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르털 레인더르트 판데르바르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르털 레인더르트 판데르바르던은 네덜란드 출신의 수학자이자 과학사학자이다. 추상대수학 연구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현대 대수학》을 저술하여 이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대수기하학, 위상수학, 정수론, 기하학, 조합론, 해석학, 확률, 통계학, 양자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연구를 수행했으며, 만년에는 수학사와 과학사 연구에 몰두했다. 주요 저서로는 《깨어나는 과학》, 《양자역학의 근원》, 《고대 문명의 기하학과 대수학》, 《대수학의 역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합론자 - 프랭크 램지
프랭크 램지는 1903년 케임브리지에서 태어나 《논리철학 논고》 번역에 참여하고 램지 정리를 증명했으며, 경제학 연구를 수행하다 26세에 사망한 영국의 철학자, 수학자, 경제학자이다. - 조합론자 - 존 호턴 콘웨이
영국의 수학자 존 호턴 콘웨이는 조합 게임 이론, 유한군, 매듭 이론, 정수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고 특히 라이프 게임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와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마틴 가드너와의 협업을 통해 대중들에게 수학의 즐거움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 - 네덜란드의 수학자 -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크리스티안 하위헌스는 네덜란드의 과학자로서 진자시계와 밸런스 스프링 시계를 발명하고 토성의 위성 타이탄을 발견했으며 빛의 파동설을 제시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업적을 남겼다. - 네덜란드의 수학자 -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
네덜란드 출신의 컴퓨터 과학자이자 수학자인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는 데이크스트라 알고리즘 개발, 구조적 프로그래밍 옹호, 세마포어 개념 연구, THE 운영체제 개발 참여 등 컴퓨터 과학의 다양한 분야에 큰 공헌을 했다. - 암스테르담 대학교 동문 - 프리츠 제르니커
프리츠 제르니커는 위상차 현미경 발명 및 제르니커 다항식 개발을 통해 광학 분야에 기여하여 195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네덜란드 물리학자이다. - 암스테르담 대학교 동문 - 안톤 판네쿡
네덜란드 천문학자이자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인 안톤 판네쿡은 은하수 구조 및 항성 분포 연구에 기여하고 천문학사를 저술했으며, 평의회 공산주의 이론을 발전시켜 사회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바르털 레인더르트 판데르바르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바르털 레인더르트 판데르바르던 |
로마자 표기 | Bartel Leendert van der Waerden |
출생 | 1903년 2월 2일 |
출생지 | 암스테르담, 네덜란드 |
사망 | 1996년 1월 12일 |
사망지 | 취리히, 스위스 |
국적 | 네덜란드 |
학문 분야 | |
분야 | 수학 |
모교 | 암스테르담 대학교 |
박사 지도교수 | 헨드릭 더프리스 |
박사 학위 취득 학교 | 괴팅겐 대학교 |
주요 제자 | 저우웨이량 다비트 판 단치흐 얀 판 뎀터르 귄터 프라이 게리노 마촐라 헤르베르트 자이페르트 |
직장 | 라이프치히 대학교 취리히 대학교 흐로닝언 대학교 |
업적 | |
주요 업적 | 판 데르 바르던 표기법 판 데르 바르던 수 판 데르 바르던 정리 판 데르 바르던 검정 판 데르 바르던의 추측 판 데르 바르던 기호 판 데르 바르던 게임 |
2. 생애
바르털 레인더르트 판데르바르던은 1903년 2월 2일 암스테르담에서 태어났다. 1919년부터 암스테르담 대학교와 괴팅겐 대학교에서 수학을 공부했으며, 독일 괴팅겐에서 에미 뇌터에게 큰 영향을 받았다. 1926년 헨드릭 데 브리스의 지도 아래 대수기하학에 관한 논문으로 암스테르담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1] 1928년 괴팅겐 대학교에서 교수 자격을 얻었고, 같은 해 흐로닝언 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1929년 7월에는 수학자 프란츠 렐리히의 여동생 카밀라 율리아나 안나와 결혼하여 세 자녀를 두었다. 1931년 라이프치히 대학교 교수로 임명되었다.
나치가 권력을 장악하고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 후에도 판데르바르던은 라이프치히에 머물렀다. 프린스턴과 위트레흐트로 갈 기회를 포기했지만, 나치에 비판적이었고 네덜란드 국적을 포기하지 않아 어려움을 겪었다.[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네덜란드로 귀국했으나, 독일에 머물렀던 이력 때문에 정치적 성향에 대한 의혹을 받았고, 브라우어르가 힐베르트 수학 학파에 반대했기 때문에 네덜란드 학계에서 자리를 잡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3]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서 1년 동안 방문 교수로, 2년 동안 시간제 교수로 재직한 후, 1950년 암스테르담 대학교 수학과 교수로 임명되었다.[3] 1951년 취리히 대학교로 옮겨 그곳에서 남은 경력을 보냈으며, 40명 이상의 박사 학생을 지도했다.
1949년 네덜란드 왕립 학술원 회원이 되었고, 1951년에는 외국인 회원으로 변경되었다.[4] 1969년 코테니우스 메달을 수상했다. 1973년에는 ''푸르 르 메리트'' 훈장을 받았다.[5]
2. 1. 교육 및 초기 경력 (1919-1931)
반데르바르던은 1919년부터 1926년까지 암스테르담 대학교와 괴팅겐 대학교에서 수학을 공부했다. 독일 괴팅겐에서 에미 뇌터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1926년 헨드릭 데 브리스의 지도하에 대수기하학에 관한 논문으로 암스테르담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1] 1928년 괴팅겐 대학교에서 교수 자격을 얻었으며, 같은 해 흐로닝언 대학교 교수가 되었다.1929년 7월, 수학자 프란츠 렐리히의 여동생 카밀라 율리아나 안나와 결혼하여 세 자녀를 두었다.
1931년 라이프치히 대학교 교수로 임명되었다.
2. 2. 나치 독일 시기 (1931-1945)
나치가 권력을 장악한 후 및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판데르바르던은 라이프치히에 머물렀다. 프린스턴과 위트레흐트로 갈 기회를 포기했지만, 나치에 비판적이었고 네덜란드 국적을 포기하지 않아 어려움을 겪었다.[2]2. 3. 전후 경력 (1945-1996)
판데르바르던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라이프치히 (당시 소련 통치 하)로 돌아가는 대신 네덜란드로 귀국했다. 그러나 독일에 머물렀던 이력으로 인해 정치적 성향에 대한 의혹을 받았고, 브라우어르가 힐베르트 수학 학파에 반대했기 때문에 네덜란드 학계에서 자리를 잡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3]존스 홉킨스 대학교에서 1년 동안 방문 교수로, 2년 동안 시간제 교수로 재직한 후, 1950년 판데르바르던은 암스테르담 대학교 수학과 교수로 임명되었다.[3] 1951년 그는 취리히 대학교로 옮겨 그곳에서 남은 경력을 보냈으며, 40명 이상의 박사 학생을 지도했다.
1949년 판데르바르던은 네덜란드 왕립 학술원 회원이 되었고, 1951년에는 외국인 회원으로 변경되었다.[4] 1969년 코테니우스 메달을 수상했다. 1973년에는 ''푸르 르 메리트'' 훈장을 받았다.[5]
3. 학문적 업적
반 데르 바르던은 추상대수학 연구로 유명하며, 대수기하학, 위상수학, 정수론, 기하학, 조합론, 해석학, 확률과 통계학, 양자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 기여했다. 만년에는 수학사와 과학사 연구에 매진했다. 1000명이 넘는 학문적 후손을 두었으며, 그 대부분은 데이비드 판 단치히, 헤르베르트 자이페르트, 한스 리히터 세 제자를 통해 배출되었다.[1] 일본에서는 그의 저서 '현대대수학'이 많이 읽히고 있다.[10]
3. 1. 주요 연구 분야
반 데르 바르던은 주로 추상대수학 연구로 기억된다.[11][12] 그는 대수기하학, 위상수학, 정수론, 기하학, 조합론, 해석학, 확률과 통계학, 양자역학에 관해서도 저술했다(그는 하이젠베르크와 라이프치히에서 동료였다).[1] 만년에는 수학사와 과학사로 관심을 돌렸다.[1] 그의 역사적 저술에는 『깨어나는 과학』(1950, 영어: ''Science Awakening'', 1954),[6] 『양자역학의 근원』(1967),[7] 『고대 문명의 기하학과 대수학』(1983), 『대수학의 역사』(1985)가 있다.[8]3. 2. 수학사 및 과학사 연구
반 데르 바르던은 만년에 수학사와 과학사에 관심을 가졌다. 그의 역사 관련 저서로는 《깨어나는 과학》(1950, 영어: 《Science Awakening》, 1954) [6], 《양자역학의 근원》(1967)[7], 《고대 문명의 기하학과 대수학》(1983), 《대수학의 역사》(1985)가 있다.[8]3. 3. 학문적 계보
반 데르 바르던은 1000명 이상의 학문적 후손을 두고 있다.[1] 이들 대부분은 그의 세 제자인 데이비드 판 단치히 (1931년 흐로닝언 박사), 헤르베르트 자이페르트 (1932년 라이프치히 박사), 한스 리히터 (1936년 라이프치히 박사, 파울 쾨베와 공동 지도)를 통해서 나왔다.[1][9]4. 저서
반 데르 바르던은 주로 추상대수학 연구로 알려져 있다. 그는 대수기하학, 위상수학, 정수론, 기하학, 조합론, 해석학, 확률과 통계학, 그리고 양자역학에 관한 저술도 남겼다(그는 하이젠베르크와 라이프치히에서 동료였다). 만년에는 수학사와 과학사로 관심을 돌렸다.[9]
그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현대 대수학》(Modern Algebra)[11][12]
- ''Ontwakende wetenschap'' (1950) (영어: ''Science Awakening'' (1954))[6]
- ''Sources of Quantum Mechanics'' (1967)[7]
- ''Geometry and Algebra in Ancient Civilizations'' (1983)[8]
- ''A History of Algebra'' (1985)[8]
일본에서는 '현대대수학'이 많이 읽히고 있다.[10]
참조
[1]
MathGenealogy
[2]
서적
Soifer
[3]
서적
Soifer
[4]
웹사이트
Bartel Leendert van der Waerden (1903–1996)
https://www.dwc.knaw[...]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20-06-08
[5]
웹사이트
Bartel Leendert van der Waerden
Orden Pour le Mérite
[6]
논문
Review of ''Science Awakening'' by B. L. Van der Waerden, translated by Arnold Dresden
1955-12
[7]
논문
Review of ''Sources of Quantum Mechanics'' edited with a 59-page historical introduction by B. L. van der Waerden
[8]
논문
A History of Algebra . By B. L. van der Waerden
1988
[9]
MathGenealogy
[10]
웹사이트
ファン・デル・ヴェルデン現代代数学1
http://tokyo-tosho.c[...]
tokyo-tosho.co.jp
2020-12-05
[11]
서적
Modern Algebar
Springer, Berlin
1930
[12]
간행물
수학적 구조와 격자론
http://www.koreasci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