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덴부르크 증후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덴부르크 증후군은 선천적인 감각신경성 난청과 색소 결핍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 질환이다. 1951년 페트루스 요하네스 바덴부르크에 의해 처음 상세히 기술되었으며,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된다. 주요 증상으로는 홍채 이색증, 난청, 백모증, 내안각개리 등이 있으며, 팔 기형(3형) 또는 거대결장증(4형)을 동반하기도 한다. 신경능 세포의 발달에 관여하는 유전자 돌연변이가 원인이며, PAX3, MITF, SOX10 등의 유전자 변이가 관련되어 있다. 현재 근본적인 치료법은 없으며, 난청은 보청기나 인공와우 이식으로, 다른 증상은 대증 치료를 한다. 전 세계적으로 42,000명 중 1명꼴로 발생하며, 1형과 2형이 가장 흔하다. 이 질환은 소설, TV 시리즈, 유튜버 등 다양한 매체에서 언급되었으며, 개, 고양이, 페럿 등 동물에게서도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미노산 대사 장애 - 판코니 증후군
판코니 증후군은 근위 세뇨관 기능 장애로 여러 물질의 재흡수 장애를 보이는 질환으로, 유전적 및 후천적 요인이 원인이며 다뇨, 다음, 탈수, 저인산혈증으로 인한 구루병 및 골연화증 등의 증상을 보이며 소실된 물질을 보충하는 대증 요법으로 치료한다. - 아미노산 대사 장애 - 페닐케톤뇨증
페닐케톤뇨증은 페닐알라닌 수산화효소 결핍으로 페닐알라닌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지적 장애 등을 유발하는 상염색체 열성 유전 질환이며, 신생아 선별 검사를 통해 조기 진단하여 식이요법과 약물 치료를 시행한다. - 증후군 - 쇼그렌 증후군
쇼그렌 증후군은 자가면역 반응으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침샘과 눈물샘 등에서 분비물 감소를 유발하여 건성안, 구강건조증 등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 증후군 - 수근관 증후군
수근관 증후군은 손목터널 내 정중신경 압박으로 인해 저림, 통증을 유발하며 유전적 요인, 당뇨병, 반복적인 손목 사용 등이 원인이 될 수 있고, 보존적 치료나 수술적 치료를 고려한다.
바덴부르크 증후군 | |
---|---|
질병 개요 | |
이름 | 바덴부르크 증후군 |
다른 이름 | 클라인-바덴부르크 증후군 (3형), 샤-바덴부르크 증후군 (4형) |
증상 및 징후 | |
증상 | 청력 손실 및 색소 결핍을 동반하는 유전 질환 |
의학 정보 | |
국제질병분류기호 (ICD-10) | E70.3 |
국제질병분류기호 (ICD-9) | 270.2 |
관련 정보 | |
메들라인플러스 (MedlinePlus) | 001428 |
이메디신 (eMedicine) | 소아과 피부과 |
2. 역사
1916년 네덜란드 안과의사 얀 반 데르 호에베는 난청과 눈꺼풀틈새 좁음증을 가진 쌍둥이 자매를 보고했는데, 이는 바덴부르크 증후군 1형 또는 3형의 초기 묘사로 여겨진다.[30][34] 1926년 독일 의사 이르가르트 멘데는 4대에 걸쳐 색소 침착 감소, 난청 등을 보이는 가족을 묘사했다.[35][34] 1947년 스위스 안과의사 데이비드 클라인은 양측 난청, 색소 결핍, 팔 기형 등을 가진 환자를 보고했는데, 이는 바덴부르크 증후군 3형의 첫 완전한 설명이었다.[42]
1951년 네덜란드 안과의사이자 유전학자인 페트루스 요하네스 바덴부르크가 이 증후군을 처음으로 완전히 공식화하고 묘사했다.[39][1] 1971년 연구에서 내안각격리증이 없는 바덴부르크 증후군 2형이 처음으로 확인되었다.[4][40] 이후 분자유전학적 연구를 통해 다양한 원인 유전자와 그에 따른 아형(subtype)들이 밝혀졌다.
2. 1. 명칭과 분류
바덴부르크 증후군은 1951년 이 증후군을 상세히 보고한[60][61] 네덜란드 안과의사 페트루스 요하네스 바덴부르크(1886-1979)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스위스 안과의사 데이비드 클라인 또한 이 증후군 이해에 기여했다.[62] 바덴부르크가 제시한 증상은 오늘날 WS1으로 분류되며, 1971년 내안각 이상을 동반하지 않는 WS2가 확인되었다.[63] 오늘날 WS2는 원인 유전자에 기초하여 아종으로 분류된다. WS1 및 WS2 이외의 타입도 확인되었지만, 그 빈도는 훨씬 낮다.증후군의 아종은 각각 다른 유전자 변이에 기인한다.
타입 | OMIM | 유전자 심볼 | 유전자좌 | 비고 |
---|---|---|---|---|
I, WS1 | 193500 | PAX3 | 2q35 | - |
IIa, WS2A (WS2) | 193510 | MITF | 3p14.1-p12.3 | - |
IIb, WS2B | 600193 | WS2B | 1p21-p13.3 | - |
IIc, WS2C | 606662 | WS2C | 8p23 | - |
IId, WS2D (극히 드묾) | 608890 | SNAI2 | 8q11 | - |
III, WS3 | 148820 | PAX3 | 2q35 | 클라인-바덴부르크 증후군 |
IV, WS4 | 277580 |
바덴부르크 증후군은 배아 발달 과정에서 신경능 세포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다. 신경능은 신경관이 닫힌 후(신경관 형성) 배아 발달 약 4주차에 남는 일시적인 이동 세포 집단이다.[15] 이들은 신체의 다양한 부위에 도달하는 다양한 세포 집단으로 분화한다.
클라인-바덴부르크 증후군, 멘데 증후군, 반 데르 회베-클라인-바덴부르크 증후군 등 다른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3. 원인
신경관과 신경능은 외배엽에서 유래한다. 신경관은 뇌와 척수를 형성하고, 신경능 세포는 달팽이관의 혈관조, 내장의 신경과 신경교세포(장간 신경총), 슈반 세포등 다양한 세포로 분화한다.[15] 또한 멜라닌 세포를 포함한 멜라닌을 통해 갈색 눈 색상을 생성하는 홍채 기질의 멜라닌 세포로 분화한다.[16]
대부분의 바덴부르크 증후군은 상염색체 우성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며, 상염색체 열성인 경우는 드물다. 대부분은 질환을 가진 부모로부터 유전자를 물려받지만, 가족력이 없는 경우에도 유전자 내에서 새롭게 발생하는 자발적인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II형은 상염색체 열성 유전이며, 변이 유전자 2개가 모두 있어야 발병한다. IV형은 상염색체 열성[67]과 상염색체 우성 유전[68] 둘 다 보고되었으며, 산발적인 경우도 보고되었다.
3. 1. 유형별 원인 유전자
바덴부르크 증후군은 신경능 세포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다. 대부분의 경우 상염색체 우성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지만, 드물게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기도 한다. 영향을 받은 사람은 대부분 질환을 가진 부모로부터 유전자를 물려받지만, 가족력이 없는 경우에도 유전자 내에서 새롭게 발생하는 자발적인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신경능 세포는 배아 발달 과정에서 다양한 세포로 분화하는데, 이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돌연변이가 바덴부르크 증후군을 유발한다.
유형 | OMIM | 유전자 | 좌위 | 유전 양상 |
---|---|---|---|---|
1형 (WS1) | 193500 | PAX3 | 2q36.1[26] | 상염색체 우성 |
2A형 (WS2A) | 193510 | MITF | 3p14.1–p12.3 | 상염색체 우성 |
2B형 (WS2B) | 600193 | WS2B | 1p21–p13.3 | 상염색체 우성 |
2C형 (WS2C) | 606662 | WS2C | 8p23 | 상염색체 우성 |
2D형 (WS2D) | 608890 | SNAI2 | 8q11 | 상염색체 열성 |
2E형 (WS2E) | 611584 | SOX10 | 22q13.1 | 상염색체 우성 |
3형 (WS3) | 148820 | PAX3 | 2q36.1 | 상염색체 우성 또는 상염색체 열성 |
4A형 (WS4A) | 277580 | EDNRB | 13q22 | 상염색체 우성 또는 상염색체 열성 |
4B형 (WS4B) | 613265 | EDN3 | 20q13 | 상염색체 우성 또는 상염색체 열성 |
4C형 (WS4C) | 613266 | SOX10 | 22q13.1 | 상염색체 우성 |
4. 증상
바덴부르크 증후군은 유형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같은 유형 내에서도 개인차가 있을 수 있다. 공통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다.
- 홍채 이색증: 홍채의 색이 파란색~청백색이며, 좌우 홍채의 색이 다르거나 하나의 홍채가 두 개의 다른 색을 갖는다.
- 난청: 다양한 수준의 감각신경성 난청이 나타날 수 있다.
- 백모증: 앞머리만 희거나, 전체적으로 흰머리가 되는 경우가 있다.
- 눈구석격리증(내안각개리): 눈이 멀리 떨어진 얼굴형이며, 특히 1형에서 두드러진다. Waardenburg index가 1.95보다 크면 양성으로 간주한다.[65]
- 낮은 두발 저위: 두부의 발제선이 낮다.
- 눈썹붙음: 눈썹이 중앙까지 닿는다.
- 피부의 부분적인 백색증
- 팔의 이상 (3형)
- 거대결장증 (4형)
4. 1. 유형별 특징
바덴부르크 증후군은 유형에 따라 증상에 차이가 있으며, 같은 유형 환자 사이에서도 증상이 다를 수 있다. 모든 유형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두 가지 특징은 선천적인 감각신경성 난청과 눈의 색소 결핍이다.[2]- 1형 (WS1): 눈구석격리증(내안각이소증, 눈 안쪽 구석 사이 거리가 넓어짐), 높은 콧대, 넓은 코뿌리가 특징이다. 선천성 감각신경성 난청, 머리카락 색소 결핍 (예: 백모증, 조기 백발), 눈의 색소 결핍 (예: 홍채 이색증, 밝은 파란색 눈), 피부 탈색 반점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뭉툭한 코끝, 눈썹붙음, 작은 콧구멍, 매끄러운 인중이 동반될 수 있다.[3]
- 2형 (WS2): 1형과 달리 눈구석격리증이 없다. 감각신경성 난청이 더 흔하고 심각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4][5] ''MITF'' 유전자 돌연변이(제2A형)가 가장 흔하며, 이 유전자 돌연변이를 가진 두 사람(이형접합성) 사이에서 두 돌연변이를 모두 가진 자녀(동형접합성)가 태어날 확률은 25%이다. 이 경우 홍채결손, 소안구증, 골경화증, 거대두증, 백색증, 청각 장애 등의 추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4] ''SNAI2'' 유전자 돌연변이(제2D형)의 경우, 2형 증상은 나타나지만 모발 색소 결핍은 없다.[6] ''SOX10'' 유전자 돌연변이(제2E형)의 경우, 발달 지연, 눈떨림, 근육 긴장도 증가, 뇌 백질 이상, 저수초화, 자폐성 유사 행동, 내이 구조 발달 부진, 후각소실 등의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7]
- 3형 (WS3): 클라인-바덴부르크 증후군 또는 바덴부르크-클라인 증후군으로도 불린다. 1형과 증상이 동일하지만, 팔과 손에 추가적인 기형이 나타난다. 손가락 관절 구축증(만곡지증), 융합된 손가락(합지증), 익상견갑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소두증과 발달 지연이 동반될 수 있다.[8]
- 4형 (WS4): 샤-바덴부르크 증후군 또는 바덴부르크-샤 증후군으로도 불린다. 2형과 증상이 동일하지만, 히르쉬스프룽병(선천성 장 신경 결핍으로 인한 장 폐쇄증)이 추가로 나타난다.[9][10] 2형보다 청력 손실은 덜 흔하게 나타난다.[9] 드물게 구순열이 보고되기도 한다.[11] ''SOX10'' 유전자 돌연변이(제4C형)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청력 손실이 매우 흔하고 심각하다.[12]
- PCWH: *SOX10* 유전자 돌연변이와 관련된 유형으로, 2E형과 4C형 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즉, 말초 탈수초 신경병증, 중추 이수초성 백질이영양증, 바덴부르크 증후군, 히르쉬스프룽병이 모두 나타날 수 있다.[13][14]
바덴부르크 증후군은 이 외에도 다양한 선천성 장애(장, 척수 결함, 선천성 견갑골 고위, 구순구개열) 등을 동반할 수 있다.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66][65]
구분 | 기준 |
---|---|
주요 기준 (Major Criteria) | 다음 중 2개 이상 충족: |
부 기준 (Minor Criteria) | 다음 중 2개 이상 충족 (주요 기준 1개와 함께): |
위의 기준을 통해 1형(내안각격리), 2형(내안각격리 없음), 3형(상지 이상 동반), 4형(거대결장증 동반)으로 구분한다. 홍채 이색증 등이 의심되는 경우, 난청이나 거대결장증 유무를 정밀 검사하는 것이 좋다.
5. 진단
바덴부르크 증후군은 임상 증상, 가족력, 유전자 검사 등을 종합하여 진단한다.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66][65]
- 주 기준 2개 이상
- 주 기준 1개 + 부 기준 2개 이상
주 기준과 부 기준은 다음과 같다.
구분 | 내용 |
---|---|
주 기준 | |
부 기준 |
이상의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바덴부르크 증후군으로 진단할 수 있다.
바덴부르크 증후군은 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I형: 주 기준을 충족하며, 내안각개리가 있는 경우
- II형: 주 기준을 충족하며, 내안각개리가 없는 경우
- III형: I형의 증상에 상지 이상을 동반하는 경우
- IV형: 거대결장증을 동반하는 경우
홍채 이색증 등으로 바덴부르크 증후군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난청이나 거대결장증 등에 대한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 또한, 유전자 검사를 통해 확진 및 유형 분류가 가능하다. 바덴부르크 증후군은 다양한 다른 선천성 장애(장이나 척수의 결함, 선천성 견갑골고위, 구순구개열) 등을 동반할 수 있다.
6. 치료
현재 바덴부르크 증후군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법이나 완치법은 없다. 가장 흔히 나타나는 증상인 난청은 보청기나 인공와우 이식 등을 통해 치료한다.[1] 미용적인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이 증후군과 관련된 다른 이상(신경학적, 구조적, 히르슈슈프룽병)은 증상에 따라 치료한다.[1]
바덴부르크 증후군은 유전 질환이므로 유전자 치료가 필요하지만, 현재로서는 유전자 치료법이 존재하지 않는다.[1]
7. 역학
바덴부르크 증후군은 전 세계적으로 42,000명 중 1명꼴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27][30] 1형과 2형이 가장 흔하며, 1형이 약간 더 흔한 것으로 보인다.[28][29] 2015년 4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1형이 전체 사례의 약 절반(47%), 2형이 약 3분의 1(33%)을 차지했다.[30] 2형 사례의 대다수(약 85%)는 2A형이다.[30] 3형은 전체 사례의 2% 미만, 4형은 약 5분의 1(19%)을 차지한다.[33][30] 4형의 아형 중에서는 4C형이 약 71%로 가장 흔하고, 4A형(19%), 4B형(10%) 순이다.[30]
바덴부르크 증후군은 선천성 난청 환자의 2~5%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선천성 난청은 전체 난청의 약 절반을 차지한다.[30] 청각 장애 학교 학생의 약 30명 중 1명이 바덴부르크 증후군을 앓고 있다. 이 증후군의 증상이 매우 다양하여 정확한 유병률을 파악하기 어렵다.[30]
8. 사회와 문화
로빈 쿡의 2001년 소설 ''쇼크''와 킴벌리 맥크레이트의 2013년 소설 ''어밀리아 재구성''에는 바덴부르크 증후군을 가진 등장인물이 언급된다.[44][48] 피터 메이의 2006-2017년 소설 시리즈 ''엔조 파일스''의 주인공 엔조 맥클라우드는 이 증후군을 앓고 있는데, 그는 이색증(눈의 색깔이 서로 다름)과 백모증(머리카락에 흰색 줄)을 가지고 있다.[45][46] 2011년 ''본즈'' 시즌 6 에피소드 "침묵 속의 징후"에서는 팀이 바덴부르크 증후군을 앓고 있는 용의자를 찾아 사건을 해결해야 한다.[47] 카렌 로즈의 2014년 소설 ''네가 생각하는 것보다 가까이''에는 이 증후군을 가진 세 명의 형제가 등장한다.[49]
캐나다의 유튜버 스테프 산자티는 바덴부르크 증후군 1형을 앓고 있다.[50]
8. 1. 동물
바덴부르크 증후군은 사람 외 다른 동물에게도 나타나는데, 개, 플레크비 육우, 밍크, 쥐, 골든 햄스터 등에서 발견된다.[51] 특히, 이 증후군에서 나타나는 달팽이관과 구형낭의 퇴화는 귀가 안 들리는 흰 고양이, 달마시안 및 기타 개 품종, 흰 밍크, 쥐 등에서도 발견된다.[52]
파란 눈과 흰 털을 가진 고양이는 난청을 겪는 경우가 많다.[53] ASPCA의 ''고양이에 대한 완벽한 가이드''에 따르면, 파란 눈이 아닌 흰 고양이의 17~20%, 한쪽 눈이 파란색인 '오드아이' 흰 고양이의 40%, 파란 눈을 가진 흰 고양이의 65~85%가 난청을 겪는다.[54] 사람의 바덴부르크 증후군과 관련된 유전자와 연결하는 연구는 거의 없지만, 신경능선 발달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 변이는 고양이에게도 비슷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55] 고양이의 난청과 흰 털을 유발하는 유전자 중 하나인 ''KIT''[56]는 ''MITF''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7]
말의 경우, 치사성 백색 증후군은 ''EDNRB'' 유전자 두 쌍 모두에서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나타나며, 허쉬스프룽 병으로 인한 장의 가성 폐쇄로 이어진다. 그러나 바덴부르크 증후군 4A형과 같이 ''EDNRB'' 유전자 한 쌍에만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흰 반점 오베로 털과 난청을 유발한다.[58]
페럿의 경우, 바덴부르크 증후군을 앓는 개체는 머리 위나 뒤쪽에 작은 흰색 줄무늬( "블레이즈" 털 패턴)가 있거나, 코에서 어깨까지 완전히 흰색 머리( "판다" 털 패턴)를 가지는 경우가 있다. 이들은 건강한 페럿보다 약간 더 납작한 두개골과 더 넓은 간격을 둔 눈을 가질 수 있다. 건강한 페럿도 청력이 좋지 않아, 큰 소리에 반응하지 않는 것으로 난청을 감지할 수 있다. 이는 유전 질환이므로 영향을 받은 동물은 번식에 사용해서는 안 된다. 유럽 페럿의 털 변화와 난청 간의 상관 관계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모든(n=27) 판다, 아메리카 판다 및 블레이즈 페럿은 귀가 안 들립니다."[59] 장애로 인한 줄무늬를 일반적인 세이블 페럿보다 이국적이라고 생각하는 애완동물 가게나 브리더들이 장애가 있는 페럿을 선택하여 번식시키는 경우가 있어, 매장에서 판매되는 흰색 털이나 머리를 가진 페럿의 75%가 난청을 가지고 있다.[71]
참조
[1]
논문
A New Syndrome Combining Developmental Anomalies of the Eyelids, Eyebrows and Noseroot with Pigmentary Anomalies of the Iris and Head Hair and with Congenital Deafness; ''Dystopia canthi medialis et punctorum lacrimalium lateroversa, Hyperplasia supercilii medialis et radicis nasi, Heterochromia iridum totalis sive partialis, Albinismus circumscriptus (leucismus, poliosis) et Surditas congenita (surdimutitas)''
1951-09
[2]
웹사이트
Waardenburg syndrome {{!}} Genetic and Rare Diseases Information Center (GARD) – an NCATS Program
https://rarediseases[...]
2018-04-17
[3]
웹사이트
OMIM Entry - # 193500 - WAARDENBURG SYNDROME, TYPE 1; WS1
https://omim.org/ent[...]
2019-12-07
[4]
웹사이트
OMIM Entry - # 193510 - WAARDENBURG SYNDROME, TYPE 2A; WS2A
https://omim.org/ent[...]
2019-12-07
[5]
웹사이트
Waardenburg syndrome
http://ghr.nlm.nih.g[...]
2012-10
[6]
웹사이트
OMIM Entry - # 608890 - WAARDENBURG SYNDROME, TYPE 2D; WS2D
https://omim.org/ent[...]
2019-12-07
[7]
웹사이트
OMIM Entry - # 611584 - WAARDENBURG SYNDROME, TYPE 2E; WS2E
https://omim.org/ent[...]
2019-12-07
[8]
웹사이트
OMIM Entry - # 148820 - WAARDENBURG SYNDROME, TYPE 3; WS3
https://omim.org/ent[...]
2019-12-07
[9]
웹사이트
OMIM Entry - # 277580 - WAARDENBURG SYNDROME, TYPE 4A; WS4A
https://omim.org/ent[...]
2019-12-07
[10]
논문
Screening of MITF and SOX10 regulatory regions in Waardenburg syndrome type 2
2012
[11]
논문
A family with unusual Waardenburg syndrome type I (WSI), cleft lip (palate), and Hirschsprung disease is not linked to PAX 3
1995-03
[12]
웹사이트
OMIM Entry - # 613266 - WAARDENBURG SYNDROME, TYPE 4C; WS4C
https://omim.org/ent[...]
2019-12-07
[13]
웹사이트
Orphanet: Search a disease
https://www.orpha.ne[...]
2019-12-10
[14]
논문
Shah-Waardenburg syndrome and PCWH associated with SOX10 mutations: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2006-01
[15]
논문
Neural Crest Derivatives in Ocular Development: Discerning the Eye of the Storm
2015-06
[16]
웹사이트
Neural Crest Development - Embryology
https://embryology.m[...]
2019-12-13
[17]
논문
The master role o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in melanocyte and melanoma biology
2017-06
[18]
웹사이트
OMIM Entry - % 600193 - WAARDENBURG SYNDROME, TYPE 2B; WS2B
https://www.omim.org[...]
2019-12-23
[19]
논문
A locus for Waardenburg syndrome type II maps to chromosome 1p13.3-2.1
1994-09-01
[20]
웹사이트
OMIM Entry - % 606662 - WAARDENBURG SYNDROME, TYPE 2C; WS2C
https://omim.org/ent[...]
2019-12-07
[21]
논문
Cytogenetic mapping of a novel locus for type II Waardenburg syndrome
2002-01
[22]
논문
Deletion of the SLUG (SNAI2) gene results in human piebaldism
2003
[23]
논문
Waardenburg syndrome type 3 (Klein–Waardenburg syndrome) segregating with a heterozygous deletion in the paired box domain of PAX3: a simple variant or a true syndrome?
2001
[24]
웹사이트
OMIM Entry - # 613265 - WAARDENBURG SYNDROME, TYPE 4B; WS4B
https://omim.org/ent[...]
2019-12-07
[25]
논문
Double heterozygous mutations of MITF and PAX3 result in Waardenburg syndrome with increased penetrance in pigmentary defects
2013-01
[26]
논문
Isolation of two isoforms of the PAX3 gene transcripts and their tissue-specific alternative expression in human adult tissues
1994-03
[27]
논문
Review and update of mutations causing Waardenburg syndrome
2010
[28]
웹사이트
Orphanet: Waardenburg syndrome type 1
https://www.orpha.ne[...]
2019-12-10
[29]
웹사이트
Waardenburg syndrome type II
https://www.orpha.ne[...]
2019-12-10
[30]
논문
Hearing loss in Waardenburg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2016
[31]
논문
Biology of human melanocyte development, Piebaldism, and Waardenburg syndrome
2019
[32]
논문
Waardenburg syndrome: a rare cause of inherited neuropathy due to SOX10 mutation
2017
[33]
웹사이트
Orphanet: Waardenburg syndrome type 3
https://www.orpha.ne[...]
2019-12-10
[34]
논문
Waardenburg's syndrome
1966-01-01
[35]
논문
Historical background and evidence for dominant inheritance of the Klein-Waardenburg syndrome (type III)
1983-02
[36]
서적
Stedman's Medical Eponyms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
[37]
웹사이트
Over twee op elkaar gelijkende, in wezen echter verschillende aangeboren oogafwijkingen
https://www.ntvg.nl/[...]
2009-12-02
[38]
서적
Annuario del Ministero dell'Educazione nazionale
https://books.google[...]
Provveditorato generale dello Stato
1935
[39]
논문
Case of Waardenburg Shah syndrome in a family with review of literature
2018-09-01
[40]
논문
Genetic heterogeneity in the Waardenburg syndrome
1971-03
[41]
논문
A gene for Waardenburg syndrome type 2 maps close to the human homologue of the microphthalmia gene at chromosome 3p12-p14.1
1994-08
[42]
논문
Upper limb involvement in the Klein-Waardenburg syndrome
1982-04
[43]
논문
White forelock, pigmentary disorder of irides, and long segment Hirschsprung disease: Possible variant of Waardenburg syndrome
1981-09-01
[44]
서적
Shock
https://books.google[...]
Pan Macmillan
2011-12-12
[45]
서적
Extraordinary People: Enzo Macleod 1
https://books.google[...]
Quercus
2013-05-30
[46]
서적
Blacklight Blue: Enzo Macleod 3
https://books.google[...]
Quercus
2013-06-13
[47]
웹사이트
Bones Recap 6.21 "The Signs in the Silence" – Persephone Magazine
http://persephonemag[...]
2019-12-14
[48]
서적
Reconstructing Amelia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3-04-01
[49]
서적
Closer Than You Think (The Cincinnati Series Book 1)
https://books.google[...]
Headline
2014-11-06
[50]
뉴스
'I get you're transgender, but what's up with your face?'
https://www.bbc.com/[...]
2018-01-28
[51]
논문
Association of MITF gene with hearing and pigmentation phenotype in Hedlund white American mink (Neovison vison)
2014-08-01
[52]
논문
The Genetics of Deafness in Domestic Animals
2015
[53]
논문
Coat color and coat color pattern-related neurologic and neuro-ophthalmic diseases
2010-06
[54]
서적
ASPCA Complete Guide to Cats: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Choosing and Caring for Your Pet
https://books.google[...]
Chronicle Books
[55]
논문
The association of Waardenburg syndrome and Hirschsprung megacolon
1979
[56]
논문
Endogenous Retrovirus Insertion in the KIT Oncogene Determines White and White spotting in Domestic Cats
2014-10-01
[57]
논문
KIT signaling regulates MITF expression through miRNAs in normal and malignant mast cell proliferation
2011-03-31
[58]
논문
Evaluation of deafness in American Paint Horses by phenotype, brainstem auditory-evoked responses, and endothelin receptor B genotype
2009-11-15
[59]
논문
Prevalence of deafness and association with coat variations in client-owned ferrets
2014-05
[60]
논문
A new syndrome combining developmental anomalies of the eyelids, eyebrows and nose root with pigmentary defects of the iris and head hair and with congenital deafness
[61]
문서
Petrus Johannes Waardenburg
[62]
문서
Klein-Waardenburg syndrome
[63]
논문
Genetic heterogeneity in the Waardenburg syndrome
[64]
웹사이트
Survey Results – Cochlear Implant Use by Students in Schools for the Deaf Kristin Knifton, M.A., CCCA/SLP Texas School for the Dea
http://clerccenter.g[...]
Laurent Clerk National Deaf Education Center
2010-10-31
[65]
논문
Case of Waardenburg Shah syndrome in a family with review of literature
https://www.ncbi.nlm[...]
2018-09
[66]
논문
Waardenburg syndrome (WS) type I is caused by defects at multiple loci, one of which is near ALPP on chromosome 2: first report of the WS consortium
https://www.ncbi.nlm[...]
1992-05
[67]
논문
White forelock, pigmentary disorder of irides, and long segment Hirschsprung disease: possible variant of Waardenburg syndrome
https://www.ncbi.nlm[...]
1981-09
[68]
논문
Novel nonsense mutation of the endothelin-B receptor gene in a family with Waardenburg-Hirschsprung disease
https://www.ncbi.nlm[...]
1999-11-05
[69]
논문
Hirschsprung disease in an infant with a contiguous gene syndrome of chromosome 13
https://www.ncbi.nlm[...]
2001-08-15
[70]
논문
Clinical variability of Waardenburg-Shah syndrome in patients with proximal 13q deletion syndrome including the endothelin-B receptor locus
https://www.ncbi.nlm[...]
2009-10
[71]
웹사이트
Deafness in Ferrets
http://www.cypressk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