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퇴진 운동의 참여 인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근혜 대통령 퇴진 운동의 참여 인원은 2016년 10월 29일부터 2017년 4월 29일까지 총 23차례에 걸쳐 진행된 범국민행동 집회의 참여 인원을 다룬다. 1차부터 20차 집회까지 평균 83만 명이 참여했으며, 6차 집회에서는 주최 측 추산 232만 명, 경찰 추산 42만 명이 참가했다. 집회 참여 인원은 주최 측과 경찰의 추산 방식 차이로 논란이 있었으며, 경찰은 2017년 1월 7일 집회 이후 집계 발표를 중단했다.
범국민행동은 2016년 10월 29일 1차 범국민행동을 시작으로 2017년 4월 29일 23차 집회까지 진행되었다. 범국민행동은 주로 매주 토요일에 진행되었으나, 2017년 1월 28일에는 설날 연휴로 시위를 하지 않고 합동 차례상으로 대신하였다. 또, 2017년 3월 1일에는 삼일절을 맞이하여 토요일이 아닌 수요일에 18차 범국민행동이 진행되었다. 2016년 11월 30일에 진행된 총파업은 토요일 촛불집회의 성격을 띄지는 않지만 범국민행동의 일부로서 통계에 집계되는 경우가 많다.
2. 참여 인원
1차 집회부터 20차 집회까지 매회 평균 83만 명이 참여하였으며, 그 중에서 가장 규모가 컸던 촛불집회는 탄핵 소추를 앞두고 진행된 12월 3일의 6차 촛불집회로 주최측 추산 232만 명, 경찰 추산 42만 명이 참가하였다.[1] 100만 명 이상의 참여자를 기록한 것은 총 일곱 번으로, 11월 12일 3차 촛불집회에서 처음으로 100만 명을 기록한 뒤 11월 26일 5차 촛불집회 190만 명, 12월 3일 6차 촛불집회 232만 명, 12월 10일 7차 촛불집회 104만 명, 그리고 이듬해 탄핵심판 선고일 전 두 차례의 집회에서 각각 108만 명과 105만 명이 참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1]rowspan="2" style="width: 10em;" class="unsortable" | 날짜 시위대 대한민국 정부 출처 경찰 추산 주최측 추산 경찰 인원 1차 범국민행동 2016년 10월 29일 12,000 50,000 4,800 [2] 2차 범국민행동 2016년 11월 5일 48,000 300,000 17,600 [3][4] 3차 범국민행동 2016년 11월 12일 269,000 1,060,000 25,000 [5][6] 4차 범국민행동 2016년 11월 19일 275,000 960,000 20,000 [7][8] 5차 범국민행동 2016년 11월 26일 330,000 1,900,000 25,000 [9] 1차 총파업 2016년 11월 30일 8,000 60,000 8,000 [10][11][12] 6차 범국민행동 2016년 12월 3일 429,000 2,320,000 30,000 [13][14][15] 7차 범국민행동 2016년 12월 10일 166,000 1,043,400 18,200 [16][17][18] 8차 범국민행동 2016년 12월 17일 77,000 771,750 18,240 [19][20] 9차 범국민행동 2016년 12월 24일 53,000 702,000 14,700 [21][22] 10차 범국민행동 2016년 12월 31일 83,000 1,104,000 18,400 [23][24] 11차 범국민행동 2017년 1월 7일 38,000 643,380 15,920 [25][26] 12차 범국민행동 2017년 1월 14일 ― 146,700 14,700 [27][28] 13차 범국민행동 2017년 1월 21일 ― 353,400 15,500 [29][30] 14차 범국민행동 2017년 2월 4일 ― 425,500 14,600 [31][32] 15차 범국민행동 2017년 2월 10일 ~ 11일 ― 806,270 16,000 [33][34] 16차 범국민행동 2017년 2월 18일 ― 844,860 15,200 [35][36] 17차 범국민행동 2017년 2월 24일 ~ 25일 ― 1,078,130 17,000 [37][38] 18차 범국민행동 2017년 3월 1일 ㅡ 300,000 16,000 [39][40] 19차 범국민행동 2017년 3월 4일 ㅡ 1,050,890 15,900 [41][42] 20차 범국민행동 2017년 3월 9일 ~ 11일 ㅡ 720,000 38,100 [43][44][45][46] 21차 범국민행동 2017년 3월 25일 ㅡ 102,400 12,300 [47] 22차 범국민행동 2017년 4월 15일 ㅡ 109,600 ㅡ 23차 범국민행동 2017년 4월 29일 ㅡ 50,000 ㅡ 누적인원 1,773,000 16,894,280 391,160 ―
범국민행동 초반에는 경찰과 주최 측의 추산 참가인원수 집계 결과가 큰 차이를 보여 논란이 되었다. 가장 큰 차이를 보였던 집회는 2017년 1월 7일에 열린 11차 촛불집회로, 주최 측은 64만 명, 경찰은 38,000명으로 추산하여 17배의 차이가 났다.[48]
이러한 차이는 경찰과 주최 측의 참여인원 추산 방식이 달랐기 때문이다. 경찰은 페르미 추정법을 사용하여 특정 시점에 모인 최대 인원을 추산하는 반면,[49] 주최 측은 연인원을 기준으로 집계했다.[48]
집산 방식의 차이로 인한 문제는 탄핵 반대 운동이 본격화된 이후 형평성 논란으로 이어졌다. 1월 7일 경찰은 범국민행동 주최 집회 참가인원은 24,000명, 대통령 탄핵 기각을 위한 국민총궐기운동본부 주최 집회 참가인원은 37,000명이라고 발표했으나,[48] 박남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확인한 결과 당일 배치된 경찰 병력은 퇴진반대 집회보다 퇴진 집회의 병력이 12배 더 많았다.[48] 이러한 지적에 경찰은 결국 1월 7일을 마지막으로 집회 참여인원 추산결과 발표를 중단했다.[48]
2. 1. 주최 측과 경찰 추산의 차이
범국민행동 초반에는 경찰과 주최 측의 추산 참가인원수 집계 결과가 큰 차이를 보여 논란이 되었다. 가장 큰 차이를 보였던 집회는 2017년 1월 7일에 열린 11차 촛불집회로, 주최 측은 64만 명, 경찰은 38,000명으로 추산하여 17배의 차이가 났다.[48]
이러한 차이는 경찰과 주최 측의 참여인원 추산 방식이 달랐기 때문이다. 경찰은 페르미 추정법을 사용하여 특정 시점에 모인 최대 인원을 추산하는 반면,[49] 주최 측은 연인원을 기준으로 집계했다.[48]
집산 방식의 차이로 인한 문제는 탄핵 반대 운동이 본격화된 이후 형평성 논란으로 이어졌다. 1월 7일 경찰은 범국민행동 주최 집회 참가인원은 24,000명, 대통령 탄핵 기각을 위한 국민총궐기운동본부 주최 집회 참가인원은 37,000명이라고 발표했으나,[48] 박남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확인한 결과 당일 배치된 경찰 병력은 퇴진반대 집회보다 퇴진 집회의 병력이 12배 더 많았다.[48] 이러한 지적에 경찰은 결국 1월 7일을 마지막으로 집회 참여인원 추산결과 발표를 중단했다.[48]
2. 2. 집계 방식 논란과 중단
범국민행동 초반에는 경찰과 주최 측의 추산 참가인원수 집계 결과가 큰 차이를 보여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그 중에서도 가장 괴리가 컸던 집회는 2017년 1월 7일에 열린 11차 촛불집회로, 주최 측 추산 인원은 64만 명인데 반해 경찰 추산 인원은 38,000명으로 17배에 달했다.[48]
경찰은 페르미 추정법을 근거로 실시간으로 파악된 인원들을 종합해 일시점에 집결한 최대 인원을 추산하며, 병력 배치 등에 활용하기 위해 일시점 최대 참가자를 추산한다고 밝혔다.[49] 반면 주최 측은 일시점이 아닌 시간대별로 들고 나는 인원수를 포함하여 연인원 추산방식을 사용하였다고 알려졌다.[48]
집산 방식의 차이로 인한 문제는 탄핵 반대 운동이 본격화된 이후로 그 집회의 참가인원수 추산과 형평성 논란으로 번지기도 했다. 특히 1월 7일 두 집회가 열린 다음날 경찰은 범국민행동 주최 집회 참가인원은 24,000명, 대통령 탄핵 기각을 위한 국민총궐기운동본부 주최 집회 참가인원은 37,000명이라고 발표하였으나,[48] 박남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서울경찰청에 자료를 요구해 확인한 결과 당일 배치된 경찰 병력은 퇴진반대 집회보다 퇴진 집회의 병력이 12배에 이르는 것으로 드러났다.[48] 이 때문에 병력 배치가 집계의 주된 목적이라면 이러한 결과는 어디서 비롯된 것이냐는 지적이 제기되었고, 결국 경찰은 1월 7일을 끝으로 "논란을 피하기 위해 더 이상 집회 참여인원 추산결과를 발표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히며 집계를 중단했다.[48]
2. 3. 회차별 참여 인원
rowspan="2" style="width: 10em;" class="unsortable" | | 날짜 | 시위대 | 대한민국 정부 | 출처 | |
---|---|---|---|---|---|
경찰 추산 | 주최측 추산 | 경찰 인원 | |||
1차 범국민행동 | 2016년 10월 29일 | 12,000 | 50,000 | 4,800 | [2] |
2차 범국민행동 | 2016년 11월 5일 | 48,000 | 300,000 | 17,600 | [3][4] |
3차 범국민행동 | 2016년 11월 12일 | 269,000 | 1,060,000 | 25,000 | [5][6] |
4차 범국민행동 | 2016년 11월 19일 | 275,000 | 960,000 | 20,000 | [7][8] |
5차 범국민행동 | 2016년 11월 26일 | 330,000 | 1,900,000 | 25,000 | [9] |
1차 총파업 | 2016년 11월 30일 | 8,000 | 60,000 | 8,000 | [10][11][12] |
6차 범국민행동 | 2016년 12월 3일 | 429,000 | 2,320,000 | 30,000 | [13][14][15] |
7차 범국민행동 | 2016년 12월 10일 | 166,000 | 1,043,400 | 18,200 | [16][17][18] |
8차 범국민행동 | 2016년 12월 17일 | 77,000 | 771,750 | 18,240 | [19][20] |
9차 범국민행동 | 2016년 12월 24일 | 53,000 | 702,000 | 14,700 | [21][22] |
10차 범국민행동 | 2016년 12월 31일 | 83,000 | 1,104,000 | 18,400 | [23][24] |
11차 범국민행동 | 2017년 1월 7일 | 38,000 | 643,380 | 15,920 | [25][26] |
12차 범국민행동 | 2017년 1월 14일 | ― | 146,700 | 14,700 | [27][28] |
13차 범국민행동 | 2017년 1월 21일 | ― | 353,400 | 15,500 | [29][30] |
14차 범국민행동 | 2017년 2월 4일 | ― | 425,500 | 14,600 | [31][32] |
15차 범국민행동 | 2017년 2월 10일 ~ 11일 | ― | 806,270 | 16,000 | [33][34] |
16차 범국민행동 | 2017년 2월 18일 | ― | 844,860 | 15,200 | [35][36] |
17차 범국민행동 | 2017년 2월 24일 ~ 25일 | ― | 1,078,130 | 17,000 | [37][38] |
18차 범국민행동 | 2017년 3월 1일 | ㅡ | 300,000 | 16,000 | [39][40] |
19차 범국민행동 | 2017년 3월 4일 | ㅡ | 1,050,890 | 15,900 | [41][42] |
20차 범국민행동 | 2017년 3월 9일 ~ 11일 | ㅡ | 720,000 | 38,100 | [43][44][45][46] |
21차 범국민행동 | 2017년 3월 25일 | ㅡ | 102,400 | 12,300 | [47] |
22차 범국민행동 | 2017년 4월 15일 | ㅡ | 109,600 | ㅡ | |
23차 범국민행동 | 2017년 4월 29일 | ㅡ | 50,000 | ㅡ | |
누적인원 | 1,773,000 | 16,894,280 | 391,160 | ― |
범국민행동은 주로 매주 토요일에 진행되었으나, 2017년 1월 28일에는 설날 연휴로 시위를 하지 않고 합동 차례상으로 대신하였다. 2017년 3월 1일에는 삼일절을 맞이하여 토요일이 아닌 수요일에 18차 범국민행동이 진행되었다. 2016년 11월 30일에 진행된 총파업은 토요일 촛불집회의 성격을 띄지는 않지만 범국민행동의 일부로서 통계에 집계되는 경우가 많다.
1차 집회부터 20차 집회까지 매회 평균 83만 명이 참여하였으며, 그 중에서 가장 규모가 컸던 촛불집회는 탄핵 소추를 앞두고 진행된 12월 3일의 6차 촛불집회로 주최측 추산 232만 명, 경찰 추산 42만 명이 참가하였다.[1] 100만 명 이상의 참여자를 기록한 것은 총 일곱 번으로, 11월 12일 3차 촛불집회에서 처음으로 100만 명을 기록한 뒤 11월 26일 5차 촛불집회 190만 명, 12월 3일 6차 촛불집회 232만 명, 12월 10일 7차 촛불집회 104만 명, 그리고 이듬해 탄핵심판 선고일 전 두 차례의 집회에서 각각 108만 명과 105만 명이 참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1]
참조
[1]
서적
탄핵 광장의 안과 밖
책담
2017-09-14
[2]
뉴스
시위·광화문 촛불집회 "박근혜 하야 촉구", 11월1일부터 날마다 열린다… 12일엔 '민중총궐기 대회'
https://web.archive.[...]
2017-09-14
[3]
뉴스
'분노의 촛불' 일주일새 3만에서 30만으로.."박근혜 퇴진"
http://www.hani.co.k[...]
[4]
뉴스
말타고 온 정유라 학생들이 응답했다
https://web.archive.[...]
2017-09-14
[5]
뉴스
민중총궐기 100만명 돌파…'역대 최다 기록'
https://web.archive.[...]
2017-09-14
[6]
뉴스
106만명 서울 촛불에 전남 순천서도 동조 촛불
http://www.nocutnews[...]
[7]
뉴스
Anti-Park protests flare up across the country; 600,000 people gathered in Seoul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6-11-20
[8]
뉴스
전국 곳곳 '4차 촛불집회'…경찰 경력 투입, 일부 교통정체
http://news1.kr/arti[...]
[9]
뉴스
7최대 규모 하야요구 주말 촛불 집회…추위도 녹였다(종합2보)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6-11-26
[10]
뉴스
민주노총 22만명 총파업 "박근혜 즉각 퇴진"
https://web.archive.[...]
2017-09-14
[11]
뉴스
"박근혜 탄핵" 노동자·학생·상인까지 시민불복종 운동
https://web.archive.[...]
2017-09-14
[12]
뉴스
민노총 총파업·촛불집회..도심 행진
https://web.archive.[...]
2017-09-14
[13]
뉴스
촛불집회 주최측 "전국 232만명" vs 경찰 "전국 42만9000명"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6-12-03
[14]
뉴스
민노총 총파업·촛불집회..도심 행진
https://web.archive.[...]
2017-09-14
[15]
뉴스
경찰, 촛불집회 대비 전국 3만 병력 배치…서울 2만5천명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6-12-03
[16]
뉴스
촛불열기 식지 않았다…주최측 “104만” – 경찰 “16만”
https://web.archive.[...]
연합뉴스TV
2016-12-11
[17]
뉴스
7주간 '745만 촛불'…"누가 주인인지 보여줬다"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16-12-11
[18]
뉴스
'[7차 촛불집회] 경찰 병력 2만명 배치해 사고 대비'
https://web.archive.[...]
2017-09-14
[19]
뉴스
전국 77만명, 8차 촛불 "탄핵 인용·黃 퇴진" 주장
https://web.archive.[...]
2017-09-14
[20]
뉴스
'박근혜 퇴진행동' 광화문 집회 시작…'박사모'등 친박단체 경찰 차벽 건너편서 '맞불집회'
http://news.chosun.c[...]
[21]
뉴스
'[뉴스초점] 성탄전야 촛불집회 주최 측 70만 – 경찰 5만3천 추산'
https://web.archive.[...]
2017-09-14
[22]
뉴스
‘9차 촛불집회’…‘맞불집회’와 충돌 없이 마무리
http://news.kbs.co.k[...]
[23]
뉴스
"박근혜 보내고 새해를 맞자" 전국 곳곳서 촛불시위.. 누적 연인원 1000만 돌파
https://web.archive.[...]
2017-09-14
[24]
뉴스
10차 촛불집회 '1박2일' 진행..친박단체도 맞불집회
https://web.archive.[...]
2017-09-14
[25]
뉴스
새해 첫 촛불에 64만 시민..세월호참사 1000일 추모(종합)
https://web.archive.[...]
2017-09-14
[26]
뉴스
경찰, 세월호 1000일 추모 촛불 1만4720여명 투입
https://web.archive.[...]
2017-09-14
[27]
뉴스
오늘 12차 촛불집회 강추위에도 10만 시민 광화문서 촛불 “재벌총수 구속하라”
https://web.archive.[...]
2017-09-14
[28]
뉴스
맹추위 속 12차 촛불집회…경찰 1만4700여명 투입
http://news1.kr/arti[...]
[29]
뉴스
13차 촛불집회 “새해 바뀌어야 할 것들에 대해”
https://web.archive.[...]
2017-09-14
[30]
뉴스
'이재용 영장 기각' 촛불 최대 변수..경찰 1만5500명 투입
https://web.archive.[...]
2017-09-14
[31]
뉴스
'[14차 촛불집회]"40만 vs 130만"..추산 인원 '뻥튀기 논란'
https://web.archive.[...]
2017-09-14
[32]
뉴스
탄핵 찬반집회, 도심 곳곳에서 개최…경찰병력 1만4600명 배치
https://web.archive.[...]
2017-09-14
[33]
뉴스
촛불 "끝까지 간다" 연인원 1500만 돌파 초읽기
https://web.archive.[...]
2017-09-14
[34]
뉴스
오늘 주말 집회 '총동원령'…경찰 병력 배치·지하철 탄력 운행
https://web.archive.[...]
2017-02-12
[35]
뉴스
16차 촛불집회, 광화문 80만명 참석.. 전국 누적 1300만 돌파
https://web.archive.[...]
2017-09-14
[36]
뉴스
"'70만명 운집' 광화문 촛불..청와대·헌재 행진 시작"
https://web.archive.[...]
2017-09-14
[37]
뉴스
"[17차 촛불집회]전국 107만명이 모인 촛불, \"탄핵 인용, 특검 연장\" 목소리 높여(종합)"
https://news.v.daum.[...]
[38]
뉴스
朴 취임일 맞붙는 두 광장의 세대결.."4년 끝내자"vs"지키자"
https://news.v.daum.[...]
[39]
뉴스
"'18차 촛불집회' 30만명 시민 \"탄핵 인용·박근혜 구속\""
http://m.focus.kr/vi[...]
[40]
뉴스
3·1절 촛불 vs 태극기 대규모 집회… 경찰, 경비병력 1만6천명 투입
https://web.archive.[...]
2017-09-14
[41]
뉴스
헌재 선고 전 '마지막 촛불'..전국 105만 운집
https://web.archive.[...]
2017-09-14
[42]
뉴스
4일 탄핵심판 선고 전 대규모 집회 '막판 총력전'
https://web.archive.[...]
2017-09-14
[43]
뉴스
"이제 봄이 왔다"…탄핵 인용 맞은 촛불, 다시 광장으로
http://news.jtbc.joi[...]
[44]
뉴스
“탄핵은 끝 아닌 시작”…전국 70만 촛불 승리 자축
https://web.archive.[...]
2017-09-14
[45]
뉴스
3박4일 이어진 태극기집회 "탄핵각하는 선물..새벽까지 축제 열겠다"
https://web.archive.[...]
2017-09-14
[46]
뉴스
"탄핵은 음모" 친박집회, 살벌한 분위기 '일촉즉발'
https://web.archive.[...]
2017-09-14
[47]
뉴스
다시 타오른 촛불 "탄핵이 끝 아니다. 박근혜를 구속하라"
http://www.newstomat[...]
[48]
서적
탄핵 광장의 안과 밖
책담
2017-09-14
[49]
웹사이트
http://heraldk.com/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