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스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스톨은 오라력이 낮은 사람도 조종할 수 있도록 개발된 오라 배틀러로, 기동성을 중시하여 설계되었으며 기체색은 로즈 핑크이다. 드레이크 군의 시험 제작기로, 오라 증폭 장치를 실험적으로 장비하여 오라력이 낮은 코몬도 탑승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주요 탑승자는 가랄리아 냠히이며, 오라 소드, 와이어 클로, 5연장 미사일 런처를 무장으로 사용한다. 바스톨은 단바인과의 전투 중 지상으로 나오기도 했으며, 이후 기술은 비란비 등 선행 기종에도 피드백되어 코몬이 탑승하는 오라 머신의 증가에 기여했다. 파생 기체로 스컬마가 있다.
바스톨은 오라력이 낮은 사람도 조종 가능한 오라 배틀러를 목표로 개발되었다. 기동력을 중시하여 설계되었으며, 기체색은 로즈 핑크이다. 단바인과의 전투 중 오라력이 서로 간섭하여 지상에 처음으로 나오게 된 오라 머신이다. 그러나 바이스톤 웰로 돌아가려 할 때 강대한 오라력을 견디지 못하고 자괴하였다.
오모리 히데토시가 디자인 원안을 담당했으며, 작화용 설정화에는 "갈라리아 전용 오라 배틀러"라고 기재되어 있다.[1] 게임 "성전사 단바인 성전사 전설"에서는 리 나라 사양의 푸른 바스톨이 등장한다.
스컬마는 B-CLUB 잡지의 기획 "AURA FHANTASM"에서 설정된 오라 배틀러이다. 아의 나라에서 실전 배치된 오라 배틀러 중 가장 배치 수가 적은 기체이다.
2. 기체 해설
주된 탑승자는 가랄리아 냠히였으며, 제트 라이트도 탑승했다.
2. 1. 개발 배경
최초로 오라 증폭기를 탑재한 비란비는 조종자를 가리는 기체였다. 이러한 상황 때문에 바스톨은 오라력이 낮은 코몬이라도 무리 없이 탑승할 수 있도록 신형 오라 증폭 장치를 실험적으로 장비한 드레이크 군의 시험 제작기였다. 필요 오라력은 6으로, 오라 소비율이 낮아 수송용 윙 캘리버가 필요 없을 만큼 순항 성능이 높았다.
제트 라이트가 제작하여 가랄리아 냠히에게 주었다. 이는 오라력이 낮아 오라 배틀러에 탈 수 없었던 제트가 쇼트 웨폰의 그늘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신을 위해 제작했다는 뒷이야기가 있다. (하지만 제트는 오라 로드를 넘어 소환된 지상인이었고, 나중에 부부리이도 조종했기에 오라력이 낮다는 설에는 의문이 있다.)
2. 2. 기체 특징
오라 머신 바스톨은 기동력을 중시해서 설계되었으며, 기체색은 로즈 핑크이다. 단바인과의 싸움 중에 오라력이 서로 간섭해 지상에 처음으로 나가버렸지만, 단바인과 협력해서 바이스톤 웰에 되돌아가려고 했을 때 강대한 오라력을 견뎌낼 수 없어 자괴했다.
비란비는 처음으로 오라 증폭기를 장비했지만, 아직 탑승자를 가리는 기체였다. 이러한 상황 때문에 바스톨은 오라력이 낮은 사람이라도 무리 없이 탑승할 수 있도록 신형 오라 증폭 장치를 실험적으로 장비한 드레이크 군의 시험 제작기이다. 필요 오라력은 6으로, 오라 소비율이 낮아 수송용 윙 캘리버가 필요 없을 만큼 순항 성능이 높다. 전고는 9.4m로 극중에 등장하는 모든 오라 배틀러 중 최대이지만 호리호리한 폼 때문에 중량은 빌바인보다 2.4ton이나 가볍고, 이 점 또한 높은 기동성·민첩성을 자랑하는 기체가 되었다. 또한 조종자의 능력에 따라 기체를 튜닝할 수 있다는 다른 기종에서는 볼 수 없는 특징도 함께 가지고 있었다. 머리 부분은 촉각이나 겹눈 등 곤충류를 연상시키는 형태를 하고 있다.
무장은 오라 소드 1개, 팔 부분에 사출식 와이어 클로 1기, 휴대 화기로서 색은 다르지만 비란비와 같은 모양의 5연장 오라 런처(미사일 런처) 1기를 갖추고 있다.
2. 3. 무장
바스톨의 주요 무장은 다음과 같다.2. 4. 극중 활약
가랄리아 냠히는 잦은 실패와 번 바닝스에 대한 라이벌 의식으로 자신의 오라 배틀러를 강하게 원했고, 이에 따라 바스톨은 사실상 그녀의 전용기로 주어졌다. 가랄리아는 엘프 성 공략전 때 "바라우로 운반되는 비란비와는 다르다"라며 바스톨의 뛰어난 성능에 만족했다. 바스톨의 신형 오라 증폭기는 예상을 뛰어넘는 성능을 발휘하여, 전투 시 가랄리아의 오라력은 이전보다 훨씬 높아졌다.
쇼우 자마의 단바인과의 전투에서는 증대된 양측의 오라력이 격렬하게 부딪혀 "오라 로드"가 열리고, 두 기체는 지상으로 나오게 되었다. 이로써 바스톨은 단바인과 함께 지상에 처음으로 출현한 오라 배틀러가 되었다. 이후, 가랄리아는 다시 바이스톤 웰로 귀환을 시도하기 위해 쇼우 자마와 협력하여 다시 한번 "오라 로드"를 열려고 했으나, 그 과정에서 기체가 한계를 넘어 자괴하며 폭발했고, 가랄리아도 사망했다.
이후 바스톨은 소수 양산되어, 제작자인 제트 라이트 등이 탑승하여 흑기사 구출 작전 등에 투입되었다.
3. 기타 설정
2021년 네토라보 조사대가 2021년 11월 16일부터 11월 23일까지 "성전사 단바인 TV판 오라 배틀러 중 어떤 것을 좋아하십니까?"라는 주제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바스톨은 "오라 배틀러 인기 랭킹"에서 8위를 차지했다.[1]
4. 스컬마 (파생 기체)
4. 1. 특징
기동성을 중시하여 기체 중량을 가볍게 하기 위해 장갑에 강수 뼈(내부가 비어 있으며, 매우 가볍다)를 사용하고 있다. 군의 선봉을 맡는 정찰에 사용된 것으로 추측되지만, 확실하지 않다. 컨버터에는 본래의 팔 이외에 팔 2개가 장비되어 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