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르톨로메오 달비아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르톨로메오 달비아노는 15세기 말에서 16세기 초 이탈리아에서 활동한 콘도티에로(용병대장)이다. 그는 교황청, 에스파냐, 베네치아 등 다양한 세력에 고용되어 군사적 활동을 펼쳤으며, 가릴리아노 전투, 아냐델로 전투, 마리냐노 전투 등 주요 전투에 참여했다. 특히 가릴리아노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상대로 승리하는 데 기여했고, 1507년에는 고리치아와 트리에스테를 정복하기도 했다. 1509년 아냐델로 전투에서 프랑스군에 포로로 잡혔다가 석방된 후 프랑스 편에서 싸우기도 했다. 1515년 브레시아 공성전 중 사망했으며, 베네치아의 산토 스테파노 성당에 안장되었다. 그는 또한 비디오 게임 어쌔신 크리드 시리즈에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테르니도 출신 - 안니발레 부니니
이탈리아 로마 가톨릭교회 성직자인 안니발레 부니니는 선교 사제회 소속으로 전례학 교수와 교황청 관료를 지내며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전례 개혁을 주도했고, 대주교 서임 후 이란 주재 교황 대사를 역임했으며, 말년에는 프리메이슨 연루 의혹에 휘말렸다. - 이탈리아 전쟁 관련자 - 미켈레 안토니오 디 살루초 후작
- 이탈리아 전쟁 관련자 - 가스통 드 푸아느무르 공작
프랑스의 귀족이자 군인이었던 가스통 드 푸아는 푸아 백작 가문 출신으로, 캉브레 동맹 전쟁에서 프랑스군 총사령관으로서 뛰어난 군사적 재능을 보였으나 라벤나 전투에서 전사하여 이탈리아 전쟁의 판도에 영향을 미쳤다. - 1515년 사망 - 장경왕후 (조선)
조선 중종의 계비인 장경왕후 윤씨는 파평 윤씨, 순천 박씨 가문 출신으로 중종의 후궁이 되었다가 단경왕후 폐출 후 왕비가 되었으며, 효혜공주와 인종을 낳았으나 산후병으로 젊은 나이에 사망하여 조선 왕실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515년 사망 - 채수
채수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작가로, 문과 급제 후 여러 관직을 역임하고 폐비 윤씨의 휼양을 청하다 파직되었으나, 중종반정 가담 후 벼슬을 버리고 은거하며 《설공찬전》과 《나재집》 등의 저서를 남겼고, 사후 임호서원이 건립되고 신도비가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바르톨로메오 달비아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직함 | 알비아노 백작 |
| 작위 시작 | 1495년 |
| 작위 종료 | 1515년 |
| 이전 | 프란체스코 달비아노 |
| 계승 | 리비오 달비아노 |
| 직함 | 포르데노네 영주 |
| 영지 시작 | 1508년 |
| 영지 종료 | 1515년 |
| 계승 | 리비오 달비아노 |
| 출생일 | 대략 1455년 |
| 출생지 | 토디, 교황령 |
| 사망일 | 1515년 10월 7일 |
| 사망지 | 게디, 베네치아 공화국 |
| 안장지 | 베네치아 산토 스테파노 교회 |
| 소속 | [[File:Flag of the Papal States (pre 1808).svg|15px]] 교황령 [[File:Blason Royaume d'Aragon ancien.svg|15px]] 아라곤 왕국 [[File:Coat of Arms of the Republic of Venice.svg|15px]] 베네치아 공화국 |
| 군사 분야 | 용병 |
| 복무 기간 | 1496년–1515년 |
| 계급 | 콘도티에로 |
| 주요 전투 | 1499-1504년 이탈리아 전쟁 가릴리아노 전투 캄브라이 동맹 전쟁 카도레 전투 산 빈첸초 전투 아냐델로 전투 라 모타 전투 마리냐노 전투 브레시아 전투 |
| 아버지 | 프란체스코 달비아노 |
| 어머니 | 이사벨라 데글리 아티 |
| 배우자 | 바르톨로메아 오르시니 판타실레아 발리오니 |
| 자녀 | 마르코, 리비오, 루크레치아, 이사벨라, 포르치아 |
2. 생애
바르톨로메오 달비아노는 이탈리아의 저명한 콘도티에로(용병대장) 중 한 명으로, 그의 생애는 이탈리아 전쟁 시기의 복잡한 정치 및 군사 상황 속에서 펼쳐졌다. 토디[6]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난 그는 어린 시절부터 군사 활동에 참여하여 교황청과 오르시니 가문을 위해 싸웠다.
1503년에는 에스파냐의 페르난도 2세에게 고용되어 가릴리아노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상대로 승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후 1505년[8](또는 1506년)부터는 베네치아 공화국에 고용되어 사망할 때까지 복무했다. 베네치아 소속으로 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의 군대를 여러 차례 격파하고 고리치아, 트리에스테, 포르데노네 등을 정복하는 큰 공을 세웠으며, 포르데노네의 영주권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1509년 아냐델로 전투에서는 큰 패배를 겪고 프랑스군의 포로가 되었다. 1513년 석방된 후 다시 베네치아 군대의 총사령관으로 복귀하여 라 모타 전투 등 여러 전투에 참여했다. 특히 1515년 마리냐노 전투에서는 프랑스군의 승리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같은 해 베르가모를 정복한 후 브레시아 공성전 중에 사망했으며,[1][2] 베네치아의 산토 스테파노 성당에 묻혔다.
2. 1. 초기 생애와 가문
바르톨로메오 달비아노는 토디[6]에서 귀족 가문인 프란체스코 달비아노와 이사벨라 델리 아티(Isabella degli Atti)[7]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생애 초기부터 교황청 측에서 이탈리아 중부에서 싸웠으며, 1496년에는 오르시니 가문 편에 서서 교황 알렉산데르 6세와 콜론나 가문에 맞서 싸웠다.1497년 5월, 바르톨로메오는 토디에서 구엘프 파를 지지하며 기벨린 파에 대한 학살을 주도했다. 다음 해인 1498년부터는 베네치아의 용병으로 활동하다가, 1503년에 다시 오르시니 가문에 합류했다.
2. 2. 스페인과 베네치아에서의 복무
1503년, 에스파냐의 페르난도 2세에게 고용되어, 프랑스군을 상대로 한 가릴리아노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여 승리에 기여했다. 이 전투는 이탈리아 남부에 대한 스페인의 지배가 시작되는 계기가 되었다.1505년[8] 또는 1506년, 달비아노는 베네치아 공화국으로 돌아와 사망할 때까지 복무했다. 처음에는 연봉 금화 150 파운드를 받으며 공화국 기병대 대장을 맡기로 약속되었다.[8] 1507년부터는 니콜로 오르시니와 함께 베네치아 공화국을 위해 일했다.
이듬해인 1508년, 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가 이끄는 제국군을 마우리아(Mauria), 카도레(1508년 3월 2일), 폰테바 등지에서 격파했다. 이 승리로 고리치아와 트리에스테를 정복했다. 같은 해 포르데노네 역시 함락시켰고, 베네치아 공화국은 그 공로를 인정하여 달비아노에게 포르데노네의 통치권을 부여했다. 이후 달비아노 가문은 1539년까지 이곳을 다스렸다.
2. 3. 아냐델로 전투와 포로 생활
1509년, 파도바에 새로운 도시 성벽 건설을 시작하던 해에, 바르톨로메오 달비아노는 아냐델로 전투에서 베네치아 군대의 선봉대를 지휘했다. 그러나 이 전투에서 그는 큰 부상을 입고 완패를 당하였다. 패배의 원인으로는 베네치아 군대의 공동 지휘관이었던 니콜로 디 피티글리아노(니콜로 오르시니)와의 불화가 지적된다. 일부 기록에 따르면 피티글리아노가 달비아노 부대에 대한 지원을 거부했다고 하며, 다른 기록에서는 달비아노가 피티글리아노의 허락 없이 독단적으로 적을 공격하여 패배를 자초했다고도 전해진다.전투에서의 패배로 달비아노는 프랑스군에게 포로로 잡혔고, 1513년까지 포로 생활을 해야 했다. 그의 석방은 프랑스와 베네치아 공화국이 밀라노 공국에 대항하기 위한 동맹을 결성하면서 이루어졌다. 석방된 후 달비아노는 베네치아 군대의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2. 4. 석방 이후의 활동과 죽음
1513년, 밀라노 공국에 대항하는 프랑스와 베네치아 간의 동맹이 형성되면서 포로 생활에서 풀려났다. 석방 후 그는 베네치아 군대의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어 프랑스 지휘관 루이 드 라 트레무아유 휘하에서 싸웠다. 그러나 같은 해 10월 7일에 벌어진 라 모타 전투(비첸차 전투)에서는 나폴리 부왕 라몬 데 카르도나와 페스카라 후작 페르난도 다발로스가 이끄는 에스파냐군에게 패배하였다.이후 달비아노는 당시 합스부르크 가문에게 넘어갔던 포르데노네를 다시 정복하고 약탈하였다. 1513년부터 1514년까지 캉브레 동맹 전쟁 기간 동안 베네치아를 위해 프리울리 지역을 점령하는 데 기여했다.
1515년 9월 마리냐노 전투에서는 프랑스의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는 300명의 기사단만으로 스위스 용병 부대를 공격하여 승리에 기여했다. 이후 베르가모를 정복하기도 하였으나,[1] 같은 해 10월 브레시아를 포위 공격하던 중에 사망하였다.[2]
그의 유해는 베네치아의 산토 스테파노 성당에 안치되었다.
3. 혼인 관계
1497년에 바르톨로메아 오르시니와 결혼했다. 얼마 후 잔 파올로 바글리오니의 누이인 판타실레아 바글리오니와 다시 결혼했다. 판타실레아는 그의 자녀들과 함께 토디 요새에 갇혔으나, 교황과 발렌티누아 공작의 명령으로 석방되었다.[4]
4. 대중 문화에서의 등장
바르톨로메오 달비아노는 비디오 게임 어쌔신 크리드 II, 어쌔신 크리드: 프로젝트 레거시, 어쌔신 크리드: 브라더후드에서 암살단의 일원으로 등장한다.[5] 그의 두 번째 부인 판타실레아 바글리오니 역시 어쌔신 크리드: 브라더후드에서 암살단원으로 등장한다.
참조
[1]
서적
The Art Quarterly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
서적
The Complete Essays
https://books.google[...]
Penguin UK
2004-03-25
[3]
간행물
Bartolomeo d'Alviano e Orsina Orsini: un ignoto contratto matrimoniale come suggello tra famiglie di condottieri
https://rua.ua.es/ds[...]
Universidad de Alicante
2023-10-07
[4]
서적
A Concise Anglo-Saxon Dictiona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84-01-01
[5]
웹사이트
Recensione Assassin's Creed Brotherhood
https://www.everyeye[...]
2018-10-01
[6]
웹인용
Comune d'Alviano
http://www.comunedia[...]
2016-06-06
[7]
문서
델리 아티 가문은 토디의 군주였다.
[8]
문서
Pietro Bemb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