이는 꾸준히 보고되고 있다. 오른쪽 온엉덩동맥이나 왼쪽 속엉덩동맥은 바깥엉덩정맥을 가로질러 골반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이 동맥들에 의해 왼쪽 바깥엉덩정맥이 눌릴 수 있다. 이렇게 정맥이 압박되면 심부정맥혈전증이 발생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10]바깥엉덩정맥이 제대로 발생하지 못했거나 무발생한 경우가 클리펠-트레노우네이 증후군과 관련하여 설명되어 왔다.[9]
참조
[1]
서적
Last's Anatomy: Regional and Applied
https://books.google[...]
Churchill Livingstone Elsevier
2018-03-16
[2]
서적
The Vein Book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3]
서적
The Netter Collection of Medical Illustrations: Digestive System: Part I - The Upper Digestive Tract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7
[4]
서적
Gray's Anatomy: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Elsevier
[5]
서적
Current Management of Venous Diseases
https://books.googl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6]
서적
Last's Anatomy: Regional and Applied
https://books.google[...]
Churchill Livingstone Elsevier
2018-03-16
[7]
서적
The Vein Book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8]
서적
The Netter Collection of Medical Illustrations: Digestive System: Part I - The Upper Digestive Tract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7
[9]
서적
Gray's Anatomy: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Elsevier
[10]
서적
Current Management of Venous Diseases
https://books.googl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