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다의 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다의 별"(Stella Maris)은 성모 마리아를 칭하는 이름으로, 히브리어 이름 "미리암"을 "바다의 별"로 해석한 데서 유래했다. 이 명칭은 7세기에 세비야의 이시도르의 저작에서 처음 언급되었으며, 8세기에는 "아베 마리스 스텔라"와 같은 찬송가가 만들어지면서 널리 퍼졌다. 중세 시대에는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도가 마리아를 어려움 속에서 의지할 별로 비유했으며, 교황 비오 12세 역시 이를 인용하여 마리아의 칭호로 적합하다고 강조했다. 바다의 별은 해안 및 어촌 공동체의 수호 성인으로 여겨지며, 카르멜회와도 연관되어 있다. 또한, 해상 사도직의 수호성인이며, 필리핀 마닐라 해전에서 승리를 가져다준 마리아의 중재로 여겨지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모 마리아의 호칭 - 알무데나의 성모
    알무데나의 성모는 스페인 마드리드의 수호 성인으로 추앙받는 성모 마리아의 조각상으로, 전설에 따르면 사도 야고보가 가져와 숨겨졌다가 레콩키스타 시기에 기적적으로 발견되었으며, 마드리드 시민들에게 신성한 존재로 여겨진다.
  • 성모 마리아의 호칭 - 테오토코스
    테오토코스는 '하느님 출산'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합성어로, 예수가 신성과 인성을 동시에 지닌다는 기독교 교의와 관련되어 431년 에페소 공의회에서 정통 교리로 채택되었으며, 기독교 교파에 따라 의미와 사용 방식에 차이가 있다.
바다의 별

2. 어원 및 역사

'스텔라 마리스(Stella Maris)'라는 칭호는 성 예로니모가 필로의 작품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처음 등장했다.[1][2] 하지만, 이는 오기에 기반한 잘못된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3]

원래 히브리어 이름 מרים|미리암|he그리스어로 Μαριάμ|마리암|el으로 번역되었다. 예로니모의 작품 필사본에는 "스텔라 마리스", 즉 바다의 별이라는 해석이 나오지만, 이는 원래 stilla maris|스틸라 마리스|la 즉 "바다의 물방울"을 의미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מר|마르|he는 '물방울'을, ים|얌|he은 '바다'를 뜻하는 히브리어 단어이다. 나중에 필사자가 이를 stella maris|스텔라 마리스|la, 즉 "바다의 별"로 잘못 옮겨 적었고, 이 오기가 널리 퍼진 것으로 보인다.

이후 "바다의 별"이라는 해석은 중세 초기에 널리 퍼졌다. 세비야의 이시도르는 ''어원''(7세기)에서 이를 언급했고, 플레인송 찬송가 Ave Maris Stella|아베 마리스 스텔라|la("만세, 바다의 별")는 약 8세기에 만들어졌다. 9세기 파시아스 라드베르투스는 마리아를 "바다의 별"이라 칭하며, "바다의 폭풍우 속에서 전복되지 않도록" 그리스도를 향해 따라가야 한다고 썼다.

2. 1. 이름의 기원과 해석

מרים|미리암|he이라는 히브리어 이름은 그리스어로는 Μαριάμ|마리암|el으로 번역되었다.[1][2] 예로니모는 이 이름을 '바다의 별(stella maris)'로 해석했지만,[3] 이는 '바다의 물방울(stilla maris)'을 잘못 옮겨 적은 것으로 보인다.[4] מר|마르|he는 '물방울'을 뜻하는 희귀한 성경적 단어이며,[4] ים|얌|he은 '바다'를 뜻한다.

일부에서는 예로니모가 히브리어 단어 מאור|마오르|별he와 אור|오르|빛나다he를 연관 지어 '바다의 별'로 해석했다고 주장한다.[4]

2. 2. 중세 시대의 확산

"바다의 별"이라는 해석은 중세 초기에 널리 퍼졌다. 7세기 세비야의 이시도르는 ''어원''에서 이를 언급했으며,[4] 8세기경에는 Ave Maris Stella|아베 마리스 스텔라la(Ave Maris Stellala, "만세, 바다의 별"이라는 뜻)라는 플레인송 찬송가가 만들어졌다.[4] 9세기 파시아스 라드베르투스는 마리아를 "바다의 폭풍우 속에서 전복되지 않도록 그리스도를 향해 따라가야 할 '바다의 별'"이라고 비유했다.[4]

중세 시대에 스텔라 마리스la북극성을 가리키는 말로도 사용되었다. 북극성은 늦은 고대 시대부터 사용되었을 수 있으며, 5세기의 스토배우스가 ἀειφανής|아에이파네스el ("항상 보이는"이라는 뜻)라고 언급했을 당시에는 천구의 북극에서 약 8도 정도 떨어져 있었다.

12세기에 성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도는 다음과 같이 썼다.[5]

> 유혹의 바람이 불어오면, 고난의 바위에 부딪히면 별을 바라보고, 마리아를 불러라. 만약 당신이 자만, 야망, 시기, 경쟁의 파도에 휩쓸리면, 별을 바라보고 마리아를 불러라. 만약 분노, 탐욕, 육욕이 당신 영혼의 연약한 배를 격렬하게 공격한다면, 별을 바라보고 마리아를 불러라.

교황 비오 12세는 그의 회칙 Doctor Mellifluus|독토르 멜리플루스la에서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도를 인용하여 다음과 같이 말했다.[6]

> 마리아…는 '바다의 별'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동정녀 어머니에게 적합하다… (왜냐하면) 광선이 별의 밝기를 감소시키지 않듯이, 그녀에게서 태어난 아기는 마리아의 처녀성의 아름다움을 손상시키지 않았기 때문이다.

파도바의 안토니오 또한 마리아를 바다의 별로 썼다.[7]

2. 3. 근세 시대의 발전

12세기 성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도는 "유혹의 바람이 불어올 때, 고난의 바위에 부딪힐 때 별을 바라보고, 마리아를 부르라"라고 설교했다.[5] 교황 비오 12세는 회칙 Doctor Mellifluus|la에서 베르나르도의 말을 인용하며, 마리아의 칭호가 동정녀 어머니에게 적합하다고 말했다.[6] 파도바의 안토니오 역시 마리아를 바다의 별로 칭송했다.[7] 로베르토 벨라르미노는 그리스도를 새벽별에 비유하며, 북극성은 '보잘것없다'(exigua|la)고 평가했다.[8]

3. 신앙적 적용

바다의 별 마리아는 많은 가톨릭 해안 및 어촌 공동체에서 "바다의 별이신 성모님" 신심으로 이어졌다. 성모가 바다 여행자들의 보호자라는 생각은 가톨릭 교회와 어업 조합이 바다의 별 성모에 대한 신앙을 갖도록 이끌었다.[9]

3. 1. 해안 공동체의 수호성인

바다의 별로서의 마리아는 많은 가톨릭 해안 및 어촌 공동체에서 '바다의 별이신 성모님' 신심으로 이어졌다. 수많은 교회, 학교, 대학이 Stella Maris|스텔라 마리스la, 바다의 별이신 성모님 또는 '마리아, 바다의 별'에 봉헌되었다.[9]

이 칭호의 마리아에 대한 신심은 대중적인 가톨릭 찬송가인 ''하늘의 여왕, 바다의 별이여''[10]와 고대 기도문 Ave Maris Stella|아베 마리스 스텔라la에서 찾아볼 수 있다. 널리 불리는 "시칠리아 선원 찬가"인 O Sanctissima|오 상티시마la[11][12] 역시 이러한 신심을 반영하며, 타밀 찬송가도 그렇다.[13]

3. 2. 카르멜회와의 연관성

스텔라 마리스 수도원은 카르멜회의 창립 수도원으로, 13세기 초 하이파의 카르멜 산에 세워졌다. 이 수도원은 여러 번 파괴되었지만, 재건된 Stella Maris|스텔라 마리스la 수도원은 여전히 이 수도회의 본부로 여겨진다.[9]

3. 3. 대중적 신심

이 칭호의 마리아에 대한 신심은 대중적인 가톨릭 찬송가인 ''하늘의 여왕, 바다의 별이여''[10]와 고대 기도문 Ave Maris Stella|아베 마리스 스텔라la에서 찾아볼 수 있다. 널리 불리는 "시칠리아 선원 찬가"인 O Sanctissima|오 상티시마la[11][12] 역시 이러한 신심을 반영하며, 타밀 찬송가도 그렇다.[13]

3. 4. 수호성인

네덜란드[14]와 미국 하와이 주[15]는 바다의 별이신 성모 마리아를 수호성인으로 모신다. 로마 가톨릭 교회는 9월 27일을 바다의 별이신 성모 마리아 기념일로 지낸다.[16]

4. 선원들의 수호성인

해상 사도직 (AOS)은 종종 현지에서 Stella Maris|스텔라 마리스la로 알려져 있으며, 선원들에게 사목, 실질적, 영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바다의 별이신 성모 마리아는 AOS의 수호성인이다.[17]

필리핀의 역사적인 마닐라 해전에서 많은 사람들은 마리아의 중재가 승리를 가져왔다고 믿었다.[23]

4. 1. 해상 사도직 (AOS)

해상 사도직(Apostleship of the Sea, AOS)은 전 세계 항구에서 항만 사목자와 선박 방문자를 통해 사목, 실질적, 영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가톨릭 단체이다. AOS는 종종 현지에서 Stella Maris|스텔라 마리스la로 알려져 있으며, 바다의 별이신 성모 마리아를 수호성인으로 모신다.[17]

해상 사도직은 수년 동안 매년 9월에 선원들을 위해 미사를 거행하며 Stella Maris|스텔라 마리스la, 바다의 별이신 성모 마리아 축일을 기념해 왔다. 이날은 모든 선원을 위해 기도하고 글로벌 무역에 대한 그들의 기여에 감사하는 날이다. 2016년 웨스트민스터 대성당에서 열린 Stella Maris|스텔라 마리스la 미사 모임에서 웨스트민스터 대주교 빈센트 니콜스 추기경은 "선원을 돌보는 것은 지극히 기독교적인 일이다."라고 말했다.[18]

필리핀의 역사적인 마닐라 해전에서 많은 사람들은 마리아의 중재가 승리를 가져왔다고 믿었다. 선원 사목(AOS)은 오랫동안 바다의 별 성모에 대한 신앙을 이어오고 있다. 그 기념 미사는 매년 7월 둘째 주 일요일에 거행되며, 모든 선원들을 위해 기도하고 세계 무역에 대한 그들의 공헌에 대해 성모 마리아에게 감사를 드리는 날이다.[23]

4. 2. 필리핀 해전에서의 역할

필리핀의 역사적인 마닐라 해전에서 많은 사람들은 마리아의 중재가 승리를 가져왔다고 믿었다.[17]

5. 한국 천주교와의 관계

(이전 출력이 비어 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요약이 제공되면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위키텍스트를 작성하여 출력하겠습니다.)

6. 갤러리

참조

[1] 서적 Liber de Nominibus Hebraicis https://www.document[...]
[2] 서적 Star-Names and Their Meanings, page 454 https://archive.org/[...] 1899
[3] 간행물
[4] 웹사이트 Etymology and meaning of the name Miriam http://www.abarim-pu[...] 2015-10-20
[5] 문서
[6] 문서
[7] 서적 St. Anthony of Padua: Doctor of the Church Universal; a critical study of the historical sources of the life, sanctity, learning, and miracles of the Saint of Padua and Lisbon https://archive.org/[...] Bruce Pub. Co 1948
[8] 서적 The saint as censor: Robert Bellarmine between inquisition and index https://books.google[...] Brill 2000
[9] 웹사이트 Stella Maris Church – Carmel Holy Land https://www.carmelho[...]
[10] 서적 Sing of Mary: Giving Voice to Marian Theology and Devotion https://books.google[...] Liturgical Press 2014
[11] 뉴스 The Sicilian Mariner's Hymn to the Virgin https://books.google[...] 2016-10-18
[12] 서적 Stimmen der Völker in Liedern 2016-10-18
[13] 간행물 The Blessed Virgin Mary in contemporary liturgical and paraliturgical Tamil hymns 2023
[14] 웹사이트 Patronage of Nations : University of Dayton, Ohio https://udayton.edu/[...] 2020-05-13
[15] 웹사이트 Did You Know? The Patron Saints for All 50 States https://ucatholic.co[...] 2023-02-03
[16] 웹사이트 Stella Maris Feast Day Celebration Masses https://www.apostles[...] 2020-05-13
[17] 웹사이트 Stella Maris : University of Dayton, Ohio https://udayton.edu/[...] 2020-05-13
[18] 웹사이트 Cardinal Nichols: Caring for seafarers 'profoundly Christian' https://www.csan.org[...] 2016-10-11
[19] 문서
[20] 웹사이트 The Name of Mary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2-12-21
[21] 문서
[22] 문서
[23] 웹사이트 船員の日:教皇、紛争地域に足止めされた船員たち思う https://www.vaticann[...] Vatican news 2022-07-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